KR20040016137A -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6137A
KR20040016137A KR1020020048382A KR20020048382A KR20040016137A KR 20040016137 A KR20040016137 A KR 20040016137A KR 1020020048382 A KR1020020048382 A KR 1020020048382A KR 20020048382 A KR20020048382 A KR 20020048382A KR 20040016137 A KR20040016137 A KR 20040016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tp server
ntp
time
ggsn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1700B1 (ko
Inventor
김태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8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700B1/ko
Priority to CN03154328.6A priority patent/CN1248517C/zh
Priority to US10/641,298 priority patent/US7339886B2/en
Publication of KR20040016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rmining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6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rmining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using measurement of signal travel time
    • H04W56/009Closed loop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04J3/0641Change of the master or reference, e.g. take-over or failure of the mas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04J3/065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 H04J3/0661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using timestamps
    • H04J3/0667Bidirectional timestamps, e.g. NTP or PTP for compensation of clock drift and for compensation of propagation de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NTP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NTP 서버 변경을 통해 장애 복구 시까지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를 보장하도록 한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 방법이 적용되는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에서는 NTP 서버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 즉 NTP 서버에 직접적인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 GGSN과 SGSN은 자체의 시각으로 동작해야 하므로 NTP 서버의 장애가 지속될수록 GGSN과 SGSN간의 시각 차이가 점점 더 커짐에 따라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인증 및 패킷 교환 등 각종 시각과 관련된 SGSN과 GGSN간의 연동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NTP 서버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장애 감시 및 NTP 서버 변경을 수행함으로써 NTP 서버의 장애가 복구될 때까지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를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Time Between SGSN And GGSN}
본 발명은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NTP(Network Time Protocal)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NTP 서버 변경을 통해 장애 복구 시까지 SGSN(Serv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과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간의 시각 동기화를 보장하도록 한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세계 어디에서나 언제나(Anywhere-Anytime) 하나의 이동 단말기로 음성·데이터 등 다양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미래 공중 육상 이동 통신시스템(FPLMTS:Future Public L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인 IMT-2OOO(Intern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이 제안되었는데, 이를 위한 IMT-2000망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패킷 서비스(GPRS)를 위한 패킷 교환장치(SGSN)와, 게이트웨이인 패킷망 연동 장치(GGSN)를 통한 이동 단말기(MT)로의 인터넷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SGSN은 가입자에게 GPR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 단말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가입자 인증 및 GGSN과의 정합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GGSN은 패킷 서비스를 요구하는 이동 단말기에 IP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SGSN으로부터 오는 패킷 데이터를 인터넷과 같은 외부 패킷망으로 전달하고 외부에서 들어오는 패킷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에 전달하는 터널링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상기 SGSN과 GGSN간의 상호 연동을 위해서는 해당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가 필요하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은 NTP 서버(10), GGSN(20) 및 다수의 SGSN(3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NTP 서버(10)는 전체 망에 시각을 분배하고, 상기 GGSN(20)은 상기 NTP 서버(10)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으며, 상기 SGSN(30)은 상기 NTP 서버(10)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아 상기 GGSN(20)과 시각 동기화를 이룬다.
상기 GGSN(20)은 G-SMP(GGSN-System Management Processor)(21)와 G-인터페이스부(GGSN-Interface)(23)를 구비하는데, 상기 G-SMP(21)는 유지보수를 담당하고, 상기 G-인터페이스부(23)는 상기 NTP 서버(10)와의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통신을 인터페이스한다.
그리고, 상기 G-SMP(21)는 G-NTP 클라이언트(GGSN-NTP Client)(22)를 구비하는데,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는 NTP 요구 패킷을 상기 NTP 서버(10)로 송신하고 해당 NTP 서버(10)로부터 NTP 응답 패킷을 수신하여 시각을 분배받는다.
상기 SGSN(30)은 S-SMP(SGSN-System Management Processor)(31)와 S-인터페이스부(SGSN-Interface)(33)를 구비하는데, 상기 S-SMP(31)는 유지보수를 담당하고, 상기 S-인터페이스부(33)는 상기 NTP 서버(10)와의 TCP/IP 통신을 인터페이스한다.
그리고, 상기 S-SMP(31)는 S-NTP 클라이언트(SGSN-NTP Client)(32)를 구비하는데,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는 NTP 요구 패킷을 상기 NTP 서버(10)로 송신하고 해당 NTP 서버(10)로부터 NTP 응답 패킷을 수신하여 시각을 분배받는다.
여기서, 상기 G-인터페이스부(23) 및 S-인터페이스부(33)는 이더넷 포트(Ethernet Port) 또는 FESFA(Fast Ethernet Subscriber Front Assembly) 인터페이스를 말하고, 상기 NTP 요구 패킷 및 NTP 응답 패킷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는 종래의 NTP 패킷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GGSN(20)의 G-NTP 클라이언트(22)와 SGSN(30)의 S-NTP 클라이언트(32)는 최초 시동시에 G-SMP(21)와 S-SMP(31)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G-인터페이스부(23)와 S-인터페이스부(33)를 사용하기 위해서 UDP 소켓(User Datagram Protocol Socket)을 생성한다(S301).
이에,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와 S-NTP 클라이언트(32)는 도 2에 도시된 NTP 패킷을 NTP 요구 패킷으로 설정한다(S302). 여기서, 상기 NTP 패킷을 NTP 요구 패킷으로 설정할 때, 모드(Mode)는 클라이언트 모드(Client Mode)로 설정하고, 수신지 포트(Destination Port)와 소스 포트(Source Port)는 각각 다르게 설정하는데, 클라이언트 모드로 설정하는 이유는 상기 NTP 서버(10)로부터 시각을 수신하기 위해서이고, 수신지 포트와 소스 포트를 다르게 설정(수신지 포트는 123번, 소스 포트는 3000번)하는 이유는 상기 NTP 패킷을 클라이언트 모드 또는 서버 모드(Server Mode)로 동작시키기 위해서이다.
그런 후,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와 S-NTP 클라이언트(32)는 상기 설정된 NTP 요구 패킷을 상기 생성된 UDP 소켓을 통해서 상기 NTP 서버(10)로 송신한다(S303). 이에 따라, 상기 NTP 서버(10)는 상기 NTP 요구 패킷을 수신하여 해당 G-NTP 클라이언트(22)와 S-NTP 클라이언트(32)로 시각을 분배하기 위해 NTP 응답 패킷을 설정한 후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와 S-NTP 클라이언트(32)로 송신한다.
이에,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와 S-NTP 클라이언트(32)는 상기 NTP 서버(10)로부터 NTP 응답 패킷을 수신하고(S304), 해당 수신한 NTP 응답 패킷을 검사하여 유효성을 판단한다(S305). 즉,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와 S-NTP 클라이언트(32)는 상기 NTP 서버(10)로부터 NTP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RFC 959에 권고된 절차를 통해서 시각을 설정하기 위해, 우선 상기 NTP 응답 패킷의 버젼(VN:Version), 모드 등을 검하여 유효성을 판단한다.
이때, 상기 검사 결과(S305), 상기 수신한 NTP 응답 패킷의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와 S-NTP 클라이언트(32)는 풀링 타임(Polling Time) 만큼 기다린 후(S306), 상기 NTP 요구 패킷 설정 과정(S302)으로 회귀한다.
반면에, 상기 검사 결과(S305), 상기 수신한 NTP 응답 패킷의 유효성이 인정되는 경우에,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와 S-NTP 클라이언트(32)는 상기 NTP 응답 패킷의 시각에 지역시간차 만큼을 더하여 상기 G-SMP(22)와 S-SMP(32)의 시각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상기 GGSN(20)과 SGSN(30)의 시각이 설정된다(S307). 여기서, 상기 NTP 응답 패킷의 시각은 표준시로서 지역시간차를 고려하지 않은 시각이므로, 해당 NTP 응답 패킷의 시각에 지역시간차만큼을 더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와 S-NTP 클라이언트(32)는 상기 G-SMP(22)와 S-SMP(32)의 시각이 상기 NTP 서버(10)의 시각과 동기화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08).
이때, 상기 판단 결과(S308), 시각의 동기화가 된 경우에,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와 S-NTP 클라이언트(32)는 각각 상기 NTP 서버(10)의 시각으로 동기화되고 따라서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와 S-NTP 클라이언트(32)간의 시각도 서로동기화되므로 시각 동기화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에, 상기 판단 결과(S308), 시각의 동기화가 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와 S-NTP 클라이언트(32)는 풀링 타임만큼 기다린 후(S306), 상기 NTP 요구 패킷 설정 과정(S302)으로 회귀한다.
그런데, 종래의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 방법이 적용되는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에서는 NTP 서버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 즉 NTP 서버에 직접적인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 GGSN과 SGSN은 자체의 시각으로 동작해야 하므로 NTP 서버의 장애가 지속될수록 GGSN과 SGSN간의 시각 차이가 점점 더 커짐에 따라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인증 및 패킷 교환 등 각종 시각과 관련된 SGSN과 GGSN간의 연동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NTP 서버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장애 감시 및 NTP 서버 변경을 수행함으로써 NTP 서버의 장애가 복구될 때까지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를 보장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NTP 패킷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종래의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도 6에 있어, NTP 서버 변경 요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도 6에 있어, NTP 서버 변경 및 시각 동기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도 6에 있어, NTP 서버 변경 확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NTP 서버 200 : GGSN
210 : G-SMP 220 : G-NTP 클라이언트
230 : G-인터페이스부 300 : SGSN
310 : S-SMP 320 : S-NTP 클라이언트
330 : S-인터페이스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은 전체 망에 시각을 분배하는 NTP 서버와; 상기 NTP 서버의 장애 발생 여부에 따라 NTP 서버 변경 요구를 하고 장애 복구 시까지시각을 분배하는 GGSN과; 상기 GGSN의 NTP 서버 변경 요구에 따라 또는 상기 NTP 서버의 장애 발생 여부에 따라 NTP 서버 변경을 하고 해당 변경된 NTP 서버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아 상기 GGSN과 시각 동기화를 이루는 SGSN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방법은 NTP 서버의 장애 발생 여부를 감시하며 해당 장애 발생 여부에 따라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송신하여 NTP 서버 변경 요구를 하는 과정과;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을 송신하며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에 따라 또는 상기 NTP 서버의 장애 발생 여부를 감시하며 해당 장애 발생 여부에 따라 NTP 서버를 변경하여 해당 변경된 NTP 서버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아 시각 동기화를 이루는 과정과; 상기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NTP 서버가 변경되었음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은 NTP서버(100), GGSN(200) 및 다수의 SGSN(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NTP 서버(100)는 전체 망에 시각을 분배하고, 상기 GGSN(200)은 상기 NTP 서버(100)의 장애 발생 여부에 따라 NTP 서버 변경 요구를 하고 장애 복구 시까지 시각을 분배하며, 상기 SGSN(300)은 상기 GGSN(200)의 NTP 서버 변경 요구에 따라 또는 상기 NTP 서버(100)의 장애 발생 여부에 따라 NTP 서버 변경을 하고 해당 변경된 NTP 서버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아 상기 GGSN(200)과 시각 동기화를 이룬다.
상기 GGSN(200)은 G-SMP(210)와 G-인터페이스부(230)를 구비하는데, 상기 G-SMP(210)는 유지보수를 담당하고, 상기 G-인터페이스부(230)는 상기 G-SMP(210)와 상기 NTP 서버(100) 및 SGSN(300)과의 TCP/IP 통신을 인터페이스한다.
그리고, 상기 G-SMP(210)는 G-NTP 클라이언트(220)를 구비하는데,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는 NTP 요구 패킷을 상기 NTP 서버(100)로 송신하고 해당 NTP 서버(100)로부터 NTP 응답 패킷을 수신하여 시각을 분배받으며 상기 NTP 서버(100)의 장애 발생 여부를 감시하여 해당 장애 발생 여부에 따라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상기 SGSN(300)으로 송신하고 해당 SGSN(300)으로부터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을 수신하며 장애 복구 시까지 임시적으로 NTP 서버로 동작하여 상기 SGSN(300)으로 시각을 분배한다.
상기 SGSN(300)은 S-SMP(310)와 S-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데, 상기 S-SMP(310)는 유지보수를 담당하고, 상기 S-인터페이스부(330)는 상기 S-SMP(310)와 상기 NTP 서버(100) 및 GGSN(200)간의 TCP/IP 통신을 인터페이스한다.
그리고, 상기 S-SMP(310)는 S-NTP 클라이언트(320)를 구비하는데,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는 NTP 요구 패킷을 상기 NTP 서버(100)로 송신하고 해당 NTP 서버(100)로부터 NTP 응답 패킷을 수신하여 시각을 분배받으며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로부터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NTP 서버(100) 또는 GGSN(200)으로 NTP 서버 변경을 하고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을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로 송신하거나 상기 NTP 서버(100)의 장애 발생 여부를 감시하여 해당 장애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NTP 서버(100) 또는 GGSN(200)으로 NTP 서버 변경을 하여 해당 NTP 서버(100) 또는 GGSN(200)으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아 상기 GGSN(200)과 시각 동기화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G-인터페이스부(230) 및 S-인터페이스부(330)는 이더넷 포트 또는 FESFA 인터페이스를 말하고, 상기 NTP 요구 패킷 및 NTP 응답 패킷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고,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 및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의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NTP 서버 변경 패킷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은 패킷 송신 시각 필드(Transmit Time), 장애 발생/복구 시각 필드(Occur Time), IP 어드레스 필드(IP Address) 및 메시지 타입 필드(Message Type)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패킷 송신 시각 필드는 상기 GGSN(200)이 패킷을 송신한 시각을 나타내고, 상기 장애 발생/복구 시각 필드는 상기 NTP 서버(100)의 장애 발생/복구 시각을 나타내고, 상기 IP 어드레스 필드는 상기 NTP 서버(100)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GGSN(200)의 IP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상기 NTP 서버(100)에서 장애가 복구된 경우에는 상기 NTP 서버(100)의 IP 어드레스를 나타내며, 상기 메시지 타입 필드는 상기 GGSN(200)이 송신한 패킷이 NTP 서버 변경 요구임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메시지 타입 필드는 상기 패킷이 NTP 서버 변경 요구인 경우에는 "0"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은 IP 어드레스 필드 및 메시지 타입 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IP 어드레스 필드는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의 IP 어드레스와 대응하여 상기 NTP 서버(100) 또는 GGSN(200)의 IP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상기 메시지 타입 필드는 상기 SGSN(300)이 송신한 패킷이 NTP 서버 변경 응답임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메시지 타입 필드는 상기 패킷이 NTP 서버 변경 응답인 경우에는 "1"로 설정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GGSN(200)은 NTP 서버(200)의 장애 발생 여부를 감시하며 해당 장애 발생 여부에 따라 다수의 SGSN(300)으로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송신하여 NTP 서버 변경 요구를 한다(S601).
이에, 상기 SGSN(300)은 상기 GGSN(200)으로부터 수신한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을 송신하며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에 따라 또는 상기 NTP 서버(100)의 장애 발생 여부를 감시하며 해당 장애 발생 여부에 따라 NTP 서버를 변경하여 해당 변경된 NTP 서버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아 상기 GGSN(200)과 시각 동기화를 이룬다(S602).
그리고, 상기 GGSN(200)은 상기 SGSN(300)으로부터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을 수신하여 해당 SGSN(300)에서 NTP 서버가 변경되었음을 확인한다(S603).
상기 SGSN(300)에서 NTP 서버 변경에는 상기 GGSN(200)으로의 NTP 서버 변경의 경우와 상기 NTP 서버(100)로의 NTP 서버 변경의 경우가 있는데, GGSN(200)으로의 NTP 서버 변경은 상기 SGSN(300)이 상기 NTP 서버(100)로부터 시각을 분배받다가 해당 NTP 서버(100)에서 장애가 발생하여 상기 GGSN(200)으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음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상기 SGSN(300)과 GGSN(200)의 시각은 해당 GGSN(200)의 시각으로 동기화되어, 결국 상기 SGSN(300)은 상기 GGSN(200)과 시각 동기화를 이루고, 반면 상기 NTP 서버(100)로의 NTP 서버 변경은 상기 SGSN(300)이 상기 GGSN(200)으로부터 시각을 분배받다가 해당 NTP 서버(100)에서 장애가 복구되어 다시 원래의 상기 NTP 서버(100)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음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상기 SGSN(300)과 GGSN(200)의 시각은 해당 NTP 서버(100)의 시각으로 동기화되어, 결국 상기 SGSN(300)은 상기 GGSN(200)과 시각 동기화를 이룬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GGSN(200)에서 NTP 서버 변경 요구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은 도 6에 있어, NTP 서버 변경 요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GGSN(200)의 G-NTP 클라이언트(220)는 NTP 서버(100)를 감시하여(S701), 해당 NTP 서버(100)에서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아니면 장애가 복구되었는지를 판단한다(S702). 여기서,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의 감시를 받는 상기 NTP 서버(100)는 전체 망에 있는 GGSN(200)과 다수의 SGSN(300)으로 시각을 분배하고, 상기 G-NTP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NTP 서버(100)를 주기적으로 감시하는데, 해당 주기는 상기 SGSN(300)의 S-NTP 클라이언트(320)가 시각을 요구하는 풀링 타임(Polling Time)과 같은 주기로 검시한다.
상기 판단 결과(S702), 상기 NTP 서버(100)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는 NTP 서버 변경 플래그(Flag)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703). 여기서,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에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음은 장애가 발생한 상기 NTP 서버(100) 대신에 상기 GGSN(200)의 G-NTP 클라이언트(220)가 전체 망에 있는 다수의 SGSN(300)으로 시각을 분배함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판단 결과(S703), 상기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는 상기 NTP 서버(100)를 감시하는 단계(S701)로 회귀한다. 즉,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는 이미 상기 SGSN(300)으로 시각을 분배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GGSN(200)으로의 NTP 서버 변경 요구를 하지 않는다.
반면에, 상기 판단 결과(S703), 상기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는 상기 NTP 서버(100)의 장애가 일정시간 지속되는지를 판단한다(S704). 여기서, 상기 NTP 서버(100)의 장애가 일정시간지속됨은 폴트 카운트(Fault-Count)를 증가시켜 일정 시간을 기다린 후 해당 폴트 카운트가 일정수를 넘어섰음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판단 결과(S704), 상기 NTP 서버(100)의 장애가 일정시간 지속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는 상기 NTP 서버(100)를 감시하는 단계(S701)로 회귀한다.
반면에, 상기 판단 결과(S704), 상기 NTP 서버(100)의 장애가 일정시간 지속되는 경우에,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는 상기 원래의 NTP 서버(100)를 상기 GGSN(200)으로 변경하기 위한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설정한다. 즉, 상기 GGSN(200)과 다수의 SGSN(300)이 상기 NTP 서버(100)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아 서로 시각 동기화를 이루는데, 해당 NTP 서버(100)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상기 GGSN(200)이 해당 NTP 서버(100) 대신 해당 다수의 SGSN(300)으로 시각을 분배하여 서로 시각 동기화를 이루도록 하기 위해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설정한다.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은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데, 메시지 타입 필드는 송신할 패킷이 NTP 서버 변경 요구임을 나타내도록 "0"으로 설정하고, IP 어드레스 필드는 상기 GGSN(200)의 IP 어드레스로 설정하고, 장애 발생/복구 시각 필드는 상기 NTP 서버(100)에 장애가 발생한 시각으로 설정하며, 패킷 송신 시각 필드는 패킷을 송신할 시각으로 설정한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S702), 상기 NTP 서버(100)에서 장애가 복구된 경우에,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는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706). 여기서, 상기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음은 상기 NTP 서버(100)에서 장애가 복구되었는데도 여전히 상기 GGSN(200)의 G-NTP 클라이언트(220)가 전체 망에 있는 다수의 SGSN(300)으로 시각을 분배함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판단 결과(S706), 상기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는 상기 NTP 서버(100)를 감시하는 단계(S701)로 회귀한다. 즉,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는 해당 G-NTP 클라이언트(220)가 아닌 상기 NTP 서버(100)가 상기 SGSN(300)으로 시각을 분배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NTP 서버(100)로의 NTP 서버 변경 요구를 하지 않는다.
반면에, 상기 판단 결과(S706), 상기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는 상기 GGSN(200)을 상기 원래의 NTP 서버(100)로 변경하기 위한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설정한다(S707).
즉, 상기 다수의 SGSN(300)이 상기 GGSN(200)으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아 서로 시각 동기화를 이루는데, 해당 NTP 서버(100)에서 장애가 극복되었으면 원래대로 상기 NTP 서버(100)가 해당 GGSN(200)과 다수의 SGSN(300)으로 시각을 분배하여 서로 시각 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설정한다.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은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데, 메시지 타입 필드는 송신할 패킷이 NTP 서버 변경 요구임을 나타내도록 "0"으로 설정하고, IP 어드레스 필드는 상기 NTP 서버(100)의 IP 어드레스로 설정하고, 장애 발생/복구 시각 필드는 상기 NTP 서버(100)에 장애가 복구된 시각으로 설정하며, 패킷 송신 시각 필드는 패킷을 송신할 시각으로 설정한다.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 설정 단계(S705,S707) 후에,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는 다수의 SGSN(300)이 저장되어 있는 DB(DataBase)를 검색하여 SGSN(300)의 리스트를 작성한다(S708).
이에, 상기 G-클라이언트(220)는 상기 설정된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G-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상기 리스트에 있는 SGSN(300)의 S-NTP 클라이언트(320)로 송신하고(S709), 일정시간의 타임 시그널(Time Signal)을 설정한다(S710).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SGSN(300)에서 NTP 서버 변경 및 시각 동기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은 도 6에 있어, NTP 서버 변경 및 시각 동기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먼저, 상기 다수의 SGSN(300)의 S-NTP 클라이언트(320)는 상기 GGSN(200)의 G-NTP 클라이언트(220)로부터 상기 S-인터페이스부(330)를 통해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수신했는지를 판단한다(S801).
상기 판단 결과(S801),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는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의 패킷 송신 시각이 최종 NTP 패킷의 송신 시각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802). 여기서, 상기 SGSN(300)는 상기 NTP 서버(100)에서 장애가 발생하기 전까지 또는 장애가 복구된 후에는 해당 NTP 서버(100)로부터 시각을 분배하고 상기 NTP 서버(100)의 장애 발생 동안은 상기 GGSN(200)으로부터 시각을 분배받는다. 이때 상기 SGSN(300)과 상기 NTP 서버(100) 및 GGSN(200)간에 시각 분배를 위해 송수신되는 패킷이 NTP 패킷인데, 해당 NTP 패킷 중에서 제일 마지막으로 송신된 패킷의 송신 시각이 최종 NTP 패킷의 송신 시각이 되는 것으로 상기 SGSN(300)이 제일 마지막으로 시각 동기화된 시각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판단 결과(S802), 상기 패킷 송신 시각이 최종 NTP 패킷의 송신 시각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는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 수신 단계(S801)로 회귀한다.
반면에, 상기 판단 결과(S802), 상기 패킷 송신 시각이 최종 NTP 패킷의 송신 시각보다 작지 않은 경우에,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는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의 장애 발생/복구 시각이 최종 NTP 패킷의 송신 시각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803).
이때, 상기 판단 결과(S803), 상기 장애 발생/복구 시각이 최종 NTP 패킷의 송신 시각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는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 수신 단계(S801)로 회귀한다.
반면에, 상기 판단 결과(S803), 상기 장애 발생/복구 시각이 최종 NTP 패킷의 송신 시각보다 작지 않은 경우에,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는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의 IP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노드로 NTP 서버를 변경하고 해당 변경된 NTP 서버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아 상기 GGSN(200)과 시각 동기화를 이룬다(S804). 여기서, 상기 변경된 NTP 서버는 상기 SGSN(300)이 새롭게 시각을 분배받는 노드를 의미하는데, 상기 GGSN(200) 또는 원래의 NTP 서버(100)가 상기 변경된 NTP 서버가 될 수 있는 노드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IP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노드가 GGSN(200)인 경우에, 해당 GGSN(200)이 변경된 NTP 서버가 되고 상기SGSN(300)은 GGSN(200)으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아 GGSN(200)의 시각과 동기화되며, 반면, 상기 IP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노드가 원래의 NTP 서버(100)인 경우에, 해당 원래의 NTP 서버(100)가 변경된 NTP 서버가 되고 상기 SGSN(300)은 NTP 서버(100)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아 GGSN(200)의 시각과 동기화된다.
그리고,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는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에 대한 응답인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을 설정한다(S805). 상기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은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데, 메시지 타입 필드는 송신할 패킷이 NTP 서버 변경 응답임을 나타내도록 "1"로 설정하고, IP 어드레스 필드는 상기 원래의 NTP 서버(100)를 상기 GGSN(200)으로 변경하기 위한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에 대한 응답인 경우에 상기 GGSN(200)의 IP 어드레스로 설정하고, 반면 상기 GGSN(200)을 상기 원래의 NTP 서버(100)로 변경하기 위한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에 대한 응답인 경우에 상기 NTP 서버(100)의 IP 어드레스로 설정한다.
이에,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는 상기 설정된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을 상기 GGSN(200)의 G-NTP 클라이언트(220)로 송신한다(S806).
한편, 상기 판단 결과(S801),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SGSN(300)의 S-NTP 클라이언트(320)는 상기 NTP 서버(100)를 감시하여(S807), 해당 NTP 서버(100)에서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아니면 장애가 복구되었는지를 판단한다(S808). 여기서,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의 감시를 받는 상기 NTP 서버(100)는 전체 망에 있는 GGSN(200)과 다수의 SGSN(300)으로 시각을 분배하고,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는 상기 NTP 서버(100)를 주기적으로 감시하는데,해당 주기는 상기 SGSN(300)의 S-NTP 클라이언트(320)가 시각을 요구하는 풀링 타임(Polling Time)과 같은 주기로 감시한다.
상기 판단 결과(S808), 상기 NTP 서버(100)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는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809). 여기서,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에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음은 장애가 발생한 상기 NTP 서버(100) 대신에 상기 GGSN(200)의 G-NTP 클라이언트(220)가 전체 망에 있는 다수의 SGSN(300)으로 시각을 분배함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판단 결과(S809), 상기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는 상기 NTP 서버(100)를 감시하는 단계(S807)로 회귀한다. 즉,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는 이미 상기 GGSN(200)으로부터 시각을 분배받고 있기 때문에 상기 GGSN(200)으로의 NTP 서버 변경을 하지 않는다.
반면에, 상기 판단 결과(S809), 상기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는 상기 NTP 서버(100)의 장애가 일정시간 지속되는지를 판단한다(S810). 여기서, 상기 NTP 서버(100)의 장애가 일정시간 지속됨은 폴트 카운트(Fault-Count)를 증가시켜 일정 시간을 기다린 후 해당 폴트 카운트가 일정수를 넘어섰음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판단 결과(S810), 상기 NTP 서버(100)의 장애가 일정시간 지속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는 상기 NTP 서버(100)를 감시하는 단계(S807)로 회귀한다.
반면에, 상기 판단 결과(S810), 상기 NTP 서버(100)의 장애가 일정시간 지속되는 경우에,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는 상기 GGSN(200)으로 NTP 서버를 변경하고 해당 변경된 NTP 서버인 GGSN(220)으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아 상기 GGSN(200)과 시각 동기화를 이룬다(S811). 여기서, 상기 변경된 NTP 서버는 상기 SGSN(300)이 새롭게 시각을 분배받는 노드를 의미하는데, 상기 GGSN(200)이 상기 변경된 NTP 서버가 될 수 있는 노드에 해당한다. 따라서, 해당 GGSN(200)이 변경된 NTP 서버가 되고 상기 SGSN(300)은 GGSN(200)으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아 GGSN(200)의 시각과 동기화된다.
그리고,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은 NTP 서버 변경 플래그를 설정한다(S812). 여기서, 상기 NTP 서버 변경 플래그를 설정함은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가 장애가 발생한 상기 NTP 서버(100) 대신에 상기 GGSN(200)의 G-NTP 클라이언트(220)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음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S808), 상기 NTP 서버(100)에서 장애가 복구된 경우에,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는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813). 여기서, 상기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음은 상기 NTP 서버(100)에서 장애가 복구되었는데도 여전히 상기 GGSN(200)의 G-NTP 클라이언트(220)가 전체 망에 있는 다수의 SGSN(300)으로 시각을 분배함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판단 결과(S813), 상기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는 상기 NTP 서버(100)를 감시하는단계(S807)로 회귀한다. 즉,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는 해당 G-NTP 클라이언트(220)가 아닌 상기 NTP 서버(100)가 상기 SGSN(300)으로 시각을 분배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NTP 서버(100)로의 NTP 서버 변경을 하지 않는다.
반면에, 상기 판단 결과(S813), 상기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는 상기 원래의 NTP 서버(100)로 NTP 서버를 변경하고 해당 변경된 NTP 서버인 원래의 NTP 서버(100)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아 상기 GGSN(200)과 시각 동기화를 이룬다(S814). 여기서, 상기 변경된 NTP 서버는 상기 SGSN(300)이 새롭게 시각을 분배받는 노드를 의미하는데, 상기 원래의 NTP 서버(100)이 상기 변경된 NTP 서버가 될 수 있는 노드에 해당한다. 따라서, 해당 원래의 NTP 서버(100)가 변경된 NTP 서버가 되고 상기 SGSN(300)은 원래의 NTP 서버(100)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아 NTP 서버(100)의 시각으로 동기화되므로, 결국 해당 NTP 서버(100)의 시각으로 SGSN(300)과 GGSN(200)의 시각이 서로 동기화된다.
그리고,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은 NTP 서버 변경 플래그를 해제한다(S815). 여기서, 상기 NTP 서버 변경 플래그를 해제함은 상기 S-NTP 클라이언트(320)가 상기 GGSN(200)의 G-NTP 클라이언트(220) 대신에 장애가 복구된 원래의 NTP 서버(100)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음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GGSN(200)에서 NTP 서버 변경 확인 과정을 설명한다.
도 9는 도 6에 있어, NTP 서버 변경 확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상기 GGSN(200)의 G-NTP 클라이언트(220)는 상기 SGSN(300)의 S-NTP클라이언트(320)로부터 상기 G-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상기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을 수신한다(S901).
이에,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는 상기 SGSN(300) 리스트에 상기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을 송신한 SGSN(300)의 응답 여부를 기록한다(S902).
그리고,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는 상기 설정된 타임 시그널의 일정시간이 타임 아웃(Time Out)되었는지를 판단한다(S903).
이때, 상기 판단 결과(S903), 상기 타임 아웃이 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는 상기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 수신 단계(S901)로 회귀한다.
반면에, 상기 판단 결과(S903), 상기 타임 아웃이 된 경우에,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는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수신한 다수의 SGSN(300)으로부터 상기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을 모두 수신했는지를 판단한다(S904).
이때, 상기 판단 결과(S904), 상기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을 모두 수신하지는 못한 경우에,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는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G-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상기 리스트 있는 미응답 SGSN(300)의 S-NTP 클라이언트(320)로 재송신한다(S905).
반면에, 상기 판단 결과(S904), 상기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을 모두 수신한 경우에,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는 NTP 서버 변경 프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906).
이때, 상기 판단 결과(S906), 상기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경우에,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는 해당 NTP 서버 변경 플래그를 해제한다(S907). 즉,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는 전체 망에 있는 다수의 SGSN(300)으로 시각을 분배하기 위한 NTP 서버가 GGSN(200)의 G-NTP 클라이언트(220)에서 상기 원래의 NTP 서버(100)로 변경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NTP 서버 변경 플래그를 해제한다.
반면에, 상기 판단 결과(S906), 상기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는 해당 NTP 서버 변경 플래그를 설정한다(S908). 즉, 상기 G-NTP 클라이언트(220)는 전체 망에 있는 다수의 SGSN(300)으로 시각을 분배하기 위한 NTP 서버가 상기 원래의 NTP 서버(100)에서 GGSN(200)의 G-NTP 클라이언트(220)로 변경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NTP 서버 변경 플래그를 설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NTP 서버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장애 감시 및 NTP 서버 변경을 수행함으로써 NTP 서버의 장애가 복구될 때까지 SGSN과 GGSN간의 시각 동기화를 보장할 수 있다.

Claims (14)

  1. 전체 망에 시각을 분배하는 NTP 서버와;
    상기 NTP 서버의 장애 발생 여부에 따라 NTP 서버 변경 요구를 하고 장애 복구 시까지 시각을 분배하는 GGSN과;
    상기 GGSN의 NTP 서버 변경 요구에 따라 또는 상기 NTP 서버의 장애 발생 여부에 따라 NTP 서버 변경을 하고 해당 변경된 NTP 서버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아 상기 GGSN과 시각 동기화를 이루는 SGSN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GSN은,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G-SMP와;
    상기 G-SMP와 상기 NTP 서버 및 SGSN과의 TCP/IP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G-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G-SMP는,
    NTP 패킷을 통해 상기 NTP 서버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으며 상기 NTP 서버의 장애 발생 여부를 감시하여 해당 장애 발생 여부에 따라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상기 SGSN으로 송신하고 해당 SGSN으로부터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을 수신하며 장애 복구 시까지 임시적으로 NTP 서버로 동작하여 상기 SGSN으로 시각을 분배하는 G-NTP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특징으로 하는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GSN은,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S-SMP와;
    상기 S-SMP와 상기 NTP 서버 및 GGSN간의 TCP/IP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S-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특징으로 하는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S-SMP는,
    NTP 패킷을 통해 상기 NTP 서버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으며 상기 G-NTP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NTP 서버 또는 GGSN으로 NTP 서버 변경을 하고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을 상기 G-NTP 클라이언트로 송신하거나 상기 NTP 서버의 장애 발생 여부를 감시하여 해당 장애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NTP 서버 또는 GGSN으로 NTP 서버 변경을 하여 해당 NTP 서버 또는 GGSN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아 상기 GGSN과 시각 동기화를 이루는 S-NTP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특징으로 하는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
  6. NTP 서버의 장애 발생 여부를 감시하며 해당 장애 발생 여부에 따라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송신하여 NTP 서버 변경 요구를 하는 과정과;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을 송신하며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에 따라 또는 상기 NTP 서버의 장애 발생 여부를 감시하며 해당 장애 발생 여부에 따라 NTP 서버를 변경하여 해당 변경된 NTP 서버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아 시각 동기화를 이루는 과정과;
    상기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NTP 서버가 변경되었음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과정은,
    상기 NTP 서버를 감시하여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아니면 장애가 복구되었는지를 판단하며,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NTP 서버를 감시하는 단계로 회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NTP 서버의 장애가 일정시간 지속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NTP 서버의 장애가 일정시간 지속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NTP 서버를 감시하는 단계로 회귀하고, 지속되는 경우에, 상기 원래의 NTP 서버를 GGSN으로 변경하기 위한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설정하는 단계와;
    다수의 SGSN이 저장되어 있는 DB를 검색하여 SGSN의 리스트를 작성하며 상기 설정된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해당 리스트에 있는 SGSN으로 송신하고 일정시간의 타임 시그널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과정은,
    상기 NTP 서버에서 장애가 복구된 경우에,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NTP 서버를 감시하는 단계로 회귀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GGSN을 상기 원래의 NTP 서버로 변경하기 위한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NTP 서버 변경 및 시각 동기화 과정은,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수신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의 패킷 송신 시각이 최종 NTP 패킷의 송신 시각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패킷 송신 시각이 최종 NTP 패킷의 송신 시각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 수신 단계로 회귀하고, 작지 않은 경우에,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의 장애 발생/복구 시각이 최종 NTP 패킷의 송신 시각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장애 발생/복구 시각이 최종 NTP 패킷의 송신 시각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 수신 단계로 회귀하고, 작지 않은 경우에,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의 IP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노드로 NTP 서버를 변경하고 해당 변경된 NTP 서버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아 상기 GGSN과 시각 동기화를 이루는 단계와;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에 대한 응답인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을 설정하여 상기 GGSN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NTP 서버 변경 및 시각 동기화 과정은,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NTP 서버를 감시하여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아니면 장애가 복구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NTP 서버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NTP 서버를 감시하는 단계로 회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NTP 서버의 장애가 일정시간 지속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NTP 서버의 장애가 일정시간 지속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NTP 서버를 감시하는 단계로 회귀하고, 지속되는 경우에, 상기 GGSN으로 NTP 서버를 변경하고 해당 GGSN으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아 상기 GGSN과 시각 동기화를 이루는 단계와;
    상기 GGSN으로부터 시각을 분배받음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NTP 서버 변경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NTP 서버 변경 확인 과정은,
    상기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SGSN 리스트에 상기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을 송신한 SGSN의 응답 여부를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타임 시그널의 일정시간이 타임 아웃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타임 아웃이 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 수신 단계로 회귀하고, 상기 타임 아웃이 된 경우에,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수신한 다수의 SGSN으로부터 상기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을 모두 수신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을 모두 수신한 경우에, NTP 서버 변경 프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NTP 서버 변경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NTP 서버 변경 플래그를 해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해당 NTP 서버 변경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NTP 서버 변경 확인 과정은,
    상기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을 모두 수신하지는 못한 경우에,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을 상기 리스트 있는 미응답 SGSN으로 재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방법.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은,
    상기 GGSN이 패킷을 송신한 시각을 나타내는 패킷 송신 시각 필드와;
    상기 NTP 서버의 장애 발생/복구 시각을 나타내는 장애 발생/복구 시각 필드와;
    상기 NTP 서버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GGSN의 IP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장애가 복구된 경우에는 상기 NTP 서버의 IP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GGSN이 송신한 패킷이 NTP 서버 변경 요구임을 나타내는 메시지 타입 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방법.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NTP 서버 변경 응답 패킷은,
    상기 NTP 서버 변경 요구 패킷의 IP 어드레스와 대응하여 상기 NTP 서버 또는 GGSN의 IP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SGSN이 송신한 패킷이 NTP 서버 변경 응답임을 나타내는 메시지 타입 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방법.
KR10-2002-0048382A 2002-08-16 2002-08-16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431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382A KR100431700B1 (ko) 2002-08-16 2002-08-16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CN03154328.6A CN1248517C (zh) 2002-08-16 2003-08-15 同步服务gprs支持节点和网关gprs支持节点的系统和方法
US10/641,298 US7339886B2 (en) 2002-08-16 2003-08-15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SGSNs and a GGS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382A KR100431700B1 (ko) 2002-08-16 2002-08-16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137A true KR20040016137A (ko) 2004-02-21
KR100431700B1 KR100431700B1 (ko) 2004-05-17

Family

ID=32866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382A KR100431700B1 (ko) 2002-08-16 2002-08-16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339886B2 (ko)
KR (1) KR100431700B1 (ko)
CN (1) CN1248517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135B1 (ko) * 2004-03-06 2011-06-20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소프트스위치의 프로세서간 시각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2368A (ja) * 2004-02-06 2005-08-18 Hitachi Ltd ストレージシステム
US8930579B2 (en) * 2004-09-13 2015-01-06 Keysigh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operations of a plurality of devices via messages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CN100397945C (zh) * 2004-11-19 2008-06-25 华为技术有限公司 空闲模式下防止消息重放攻击的方法
MX2008014768A (es) * 2006-05-19 2009-04-16 Symmetricom Inc Servicio de marca de hora de precision con protocolo de hora de red.
WO2016205455A1 (en) * 2015-06-17 2016-12-22 Thomson Licensing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ime and date in a device without access to network time protocol
CN106453560B (zh) * 2016-10-14 2019-12-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时间获取方法及装置
CN107181555B (zh) * 2017-07-17 2019-03-19 潍坊安盾软件科技有限公司 利用扩展的ntp协议代替ddns实现互联网与局域网内设备交互的方法
US10868828B2 (en) * 2018-03-19 2020-12-15 Fortinet, Inc. Mitigation of NTP amplification and reflection based DDoS attacks
CN110336636B (zh) * 2019-07-26 2021-05-07 新华三技术有限公司成都分公司 时间同步方法、装置及基板管理控制器
CN111811835A (zh) * 2020-07-14 2020-10-23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智能网联汽车公开道路试验场景故障数据自动化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475A (ja) * 1994-02-17 1995-08-29 Fujitsu Ltd プロセッサ間の立ち上がり同期方法及びその同期装置
FI113223B (fi) * 1995-10-23 2004-03-15 Nokia Corp Menetelmä, laite ja televerkko törmäysten välttämiseksi radioliikenteessä
FI106831B (fi) * 1998-01-14 2001-04-12 Nokia Networks Oy Pääsyn kontrollointimenetelmä matkaviestinjärjestelmää varten
US6195705B1 (en) * 1998-06-30 2001-02-27 Cisco Technology, Inc. Mobile IP mobility agent standby protocol
FI109321B (fi) * 1999-06-10 2002-06-28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y nopean solunvaihdon toteuttamiseksi pakettikytkentäisessä solukkoradiojärjestelmässä
US6466556B1 (en) * 1999-07-23 2002-10-15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of accomplishing handover of packet data flows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S7290063B2 (en) * 2001-01-10 2007-10-30 Nokia Corporation Relocating context information in header compression
KR100440717B1 (ko) * 2001-11-01 2004-07-15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무선통신망에서 제어 메시지와 사용자 패킷간의 동기화 방법
KR100428720B1 (ko) * 2001-12-14 2004-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에스지에스엔의 로컬 타이머 메시지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135B1 (ko) * 2004-03-06 2011-06-20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소프트스위치의 프로세서간 시각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39886B2 (en) 2008-03-04
CN1248517C (zh) 2006-03-29
US20040190530A1 (en) 2004-09-30
CN1487752A (zh) 2004-04-07
KR100431700B1 (ko) 200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7619C (zh) 用于建立双向隧道的方法和系统
KR101157100B1 (ko) 시간 동기화 디바이스와 방법 및 연관 제품
KR101042745B1 (ko) 클라이언트 단말장치와 서버 사이의 세션 재설정을 위한시스템 및 방법
CN101577725B (zh) 一种防重放机制中的信息同步方法、装置和系统
CN101207604A (zh) 一种虚拟机系统及其通信处理方法
KR100431700B1 (ko) 에스지에스엔과 지지에스엔간의 시각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US6992985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 discovery of IP-based network elements
CN110932876B (zh) 一种通信系统、方法及装置
CN100481778C (zh) 一种实现终端和伪终端设备绑定的方法、装置及系统
KR20040075222A (ko) 무선 프로토콜을 위한 프로시쥬어 수행방법
TWI469578B (zh) Access control method, access control device and access control program
JP7480434B2 (ja) スマートカード管理装置の分散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CN112751907B (zh) 信息处理方法、装置和存储介质及电子装置
US10320663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erforming interactive communication via relay servers
KR101586151B1 (ko) 컨트롤러와 네트워크 장치 간 재연결 방법
CN105340247A (zh) 用于计算机网络中网络容变服务发现的方法
JP2018174445A (ja) 仮想lanの時刻同期方法
US200802116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alarm in fault management system
CN108322941B (zh) 信息通信方法及装置
KR20030062722A (ko) 콜서버를 이용한 인터넷폰의 시간 동기화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2254517A1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KR101043135B1 (ko) 소프트스위치의 프로세서간 시각관리 방법
US84236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 sync restart
CN116867114A (zh) 远程控制的重连方法和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5121789B2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