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4594A - 발진기 - Google Patents

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4594A
KR20040014594A KR10-2003-7017131A KR20037017131A KR20040014594A KR 20040014594 A KR20040014594 A KR 20040014594A KR 20037017131 A KR20037017131 A KR 20037017131A KR 20040014594 A KR20040014594 A KR 20040014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damental frequency
oscillator
differential
ground
differential osc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7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3379B1 (ko
Inventor
자곱슨해럴드
한슨베르틸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040014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3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06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multiple transistors for amplification
    • H03B5/12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multiple transistors for amplification the amplifier comprising a pair of transistors, wherein an output terminal of each being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other, e.g. a cross coupled pai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27/00Generation of oscillations providing a plurality of outputs of the same frequency but differing in phase, other than merely two anti-phase outpu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31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the amplifier comprising one or more bipolar transistors

Abstract

제 1 차동 발진기를 제 2 차동 발진기와 로크하는 방법 및 회로와 장치가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제 1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접지를 제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와 AC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진기{OSCILLATOR}
발진기는 많은 유형의 전자 회로에 사용되어 왔다. 어떤 응용에서는, 주파수 정확성 및 안정성이 덜 중요하고, 다른 응용에서는 발진기가 상당한 저 위상 노이즈를 가진 순(pure) 주파수 스펙트럼을 가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요구가 매우 많은 한 유형의 응용은 통신 시스템에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진기는, 종종 작아야 하는, 바람직하게는 집적되어야 하는 빌딩 블록으로 간주되고, 제조 비용이 상당히 적으며, 전력 소비가 적고, 또한 가장 정밀한 신호 품질 조건을 충족한다. 많은 통신 시스템에서는, 전력 및 공간 소모 회로를 더 필요로 하는 발진기 신호의 4개의 직교 위상(직각 위상)이 요구된다. 이런 특징을 획득한다는 것은, 특히, 발진기 빌딩 블록이 어떤 외부 부품없이 이용 가능한 한계 반도체 영역 및 이용 가능한 한계 전력을 가진 집적 회로 상에서 실현될 경우에 어려운 작업이다.
이와 같은 모순에 빠지는 몇번의 시도가 있었지만, 발진기 품질은 매우 양호하였다. 발진기의 위상 노이즈를 개선하는 한가지 방법은 2개의 발진기를 서로 로크하는 것이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발진기의 공진기가 서로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이들을 서로 로크하는데 요구되는 부가적인 회로를 위한 룸(room)을 형성하기 위해 반도체 영역을 2배 이상 요구하게 된다. 이 부가적인 회로는, 부가적인 발진기는 별문제로 하고, 빌딩 블록의 전체 전력 소비를 증가시킨다. 증가된 전력 및 증가된 점유 영역은, 특히 셀룰러 전화기와 같은 휴대용, 보통 배터리 전력 통신 장비의 바람직하지 않은 발진기의 빌딩 블록의 특징이다. 발진기의 빌딩 블록에 관한 개선을 위한 룸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발진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2개 이상의 발진기, 특히 차동(differential) 발진기를 서로 로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기술된다.
도 1은 차동 발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기본 실시예에 따라 서로 결합된 2개의 차동 발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A-3C는 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실시예에 따라 서로 결합된 2개의 차동 발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성형(star) 구성으로 서로 결합된 4개의 차동 발진기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직렬 구성으로 서로 결합된 4개의 차동 발진기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서로 결합된 3개의 차동 발진기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서로 결합된 4개의 차동 발진기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진기, 특히 차동 발진기의 위상 노이즈를 감축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확한 4개의 직교 위상을 가진 발진기 회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저 위상 노이즈를 지닌 4개의 직교 위상을 가진 발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 1 차동 발진기를 제 2 차동 발진기와 로크하는 방법 및, 회로 및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 방법은, 제 1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접지를 제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와 AC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2 이상의 차동 발진기를 포함하는 발진기 회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 차동 발진기는 제각기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진기 회로는, 차동 발진기 중 하나의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의 하나와, 차동 발진기 중 다른 하나의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의 하나 간의 하나 이상의 AC 커플링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은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 1 차동 발진기 및 제 2 차동 발진기를 포함하는 발진기 회로에 의해 달성된다. 제 1 차동 발진기는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을 포함한다. 제 2 차동 발진기는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을 포함한다. 제 1 차동 발진기 및 제 2 차동 발진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본 주파수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진기 회로는, 제 1 차동 발진기의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의 하나와, 제 2 차동 발진기의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의 하나 간의 제 1 AC 커플링을 포함함으로써, 제 1 차동 발진기를 제 2 차동 발진기에 로크한다.
이점으로, 발진기 회로는 제 1의 4배(quadruple) 주파수 출력을 포함하며, 이 제 1의 4배 주파수 출력은 제 1 AC 커플링에 결합된다. 적절하게도, 제 1 차동 발진기 및 제 2 차동 발진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적절하게도, 제 1 AC 커플링은,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1 기본 주파수 AC-접지점과,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1 기본 주파수 AC-접지점 사이에 있고, 제 1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은 동일한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이다.
바람직하게는, 발진기 회로는 4개의 기본 주파수 출력을 포함하고, 4개의 출력은 직각 위상이다.
어떤 실시예에서, 발진기 회로는,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2 기본 주파수 AC-접지점과,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2 기본 주파수 AC-접지점 사이의 제 2 AC 커플링을 포함하고, 제 2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은 동일한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이다. 발진기 회로는 제 2의 4배 주파수 출력을 포함하며, 제 2의 4배 주파수 출력은 제 2 AC 커플링에 결합되며, 제 1 및 제 2의 4배 주파수 출력은 상이하다.
어떤 실시예에서, 발진기 회로는 적어도 제 1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을 가진 제 3 차동 발진기를 포함한다. 적절하게도, 제 1 AC 커플링이 제 3 차동 발진기의 제 1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에 AC 결합되거나, 발진기 회로가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2 기본 주파수 AC-접지점과, 제 3 차동 발진기의 제 2 기본 주파수 AC-접지점 사이의 제 2 AC 커플링을 포함하고, 제 2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은 동일한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이고, 제 1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점으로, 제 3 차동 발진기는 제 1 및 2 차동 발진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본 주파수를 가지거나, 실질적으로 제 1 및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의 2배의 주파수인 기본 주파수를 갖는다.
어떤 실시예에서, 발진기 회로는 적어도 제 1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을 가진 제 4 차동 발진기를 포함한다. 이점으로, 제 1 AC 커플링이 제 4 차동 발진기의 제 1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에 AC 결합되거나, 발진기 회로가, 제 1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으로부터 분리되는 제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과, 제 4 차동 발진기의 대응하는 기본 주파수 AC-접지점 사이의 제 3 AC 커플링을 포함한다.
적절하게도, 제 4 차동 발진기는 실질적으로 제 1 및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의 주파수인 기본 주파수를 가지거나, 실질적으로 제 1 및 2 차동 발진기의기본 주파수의 2배의 주파수인 기본 주파수를 가지며, 또한 실질적으로 제 3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의 2배의 주파수인 기본 주파수를 갖는다.
적절하게도, 2개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 간의 하나의 AC 커플링은 AC 임피던스 소자를 통해 전압원에 결합되거나, AC 임피던스 소자를 통해 접지에 결합된다.
이점으로, 2개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 간의 하나의 AC 커플링은, 직접 커플링, 저항 커플링 또는 용량 커플링의 어느 하나이다.
상술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술한 실시예의 어느 하나에 따른 발진기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술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 1 차동 발진기를 제 2 차동 발진기에 주파수 로크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방법은, 제 1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접지를 제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와 AC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동 발진기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발진기보다 많은 이점이 획득된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직각 위상의 고 품질 신호 출력을 가진 개선된 차동 발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라,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을 함께 주파수 로크에 AC 커플링함으로써 획득된다. 본 발명에 따라 2 이상의 차동 발진기를 서로 로크함으로써, 각 발진기의 위상 노이즈가 3n dB 이하만큼 감소되며, 여기서, 2n은 결합된 발진기의 수이다. 더욱이, 한 쌍의 차동 발진기는 2개의 발진기의 출력이 직각 위상 상태로 되는 식으로 로크한다. 또한, 2개의 접속된 차동 발진기 간의 커플링 포인트에서의 보다 많은 잔여 주파수 성분은 기본 주파수의 4배이며, 이에 의해 주파수가 증배된다.
더 많은 공간을 점유하거나 커플링을 위한 어떤 여유 전력을 소비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라 2개의 차동 발진기를 서로 커플링함으로써, 직각 위상 출력이 획득되고, 위상 노이즈가 3 dB만큼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본 발명에 다른 방법 및 장치를 명료히 하기 위하여, 이의 사용을 위한 몇몇 예가 도 1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도 1은 차동 LC 발진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차동 LC 발진기는 캐패시터 부분(C3, C4) 및 인덕터 부분(L1, L2)을 가진 공진 회로를 포함한다. 이 예의 LC 발진기는 병렬 공진형이다. 차동 LC 발진기는 트랜지스터(T1, T2), 저항기(R1, R2, R3) 및 캐패시터(C1, C2)를 가진 구동 부분을 더 포함한다.
공진 주파수, 즉 LC 발진기를 가진 주파수는, 대략 f0=1/(2π(LC)1/2)로 주어지는 기본 주파수를 발진시키며, 여기서, L은 공진기의 인덕턴스이고, C는 공진기의 캐패시턴스이다. 이 예에서와 같이, 병렬 공진 시에, 공진 회로의 임피던스는 높고, 다른 한편, 그것이 직렬 공진 LC 발진기일 경우, 공진은 직렬 공진 회로가 저 임피던스를 가질 시에 일어난다.
공진기의 캐패시터 부분(C3, C4)는 2개의 캐패시터(C3 및 C4)로 분할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공진기의 인덕터(L1, L2)는 또한 2개의 인덕터(L1 및 L2)로 분할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것은 또한 단일 중심 탭된(tapped) 인덕터로 간주될 수 있다. 이것이 주어지면, 이 차동 병렬 공진 LC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는, 차동 발진기의 대칭으로 인해, L1=L2 및 C3=C4이면, f0=1/(2π(L1 C3)1/2)로 어림될 수 있다. 공진기의 캐패시터 부분(C3, C4)은 2개의 캐패시터로 분할되어, 기본 주파수 AC-접지점(140)을 생성하도록 한다. 공진기의 인덕터(L1, L2)는 2개의 인덕터(L1, L2)로 분할되어, 이 예의 경우에, 또한 기본 주파수 AC-접지점 역할을 하는 필요한 DC 바이어스 포인트(150)를 생성하도록 한다. 차동 LC 발진기는, 하나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130)과 2개의 조합된 기본 주파수 AC-접지점 및 DC 바이어스 포인트(110, 120)를 더 포함한다.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은,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가 차동 발진기의 대칭으로 인해 효과적으로 삭제되는 포인트이다. 기본 주파수 AC-접지는, 단지 홀수 조파(odd harmonics), 즉 짝수배의 기본 주파수만을 더 포함하며, 제 1 조파가 보통 주(dominant) 조파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차동 발진기의 하나의 기본 주파수 AC 포인트를 다른 차동 발진기의 하나의 기본 주파수 AC 포인트에 AC 커플링하여, 2개의 차동 발진기가 AC 결합된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에서의 주 조파를 삭제할려고 하는 기본적인 발명의 사상에 기초로 한다. 차동 발진기가 주 조파를 삭제할려고 하는 이유는, AC 결합된 포인트가 AC 접지점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차동 발진기는, 동일한 주파수에서, (주 조파를 삭제할 수 있도록) 위상을 900상이하게, 즉 직각 위상 상태에 있을 것이다. 각 차동 발진기는, 00및 1800를 제공하며, 이들은 900떨어져, 2개의 결합된 차동 발진기로부터 00, 900, 1800및 2700를 제공하며, 이 위상은 상이한 유형의 장비, 특히 통신 장비에서 매우 유용하다. 커플링 포인트에 있는 주(dominant) 주파수는, 2배 주파수가 주 주파수일 수 있는 경우에 약한 AC 커플링이 없다면,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의 4배일 수 있다. 이 주파수는 탭(tap)되어 사용됨으로써,간단한 방식으로 주파수를 증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로크되는 주파수일 수 있는 동일한 주파수의 2 이상의 차동 발진기 간의 주파수 차는 바람직하게는 단지 10% 이하의 정도로만 상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병렬 또는 직렬 공진 LC 발진기의 사용으로 제한되지 않고, 고정 주파수 또는 동조 가능한 발진기로도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발진기에서 제한하는 유일한 것은, 발진기가 제각기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를 가져야한다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기본 실시예에 따라 서로 결합된 2개의 차동 발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각 차동 LC 발진기는, 각각의 캐패시터 부분(C3, C4, C3', C4') 및 각각의 인덕터 부분(L1, L2, L1', L2')을 가진 공진 회로 부분을 포함한다. 각 차동 LC 발진기는, 트랜지스터(T1, T1', T2, T2'), 저항기(R1, R1', R2, R2', R3, R3') 및 캐패시터(C1, C1', C2, C2')를 가진 구동 부분을 더 포함한다.
각 차동 발진기는, 제 1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210, 211), 제 2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220, 221), 제 3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230, 231), 제 4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240, 241) 및 제 5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250, 251)을 포함한다. 이런 기본 예로서는, 제 2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220, 221)이 AC 커플링 소자(290)를 통해 서로 결합된다. AC 커플링 소자(290)는 용량성 결합, 저항성 결합, 직접 결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약한 AC 커플링이 있다면, 제 1 조파는 완전히 삭제되지 않는다. 서로 결합되는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은, 바람직하게는 결합된 포인트가 동일한 진폭을 갖도록 동일형의 포인트이다. 그렇지 않다면, 커플링 시에 어떤 종류의 매칭(matching)이 요구될 수 있다. 제 2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220, 221)이 또한 차동 발진기의 DC 바이어스 포인트일 시에, 이들 포인트는 또한 DC 커플링 소자(271)를 통해 DC 바이어스 포인트(270)에 결합된다. DC 커플링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저항성 결합, 유도성 결합 또는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차동 발진기가 주파수 로크될 시에, 전형적으로 제 1 조파(2f0)는 AC 결합되는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에서 완전히 삭제될 것이다. 다른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은 제공된 제 1 조파를 가지고 있고, 2개의 차동 발진기 간에 차가 있을 것이다. 이 예에서, 제 3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230,231)은 2f0차동 출력일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된 차동 발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각 차동 LC 발진기는, 각각의 캐패시터 부분(C3, C4, C3', C4') 및 각각의 인덕터 부분(L1, L2, L1', L2')을 가진 공진 회로 부분을 포함한다. 각 차동 LC 발진기는, 트랜지스터(T1, T1', T2, T2'), 저항기(R1, R1', R2, R2', R3, R3') 및 캐패시터(C1, C1', C2, C2')를 가진 구동 부분을 더 포함한다. 각 차동 발진기는, 제 1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310, 311), 제 2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320, 321), 제 3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330, 331), 제 4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340, 341) 및 제 5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350, 351)을 포함한다.
도 3A는, 제 2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320, 321)이 서로 직접 결합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들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320, 321)은 또한 차동 발진기의DC 바이어스 포인트이다. 그래서, 양호하게 DC 커플링하지만, AC 블로킹(blocking)하는 소자인 인덕터(373)에 의해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320, 321)에 바람직하게 접속되는 DC 바이어싱(370)이 요구된다.
도 3B는 제 3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330, 331)이 AC 커플링 소자, 캐패시터(393)를 통해 서로 결합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들 제 3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330, 331)은 차동 발진기의 DC 바이어스 포인트가 아니다. 그래서, DC 바이어싱은 여기서 요구되지 않는다.
도 3C는, 이러한 제 3 예에서, 제 4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340, 341)이 서로 직접 결합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들 제 4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340, 341)은 어떠한 DC 바이어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 4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340, 341)은 공진기의 캐패시터를 2개의 캐패시터(C3, C3',C4, C4')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다. 2개의 캐패시터는 바람직하게도 동일한 사이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또한, 상이한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을 서로 결합할 수도 있으며, 예컨대,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1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을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2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과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경우에, 예컨대, 진폭을 매칭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가 요구되어야 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쌍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을 서로 결합할 수도 있으며, 예컨대,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1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을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1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과 결합하고,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2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을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2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에 의해 서로 결합된 2 이상의 차동 발진기가 있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성형 구성으로 서로 로크된 4개의 차동 발진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써, 예컨대, 각 차동 발진기(410, 420, 430, 440)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412, 422, 432, 442)은 서로 AC 결합(450)된다. 사용된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이 또한 DC 바이어스 타입일 경우, DC 바이어스 임피던스(460) 뿐만 아니라 DC 바이어스 포인트(462)도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성형 구성에서, 균일한 간격을 이룬 8개의 상이한 위상을 획득할 수 있다. 다소의 차동 발진기는 이와 같은 성형 구성에서 서로 주파수 로크될 수 있다. 차동 발진기는 2 이상의 다른 차동 발진기에 AC 커플링하기 위한 동일한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가 요구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직렬 구성으로 서로 주파수 로크된 4개의 차동 발진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써, 즉, 어떠한 차동 발진기(510, 520, 530, 540)는,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512, 514, 522, 524, 532, 534, 542, 544)에 의해 2 이상의 다른 차동 발진기(510, 520, 530, 540)와 서로 ACC 결합되지 않는다. 이 예에서, 제 1 차동 발진기(510)의 제 2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514)은 제 2 차동 발진기(520)의 제 2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524)과 서로 AC 결합(551)된다. 제 2 차동 발진기(520)의 제 1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522)은 제 3 차동 발진기(530)의 제 1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532)과 서로 AC 결합(552)된다. 제 3 차동 발진기(530)의 제 2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534)은 제 4 차동 발진기(540)의 제 2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544)과 서로 AC 결합(553)된다. 대응하는 DC 바이어스 포인트(516, 526, 536)를 가진 선택적인 DC 바이어스 임피던스(515, 525, 535)는 도면에 표시되어 있다. 다소의 차동 발진기는 이와 같은 직렬 구성으로 서로 주파수 로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서로 결합되는 차동 발진기의 모두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질 필요는 없다. 동일한 주파수를 가진 2 이상의 차동 발진기가 서로 결합되면, 그들은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정도의 주파수 차만이 있을 뿐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기초적인 기본 주파수의 전체 배수인 기본 주파수를 가진 차동 발진기는 서로 주파수 로크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 구성으로 로크하는 다중 주파수의 제 1 예를 도시한 것이다. 대응하는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612,632)을 가진 2개의 차동 발진기(610,630)는 기본 주파수 f0를 가진다.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612,632)을 서로 AC 커플링(650)할 시에, 제 1 조파(2f0)는 공통점(650)에서 삭제되고, 이 공통점(650)에서의 잔여 주 주파수는 기본 주파수의 4배(4f0)이다. 다른 차동 발진기(610, 630)의 주파수의 2배(2f0)에서 발진하는 차동 발진기(620)는, 다른 차동 발진기(610, 630)의 기본 주파수의 4배(4f0)인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622)에서 주 주파수를 가질 것이다. 이 두배의 주파수 차동 발진기내에 커플링함으로써,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의 주 직각 위상 주파수(4f0)는 삭제하여, 프로세스에서 위상 차동 발진기(610, 620, 630)를 조정할 것이다. 그 후, 커플링 포인트에서의 주 주파수는, 사용될 수 있는 유효 주파수 승수(multiplier)인 기본 주파수(f0)의 8배(8f0)일 것이다. 아마도, 상이한 차동 발진기(610, 620, 630)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에서 조파 신호 레벨의 어떤 차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어떤 종류의 신호 레벨 적응이 요구될 수 있다. DC 바이어스 임피던스(660) 뿐만 아니라 DC 바이어스 포인트(662)도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은, 사용되는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이 또한 DC 바이어스 타입인 경우에, 요구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 구성으로 로크하는 다중 주파수의 제 2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예는, 또한 기초적인(f0) 기본 주파수를 가진 2개의 차동 발진기(710, 730) 및, 두배의 기본 주파수(2f0)를 가진 하나의 차동 발진기(720)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4배의 기본 주파수(4f0)를 가진 제 4 차동 발진기(740)가 또한 주파수 로크된다. 차동 발진기의 모두는 대응하는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712, 722, 732, 742)을 포함하며, 이들은 단일점(750)에서 서로 AC 결합된다. 4배의 주파수(4f0) 차동 발진기(740)는, 기초적인 주파수(f0)의 8배(8f0)인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742)에서 주 주파수를 가질 것이다. 이것은, 커플링 포인트(750)에서 기초적인 주파수(f0)의 16배(16f0)의 주 주파수를 남겨두고, 다른 3개의 차동 발진기(710, 720, 730)로부터의 주 주파수를 삭제할 것이다. 이 주파수는 물론 원한다면 사용될 수 있다. DC 바이어스 임피던스(760) 뿐만 아니라 DC 바이어스 포인트(762)도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은, 사용되는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이 또한 DC 바이어스 타입인 경우에, 요구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빌딩 블록으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발진기는 바람직하게는 어느 외부 부품없이 집적 회로 상에서 실현된다.
본 발명의 기본 원리는,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을 서로 AC 커플링함으로써, 차동 발진기를 서로 주파수 로크하는 것이다. 이것은, 어느 능동 커플링 장치에 의해 전력 소비를 증가시키지 않고, 위상 노이즈를 감소시키고, 직각 위상 출력을 제공하며, 주파수를 증배시킬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아래의 청구범위의 범주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도 1 - 일례의 차동 발진기
C1 제 1 캐패시터,
C2 제 2 캐패시터,
C3,C4 제 3 및 4 캐패시터, 2개의 캐패시터는 그들 간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을 생성시키며,
L1,L2 제 1 및 2 인덕터, 기본적으로 중심 탭된 인덕터는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을 바이어스시키며,
R1 제 1 저항기,
R2 제 2 저항기,
R3 제 3 저항기,
T1 제 1 트랜지스터,
T2 제 2 트랜지스터,
110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바이어스 포인트 및 제 1 포인트,
120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바이어스 포인트 및 제 2 포인트,
130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제 3 포인트,
140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제 4 포인트,
150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바이어스 포인트 및 제 5 포인트.
도 2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차동 발진기의 기초적인 로킹
C1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1 캐패시터,
C1'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1 캐패시터,
C2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2 캐패시터,
C2'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2 캐패시터,
C3,C4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3 및 4 캐패시터, 2개의 캐패시터는 그들 간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을 생성시키며,
C3',C4'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3 및 4 캐패시터, 2개의 캐패시터는 그들 간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을 생성시키며,
L1,L2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1 및 2 인덕터, 기본적으로 중심 탭된 인덕터는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을 바이어스시키며,
L1',L2'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1 및 2 인덕터, 기본적으로 중심 탭된 인덕터는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을 바이어스시키며,
R1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1 저항기,
R1'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1 저항기,
R2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2 저항기,
R2'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2 저항기,
R3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3 저항기,
R3'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3 저항기,
T1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1 트랜지스터,
T1'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1 트랜지스터,
T2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2 트랜지스터,
T2'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2 트랜지스터,
210 제 1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바이어스 포인트 및 제 1 포인트,
211 제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바이어스 포인트 및 제 1 포인트,
220 제 1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바이어스 포인트 및 제 2 포인트,
221 제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바이어스 포인트 및 제 2 포인트,
230 제 1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제 3 포인트,
231 제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제 3 포인트,
240 제 1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제 4 포인트,
241 제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제 4 포인트,
250 제 1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바이어스 포인트 및 제 5 포인트,
251 제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바이어스 포인트 및 제 5 포인트,
270 제 1 및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제 2 포인트에 대한 바이어스 포인트,
271 고 AC 임피던스 및 저 DC 임피던스 소자,
290 제 1 차동 발진기의 기본 AC 접지의 제 2 포인트와 제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AC 접지의 제 2 포인트 간의 AC 커플링 소자.
도 3A-3C, 본 발명에 따라 로크된 차동 발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
C1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1 캐패시터,
C1'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1 캐패시터,
C2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2 캐패시터,
C2'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2 캐패시터,
C3,C4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3 및 4 캐패시터, 2개의 캐패시터는 그들 간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을 생성시키며,
C3',C4'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3 및 4 캐패시터, 2개의 캐패시터는 그들 간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을 생성시키며,
L1,L2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1 및 2 인덕터, 기본적으로 중심 탭된 인덕터는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을 바이어스시키며,
L1',L2'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1 및 2 인덕터, 기본적으로 중심 탭된 인덕터는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을 바이어스시키며,
R1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1 저항기,
R1'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1 저항기,
R2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2 저항기,
R2'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2 저항기,
R3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3 저항기,
R3'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3 저항기,
T1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1 트랜지스터,
T1'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1 트랜지스터,
T2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2 트랜지스터,
T2'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2 트랜지스터,
310 제 1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바이어스 포인트 및 제 1 포인트,
311 제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바이어스 포인트 및 제 1 포인트,
320 제 1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바이어스 포인트 및 제 2 포인트,
321 제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바이어스 포인트 및 제 2 포인트,
330 제 1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제 3 포인트,
331 제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제 3 포인트,
340 제 1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제 4 포인트,
341 제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제 4 포인트,
350 제 1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바이어스 포인트 및 제 5 포인트,
351 제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바이어스 포인트 및 제 5 포인트,
370 제 1 및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의 제 2 포인트에 대한 바이어스 포인트,
373 바이어스 인덕터,
393 AC 커플링 소자, 캐패시터.
도 4, 본 발명에 따라 성형 구성으로 서로 로크된 일례의 4개의 차동 발진기,
410 제 1 차동 발진기,
412 제 1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
420 제 2 차동 발진기,
422 제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
430 제 3 차동 발진기,
432 제 3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
440 제 4 차동 발진기,
442 제 4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
450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의 공통 커플링 포인트,
460 사용되는 어느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에 따른, 선택적인 바이어스 임피던스, 고 AC 임피던스 및 저 DC 임피던스,
462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의 선택적인 바이어스 포인트.
도 5, 본 발명에 따라 직렬 구성으로 서로 로크된 일례의 4개의 차동 발진기,
510 제 1 차동 발진기,
512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1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
514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2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
515 제 1 및 2 차동 발진기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느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에 따른, 선택적인 바이어스 임피던스, 고 AC 임피던스 및 저 DC 임피던스,
516 제 1 및 2 차동 발진기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의 선택적인 바이어스 포인트,
520 제 2 차동 발진기,
522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1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
524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2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
525 제 2 및 3 차동 발진기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느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에 따른, 선택적인 바이어스 임피던스, 고 AC 임피던스 및 저 DC 임피던스,
526 제 2 및 3 차동 발진기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의 선택적인 바이어스 포인트,
530 제 3 차동 발진기,
532 제 3 차동 발진기의 제 1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
534 제 3 차동 발진기의 제 2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
535 제 3 및 4 차동 발진기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느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에 따른, 선택적인 바이어스 임피던스, 고 AC 임피던스 및 저 DC 임피던스,
536 제 3 및 4 차동 발진기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의 선택적인 바이어스 포인트,
540 제 4 차동 발진기,
542 제 4 차동 발진기의 제 1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
544 제 4 차동 발진기의 제 2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
551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2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과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2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과의 공통 커플링 포인트,
552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1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과 제 3 차동 발진기의 제 1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과의 공통 커플링 포인트,
553 제 3 차동 발진기의 제 2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과 제 4 차동 발진기의 제 2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과의 공통 커플링 포인트.
도 6, 본 발명에 따라 성형 구성으로 로크하는 다중 주파수의 제 1 예,
610 기본 주파수로서 f0를 가진 제 1 차동 발진기,
612 제 1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
620 기본 주파수로서 2f0를 가진 제 2 차동 발진기,
622 제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
630 기본 주파수로서 f0를 가진 제 3 차동 발진기,
632 제 3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
650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의 공통 커플링 포인트,
660 사용되는 어느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에 따른, 선택적인 바이어스 임피던스, 고 AC 임피던스 및 저 DC 임피던스,
662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의 선택적인 바이어스 포인트.
도 7, 본 발명에 따라 성형 구성으로 로크하는 다중 주파수의 제 2 예,
710 기본 주파수로서 f0를 가진 제 1 차동 발진기,
712 제 1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
720 기본 주파수로서 2f0를 가진 제 2 차동 발진기,
722 제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
730 기본 주파수로서 f0를 가진 제 3 차동 발진기,
732 제 3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
740 기본 주파수로서 4f0를 가진 제 4 차동 발진기,
742 제 4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
750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의 공통 커플링 포인트,
760 사용되는 어느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에 따른, 선택적인 바이어스 임피던스, 고 AC 임피던스 및 저 DC 임피던스,
762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의 선택적인 바이어스 포인트.

Claims (26)

  1. 제 1 차동 발진기 및 제 2 차동 발진기를 포함하는 발진기 회로로서, 제 1 차동 발진기는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을 포함하고, 제 2 차동 발진기는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AC 접지점을 포함하며, 제 1 차동 발진기 및 제 2 차동 발진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본 주파수를 가지는 발진기 회로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 회로는, 제 1 차동 발진기의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의 하나와, 제 2 차동 발진기의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의 하나 간의 제 1 AC 커플링을 포함함으로써, 제 1 차동 발진기를 제 2 차동 발진기에 로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 회로는 제 1 AC 커플링에 결합되는 제 1의 4배 주파수 출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동 발진기 및 상기 제 2 차동 발진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AC 커플링은,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1 기본 주파수 AC-접지점과,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1 기본 주파수 AC-접지점 사이에 있고, 제 1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은 동일한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 회로는 직각 위상인 4개의 기본 주파수 출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 회로는,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2 기본 주파수 AC-접지점과, 제 2 차동 발진기의 제 2 기본 주파수 AC-접지점 사이의 제 2 AC 커플링을 포함하고, 제 2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은 동일한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 회로는 제 2 AC 커플링에 결합되는 제 2의 4배 주파수 출력을 포함하며, 제 1 및 제 2의 4배 주파수 출력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 회로는 적어도 제 1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을 가진 제 3 차동 발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AC 커플링은 제 3 차동 발진기의 제 1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에 AC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 회로는, 제 1 차동 발진기의 제 2 기본 주파수 AC-접지점과, 제 3 차동 발진기의 제 2 기본 주파수 AC-접지점 사이의 제 2 AC 커플링을 포함하고, 제 2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은 동일한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이고, 제 1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차동 발진기는 상기 제 1 및 2 차동 발진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본 주파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12.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차동 발진기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및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의 2배의 주파수인 기본 주파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 회로는 적어도 제 1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을 가진 제 4 차동 발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AC 커플링은 제 4 차동 발진기의 제 1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에 AC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 회로는, 제 1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으로부터 분리되는 제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과, 제 4 차동 발진기의 대응하는 기본 주파수 AC-접지점 사이의 제 3 AC 커플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차동 발진기는 실질적으로 제 1 및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의 주파수인 기본 주파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17.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차동 발진기는 실질적으로 제 1 및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의 2배의 주파수인 기본 주파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18.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차동 발진기는 실질적으로 제 3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의 2배의 주파수인 기본 주파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 간의 하나의 AC 커플링은 AC 임피던스 소자를 통해 전압원에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20.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 간의 하나의 AC 커플링은 AC 임피던스 소자를 통해 접지에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 간의 하나의 AC 커플링은 직접 커플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22.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 간의 하나의 AC 커플링은 저항성 커플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23.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 간의 하나의 AC 커플링은 용량성 커플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24. 2 이상의 차동 발진기를 포함하는 발진기 회로로서, 상기 차동 발진기는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을 제각기 포함하는 발진기 회로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 회로는, 상기 차동 발진기 중 하나의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의 하나와, 상기 차동 발진기 중 다른 하나의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점의 하나 간의 하나 이상의 AC 커플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회로.
  25. 통신 유닛으로서, 상기 통신 유닛은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진기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유닛.
  26. 제 1 차동 발진기를 제 2 차동 발진기에 주파수 로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 1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접지를 제 2 차동 발진기의 기본 주파수 AC-접지와 AC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차동 발진기를 제 2 차동 발진기에 주파수 로크 방법.
KR1020037017131A 2001-07-05 2002-06-20 발진기 KR100933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102421-5 2001-07-05
SE0102421A SE0102421D0 (sv) 2001-07-05 2001-07-05 Oscillator
PCT/SE2002/001209 WO2003005560A1 (en) 2001-07-05 2002-06-20 Oscil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594A true KR20040014594A (ko) 2004-02-14
KR100933379B1 KR100933379B1 (ko) 2009-12-22

Family

ID=20284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7131A KR100933379B1 (ko) 2001-07-05 2002-06-20 발진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903614B2 (ko)
EP (1) EP1413049B1 (ko)
JP (1) JP2004534468A (ko)
KR (1) KR100933379B1 (ko)
CN (1) CN100361385C (ko)
AT (1) ATE476785T1 (ko)
DE (1) DE60237210D1 (ko)
ES (1) ES2349140T3 (ko)
SE (1) SE0102421D0 (ko)
WO (1) WO20030055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9339A (ja) * 2003-03-20 2004-10-14 Alps Electric Co Ltd 多バンド発振器
WO2006035372A1 (en) * 2004-09-30 2006-04-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requency-tunable oscillator arrangement
JP3954059B2 (ja) * 2004-10-21 2007-08-08 シャープ株式会社 発振器、通信装置
EP1894294A1 (en) 2005-06-13 2008-03-05 Nxp B.V. Quadrature oscillator with high linearity
WO2007040429A1 (en) * 2005-10-05 2007-04-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scillating circuit with tunable filter for minimizing phase noise
DE102006017188A1 (de) * 2006-04-12 2007-10-18 Atmel Duisburg Gmbh Integrierte differenzielle Oszillatorschaltung
GB2442034A (en) * 2006-09-21 2008-03-26 Iti Scotland Ltd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US7843276B2 (en) * 2006-12-22 2010-11-3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Oscillator
JP5226783B2 (ja) * 2007-06-20 2013-07-03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発振器配置
JP2010219769A (ja) * 2009-03-16 2010-09-30 Toshiba Corp 発振回路及び、その発振回路を用いた無線機
JP5620003B2 (ja) * 2010-08-26 2014-11-05 フリースケール セミコンダクタ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プッシュ−プッシュ型発振器回路
US9490747B1 (en) * 2015-12-31 2016-11-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configurable single transformer quadratur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9457A (en) * 1993-06-28 1995-01-03 Hewlett-Packard Company Low noise active mixer
KR0153379B1 (ko) * 1995-09-26 1998-11-16 김광호 디지탈 무선통신시스템의 업/다운컨버터용 전압제어발진기
DE59802788D1 (de) * 1997-09-11 2002-02-28 Infineon Technologies Ag Oszillator
US5912596A (en) 1998-01-26 1999-06-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requency tuning an LC oscillator in a integrated clock circuit
US6008701A (en) * 1998-03-02 1999-12-28 Analog Devices,Inc. Quadrature oscillator using inherent nonlinearities of impedance cells to limit amplitude
GB2338849B (en) * 1998-06-24 2003-03-19 Motorola Inc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circuit
TW448628B (en) 1998-09-22 2001-08-01 Texas Instruments Inc Quadrature output oscillator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ideal in-phase and quadrature phase signal components
US6249190B1 (en) 1999-08-25 2001-06-19 Conexant Systems, Inc. Differential oscillator
US6687494B1 (en) * 2000-06-30 2004-0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w power radio telephone image reject mixer
US6456167B1 (en) * 2000-07-13 2002-09-2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Quadrature oscillator
KR100423502B1 (ko) * 2001-11-20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씨공진기와 차동증폭기를 이용한 전압제어발진기
US20040127172A1 (en) * 2002-12-27 2004-07-01 Agere Systems Inc. Phase-error suppressor and a method of suppressing phase-err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0102421D0 (sv) 2001-07-05
DE60237210D1 (de) 2010-09-16
ES2349140T3 (es) 2010-12-28
EP1413049B1 (en) 2010-08-04
CN100361385C (zh) 2008-01-09
EP1413049A1 (en) 2004-04-28
KR100933379B1 (ko) 2009-12-22
CN1524335A (zh) 2004-08-25
US6903614B2 (en) 2005-06-07
ATE476785T1 (de) 2010-08-15
US20040150484A1 (en) 2004-08-05
JP2004534468A (ja) 2004-11-11
WO2003005560A1 (en) 200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1444B1 (ko) 발진기
US7920030B2 (en) Multi-phase voltage-control oscillator
US8125282B2 (en) Dual-band coupled VCO
KR100691281B1 (ko) 쿼드러처 전압제어발진기
US11025198B2 (en) Radio frequency oscillator
US69276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hase noise in oscillator circuits
KR100933379B1 (ko) 발진기
KR100423502B1 (ko) 엘씨공진기와 차동증폭기를 이용한 전압제어발진기
US20060220754A1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KR20050053779A (ko) 순환형 기하구조 발진기들
US7015768B1 (en) Low noise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KR100938086B1 (ko) 발진기
JPH036107A (ja) 電圧制御発振器
CN112436837A (zh) 多模压控振荡装置和无线收发机
US6690244B2 (en) Low phase-noise integrat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US7242243B2 (en) Voltage-controlled capacitor circuit and related circuitry with diode and MOS varactors
US20040124930A1 (en) Voltage controlled varactor oscillator with sensitivity spread
JPH0631211U (ja) 電圧制御発振器
WO2009113927A1 (en) An improv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