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2144A -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복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복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2144A
KR20040012144A KR1020020045537A KR20020045537A KR20040012144A KR 20040012144 A KR20040012144 A KR 20040012144A KR 1020020045537 A KR1020020045537 A KR 1020020045537A KR 20020045537 A KR20020045537 A KR 20020045537A KR 20040012144 A KR20040012144 A KR 20040012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metal plate
guide rod
crushed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0043B1 (ko
Inventor
박동구
Original Assignee
(주)세계덴트칼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계덴트칼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세계덴트칼라시스템
Priority to KR10-2002-0045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0043B1/ko
Publication of KR20040012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12Straightening vehicle body parts o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 문짝, 보닛, 트렁크 뚜껑 등의 금속판이 찌그러진 경우 이를 원상태로 복구할 때 사용하는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복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금속판의 외면에 도장된 도장면이 벗겨지지 않은 상태로 찌그러졌을 때 찌그러진 부위의 크기 및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찌그러진 부위를 손쉽게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홀더(2)에 형성된 배출공(4)을 통해 흡착구(1)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흡착구가 금속판(10)에 부착되도록 하고 홀더에 형성된 가이드봉(7)에는 중량체의 슬라이더(11)를 이동 가능하게 끼워 상기 슬라이더가 스토퍼(9)에 부딪혀 충격을 가해 찌그러진 부위를 복원하는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복원장치에 있어서, 크기 및 형상이 다른 각각의 홀더(2)에 체결공(4)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에 어댑터(15)를 결합하고 상기 어댑터에는 손잡이(8)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봉(7)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홀더(2)에 형성된 배출공(4)에는 진공펌프(12)와 연결된 호스(13)를 직접 연결하여 진공펌프(12)의 구동에 따라 흡착구(1)내에 진공압이 발생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복원장치{Restoring Device for Crushed Parts of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 문짝, 보닛, 트렁크 뚜껑 등의 금속판이 찌그러진 경우 이를 원상태로 복구할 때 사용하는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복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금속판의 외면에 도장된 도장면이 벗겨지지 않은 상태로 찌그러졌을 때 찌그러진 부위의 크기 및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찌그러진 부위를 손쉽게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복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동차간의 경미한 접촉 사고나, 고정 물체와의 충돌로 인해 자동차의 외면을 이루는 금속판이 찌그러졌을 경우, 정비공장에서 판금작업을 실시하여 찌그러진 금속판을 초기상태로 복구하였다.
상기한 판금작업은 찌그러진 부위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던 전장품을 제거한 다음 망치 등을 이용하여 금속판의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두드려 찌그러졌던 금속판을 펼치는 작업인데, 망치 등을 이용하여 두드려 펼치므로 인해 찌그러진 금속판을 초기상태로 완벽하게 복원시키지 못하였으므로 금속판의 외면에 콤파운드를 칠하여 건조시킨 다음 별도의 사포(sand paper)를 이용하여 표면을 평탄하게 다듬는 작업을 실시하여야 되었다.
더욱이 금속판을 망치 등으로 두드리므로 인해 금속판의 외면에 도장되어 있던 도장면의 일부가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벗겨지거나, 들뜸현상이 발생되므로 찌그러진 부분의 재도장작업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찌그러진 부분의 재도장작업을 실시한 다음 도장면이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열처리작업 등을 실시하여야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복구방법은 작업공정이 번거로워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었고, 재도장되는 색상을 기존 도장면과 일치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전체 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장면이 훼손되지 않은 상태로 금속판이 찌그러졌을 경우 판금작업 및 재도장작업을 실시하지 않고도 찌그러진 금속판을 초기상태로 거의 완벽하게 복구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실시되고 있다.
도 1은 자동차의 금속판이 찌그러진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 종단면도로서, 패드와 같은 고무재질의 흡착구(1)가 홀더(2)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홀더에 관통된 구멍(3)과 흡착구(1)사이에는 흡착구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진공압이 걸리도록 하는 배출공(4)이 형성되어 있어 콤프레셔(5)의 구동에 따라 발생된 압축공기가 호스(6)를 통해 홀더(2)에 형성된 구멍(3)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2)의 후방에 가이드봉(7)과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8)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봉에는 중량체의 슬라이더(11)가 화살표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며 가이드봉(7)과 손잡이(8)의 경계면에는 흡착구(1)에 충격을 가하기 위한 스토퍼(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를 복원하기 위해 흡착구(1)를 도 2와 같이 금속판(10)의 찌그러진 부위에 대고 콤프레셔(5)를 구동시키면 상기 콤프레셔에서 발생된 압축공기가 구멍(3)을 통과함에 따라 베르누이의 정리(Bernoulli's theorem)에 의해 흡착구(1)내에 있던 공기가 배출공(4)을 통해 빠져 나와 압축공기와 함께 구멍(3)을 통해 배출되면서 흡착구내에 진공압을 형성하게 되므로 흡착구(1)가 금속판(10)의 찌그러진 부위에 흡착된다.
이와 같이 흡착구(1)가 찌그러진 부위에 흡착된 상태에서 중량체의 슬라이더(11)를 화살표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스토퍼(9)에 부딪히도록 하면 흡착구(1)에 충격이 가해지므로 찌그러진 부위에 흡착된 흡착구(1)가 슬라이더(11)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금속판(10)의 찌그러진 부위가 초기 상태로 복원되기 시작한다.
반복되는 슬라이더(11)의 이동으로 찌그러진 부위가 복원되었다고 판단되어 콤프레셔(5)의 구동을 중단시키면 구멍(3)을 통과하면서 흡착구(1)내에 진공압을 발생시키던 압축공기의 공급이 중단되므로 흡착구(1)내의 진공압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자동차의 금속판(10)으로부터 흡착구(1)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갖는다.
첫째, 흡착구의 크기가 단일화되어 있어 찌그러진 부위가 너무 작거나, 좁은 폭으로 길은 경우에는 찌그러진 부위를 복원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부득이 다른 방법에 의해 작업을 하여야만 되었다.
둘째, 콤프레셔에서 발생된 진공압력이 너무 낮아 흡착구의 흡착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슬라이더를 너무 빠르게 이동시켜 스토퍼에 큰 충격으로 부딪히면 흡착구가 금속판으로부터 떨어져 이탈되어 찌그러진 부위를 복원시키지 못하게 되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셋째, 흡착구와 가이드봉이 일직선상에 위치되어 있어 금속판의 찌그러진 부위가 수평 또는 수직면이 아닌 경사면인 경우에는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과정이 번거로워 찌그러진 금속판을 복원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크기 및 형상이 다른 다양한 형태의 흡착구를 구비하여 금속판의 찌그러진 부위의 크기 및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찌그러진 부위를 신속하게 초기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펌프에서 발생된 고압의 진공압에 의해 흡착구를 찌그러진 부위에 강한 힘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찌그러진 부위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가이드봉을 항상 수평 상태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흡착구에 당기는 힘이 작용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홀더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흡착구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흡착구가 금속판에 부착되도록 하고 홀더에 형성된 가이드봉에는 중량체의 슬라이더를 이동 가능하게 끼워 상기 슬라이더가 스토퍼에 부딪혀 충격을 가해 찌그러진 부위를 복원하는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복원장치에 있어서, 크기 및 형상이 다른 각각의 홀더에 체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에 어댑터를 결합하고 상기 어댑터에는 손잡이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봉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홀더에 형성된 배출공에는 진공펌프와 연결된 호스를 직접 연결하여 진공펌프의 구동에 따라 흡착구내에 진공압이 발생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복원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자동차의 금속판이 찌그러진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흡착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흡착구2 : 홀더
4 : 배출공7 : 가이드봉
7a : 보울트7b : 걸고리
8 : 손잡이9 : 스토퍼
11 : 슬라이더12 : 진공펌프
13 : 호스15 : 어댑터
15a : 나사공15b : 고리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흡착구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 중 종래의 장치와 구성이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흡착구(1)가 고정되는 홀더(2)에 흡착구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에는 진공펌프(12)와 연결된 호스(13)가 연결되어 있어 진공펌프(12)가 구동함에 따라 강력한 진공압이 흡착구(1)내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찌그러진 부위를 복원시키기 위해 스토퍼(9)에 큰 힘이 걸리더라도 찌그러진 부위에 흡착되어 있던 흡착구(1)가 금속판(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홀더(2)에 고정되는 흡착구(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기 및 형상이 각각 다르게 다양한 형태를 구비하는데, 크기가 다른 흡착구(1)는 직경이 약 10mm 이상으로 다양한 크기를 갖도록 여러 종류를 구비하여 찌그러진 부위의 크기에 따라 적당한 직경을 갖는 흡착구(1)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찌그러진 부위가 면적이 넓은 경우는 물론이고 면적이 좁은 경우에도 진공압을 이용한 흡착구(1)를 사용하여 찌그러진 부위를 초기 상태로 간단히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흡착구(1)의 형상을 종래와 마찬가지로 원형은 물론이고 이와는 별도로 흡착구의 형상을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찌그러진 부위의 형상에 따라 흡착구를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구(1)가 고정되는 홀더(2)의 다른 일단에 체결공(14)이 형성된 어댑터(15)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어댑터(15)에는 손잡이(8)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봉(7)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홀더(2)에 고정되는 어댑터(15)를 일 실시예로 나타낸 도 4와 같이 어댑터(15)에 나사공(15a)을 형성하고 가이드봉(7)에는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보울트(7a)를 형성하여 이들을 상호 나사 결합하여도 되지만, 이 경우에는 가이드봉(7)이 흡착구(1)가 고정되는 금속판(10)으로부터 직각방향에 위치되므로 찌그러진 부위를 복원시키는데 여러 가지 불편함이 수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도 6과 같이 어댑터에 고리(15b)를 형성하고 가이드봉(7)에는 고리(15b)에 걸리는 걸고리(7b)를 형성하여 찌그러진 부위가 수평 또는 수직면이 아닌 경사면이더라도 도 7과 같이 가이드봉(7)을 지면과 수평인 상태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복원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원하고자 하는 찌그러진 부위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알맞는 흡착구(1)를 선택하여 상기 흡착구(1)가 고정된 홀더(2)에 어댑터(15)를 나사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찌그러진 부위가 수평 또는 수직면이면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와 같이 나사공(15a)을 갖는 어댑터(15)를 홀더(2)에 나사 결합하고, 이와는 달리 찌그러진 부위가 경사면인 경우에는 슬라이더(11)를 보다 손쉽게 이동시키도록 고리(15b)가 형성된 어댑터(15)를 홀더(2)에 나사 결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인 도 4와 같은 상태에서는 나사공(15a)으로 가이드봉(7)에 형성된 보울트(7a)를 나사 결합하여 가이드봉(7)을 연결하고, 다른 실시예인 도 6과 같은 상태에서는 어댑터(15)에 형성된 고리(15b)에 가이드봉(7)과 고정된 걸고리(7b)를 끼워 이들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홀더(2)에 가이드봉(7)이 연결되고 나면 홀더(2)에 형성된 배출공(4)에 진공펌프(12)와 연결된 호스(13)를 연결한 다음 홀더(2)에 고정된 흡착구(1)를 금속판(10)의 찌그러진 부위에 대고 진공펌프(12)를 구동시키면흡착구(1)내에 진공압이 걸리게 되므로 상기 흡착구(1)가 찌그러진 부위에 강력한 힘으로 달라붙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금속판(10)의 찌그러진 크기 및 형상에 알맞는 흡착구(1)가 금속판(10)에 흡착되고 나면 종래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중량체의 슬라이더(11)를 홀더(2)측으로 서서히 이동시켰다가 도 4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9)측으로 빠른 속도로 이동시켜 충격을 가하면 금속판(10)에 흡착되어 있던 흡착구(1)가 슬라이더(11)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할려는 힘이 작용되므로 찌그러진 금속판(10)이 펼쳐지게 된다.
반복되는 슬라이더(11)의 이동으로 찌그러진 금속판(10)이 초기 상태로 복원된 상태에서 진공펌프(12)의 전원을 오프시키면 흡착구(1)에 작용되던 진공압력이 해제되므로 금속판(10)으로부터 흡착구(1)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장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흡착구의 크기 및 형상이 다양하게 구비되어 있어 찌그러진 부위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필요한 흡착구를 선택하여 복원작업을 실시하게 되므로 찌그러진 형상이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진공압을 이용한 흡착구를 사용하여 찌그러진 부위를 완벽하게 복원시키게 된다.
둘째, 진공펌프에서 발생된 진공압력이 콤프레셔에서 발생된 진공압력보다커 흡착구의 흡착력을 훨씬 향상시키게 되므로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금속판에 흡착된 흡착구를 잡아당기면서 찌그러진 부위를 복원시키는 과정에서 흡착구가 금속판으로부터 떨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셋째, 흡착구가 고정된 홀더에 고리 및 걸고리에 의해 가이드봉을 경사지게 위치시킬 수 있어 찌그러진 부위가 경사면이더라도 가이드봉을 항상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슬라이더를 편리하게 이동시키면서 찌그러진 금속판을 복원시키게 된다.

Claims (3)

  1. 홀더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흡착구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흡착구가 금속판에 부착되도록 하고 홀더에 형성된 가이드봉에는 중량체의 슬라이더를 이동 가능하게 끼워 상기 슬라이더가 스토퍼에 부딪혀 충격을 가해 찌그러진 부위를 복원하는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복원장치에 있어서, 크기 및 형상이 다른 각각의 홀더에 체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에 어댑터를 결합하고 상기 어댑터에는 손잡이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봉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홀더에 형성된 배출공에는 진공펌프와 연결된 호스를 직접 연결하여 진공펌프의 구동에 따라 흡착구내에 진공압이 발생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복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가이드봉에는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보울트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복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에 고리를 형성하고 가이드봉에는 고리에 걸리는 걸고리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복원장치.
KR10-2002-0045537A 2002-08-01 2002-08-01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복원장치 KR100450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537A KR100450043B1 (ko) 2002-08-01 2002-08-01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복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537A KR100450043B1 (ko) 2002-08-01 2002-08-01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복원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055U Division KR200294487Y1 (ko) 2002-08-01 2002-08-01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복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144A true KR20040012144A (ko) 2004-02-11
KR100450043B1 KR100450043B1 (ko) 2004-10-02

Family

ID=37320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537A KR100450043B1 (ko) 2002-08-01 2002-08-01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복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00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42549A (zh) * 2020-08-06 2020-10-30 裘倩 一种阵列式汽车零部件修复装置
CN111872162A (zh) * 2020-08-06 2020-11-03 裘倩 一种汽车制造用智能化加工系统
KR20200142741A (ko) * 2019-06-13 2020-12-23 한국기계연구원 선박 거주구역의 진동 평가용 무선계측 시스템
CN112167937A (zh) * 2020-09-12 2021-01-05 刘和平 一种高负压真空便携式吸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741A (ko) * 2019-06-13 2020-12-23 한국기계연구원 선박 거주구역의 진동 평가용 무선계측 시스템
CN111842549A (zh) * 2020-08-06 2020-10-30 裘倩 一种阵列式汽车零部件修复装置
CN111872162A (zh) * 2020-08-06 2020-11-03 裘倩 一种汽车制造用智能化加工系统
CN112167937A (zh) * 2020-09-12 2021-01-05 刘和平 一种高负压真空便携式吸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0043B1 (ko) 2004-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37869B2 (ja) 凹み除去工具および方法
US8418522B1 (en) Hand/pneumatics dual operation vacuum pulling device
KR100450043B1 (ko)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복원장치
US3728891A (en) Vacuum cup
US6014885A (en) Dent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US2901029A (en) Rim clamping, tire-bead-breaking tool
US4589462A (en) Tire bead breaker tool
KR200294487Y1 (ko) 자동차의 찌그러진 부위 복원장치
US3280455A (en) Axle puller with sliding hammer
ATE246559T1 (de) Vorrichtung zur korrektur von automobilkarosserieblechen
CN108480158A (zh) 一种喷漆装置
US7520154B1 (en) Fender and quarter; puller-popper (for auto body repair)
CN218395783U (zh) 一种新型锻造机锻造台用夹具
CN110814092A (zh) 一种用于汽车维修的钣金修复装置
CN108514978B (zh) 预除尘自动喷漆设备
CN110813601B (zh) 一种回转式喷涂夹持器
US20040159141A1 (en) Dent repair system and method
AU2010292983B2 (en) A moil guide
JP3117523U (ja) 救助用カッター
CN218137788U (zh) 一种机械轴承套拆卸工具
RU199086U1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демонтажа шин
CN219747781U (zh) 敲击扳手安全辅助工具
KR200340149Y1 (ko) 저압 스프레이건용 도장장치의 체크밸브
JPS5993271A (ja) ボルト・ナツトの締付完了記号自動マ−キング装置
CN216634002U (zh) 一种抛丸除锈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