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1218A - 건조기의 도어 - Google Patents
건조기의 도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11218A KR20040011218A KR1020020044705A KR20020044705A KR20040011218A KR 20040011218 A KR20040011218 A KR 20040011218A KR 1020020044705 A KR1020020044705 A KR 1020020044705A KR 20020044705 A KR20020044705 A KR 20020044705A KR 20040011218 A KR20040011218 A KR 200400112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nge
- door
- dryer
- laundry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의 체결이 용이하고 체결작업이 간편한 건조기의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히터에서 가열한 건조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건조기에 있어서, 세탁물 출입홀이 형성된 캐비닛 커버에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힌지와; 상기 힌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투명유리가 돌출되게 장착되어 상기 세탁물 출입홀을 여닫는 도어 프레임과; 상기 힌지의 고정시 상기 힌지와 캐비닛 커버의 조립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힌지의 고정이 간편하게 신속하게 행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탁물을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힌지를 고정시킬 때 힌지의 고정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건조기의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건조장치는 히터에 의한 열기를 세탁물이 수용된 수용공간 내에 송풍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기기로서, 건조기능만을 갖는 건조기와, 세탁기능을 포함하는 건조세탁기로 구분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조기의 일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건조기(1)는 케이스(2)의 전면에 세탁물 출입홀(2a)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의 세탁물 출입홀(2a) 후방에 전후방향으로 개구되어 세탁물이 수용되고 내주면에 세탁물을 들어올렸다가 낙하시키는 리프트(3)가 장착된 드럼(4)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드럼(4)의 외부에는 세탁물의 건조에 필요한 건조 열풍을 생성하는 히터(미도시)와, 상기 드럼(4)을 회동시키는 모터(미도시)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는 캐비닛(32)과, 상기 캐비닛(32)의 전면에 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세탁물 출입홀(2a)이 형성된 캐비닛 커버(33)와, 상기 캐비닛(32)의 상면에 결합된 탑 커버(35)와, 상기 탑 커버(35)의 위에 결합되고 내부에 건조기의 작동을 위한 컨트롤 패널(36)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커버(33)의 전면에는 상기 세탁물 출입홀(2a)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10)가 상기 세탁물 출입홀(2a)의 주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10)는 상기 세탁물 출입홀(2a)의 주변 일측에 고정된 힌지(12)에 연결되어 힌지(12)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도어 프레임(6)과, 상기 도어 프레임(6)의 중앙에 돌출되게 장착된 투명유리(8)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6)의 힌지 연결부위 맞은편에는 도어(10)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후크(2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 커버(33)에는 상기 힌지(12)가 고정된 부위의 맞은편에 상기 후크(20)가 걸림 또는 분리되는 랫치(24)가 장착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가 캐비닛 커버에서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탁물 출입홀(2a)의 주변에는 상기 힌지(12)를 스크류(13)로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2b)이 상하 방향으로 2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12)는 상기 체결공(2b)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14a)이 2개 형성되어 상부 및 하부가 세탁물 출입홀(2a) 주변에 스크류(13)로 고정되는 판부(14)와, 상기 판부(14)의 전면에 상하 방향으로 2개 돌출되고 선단에 힌지봉(16)이 형성된 도어 걸이부(18)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도어(10)에는 상기 도어 걸이부(18)의 선단 및 힌지봉(16)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힌지 삽입부(11)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물 출입홀(2a)을 통해 세탁물을 투입한 후, 상기 후크(20)가 랫치(24)에 걸림되도록 상기 도어(10)를 회동시키면, 상기 도어(10)는 상기 세탁물 출입홀(2a) 후방으로 투명유리(8)가 돌출되어 드럼(4) 내부의 세탁물이 이탈되는 것을 막고, 세탁물의 건조 과정을 건조기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게 한다.
그런 다음 상기 건조기(1)를 작동시키면, 상기 모터는 상기 드럼(4)을 회전시키고, 상기 드럼(4) 내의 세탁물은 상기 리프트(3)에 의해 들어올려졌다가 낙하한다.
이때, 상기 히터에는 전원이 공급되고, 히터는 주변의 공기를 건조 가열시킨다. 상기 히터를 통과한 건조 열풍은 상기 드럼(4) 내부로 공급되어 낙하되는 세탁물에 직접 접촉되면서 세탁물의 건조 작용을 한다.
이후, 상기한 건조기(1)의 작동이 종료된 후 상기 도어(10)를 전방에서 잡아당기면, 상기 도어(10)는 상기 후크(20)가 랫치(24)에서 분리되고 상기 힌지(12)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상기 도어(1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세탁물 출입홀(2a)과 드럼(4)의 내부는 개방되고, 사용자는 상기 드럼(4) 내부의 세탁물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의 도어(10)는 상기 힌지(12)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캐비닛 커버(33)의 체결공(2b)과 힌지(12)의 체결공(14a)을 일치시키면서 스크류(13)를 체결하여야 하므로, 그 체결작업이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힌지의 체결이 용이하고 체결작업이 간편한 건조기의 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힌지와 도어 프레임의 조립이 간편하고, 도어 프레임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건조기의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조기의 일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가 캐비닛 커버에서 분리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가 캐비닛 커버에서 분리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를 닫았을 경우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를 개방시켰을 경우 일부 절결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프레임에 힌지가 연결된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a: 세탁물 출입홀52c,52d: 체결공
54: 캐비닛 커버60: 도어
62: 힌지63a.63b: 체결부재
64a,64b: 체결공65; 판부
68,69: 도어 걸이부68a,69a; 힌지봉
70: 도어 프레임 71: 투명 유리
72; 이너 프레임 73: 제 1 힌지 서포터
76; 아우터 프레임77: 제 2 힌지 서포터
79: 반구홈81,82: 가이들 돌기
83,84: 가이드 홀92: 제 1 힌지홈
96: 제 2 힌지홈98: 삽입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히터에서 가열한 건조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건조기에 있어서, 세탁물 출입홀이 형성된 캐비닛 커버에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힌지와; 상기 힌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세탁물 출입홀을 여닫는 도어 프레임과; 상기 힌지의 고정시 상기 힌지와 캐비닛 커버의 조립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전면에 세탁물 출입홀(52a)이 형성된 케이스(52)의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54)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드럼(54)의 내주면에는 수용된 세탁물을 들어올렸다가 낙하시키는 리프트(54a)가 배치되며, 상기 드럼(54)의 외부에는 세탁물의 건조에 필요한 건조 열풍을 생성하는 히터(미도시)와, 상기 드럼(54)을 회동시키는 모터(미도시)가 장착된다.
상기 케이스(52)는 캐비닛(53)과, 상기 캐비닛(53)의 전면에 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세탁물 출입홀(52a)이 형성된 캐비닛 커버(54)와, 상기 캐비닛(53)의 상면에 배치되어 건조기의 상면을 이루는 탑 커버(58)와, 상기 탑 커버(58)의 위에 배치되고 운전표시부(59a)와 운전조작부(59b)가 배치된 컨트롤 패널(5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 커버(54)는 상기 세탁물 출입홀(52a) 주변 일측에 상기 세탁물 출입홀(52a)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60)가 연결되고, 상기 세탁물 출입홀(52a) 주변은 상기 도어(60)를 닫았을 경우 상기 도어(60)의 전면과 캐비닛 커버(54)의 전면이 단차지지 않도록 후방을 향해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 커버(54)는 상기 도어(60)가 연결된 부위의 맞은편에 상기 도어(60)에 형성된 후크(61)가 걸림 또는 분리되는 랫치(52b)가 장착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가 캐비닛 커버에서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어(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탁물 출입홀(52a)의 주변 일측에 체결부재(63a,63b)로 고정되는 힌지(62)와, 상기 힌지(62)에 회동 가능하게연결되고 투명유리(71)가 돌출되게 장착되어 상기 세탁물 출입홀(52a)을 여닫는 도어 프레임(70)과, 상기 힌지(62)의 고정시 상기 힌지(62)와 캐비닛 커버(54)의 조립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수단(81,82,83.8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 커버(54)에는 상기 힌지(62)를 상기 체결부재(63a,63b)로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52c,52d)이 상하로 2개 형성된다.
상기 힌지(62)는 상기 캐비닛 커버(54)의 체결공(52c,52d)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64a,64b)이 2개 형성되어 상부 및 하부가 상기 채결부재(63a,63b)로 고정되는 판부(65)와, 상기 판부(65)의 전면 상부 및 하부 각각에 단면 형상이 ‘ㄴ’모양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단부에 힌지봉(68a,69a)이 상하 돌출되게 형성된 상,하 도어 걸이부(68,69)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결정수단(81,82,83,84)은 상기 판부(65)의 배면에 돌출된 2개의 가이드 돌기(81,82)와, 상기 세탁물 출입홀(52a)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81,82)가 삽입되는 2개의 가이드 홀(83,84))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81,82)를 가이드 홀(83,84))에 삽입시켰을 때 상기 체결공(52c,52d,64a,64b)의 중심이 자동으로 일치되므로, 상기 체결부재(63a,63b)를 이용한 힌지(62)의 고정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 프레임(70)은 상기 세탁물 출입홀(52a)을 닫을 경우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72)과, 상기 이너 프레임(72)과의 사이에 상기 투명유리(71)의 가장자리가 게재되고 상기 세탁물 출입홀(52a)을 닫을 경우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너 프레임(72)의 전면에 결합되는 아우터 프레임(76)으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를 닫았을 경우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를 개방시켰을 경우 일부 절결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프레임에 힌지가 연결된 확대 사시도이다.
상기 이너 프레임(72)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봉(68a,69a)의 일부를 회전 가능하게 둘러싸는 제 1 힌지 서포터(73)가 상기 아우터 프레임(76)을 향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76)에는 상기 힌지봉(68a,69a)의 나머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둘러싸는 제 2 힌지 서포터(77)가 상기 제 1 힌지 서포터(73)와 대향되게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힌지 서포터(73) 및 제 2 힌지 서포트(77)의 각각은 상기 도어 걸이부(68,69)의 단부를 중심으로 상하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70)이 흔들림 없이 회전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힌지 서포터(73) 및 제 2 힌지 서포트(77)는 상기 이너 프레임(72) 및 아우터 프레임(76)의 대향면에서 리브 모양으로 복수개 돌출 형성되고, 단부 중앙에 상기 힌지봉(68a,69a)이 올림되는 반원홈(79)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힌지봉(68a,69a)의 외측을 둘러싼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어 프레임(70)은 상기 도어 걸이부(68,69)에 90°이상의 회전범위를 갖고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이너 프레임(72)은 가장자리 일측 측면과 배면에 제 1 힌지홈(92)이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76)은 상기 제 1 힌지홈(92)과 대향되는 부위의 측면에 제 2 힌지홈(96)이 형성된다.
또, 상기 이너 프레임(72)에는 상기 제 1 힌지 서포터(73)의 옆에 상기 제 2 힌지 서포터(77) 옆을 향해 움푹 패이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60)를 닫았을 경우 상기 도어 걸이부(68,69)의 선단이 삽입되는 삽입부(98)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물 출입홀(52a)을 통해 세탁물을 투입한 후, 상기 후크(61)가 랫치(51b)에 걸림되는 방향으로 상기 도어 프레임(70)을 회동시키면, 상기 이너 프레임(72)과 아우터 프레임(76)은 상기 제 1, 2 힌지 서포터(73,77)가 상기 도어 걸이부(68,69)의 힌지봉(68a,69a)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투명유리(71)가 세탁물 출입홀(52a)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회전된다.
이때, 상기 이너 프레임(72)과 아우터 프레임(76)은 상기 제 1 힌지 서포터(73)와 제 2 힌지 서포터(77)가 상기 힌지봉(68a,69a)의 외측에서 원활하게 회전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 커버(54)의 전방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힌지(62)의 힌지 걸이부(68) 선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 프레임(72)의 제 1 힌지홈(92)과 삽입부(98) 내측까지 깊숙하게 삽입되어 이너 프레임(72)의 배면과 간섭되지 않게 되고, 상기 이너 프레임(72)은 상기 캐비닛 커버(54)의 전면에 보다 가깝게 밀착된다.
이후에, 상기 건조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모터는 드럼(54)을 회전시키고, 상기 드럼(54) 내의 세탁물은 상기 리프트(54a)에 의해 들어올려졌다가 낙하되며, 상기 드럼(54)의 내부에는 상기 히터에서 가열된 건조 열풍이 공급되어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상기와 같은 건조기의 작동이 종료된 후, 상기 도어 프레임(70)을 전방에서 잡아당기면, 상기 후크(61)는 랫치(51b)에서 분리되고, 상기 이너 프레임(72)과 아우터 프레임(76)은 상기 제 1, 2 힌지 서포터(73,77)가 상기 힌지봉(68a,69a)에 지지된 상태에서 힌지봉(68a,69a)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 커버(54)와 직교 또는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세탁물 출입홀(52a)과 드럼(54)의 내부는 개방되어 사용자는 상기 드럼(4) 내부의 세탁물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한 도어 프레임(70)을 상기 캐비닛 커버(54)의 전면과 90°이상 경사지게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아우터 프레임(76)의 측면은 상기 제 2 힌지홈(96) 때문에 도어 걸이부(68,69)에 걸림되지 않고, 상기 도어 프레임(70)은 90°이상 회전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힌지홈(96)은 그 전후방향 폭이 크면 클수록 상기 도어 프레임(70)의 회전 가능 범위가 커지는 것으로, 최대 180°의 범위까지 회전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60)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이너 프레임(72)의 제 1 힌지 서포터(73)에 형성된 반원홈(79) 위에 상기 힌지봉(68a,69a)의 각각을 올리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76)의 제 2 힌지 서포터(77)에 형성된 반원홈(79)이 상기 힌지봉(68a,69a) 위에 올림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이너 프레임(72)과 아우터 프레임(76)의 중앙부에 상기 투명유리(71)가 게재되도록 한 후,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미도시)로 이너 프레임(72)과아우터 프레임(76)을 고정시키면, 상기 힌지(62)와 투명유리(71)가 이너 프레임(72)과 아우터 프레임(76)의 사이에 간단하게 연결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힌지(62)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81,82)를 상기 캐비닛 커버(54)에 형성된 가이드 홀(83,84)에 삽입하면, 상기 힌지(62)의 판부(65)에 형성된 체결공(64a,64b)과, 상기 캐비닛 커버(54)에 형성된 체결공(52c,52d)은 그 중심이 일치되게 되고, 상기 체결부재(63a,63b)의 각각을 상기 체결공(52c,52d,64a,64b)에 체결하면, 상기 힌지(62)는 상기 캐비닛 커버(54)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도어는 힌지를 캐비닛 커버에 체결부재로 고정할 때 힌지와 캐비닛 커버에 형성된 위치 결정수단이 상기 힌지의 조립 위치를 결정하여 힌지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도어 프레임이 힌지봉의 일부를 회전 가능하게 둘러싸는 제 1 힌지 서포터가 형성된 이너 프레임과, 힌지봉의 나머지 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둘러싸는 제 2 힌지 서포터가 상기 제 1 힌지 서포터와 대향되게 형성된 아우터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힌지와 도어 프레임의 조립이 간편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이 상기 힌지봉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 힌지가 상기 캐비닛 커버의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채결부재로 고정되는 판부와, 상기 판부의 전면에 단면 형상이 ‘ㄴ’모양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단부에 힌지봉이 상하 돌출되게 형성된 도어 걸이부로 구성되고, 상기 이너 프레임이 가장자리 일측 측면과 배면에 제 1 힌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프레임이 상기 제 1 힌지홈과 대향되는 부위의 측면에 제 2 힌지홈이 형성되어 도어 프레임이 90°이상이 회전범위를 갖고 회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 제 1 힌지 서포터 및 제 2 힌지 서포트는 상기 힌지의 선단을 중심으로 상하 대칭되게 형성되어, 도어 프레임이 흔들림 없이 회전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 이너 프레임에는 제 1 힌지 서포터의 옆에 제 2 힌지 서포터의 옆을 향해 움푹 패이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를 닫았을 경우 상기 힌지의 선단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도어 프레임과 힌지가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위치결정수단이 상기 힌지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와, 상기 세탁물 출입홀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로 구성되어 그 성형이 용이하고 성형 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
Claims (8)
-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히터에서 가열한 건조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건조기에 있어서,세탁물 출입홀이 형성된 캐비닛 커버에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힌지와;상기 힌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투명유리가 돌출되게 장착되어 상기 세탁물 출입홀을 여닫는 도어 프레임과;상기 힌지의 고정시 상기 힌지와 캐비닛 커버의 조립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도어.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힌지는 상기 캐비닛 커버의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채결부재로 고정되는 판부와, 상기 판부의 전면에 단면 형상이 ‘ㄴ’모양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단부에 힌지봉이 상하 돌출되게 형성된 도어 걸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도어.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힌지의 선단에 형성된 힌지봉의 일부를 회전 가능하게 둘러싸는 제 1 힌지 서포터가 형성된 이너 프레임과,상기 이너 프레임의 전면에 배치되고 힌지봉의 나머지 부분을 회전 가능하게둘러싸는 제 2 힌지 서포터가 상기 제 1 힌지 서포터와 대향되게 형성된 아우터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도어.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힌지 서포터 및 제 2 힌지 서포트는 상기 힌지의 선단을 중심으로 상하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도어.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힌지 서포터 및 제 2 힌지 서포트는 상기 이너 프레임 및 아우터 프레임의 대향면에서 리브 모양으로 복수개 돌출 형성되고, 단부 중앙에 상기 힌지봉이 올림되는 반원홈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도어.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이너 프레임은 가장자리 일측 측면과 배면에 제 1 힌지홈이 형성되고,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상기 제 1 힌지홈과 대향되는 부위의 측면에 제 2 힌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도어.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이너 프레임에는 상기 제 1 힌지 서포터의 옆에 상기 제 2 힌지 서포터의 옆을 향해 움푹 패이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를 닫았을 경우 상기 힌지의 선단이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도어.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힌지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와, 상기 세탁물 출입홀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도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4705A KR100452371B1 (ko) | 2002-07-29 | 2002-07-29 | 건조기의 도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4705A KR100452371B1 (ko) | 2002-07-29 | 2002-07-29 | 건조기의 도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11218A true KR20040011218A (ko) | 2004-02-05 |
KR100452371B1 KR100452371B1 (ko) | 2004-10-12 |
Family
ID=37319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44705A KR100452371B1 (ko) | 2002-07-29 | 2002-07-29 | 건조기의 도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52371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559156B2 (en) * | 2005-05-30 | 2009-07-14 | Mabe Canada Inc. | Clothes dryer door assembly |
US7614162B2 (en) * | 2005-05-30 | 2009-11-10 | Mabe Canada Inc. | Clothes dryer reversible door assembly |
KR101034197B1 (ko) * | 2004-09-20 | 2011-05-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건조기 |
US8381553B2 (en) * | 2005-04-15 | 2013-02-26 | Lg Electronics Inc. | Washing machine |
KR20160087583A (ko) * | 2015-01-14 | 2016-07-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7497U (ko) * | 1993-08-18 | 1995-03-21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장치 | |
KR980003345U (ko) * | 1996-06-28 | 1998-03-30 | 자동차 도어힌지 체결 구조 | |
KR200165711Y1 (ko) * | 1997-08-09 | 2000-01-15 | 구자홍 | 냉장고의 힌지고정구조 |
KR200190492Y1 (ko) * | 1998-03-26 | 2000-08-01 | 윤종용 | 드럼 세탁기의 도어 구조 |
DE10062458B4 (de) * | 2000-12-14 | 2004-06-17 | Whirlpool Corp., Benton Harbor | Schließvorrichtung für eine Waschmaschine oder einen Waschtrockner |
KR200277322Y1 (ko) * | 2002-03-19 | 2002-06-03 | 대우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도어 하부 힌지 |
-
2002
- 2002-07-29 KR KR10-2002-0044705A patent/KR10045237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4197B1 (ko) * | 2004-09-20 | 2011-05-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건조기 |
US8381553B2 (en) * | 2005-04-15 | 2013-02-26 | Lg Electronics Inc. | Washing machine |
US7559156B2 (en) * | 2005-05-30 | 2009-07-14 | Mabe Canada Inc. | Clothes dryer door assembly |
US7614162B2 (en) * | 2005-05-30 | 2009-11-10 | Mabe Canada Inc. | Clothes dryer reversible door assembly |
KR20160087583A (ko) * | 2015-01-14 | 2016-07-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52371B1 (ko) | 2004-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66816B2 (en) | Clothes dryer and door thereof | |
US20140319983A1 (en) | Door assembly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 |
US6954992B2 (en) | Dryer | |
US20040104582A1 (en) | Apparatus for opening/closing door of dryer | |
US7322127B2 (en) | Dryer | |
KR100452372B1 (ko) | 건조기의 도어 | |
KR102313645B1 (ko) | 의류건조기 | |
KR20110013007A (ko) | 도어 어셈블리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 |
KR100452371B1 (ko) | 건조기의 도어 | |
KR101073502B1 (ko) | 드럼세탁기 | |
TWI697598B (zh) | 洗衣處理裝置 | |
KR100465703B1 (ko) | 건조기의 도어 장착 구조 | |
KR20170082110A (ko) | 의류처리장치 | |
US7434334B2 (en) | Dryer with back cover first and second tab latches | |
KR100776593B1 (ko) | 드럼세탁기 | |
KR20230046527A (ko) | 전면 개폐 도어 어셈블리를 구비한 가전제품 | |
KR100452370B1 (ko) | 건조기 | |
KR100452368B1 (ko) | 건조기의 프론트 서포터 마운팅 구조. | |
KR100452367B1 (ko) | 건조기 | |
KR20040006237A (ko) | 건조기의 프론트 서포터 마운팅 구조 | |
KR101073905B1 (ko) | 건조기의 도어구조 | |
KR101138878B1 (ko) | 의류건조기 | |
KR101227478B1 (ko) | 세탁 장치 | |
KR20040016352A (ko) | 전자렌지 | |
KR20220033134A (ko) | 건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