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9949A -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9949A
KR20040009949A KR1020020044332A KR20020044332A KR20040009949A KR 20040009949 A KR20040009949 A KR 20040009949A KR 1020020044332 A KR1020020044332 A KR 1020020044332A KR 20020044332 A KR20020044332 A KR 20020044332A KR 20040009949 A KR20040009949 A KR 20040009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upper cover
main body
portable terminal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장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4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9949A/ko
Publication of KR20040009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94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구조는 본체(101)의 상측에 힌지결합으로 폴더(102)가 결합되어 있고, 그 본체(101)의 후면에는 충방전 밧데리(104)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1)의 상부커버(111)와 하부커버(112)의 내측 공간부에는 피시비(113)가 내장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본체(101)의 상부커버(111)에 형성된 패드노출공(111a)을 통하여 패드부(114a)의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부커버(111)와 피시비(113) 사이에 터치센서(114)를 설치하여, 휴대폰의 사용시 사용자가 폴더(102)를 열고 본체(101)의 상면에 노출된 터치센서(114)의 패드부(114a)를 가볍게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부정확한 정보입력에 따른 반복입력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구조{KEY PAD STRUCTURE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패드가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의해 감지되는 터치센서를 채용하여 정확한 정보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간단한 구조로 단말기의 슬림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상단부에는 힌지결합에 의하여 폴더(2)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폴더(2)의 내측에는 문자나 숫자가 표시되는 엘시디(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의 후면에는 충방전용 밧데리(4)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는 다수개의 패드 노출공(5a)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커버(5)와 그 하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하부 커버(5')의 사이에 여러가지 부품들이 장착되어 있는 피시비(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커버(5)에 형성된 패드 노출공(5a)에는 패드 노출공(5a)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키패드(7)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그 키패드(7)의 내측에는 고무재질의 액튜에이터(8)가 삽입되어 있고, 그 액튜에이터(8)에 대응되는 피시비(6)의 상면에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볼록한 형상의 메탈돔(metaldome)(9)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송수신을 할때는 폴더(2)를 열고 손가락으로 키패드(7)를 눌러서 송수신을 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키패드(7)를 누르면 액튜에이터(8)가 하강을 하고, 그와 같이 하강하는 액튜에이터(8)가 메탈돔(9)을 누르게 되어, 메탈돔(9)의 내측에 형성된 회로패턴의 접촉에 의한 신호전달이 이루어지며, 그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패드(7)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메탈돔(9)과 키패드(7)는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이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정보의 입력이 키패드(7)와 액튜에이터(8) 및 볼록한 형상의 메탈돔(9)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서, 그와 같이 부품들이 배치되는 최소한의 공간(G)이 필요하므로 단말기를 슬림화(slim)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정보의 입력이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부품(키패드(7)→액튜에이터(8)→메탈돔(9))의 물리적인 힘의 전달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정확하게 힘을 가하여 누르지 못할때는 사용자가 반복하여 힘을 가해야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러 문제점을 갖지 않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단말기의 슬림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반복동작없이 편리하게 정보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본체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구조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터치 센서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본체 102 : 폴더
104 : 밧데리 111 : 상부커버
111a : 패드노출공 114 : 터치센서
114a : 패드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의 상측에 힌지결합으로 폴더가 결합되어 있고, 그 본체의 후면에는 충방전 밧데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내측 공간부에는 피시비가 내장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에 형성된 패드노출공을 통하여 노출된 패드부를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센싱이 이루어지도록 상부커버와 피시비 사이에 터치 센서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구조를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구조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의 요부 단면도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기본적인 구조는 종래와 유사하다.
즉, 본체(101)의 상단부에 힌지결합에 의해 폴더(102)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폴더(102)의 내측면에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엘시디(103)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1)의 후면에는 충방전이 이루어지는 밧데리(104)가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1)는 다수개의 패드노출공(111a)이 형성된 상부커버(111)와, 그 상부커버(111)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커버(112) 및 상기 상부커버(111)와 하부커버(112)의 사이에 배치되며 각종 부품이 장착되어 있는 피시비(11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피시비(113)와 상부커버(111)의 사이에는 패드노출공(111a)에 각각 노출되는 패드부(114a)가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터치 센서(114)가 설치되어 사용자가의 손가락이 패드부(114a)의 노출면을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정보가 입력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서 단말기를 사용할때는 사용자가 폴더(102)를 열고 본체(101)의 상면에 노출된 패드부(114a)를 손가락으로 접촉하면, 터치 센서(114)가 감지하여 정보입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터치 센서(114)의 동작원리를 설면하면, 터치센서(114)에 손가락이 접촉되면 터치센서(114)를 통하여 인체에 전하가 축적되어 Cx값이 커지게 된다. 이 Cx값의 변화를 ASIC내의 발진회로에서 검출하여 ASIC내부의 스위치를 동작시켜 외부로 HI 또는 LO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터치센서(114)는 캐패시턴스(capacitance)값을 센싱하게 되는데, 터치센서(114)는 도체이고 터치센서(114)의 코딩은 전도체(도금)나 부도체(유리, 플라스틱등) 둘다 가능하며, ASIC내의 민감도 조정으로 터치센서(114)의 크기와 코팅물질의 두께 및 종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114)에서 센싱한 캐패시턴스 값을 볼테이지 값으로 변환시키고, 스위치를 동작시켜 출력단으로 HI 또는 LO신호를 출력한다. 내부에 증폭기 및 오프셋(OFF SET) 조정기가 있어서 자유롭게 민감도를 조정할 수 있다. 터치센서(114)로부터 오는 단선의 신호로 캐패시턴스 값의 크기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구조는 본체의 상부커버에 형성된 패드노출공을 통하여 패드부의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부커버와 피시비 사이에 터치센서를 설치하여, 휴대폰의 사용시 사용자가 폴더를 열고 본체의 상면에 노출된 터치센서의 패드부를 가볍게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부정확한 정보입력에 따른 반복입력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정보의 입력이 여러 부품을 거쳐서 물리적인 힘의 전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말기의 구조를 좀더 슬림화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본체의 상측에 힌지결합으로 폴더가 결합되어 있고, 그 본체의 후면에는 충방전 밧데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내측 공간부에는 피시비가 내장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에 형성된 패드노출공을 통하여 노출된 패드부를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센싱이 이루어지도록 상부커버와 피시비 사이에 터치센서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터치센서의 상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구조.
KR1020020044332A 2002-07-26 2002-07-26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구조 KR20040009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332A KR20040009949A (ko) 2002-07-26 2002-07-26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332A KR20040009949A (ko) 2002-07-26 2002-07-26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949A true KR20040009949A (ko) 2004-01-31

Family

ID=37318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332A KR20040009949A (ko) 2002-07-26 2002-07-26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994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205A (ko) * 2002-10-21 2004-04-28 김성영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KR100840016B1 (ko) * 2006-09-14 2008-06-20 (주)지엔씨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키패드 플레이트
KR100856206B1 (ko) * 2007-01-31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패드 및 키 패드 어셈블리
KR101054795B1 (ko) * 2009-06-26 2011-08-11 주식회사 양우 정전기를 방지하는 터치 피시비 보호장치
KR101271533B1 (ko) * 2006-08-28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180001892U (ko)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전동 자바라 대문의 전기선 보호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205A (ko) * 2002-10-21 2004-04-28 김성영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KR101271533B1 (ko) * 2006-08-28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0840016B1 (ko) * 2006-09-14 2008-06-20 (주)지엔씨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키패드 플레이트
KR100856206B1 (ko) * 2007-01-31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패드 및 키 패드 어셈블리
KR101054795B1 (ko) * 2009-06-26 2011-08-11 주식회사 양우 정전기를 방지하는 터치 피시비 보호장치
KR20180001892U (ko)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전동 자바라 대문의 전기선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3237B1 (en) Method of Operating a Radio Telephone
US7355137B2 (en) Waterproof structure of push button switch
KR100931615B1 (ko) 손가락끝 촉각 입력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휴대정보단말기
KR101158958B1 (ko)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40009949A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구조
GB2310561A (en) Mobile telephone keys usable for a range of positions of a sliding cover
KR200423038Y1 (ko) 메탈돔 조립체
KR20070013630A (ko) 가동형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666986B1 (ko) 비접촉식 정전센서를 이용한 전화기
KR101640664B1 (ko) 다채널 스위치 모듈
KR10094653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조립구조
KR200364952Y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CN220474520U (zh) 按键装置以及游戏掌机
KR100807473B1 (ko) 휴대전화기의 오동작 방지 스위치
KR100518008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키패드구조
KR20040009948A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 키 조립체구조
TWI381707B (zh) Translational one-touch dialing device
KR100840016B1 (ko)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키패드 플레이트
KR10103064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 키 장치
KR200264776Y1 (ko) 손목시계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본체에 연결되는밴드의 구조
JP2002044217A (ja) 通信端末装置
KR100652765B1 (ko) 이동 단말기의 경사 키버튼 장치
KR20060010096A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KR20050062287A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키입력장치
KR20040077165A (ko) 슬라이드형 키패드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