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9656A - 유무선 동기화 전자책 시스템 및 그의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동기화 전자책 시스템 및 그의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9656A
KR20040009656A KR1020020043667A KR20020043667A KR20040009656A KR 20040009656 A KR20040009656 A KR 20040009656A KR 1020020043667 A KR1020020043667 A KR 1020020043667A KR 20020043667 A KR20020043667 A KR 20020043667A KR 20040009656 A KR20040009656 A KR 20040009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wireless
wired
termi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제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3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9656A/ko
Publication of KR20040009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65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무선 전자책 동시 가입자가 전자책 관련 데이터를 동기화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유무선 동기화 전자책 시스템 및 그의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책 시스템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시스템과 유선 단말기를 이용한 시스템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각 단말기의 전자책 데이터를 관리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동일한 문서를 열람하기위해 비용이 중복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무선 및 유선 단말기에 제공되는 전자책 서비스를 온라인 상태는 물론이고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상호 동기화할 수 있는 시스템과 이를 구현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각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책 서비스에 중복 가입한 사용자들이 사용 단말기의 전환에 관계없이 원하는 전자책을 연속적으로 열람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동일한 전자책 데이터에 대한 중복과금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무선 동기화 전자책 시스템 및 그의 구현 방법{WIRED AND WIRELESS ELECTRONIC BOOKS SYNCHRONIZATION SYSTEM AND PERFORM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무선 전자책 동시 가입자가 전자책 관련 데이터를 동기화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유무선 동기화 전자책 시스템 및 그의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각종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의 보급에 힘입어 종래에 고정된 형태로만 사용 가능하던 매체들을 점차 디지털 데이터로 변화시켜 장소와 공간에 제약 없이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음악, 영상, 문자, 서적등과 같이 고전적으로 고정된 매체로 즐기던 것들은 이미 mp3 포멧, 각종 영상 포멧, 문자 포멧, 그리고 문자와 그림등을 결합한 포멧에 이르기까지 수 많은 디지털 형태로 바뀌어 제공되고 있다.
여러가지 매체 중에서도 가장 친숙한 매체는 인쇄물일 것이다. 그 중에서도 서적은 대단히 친숙한 매체이면서도 가장 디지털화 하기 쉬운 매체 중 하나이다. 문자들은 대단히 높은 압축률을 가지고 있으므로 작은 메모리 공간으로도 많은 양의 글자들을 저장할 수 있으므로 전자책의 활용은 이미 오래전 부터 예견되어 온 것이다.
최근에 들어서는 상당히 많은 출판사들이 온라인 상에서 유료로 책의 내용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컴퓨터나 PDA를 통해 읽을 수 있다. 또한, 최근의 PDA는 휴대폰 기능을 내장하거나 무선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무선망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전자책은 인터넷이나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유료로 다운받아 그 내용을 컴퓨터를 통해 볼 수 있도록 하거나, 다운 받지 않고 온라인 상에서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무선 PDA나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기지국과 접속한 후 상기 기지국과 접속된 서버에서 전자책 데이터를 다운받거나 온라인 상태로 전자책을 읽을 수 있는 기술 역시 개발되어 있다.
상기 설명한 전자책은 단순히 문자 데이터(텍스트 문서) 형태일 수 있고, 다양한 그림과 연결 기능이 포함된 특수한 전자책 포멧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제, 종래의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책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종래의 유선 단말기(컴퓨터나 데이터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책 시스템은 널리 알려진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무선 단말기(10), 기지국(20), 그리고 전자출판 데이터베이스(30)로 이루어진 간단한 무선 단말기용 전자책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단말기(1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PDA나 대형 표시창을 가진 휴대폰이 될 수 있다. 상기 무선 단말기(10)는 기지국(20)과 연결되어 원하는 문서 데이터를 요청한다. 상기 기지국(20)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전자출판 데이터베이스(30)에 해당하는 문서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전자출판 데이터베이스(30)로부터의 문서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기지국(20)은 수신된 문서 데이터를 상기 무선 단말기(10)에 전송한다.
상기 수신된 문서 데이터는 소정의 단위로 분할된 내용으로 다운로드되어 상기 단말기(1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전자책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한번에 소정 분량의 문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단말기(10)에 저장하는 경우에는 해당 문서 데이터가 저장될 충분한 저장 메모리가 요구되지만, 온라인 상에서 전자책을 보는 경우에는 요구되는 메모리의 양이 현격히 줄어들 수 있다.
당연하게도, 상기 단말기(10)에는 상기 문서 데이터를 해석하여 이를 문자 혹은 문자와 그림 등으로 표시해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야하며, 상기 전자출판 데이터베이스(30)를 검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역시 내장되어야 한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10)가 상기 전자출판 데이터베이스(30)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을 가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하며, 해당 전자책의 사용에 관한 과금 정보나 현재 열람중인 책의 책갈피등의 부가적인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단말기(10)는 기본적으로 내부적인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데이터를 조작하고, 특정 정보(주소, 메세지, 스케쥴, 시간 등)를 컴퓨터 내부의 프로그램과 동기화 하기위해 컴퓨터와 연결되어 관리된다. 즉, 대부분의 무선 단말기(10)는 컴퓨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전자책은 유선과 무선 단말기들에 대해 개별적인 서비스로 제공되고 있으며, 컴퓨터로 열람중인 전자책을 원격지에서 읽기 위해서는 다운받은 내용을 무선 단말기에 전송하여 일반 데이터로 저장해야만한다. 만일 온라인 상에서 열람중인 전자책이라면 이를 무선 단말기를 이용해서 열람하기 위해서는 무선 단말기를 통해 동일한 전자책에 유료로 접속하여 내용을 열람하거나 새롭게 다운 받아야한다. 이는 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가 된다.
대부분의 무선 단말기(10) 사용자는 상기 무선 단말기(10)를 관리하기위해 컴퓨터를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상기 컴퓨터를 이용하여 전자책 서비스를 중복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휴대용 무선 단말기(10)를 동시에 이용하기는 하지만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의 사용 시간이 더 많기 때문에 유선과 무선 전자책 시스템들의 통합이 필수적이 되고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와 유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자책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전자책 서비스의 특성 상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는 시간이 길어지게된다. 따라서, 고정된 장소에서 유선 단말기를 통해 전자책을 열람하다가 무선 단말기를 지참하고 외출한 경우, 열람하던 전자책을 계속해서 보기 위해서는 무선 단말기에 해당하는 전자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거나 온라인으로 해당 전자책에 접속해야하며, 이전에 읽던 내용을 수동으로 검색해야한다. 무선 단말기에 열람하던 전자책 내용이 없는 경우 비용을 중복하여 지불하고 새롭게 다운로드하거나 읽던 부분이 포함된 문서를 유로로 접속하여 온라인으로 열람해야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전자책 시스템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시스템과 유선 단말기를 이용한 시스템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각 단말기의 전자책 데이터를 관리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동일한 문서를 열람하기위해 비용이 중복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책 시스템과 유선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책 시스템을 상호 동기화하도록 함으로써, 중복되는 과금을 피하면서 사용자의 개인적인 설정 및 책갈피 데이터를 상호 이용할 수 있는 유무선 동기화 전자책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전자책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무선 동기화 전자책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온라인 사용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운로드 사용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오프라인 다운로드 동기화에 관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무선 단말기110: 무선망
120: 무선 전자책 관리서버150: 단말기 링크
160: 서버 링크200: 유선 단말기
210: 유선망220: 유선 전자책 관리서버
300: 전자출판 데이터베이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무선망과 접속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와; 상기 무선망과 접속되어 상기 무선 단말기와 데이터를 통신하며 전자책 관련 데이터를 관리하는 무선 전자책 관리 서버와; 상기 무선 단말기와 링크되어 데이터를 동기화하며 유선망과 접속할 수 있는 유선 단말기와; 상기 유선망과 접속되어 상기 유선 단말기와 데이터를 통신하며 전자책 관련 데이터를 관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전자책 관리 서버와 링크되어 관련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유선 전자책 관리서버와; 상기 무선 전자책 관리 서버 및 상기 유선 전자책 관리 서버와 동시에 연결되어 전자책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출판 데이터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선 또는 무선 단말기를 통한 온라인 접속 시 그리고/또는 전자책 열람의 종료 시 유선 및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책 서비스들에 대한 중복 가입여부를 기반으로 유선 및 무선 전자책 관리 서버들 간에 전자책 관련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단계와; 무선 단말기와 유선 단말기의 상호 접속시 전자책 관련 데이터를 단말기들 간에 상호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는 전자책 시스템과 유선 단말기를 이용하는 전자책 시스템을 동기화 기능을 부여하면서 통합한 것으로, 이를 통해 보다 용이하고 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전자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구성도와 본 발명의 기능들에 대한 흐름도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 2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전자책 통합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간략한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시된 각각의 블록들은 상이한 구성들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그 기능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기능들을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망(110)과 접속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100)와; 상기 무선망과 접속되어 상기 무선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통신하며 전자책 관련 데이터를 관리하는 무선 전자책 관리 서버(120)와; 상기 무선 단말기(100)와 링크되어 데이터를 동기화하며 유선망(210)과 접속할 수 있는 유선 단말기(200)와; 상기 유선망(210)과 접속되어 상기 유선 단말기(200)와 데이터를 통신하며 전자책 관련 데이터를 관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전자책 관리 서버(120)와 링크되어 관련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유선 전자책 관리서버(220)와; 상기 무선 전자책 관리 서버(120) 및 상기 유선 전자책 관리 서버(220)와 동시에 연결되어 전자책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출판 데이터 베이스(300)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면서 전자책 데이터를 저장 및 표시할 수 있는 PDA 혹은 PDA 기능을 가진 휴대전화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무선망(110)은 상기 무선 단말기(100)와 무선 전자책 관리 서버(120)를 연결하는통신망으로, 상기 무선 단말기(100)와는 무선 통신을 실시하고, 상기 무선 전자책 관리 서버(120)와는 유선 혹은 무선 통신을 실시한다. 상기 무선망(110)은 기지국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무선 통신망을 의미한다.
상기 무선 전자책 관리서버(120)는 상기 무선망(110)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100)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가입 여부를 판단하여 접속을 허용한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자 인적사항이나 현재 열람중인 책 정보, 관심있는 책 정보, 과금 정보, 현재 열람중인 책의 책갈피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전자출판 데이터베이스(300)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문서 요청에 대응한다. 상기 무선 전자책 관리 서버(120)는 상기한 정보 데이터들과 전자출판 데이터베이스(300)와의 연결을 통해서 요청된 문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100)에 전송하면서 상기 정보 데이터들을 갱신하는 기능 외에도 상기 단말기(100)에 도서 목록을 제공하거나 관련 도서를 추천하는 기능 역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가적인 기능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면서 첨삭될 수 있다.
상기 유선 단말기(200)는 보편적으로 컴퓨터나 유선망 접속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일 수 있으며, 상기 무선 단말기(100)와는 유선 케이블이나 무선 IrDA 같은 동기화 링크(15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대부분의 무선 단말기(100)는 내부적인 프로그램 설치나 데이터의 관리를 위해 컴퓨터와 연결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주소록, 메모들, 스케줄들과 같은 데이터를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램과 공유하기위해 접속에 따라 자동 동기화되는 기능들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CE?기반의 PDA들은 컴퓨터에 설치된 ActiveSync?를 통해 소정의 데이터들을 최신의 데이터로 상호 갱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다 보편적인 동기화 기술을 이용하기 위해서 XML 기반의 공지된 동기화 기술인 SyncML을 이용한다. 이를 통해서 상기 무선 단말기(100)를 유선 단말기(200)에 동기화 링크(150)를 통해 연결하면 최신의 전자책 관련 데이터들을 상호 동기화 시킬 수 있게된다. 이는 온라인/오프라인 상태에 관계없이 단말기들(100, 200)의 상호 접속을 통해 실시될 수 있으며, 이때 교환되거나 갱신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인적정보, 현재 열람중인 책 정보, 관심있는 책정보, 이전에 읽었던 책정보, 과금정보, 현재 열람중인 책의 책갈피등의 비교적 크기가 작은 정보들과, 다운로드된 전자책들과 같이 비교적 크기가 큰 정보들이 있다. 물론, 다운로드된 전자책들의 내용은 이미 열람이 끝났거나 동기화 시간을 줄이기위해 선택적으로만 동기화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유선망(210)은 인터넷 망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화선을 이용한 텔넷 통신망일 수 있고, 랜(LAN)이나 웬(WAN)과 같은 네트워크망일 수 있다.
상기 유선 전자책 관리서버(220)는 상기 유선망(210)에 연결된 인터넷 서버 혹은 텔넷이나 네트워크 서버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BBS 호스트 서버일 수도 있다. 상기 유선 전자책 관리서버(220)는 상기 유선망(210)을 통해 접속한 유선 단말기(200)의 가입여부를 판단하여 접속을 허용한다. 또한, 상기 유선 단말기(200)에 대한 사용자 인적사항이나 현재 열람중인 책 정보, 관심있는 책 정보, 과금 정보, 현재 열람중인 책의 책갈피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전자출판 데이터베이스(300)와 연결되어 상기 유선 단말기(200)의 문서 요청에 대응한다. 상기 유선 전자책 관리 서버(220)는 상기한 정보 데이터들과 전자출판 데이터베이스(300)와의 연결을 통해서 요청된 문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200)에 전송하면서 상기 정보 데이터들을 갱신하는 기능 외에도 상기 단말기(200)에 도서 목록을 제공하거나 관련 도서를 추천하는 기능 역시 제공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웹서버나 텔넷 서버등이 제공하는 기능들 역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적인 기능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면서 첨삭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전자책 관리서버(120)와 유선 전자책 관리서버(220)는 동기화 링크(160)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유선이나 무선 연결을 의미하며, 이러한 연결을 통해서 온라인 상에서 필요한 전자책 정보들을 동기화 할 수 있는데, 이때 동기화되는 정보에는 사용자의 인적정보, 현재 열람중인 책 정보, 관심있는 책정보, 이전에 읽었던 책정보, 과금정보, 현재 열람중인 책의 책갈피등이 있으며, 이는 온라인 접속을 통해 전자책을 열람하는 경우 무선과 유선 단말기에 제공되는 정보를 동기화 하기위한 것이다.
이제, 기본적인 구성과 각 블록들의 기능을 이용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에서 상기 시스템이 동기화 동작을 수행하는지를 각 경우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온라인 상태에서 전자책을 열람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유무선 단말기들에 동기화된 정보를 제공하기위한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먼저, 유선 단말기 혹은 무선 단말기 중 하나를 제 1단말기로 칭하고 그에 대응하는 다른 단말기를 제 2단말기로 칭한다. 다시 말해서 유선 단말기가 제 1단말기이면 무선 단말기는 제 2단말기가 되며, 무선 단말기가 제 1단말기라면 유선 단말기가 제 2단말기가 된다.
제 1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태에서 전자책을 열람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단말기가 연결되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망에 연결된 해당 전자책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로그인을 실시한다. 상기 사용자 로그인은 전자책을 보기 위해서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자와 체결한 계약을 통해 승인된 ID와 암호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 1단말기에 저장되어 자동으로 실시되거나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수동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로그인 과정을 통해 상기 서버와 연결된 후, 상기 연결된 제 1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가 제 2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책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사용자가 제 2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책 서비스에 동시에 가입했다면 전자책 관련 데이터를 동기화한다. 상기 동기화 단계는 무선 전자책 관리서버와 유선 전자책 관리서버에 저장된 전자책 관련 정보들을 최신의 것으로 상호 동기화 하는 것으로 실시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전에 최종적으로 열람한 전자책 관련 정보를 단말기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만일 제 2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책 서비스에 동시 가입되지 않은 사용자라면 상기 동기화 과정없이 현재 접속된 서버의 전자책 관련 정보를 이용한다.
상기와 같은 전자책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북을 열람한 후, 열람을 종료하면 현재 열람중인 문서의 해당 부분에 대한 정보를 책갈피로 저장한다. 물론 책갈피 정보와 함께 상기 열람을 통해 변경된 전자책 관련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진행된 전자책의 열람에 따라 전자책 관련 정보가 변경되었으므로, 제 2단말기 서비스에 동시 가입한 가입자의 경우, 변경된 정보(책갈피 정보)를 제 2단말기 서비스에 이용되는 전자책 관리서버에 알리기 위해 무선 전자책 관리서버와 유선 전자책 관리서버의 동기화가 실시된 다음 종료된다. 동시 가입자가 아니라면 해당 정보는 단순히 제 1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책 관리 서버에만 저장된 후 종료된다. 상기 전자책 관련 정보는 상기 전자책 관리 서버에 저장됨과 동시에 해당하는 제 1단말기에도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로그인과 종료시 전자책 관련 데이터를 동기화 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동기화 시간을 줄이기 위해 로그인 또는 종료중 어느 한 경우에만 동기화 되는 방법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오프라인 상에서 전자책을 열람하기 위해서 전자책 데이터를 단말기로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전자책 데이터를 단말기들 간에 동기화 하는 실시예들의 순서도를 제공한다.
도 4는 단말기가 전자책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절차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다운로드할 전자책을 고른 후, 다운로드를 실행한 경우 실시되는 절차들이다.
다운로드가 실행되면, 해당 전자책 관리 서버는 동기화된 전자책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다운로드할 내용이 대응 단말기에서 이미 다운로드한 것인지를 판단하여 아니면 다운로드 및 과금한 후 종료하고, 맞으면 다운로드 관련 데이터를 동기화 함으로써 해당 전자책 데이터를 중복 과금하지 않으면서 현재 접속된 단말기에 제공하고, 대응 단말기에서 이미 다운로드한 내용 외에 다운로드할 것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없으면 종료하고, 있으면 이를 추가로 다운로드하면서 이에 대해서만 과금한 후 종료한다. 상기 절차 이후에 해당 전자책 관련 데이터를 대응하는 단말기에 연결되는 전자책 관리 서버와 동기화 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도 4와 같이 오프라인용으로 다운로드한 전자책 데이터를 단말기 간에 동기화 하는 방법으로, 이는 단말기들 간의 동기화에 관한 것이므로 온라인/오프라인 상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먼저, 상기 도 4와 같은 방법을 통해 다운로드 받은 전자책이 중복 사용중인 단말기들 중 하나에만 존재하거나 혹은 그 일부가 서로 상이한 경우, 이를 단말기들 간의 동기화 링크를 통해 동기화 하는 방법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먼저, 무선 단말기를 유선 단말기에 접속한다. 이 경우, 직렬이나 병렬 케이블을 이용하거나, IrDA와 같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호 접속한다. 이 때, 각 단말기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이 자동 혹은 수동으로 동작하여 상호 접속을 이용한 기본 내용 동기화를 실시한다. 상기 기본 내용 동기화는 일반적으로 무선 단말기와 유선 단말기 사이에 실시되는 주소록, 메모, 스케줄등과 같은 소정의 정보들에 부가적으로, 사용자의 인적정보, 현재 열람중인 책 정보, 관심있는 책정보, 이전에 읽었던 책정보, 과금정보, 현재 열람중인 책의 책갈피등과 같은 전자책 관련 데이터 역시 포함한다.
그 다음, 다운로드한 전자책에 대한 정보가 단말기들 간에 상이한지를 검사하여 상이하면 다운로드한 전자책에 관련된 데이터를 동기화 하고, 단말기간 상기데이터들이 동일하면 종료하게된다. 상기 다운로드 정보에는 다운로드한 전자책 데이터 자체와 상기 전자책을 다운함에 따라 변경되는 정보들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다운로드한 전자책 데이터의 동기화는 부가적인 선택화면이나 옵션등을 통해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도 있으며, 도 5와 같이 자동으로 실시될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이, 유선 및 무선 단말기들을 각각 이용한 전자책 서비스들을 동기화 기능을 부가하면서 통합하도록 함으로써 중복 가입한 사용자들의 편의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및 유선 단말기에 제공되는 전자책 서비스를 온라인 상태는 물론이고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상호 동기화할 수 있는 시스템과 이를 구현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각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책 서비스에 중복 가입한 사용자들이 사용 단말기의 전환에 관계없이 원하는 전자책을 연속적으로 열람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동일한 전자책 데이터에 대한 중복과금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무선망과 접속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와; 상기 무선망과 접속되어 상기 무선 단말기와 데이터를 통신하며 전자책 관련 데이터를 관리하는 무선 전자책 관리 서버와; 상기 무선 단말기와 링크되어 데이터를 동기화하며 유선망과 접속할 수 있는 유선 단말기와; 상기 유선망과 접속되어 상기 유선 단말기와 데이터를 통신하며 전자책 관련 데이터를 관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전자책 관리 서버와 링크되어 관련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유선 전자책 관리서버와; 상기 무선 전자책 관리 서버 및 상기 유선 전자책 관리 서버와 동시에 연결되어 전자책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출판 데이터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동기화 전자책 시스템.
  2. 유선 또는 무선 단말기를 통한 온라인 접속 시 그리고/또는 전자책 열람의 종료 시 유선 및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책 서비스들에 대한 중복 가입여부를 기반으로 유선 및 무선 전자책 관리 서버들 간에 전자책 관련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단계와; 무선 단말기와 유선 단말기의 상호 접속시 전자책 관련 데이터를 단말기들 간에 상호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동기화 전자책 시스템 구현 방법.
KR1020020043667A 2002-07-24 2002-07-24 유무선 동기화 전자책 시스템 및 그의 구현 방법 KR20040009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667A KR20040009656A (ko) 2002-07-24 2002-07-24 유무선 동기화 전자책 시스템 및 그의 구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667A KR20040009656A (ko) 2002-07-24 2002-07-24 유무선 동기화 전자책 시스템 및 그의 구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656A true KR20040009656A (ko) 2004-01-31

Family

ID=37318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667A KR20040009656A (ko) 2002-07-24 2002-07-24 유무선 동기화 전자책 시스템 및 그의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96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702B1 (ko) * 2005-10-20 2007-05-15 박준철 멀티미디어 컨텐츠 통합 전자책, 전자책 배포 시스템 및 그방법
WO2016099006A1 (ko) * 2014-12-19 2016-06-23 주식회사 디알엠인사이드 Epub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702B1 (ko) * 2005-10-20 2007-05-15 박준철 멀티미디어 컨텐츠 통합 전자책, 전자책 배포 시스템 및 그방법
WO2016099006A1 (ko) * 2014-12-19 2016-06-23 주식회사 디알엠인사이드 Epub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5083A (ko) 2014-12-19 2016-06-29 주식회사 디알엠인사이드 Epub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2297B2 (ja) コンテンツを挿入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571535B1 (en) Method and system for a hosted mobile management service architecture
US7392308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lacement of channels on a mobile device
US8392832B2 (en) Display placeholders for rich media content
US20140199975A1 (en) Management of unwanted calls and/or text messages
CN101802808B (zh) 从脚本和其他编程环境访问设备主存的服务
US20070250645A1 (en) Mobile phone data backup system
US20020069298A1 (en) Mobile terminal having multipl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ality
CN102272721A (zh) 移动通信设备
CN1998224A (zh) 高级联络识别系统
CN101681332A (zh) 用于从个人计算机传送数字内容到移动手机的方法和设备
CN105142011A (zh) 一种基于web的电视终端多屏互动方法与装置
CN101084665A (zh) 用于递送内容给移动设备的系统和方法
CN101709977A (zh) 一种路书导航的实现方法及路书导航终端
CN101277472A (zh) 博客内容的同步方法、设备和系统
BRPI0621141A2 (pt) método de execução de uma transação por um primeiro sistema do cliente e sistema para executar uma transação por um primeiro sistema do cliente
CN101848244A (zh) 一种更新移动终端上博客内容的实现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01146138B (zh) 一种定制手机媒体内容的系统、方法及移动终端
CN105072090B (zh) 景点信息同步方法、服务端装置及移动装置
TWI557682B (zh) 用以檢測提供至電腦裝置之網際網路連結及加以計費之系統及方法、以及相關電腦裝置
KR20060049703A (ko) 셀룰러 폰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뉴스 또는 다른 정보를제공하는 방법
KR20040009656A (ko) 유무선 동기화 전자책 시스템 및 그의 구현 방법
JP2001256151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JP4674398B2 (ja) 録画予約方法、録画予約装置および録画予約システム
US20210218786A1 (en) Multimedi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remotely hosted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