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9198A - 편향 요크용 수평코일 - Google Patents

편향 요크용 수평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9198A
KR20040009198A KR1020020043045A KR20020043045A KR20040009198A KR 20040009198 A KR20040009198 A KR 20040009198A KR 1020020043045 A KR1020020043045 A KR 1020020043045A KR 20020043045 A KR20020043045 A KR 20020043045A KR 20040009198 A KR20040009198 A KR 20040009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horizontal
deflection yoke
deflection
curv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수
김정섭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3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9198A/ko
Publication of KR20040009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1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2Conductor design and distribution
    • H01J2229/7033Wi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8Coil separators and former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편향코일의 밴트부의 구조적인 형상을 변경하여 수평 편향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계의 세기를 부분적으로 변화시켜 겔윙 디스토션(GULL-WING Distortion)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편향 요크의 수평코일용 수평코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원추형태로 형성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상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의 둘레방향으로 밀착되는 밴트부로 구성되고, 상기 밴트부는 상기 밀착부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일정 각도로 라운드가 형성되는 제1곡면부와, 상기 제1곡면부에서 연장되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곡면부와, 상기 제2곡면부의 연결되는 중앙측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3곡면부로 형성된다.

Description

편향 요크용 수평코일{Horizontality coil of deflection yoke}
본 발명은 편향요크의 수평 코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 코일의 구조를 변경하여 디스토션(distortion)을 개선할 수 있는 편향요크의 수평 코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수상기 또는 모니터의 음극선관(CRT)에 사용되는 편향요크는 전자총으로부터 주사되는 3색빔을 음극선관의스크린면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히 편향시키도록 하기 위해 편향요크를 구비하며, 이러한 편향요크는 음극선관의 자기장치 중 가장 중요한 일 요소로 시간계열(時間系列)로 전송된 전기신호가 음극선관의 스크린상에 영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은 고전압에 의해 스크린상으로 직진하게 됨에 따라 단순히 화면의 중앙 형광체만을 발광시키게 되므로, 외부에서 전자빔을 주사의 순서대로 스크린상에 도달하도록 편향시키는 것이 편향요크이며, 이러한 편향요크는 자계를 형성하여 전자빔이 이 자계를 통과할 때 힘을 받아서 그 진행방향이 변화되는 것을 이용하여 전자빔을 음극선관의 스크린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하게 편향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편향요크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극선관(1)의 네크부(12) 즉, RGB 전자총(3)부에 위치되어 전자총(3)으로부터 주사되는 전자빔을 음극선관(1)의 스크린면(2)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편향시키게 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요크의 요부를 발췌한 정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요크(4)는 크게 코일 세퍼레이터(10)와, 이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내외주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수평 편향자계와 수직 편향자계를 각각 형성하는 수평 편향코일(13a) 및 수직 편향코일(13b)과, 그리고 이들 수평 편향코일(13a) 및 수직편향코일(13b)을 통한 자계를 강화시키는 페라이트 코어(14)로 이루어진다.
코일 세퍼레이터(10)는 대략 원추형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음극선관(1)의 스크린면(2)측으로 구비되는 대경의 스크린부(11)와, 음극선관(1)의 전자총(3)부에 결합되는 소경의 원통형인 네크부(12)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린부(11)와 네크부(12)는 일단이 나팔관 형상의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코일 세퍼레이터(10)는 스크린부(11)의 내주면 상,하측에 수평 편향코일(13a)이 설치되며, 외주면의 좌,우측 또는 페라이트 코어(14)의 상,하측을 따라 수직 편향코일(13b)이 권선된다.
상기 수평 편향코일(13a)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의 연결부에서 내측면으로 밀착되어 수평 편향자계를 형성하도록 권선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편향코일(13b)은 편향요크(4)의 종류에 따라 코일 세퍼레이터(10)의 연결부에서 외측면으로 밀착되면서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도록 권선되거나, 또는 코일 세퍼레이터(1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페라이트 코어(14)의 상,하측을 따라 권선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는 외주면에 대략 원통형상을 갖는 페라이트 코어(14)가 구비되며, 이 페라이트 코어(14)는 수직 편향자계를 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평 편향코일의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의 수평 편향코일(13a)은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반원추형태의 밀착부(20)와, 상기 밀착부(20)의 상측에 반원 형태로 연장되는밴트(bent)부(22)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 편향코일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트부(24)는 양측이 라운드지고 직선 형태로 연결된 사각구조로 형성되는 타입이 적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편향 요크의 수평 편향코일은 밴트부가 반원형태 또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벤트부의 자계의 변화를 주지 못하여 스크린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곡선부(Q)와 같이 겔윙 디스토션(Gull-Wing Distortion)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 편향코일의 밴트부의 구조적인 형상을 변경하여 수평 편향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계의 세기를 부분적으로 변화시켜 겔윙 디스토션(GULL-WING Distortion)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편향 요크의 수평코일용 수평코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편향 요크의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코일의 측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 코일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코일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평 코일의 밴트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및 종래 기술의 수평 코일의 형상에 따른 시험 데이터.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코일 세퍼레이터 13a : 수평 편향요크
13b : 수직 편향요크 50 : 밀착부
52 : 밴트부 56 : 제1곡면부
58 : 제2곡면부 60 : 제3곡면부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용 수평코일은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원추형태로 형성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상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의 둘레방향으로 밀착되는 밴트부로 형성되는 편향요크의 수평 코일에 있어서, 상기 밴트부는 상기 밀착부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일정 각도로 라운드가 형성되는 제1곡면부와, 상기 제1곡면부에서 연장되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곡면부와, 상기 제2곡면부의 연결되는 중앙측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3곡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코일의 제2곡면부의 위치(θ)는 수평면에서 40°<θ<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코일의 제2곡면부의 높이(B)는 수평면에서 제1곡면부의 높이(A)와 제3곡면부의 높이(C)보다 1mm ∼ 10mm 정도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용 수평코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편향요크(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선관(1)의 전자총부(3)에 위치되어 전자총(3)으로부터 주사되는 전자빔을 음극선관(1)의 스크린(2)으로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편향요크(4)는 통상 나팔관 형상의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내외면으로 음극선관(1)의 전자총(3)으로부터 주사되는 전자빔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되도록 하는 편향코일, 즉 수평 편향코일(13a)과 수직 편향코일(13b)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편향코일(13b)은 그 외측에서 페라이트 코어(14)에 의해 감싸지도록 구성되며, 이때 상기 수직 편향코일(13b)은 페라이트 코어(14)의 내외주면에 걸쳐 권선되는 구조로 형성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는 대략 원추형상을 갖는 것으로 음극선관(1)의 스크린(2)측으로 구비되는 스크린부(11)와, 음극선관(1)의전자총부(3)에 결합되는 네크부(1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즉, 코일 세퍼레이터(10)의 스크린부(11)는 음극선관(1)의 스크린면(2)측으로 구비되도록 대경으로 이루어지고, 네크부(12)는 음극선관(1)의 전자총(3)부에 결합되는 소경의 원통형으로 성형되며, 이들 스크린부(11)와 네크부(12)는 일단이나팔관 형상의 연결부(13)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코일 세퍼레이터(10)는 스크린부(11)의 내주면 상,하측에 전술한 수평 편향코일(13a)이 설치되며, 외주면의 좌,우측 또는 페라이트 코어(14)의 상,하측을 따라 수직 편향코일(13b)이 권선된다.
상기 수평 편향코일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원추형태로 형성되는 밀착부(50)와, 상기 밀착부(50)의 상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의(11) 둘레방향으로 밀착되는 밴트부(52)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밴트부(5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부(50)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일정 각도로 라운드가 형성되는 제1곡면부(56)와, 상기 제1곡면부(56)에서 연장되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곡면부(58)와 상기 제2곡면부(58)의 연결되는 중앙측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3곡면부(6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곡면부(58)의 위치(θ)는 수평면(T)에서 40°<θ<80°에 위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밴트부(52)의 형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1곡면부(56)는 기준이 되는 수평면에서 높이를 A라 하고, 상기 제2곡면부(58)의 가장 볼록한 부분의 높이를 B라 하고, 제3곡면부(60)의 높이를 C라고 하면, 상기 제2곡면부(58)의 높이(B)는 제1곡면부(56)의 높이(A)와 제3곡면부(60)의 높이(C)보다 1mm ∼ 10mm 정도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수평 편향코일의 밴트부(5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곡면부(58)의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의 제3곡면부(60)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어 국부적인 자계가 약화되므로 인하여 부분적인 자계 변화를 주어 겔윙 디스토션(GULL-WING Distortion) 현상이 직선부(W)와 같이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수평 편향코일은 밴트부가 밀착부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일정 각도로 라운드가 형성되는 제1곡면부와 상기 제1곡면부에서 연장되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곡면부와 상기 제2곡면부의 연결되는 중앙측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3곡면부로 형성되어 국부적으로 자계가 약화되어 부분적인 자계변화를 주어 제2곡면부 부분에서 발생되는 겔윙 디스토션(GULL-WING Distortion)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원추형태로 형성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상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의 둘레방향으로 밀착되는 밴트부로 형성되는 편향요크의 수평 코일에 있어서,
    상기 밴트부는 상기 밀착부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일정 각도로 라운드가 형성되는 제1곡면부와, 상기 제1곡면부에서 연장되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곡면부와, 상기 제2곡면부의 연결되는 중앙측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3곡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수평 코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곡면부의 위치(θ)는 수평면에서 40°<θ<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수평 코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곡면부의 높이(B)는 수평면에서 제1곡면부의 높이(A)와 제3곡면부의 높이(C)보다 1mm ∼ 10mm 정도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수평 코일.
KR1020020043045A 2002-07-22 2002-07-22 편향 요크용 수평코일 KR200400091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045A KR20040009198A (ko) 2002-07-22 2002-07-22 편향 요크용 수평코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045A KR20040009198A (ko) 2002-07-22 2002-07-22 편향 요크용 수평코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198A true KR20040009198A (ko) 2004-01-31

Family

ID=3731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045A KR20040009198A (ko) 2002-07-22 2002-07-22 편향 요크용 수평코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9198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4712A (en) * 1977-08-24 1979-03-14 Hitachi Ltd Deflection yoke
JPH02230632A (ja) * 1989-01-30 1990-09-13 Philips Gloeilampenfab:Nv 画像表示管のサドル形偏向コイルの製造方法
JPH05234535A (ja) * 1992-02-24 1993-09-10 Hitachi Mizusawa Electron Co Ltd 陰極線管画像表示装置
JPH10326578A (ja) * 1997-05-27 1998-12-08 Hitachi Ltd 偏向ヨーク
JP2001319593A (ja) * 2000-05-11 2001-1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向ヨー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0110599A (ko) * 2000-06-07 2001-12-13 전형구 편향코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4712A (en) * 1977-08-24 1979-03-14 Hitachi Ltd Deflection yoke
JPH02230632A (ja) * 1989-01-30 1990-09-13 Philips Gloeilampenfab:Nv 画像表示管のサドル形偏向コイルの製造方法
JPH05234535A (ja) * 1992-02-24 1993-09-10 Hitachi Mizusawa Electron Co Ltd 陰極線管画像表示装置
JPH10326578A (ja) * 1997-05-27 1998-12-08 Hitachi Ltd 偏向ヨーク
JP2001319593A (ja) * 2000-05-11 2001-1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向ヨー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0110599A (ko) * 2000-06-07 2001-12-13 전형구 편향코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09198A (ko) 편향 요크용 수평코일
KR20020009437A (ko) 편향요크 및 이것을 구비한 음극선관장치
KR100431411B1 (ko) 편향요크
KR100431262B1 (ko) 편향요크
KR100443742B1 (ko) 편향요크
KR100431265B1 (ko) 편향요크
KR20030060627A (ko) 편향요크
KR100431261B1 (ko) 편향요크
KR100331837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56297B1 (ko) 편향요크
KR200365175Y1 (ko) 편향요크용 코일스페이서 구조
KR20030056043A (ko) 편향요크
KR20010084389A (ko) 편향요크
KR20030046576A (ko) 편향요크
KR20020040371A (ko) 편향요크
KR20030053889A (ko) 편향요크
KR20030054852A (ko) 편향요크
KR20030034865A (ko) 편향요크
KR20020049117A (ko) 편향요크
JP2002042692A (ja) 偏向ヨークおよびこれを備えた陰極線管装置
KR20010006385A (ko) 안장 형상의 컬러 선택 전극을 포함하는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0049155A (ko) 편향요크용 편향코일
KR20050082343A (ko) 편향요크
KR20030010379A (ko) 편향요크
KR20030010381A (ko) 편향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