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6452A - 자흡식 펌프용 개량 임펠러 및 그 조립 구조체와 이를포함하는 자흡식 펌프 - Google Patents

자흡식 펌프용 개량 임펠러 및 그 조립 구조체와 이를포함하는 자흡식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6452A
KR20040006452A KR1020020040742A KR20020040742A KR20040006452A KR 20040006452 A KR20040006452 A KR 20040006452A KR 1020020040742 A KR1020020040742 A KR 1020020040742A KR 20020040742 A KR20020040742 A KR 20020040742A KR 20040006452 A KR20040006452 A KR 20040006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annular
rim
self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0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4057B1 (ko
Inventor
맹기호
맹소희
Original Assignee
맹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재석 filed Critical 맹재석
Priority to KR10-2002-0040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4057B1/ko
Publication of KR20040006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6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0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9/00Priming; Preventing vapour lock
    • F04D9/02Self-prim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205Conventional flow pattern
    • F04D29/2222Construction and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4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04D29/4293Details of fluid inlet or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흡식 펌프용 개량 임펠러 및 그 조립 구조체와 이를 포함하는 자흡식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는 축공을 포함하는 코어부, 코어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연장되는 직선상의 다수의 방사상 제1 배플에 의해 내주연이 연결되는 제1 림 및 제1 림과 동일 중심을 가지며 다수의 직선상 제1 배플 형성면의 상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각각 당접하여 위치하고 제1 림보다 작은 직경의 제2 림으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자흡식 펌프는 흡입 개구 및/또는 토출 개구가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케이싱과,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와, 하나 또는 복수의 환형 부재와, 임펠러 구동 수단으로 구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자흡식 펌프용 개량 임펠러는 비폐색형 또는 세미폐색형으로서 회전시 강한 흡입압 및 토출압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유체 중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폐색의 우려가 거의 없고, 이 임페러를 적용한 본 발명의 펌프 조립 구조체와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직결식 펌프는 소음과 진동이 적으며,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상대적으로 큰 양정 및 현격히 증대된 토출압 및 토출 유량을 나타내며, 유지보수 시 배관의 해체 없이도 펌프 내부의 점검이 가능하고, 초기 작동 시 마중물의 도입이 불필요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신뢰성이 높다.

Description

자흡식 펌프용 개량 임펠러 및 그 조립 구조체와 이를 포함하는 자흡식 펌프{IMPROVED IMPELLER FOR SELF-PRIMIMG PUMP, ASSEMBLY STRUCTURE THEREOF AND SELF-PRIMIMG PUMP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흡식 펌프용 개량 임펠러 및 그 조립 구조체와 이를 포함하는 자흡식 펌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고양정이고 토출 유량이 높으며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내구성이 양호한 자흡식 펌프용 복수단 임펠러 및 그 조립 구조체와 이를 포함하는 자흡식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는 특히 모터, 엔진, 터빈 등의 구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액체나 기체 등과 같은 유체를 관을 통해서 수송하거나, 저압의 용기 속에 있는 유체를 관을 통하여 고압의 용기 속으로 압송하는 유체기계를 말한다. 펌프는 초기에 탄광의 배수용, 선박용, 양수용으로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지금은 건물용, 상수도용, 하수도용, 배수용, 농업관개용, 공업용수용, 발전소용, 각종 플랜트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펌프는 물뿐만 아니라 석유나 각종 약품 또는 펄프, 점조성 슬러지 등과 같은 특수한 유체의 수송에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펌프는 그 구조에 따라 왕복펌프, 로터리(회전)펌프, 원심펌프, 축류펌프,마찰펌프 및 기타 펌프로 대별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서는 급수펌프, 얕은 우물펌프, 깊은 우물펌프 등으로 분류될 때도 있고, 또한 용기 속에 있는 공기나 그 밖의 가스를 흡출하여 진공을 만드는 장치는 특별히 진공펌프라 한다.
또한, 펌프의 초기 작동시 마중물(priming)을 필요로 하는 비자흡식 펌프와 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흡식 펌프로 대별될 수도 있다.
종래의 자흡식 펌프에 대한 일례를 도 7에 나타내며, 이러한 종래의 자흡식 펌프는 흡입공(31)과 토출공(32)을 갖는 상부 케이싱(30), 방사상 날개 및 림을 갖는 단일 단(single stage: 單一段) 임펠러(40), 환형 홈(21)을 갖는 하부 케이싱(20) 및, 모터(10)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싱(20)의 중앙을 관통하는 모터(10)의 축(11)은 키이(12)를 개재하여 임펠러(40)의 축공(42) 및 키이 삽입홈(41)에 삽지된다. 고정나사(35)는 상부 케이싱(30) 및 하부 케이싱(20)의 플랜지부를 나사 결합시키게 되며, 미설명 부호 36은 드레인콕이다.
이러한 종래의 자흡식 펌프의 작동 관계를 도시된 예를 통하여 설명하면, 모터(10)에 의하여 임펠러(4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부 케이싱(30)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 흡입개구(미도시) 부분에 음압이 걸려 물이 흡입되며 흡입된 물은 임펠러(40) 반대쪽의 하부 케이싱(20)의 환형 홈(21)을 따라 이송된 후, 상부 케이싱(30)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 토출개구(미도시) 부분으로 나온 다음, 토출공(32)을 통하여 압출된다.
다른 변형예에서는 상기한 도 7의 구성에서 상부 케이싱에도 환형 홈을 형성시켜 두거나, 또는 임펠러의 하부 케이싱에 대향하는 임펠러의 일면을 폐쇄면으로 형성하고 폐쇄면의 몇몇 개소에 유체 통과용 원형 통공을 복수개 천공시켜 두거나, 또는 상부 케이싱에만 환형 홈을 형성시켜 두고 임펠러의 하부 케이싱에 대향하는 임펠러의 일면을 폐쇄면으로 형성시키고 하부 케이싱에는 환형 홈을 형성시키지 않거나 하는 등의 구성도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자흡식 펌프들은 그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 면적이 작고 초기 작동을 위한 마중물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은 있으나, 어느 것이나 모두 단일 단 임펠러와 환형 홈 구성을 채택하고 있는 관계로 상대적으로 양정이 낮고 토출압 및 토출 유량이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고 설치 면적이 작으면서도 보다 큰 양정과 높은 토출압 및 큰 토출 유량을 갖는 보다 효율성이 높은 자흡식 펌프가 오랫동안 당업계에 요망되어 왔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회전 시 강한 흡입압 및 토출압을 발생시킬 수가 있으며, 비폐색형(non-clog)으로서 유체 중에 고형의 이물질이나 오염물이 존재하더라도 펌프 작동시 폐색 현상에 대한 우려가 거의 없는 개량된 자흡식 펌프용 임펠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상대적으로 큰 양정 및 현격히 증대된 토출압 및 토출 유량을 나타낼 수가 있으며, 유지보수시 배관의 해체 없이 펌프 내부의 점검이 가능하고, 초기작동 시 마중물의 도입이 불필요하여사용이 간편하고 신뢰성이 있으며, 소음과 진동이 적은 장점이 있는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에 따른 개량된 자흡식 펌프용 임펠러를 수용하는 자흡식 펌프 조립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상기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에 따른 개량된 조립 구조체를 포함하는 자흡식 펌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일체형 또는 분리형(비일체형)의 복수단 임펠러에 의해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한 복수단 임펠러와 환형 부재 및, 이를 수용하는 상하부 케이싱으로 구성되는 개량된 자흡식 펌프용 임펠러 수용 조립 구조체에 의해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상기한 개량된 자흡식 펌프용 임펠러 수용 조립 구조체와 임펠러 회전 수단을 포함하는 자흡식 펌프에 의해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자흡식 펌프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서의 조립된 A부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자흡식 펌프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단(plural stage:複數段) 임펠러의 사시도이다.
도 1d는 도 1a의 자흡식 펌프에 사용되는 환형 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상부 케이싱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e는 환형 부재가 미장착된 상태의 도 1d의 상부 케이싱의 저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의 자흡식 펌프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나타낸 복수단 임펠러의 평면도이다.
도 2c는 도 2b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a의 자흡식 펌프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복수단 임펠러가 적용되는 경우의 상부 케이싱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자흡식 펌프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자흡식 펌프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의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자흡식 펌프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자흡식 펌프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요부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가 아울러 도시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임펠러가 적용되는 하부 케이싱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단일 단(single stage) 임펠러를 수용하는 종래의 자흡식 펌프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a~1f: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
2: 제1 이단 임펠러 3: 제2 이단 임펠러
4: 제1 림 4a: 제2 림
5: 제1 방사상 배플 5a: 제2 방사상 배플
6: 코어부 7: 축공
7a: 키이 홈 8: 나사공 형성부
9,91,92: 중간 플레이트 9a: 나사공
9b: 플랜지 9c,9d: 환형공
10,10a: 환형 부재 11: 나사공
20: 상부 케이싱
21: 흡입공 21a: 환형 흡입 개구
22: 토출공 22a: 환형 토출 개구
23: 나사공 24: 오목공
25: 플랜지 27: 돌출 바닥부
28: 바닥부 28a: 환형 공간부
30: 하부 케이싱
31: 플랜지 32: 나사공
33: 축공 34: 토출공
34a: 환형 토출 개구 35: 바닥부
36: 돌출부 37a: 환형 흡입 개구
40: 연결 플레이트 50: 하우징
60: 커플러 70: 구동수단(모터)
81: 큰 고정나사 82: 환형부재 고정나사
83: 구름베어링용 너트 84: 키이
85: 축 86: 멈춤링
87: 메카니칼씰 88: 베어링
89: 멈춤링
100,100a,100b: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자흡식 펌프
2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조립 구조체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자흡식 펌프(100)의 요부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흡식 펌프(100)는 복수단 임펠러(1), 상부 케이싱(20), 환형부재(10,10a), 하부 케이싱(30) 및, 임펠러 구동 수단(70)으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를 도 1a의 자흡식 펌프에 사용되는복수단 임펠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인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복수단 임펠러(1)는 제1 이단 임펠러(2)와 제2 이단 임펠러(3)로 구성되며, 각각의 이단 임펠러(2,3)는 큰 직경의 제1 림(4)과 작은 직경의 제2 림(4a), 키이홈(도면부호 미부여)을 갖는 축공(7)을 포함하는 원통상 코어부(도면부호 미부여), 상기한 코어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상기한 큰 직경의 제1 림(4)의 내주연까지 연장되는 다수의 경사각이 없는 직선상의 제1 방사상 배플(5) 및 상기한 코어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상기한 작은 직경의 제2 림(4a)의 내주연까지 연장되는 다수의 경사각이 없는 직선상의 제2 방사상 배플(5a)(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 구배 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형태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각과 경사 구배를 동시에 갖는 나선상의 깃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로 구성하여 양정 및 토출압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도 1a에 도시한 예에서는 직선상 제1 방사상 배플(5)과 직선상의 제2 방사상 배플(5a)이 상호 일치하는 동일 위치에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호 상이한 위치에 엇갈리게 교호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는 분리식의 비일체형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1 이단 임펠러(2)와 제2 이단 임펠러(3)가 상기한 큰 직경의 제1 림(4)에 형성된 복수개의 나사공 형성부(미도시)를 통하여 고정나사, 레이저 용접부 등과 같은 적절한 고정 수단(미도시)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나,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를 분리식이 아닌 일체형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도시된 예에서는 큰 직경의 제1림(4)이 단일 몸체로 일체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작은 직경의 2개의 제2 림(4a)도 상기한 제1 림(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작은 직경의 2개의 제2 림(4a)을 분리형으로 하고 상기한 제1 림(4) 상하의 동일 축선 상에 적절한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본 발명의 복수단 임펠러(1)는 전체가 접액부이므로, 우수한 방청성을 갖는 스테인레스강(SUS),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고강도 및 고경도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나 세라믹 소재, 고경도 방청 도금 처리된 탄소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b는 도 1a에서의 A부의 조립된 상태(본 발명에 따른 조립 구조체)에 대한 구체적인 횡단면도이며, 도 1d 및 도 1e는 각각 도 1a의 자흡식 펌프에 사용될 수 있는 상부 케이싱(20)의 저면 사시도 및 저면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도 1a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부 케이싱(20)은 그 주연부에 복수의 나사공(23)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으로 돌출된 플랜지(25)를 가지며, 그 상면에는 흡입공(21)과 토출공(22)이 형성되고, 상기한 흡입공(21)과 토출공(22)은 상부 케이싱(20)의 바닥면(28)에 개구되어 있는 환형 흡입 개구(21a)와 환형 토출 개구(22a)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한 상부 케이싱(20)의 상기한 흡입 개구(21a)와 토출 개구(22a)의 연장선상을 피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연장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저면 일측에는 환형 부재(10a)가 복수의 나사공(11)에 나합된 고정나사(82)에 의해 고정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에 있어서의 제1 이단 임펠러(2)의 제2 림(4a)의 외측면은 상기한 환형 부재(10a)의 원호상 내측면과 대향하게 위치된다.
하부 케이싱(30)은 그 주연부에 복수의 나사공(32)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31)를 가지며, 그 중앙 바닥부(35)에는 축공(33)이 관통되고, 상기한 환형 부재(10a)와 대응하는 일측 영역에는 다른 환형 부재(10)가 복수의 나사공(11)에 나합된 고정나사(82)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에 있어서의 제2 이단 임펠러(3)의 제2 림(4a) 외측면은 상기한 환형 부재(10)의 원호상 내측면과 대향하게 위치된다.
큰 고정나사(81)는 상기한 상부 케이싱(20)과 하부 케이싱(30) 및, 하부 케이싱(30) 하방의 연결 플레이트(40) 및, 커플러(60) 등이 수용되어 있는 하우징(50)을 동시에 고정하며, 모터 등과 같은 임의의 임펠러 구동 수단(70)은 상기한 하우징(5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부 케이싱(20)의 중앙부에는 도 1d 및 도 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공(24)을 형성하고 구름 베어링용 너트(83)를 개재하여 축(85)의 일단부가 위치하게 할 수도 있다. 축(85)은 키이(84)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복수단 임펠러(1)에 고정되어 함께 연동 회전하게 된다.
하부 케이싱(30)의 바닥부(35) 중앙에 형성되는 축공(33)을 통하여 삽입되는 축(85)의 외주연 일단부에는 멈춤링(86)이 삽지되고 그 하방에는 물과 유체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메카니칼씰(87)이 위치된다. 중간 플레이트(40)와 하우징(50) 사이의 축(85) 주위에는 베어링(88)이 설치되고, 하우징(50) 내부의 축 둘레에는 멈춤링(89)이 장착된다.
한편, 상기한 환형 부재(10,10a)의 길이는 상기한 상부 케이싱(20)의 각각의상기한 흡입 개구(21a)와 토출 개구(22a)의 대략 중앙에 이르는 반원상의 길이로부터 상기한 흡입 개구(21a)와 토출 개구(22a)의 단부에 이르는 1/3 원호상의 길이 까지 다양한 길이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한 환형 부재(10,10a)의 양단부의 형상은 직각 단부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원활한 유체 흐름과 그에 따른 진동 감소를 목적으로 양단부의 단부면을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상의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라운딩 처리된 곡선 구배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예에서는, 임펠러 구동 수단(70)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가 상부 케이싱(20)으로부터 하부 케이싱(30) 쪽으로 바라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부 케이싱(20)의 환형 흡입 개구(21a) 부분에 음압이 걸리게 되어 환형 부재(10a)의 3시 방향 단부 영역(상부 케이싱(20)의 정면으로부터 바라볼 때)으로부터 흡입공(21)과 환형 흡입 개구(21a)를 통하여 유체가 흡입되고, 흡입된 유체는 제1 이단 임펠러(2)의 제1 및 제2 방사상 배플(5,5a) 사이의 공간부를 통하여 회전하면서 가압되어 제2 이단 임펠러(3)의 제1 및 제2 방사상 배플(5,5a) 사이의 공간부로 빠져 나간 다음, 하부 케이싱(30)의 일측(상기한 환형 부재(10a)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환형 부재(10)의 9시 방향 영역에 위치하는 일측단부에 의하여 더욱 가압되어 제1 이단 임펠러(2)의 제1 및 제2 방사상 배플(5,5a) 사이의 공간부와 상기한 상부 케이싱(20)의 환형 토출 개구(22a)를 차례로 경유하여 토출공(22)으로 토출된다.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예에서는 흡입공(21)과 토출공(22)이 모두 상부 케이싱(20)에 형성되며, 본 발명의 복수단 임펠러(1)의 배플(5,5a)은 유체 중의 이물질이나 오염물에 의한 폐색이 방지될 수 있도록 양방으로 오픈되어 있는 비폐색형(non-clog type)이고, 환형 부재(10,10a)는 모두 동일한 방향 동일한 위치의 상호 대응하는 일측에 상호 대향하게 위치함을 주목할 필요가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도 1a의 자흡식 펌프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a)의 일부 절결 사시도와, 도 2a에 나타낸 복수단 임펠러(1a)의 평면도 및, 도 2b의 I-I선 단면도로서, 그 본질적인 구성은 전술한 도 1a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므로 주로 그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a)는 제1 이단 임펠러(2)와 제2 이단 임펠러(3)로 구성되며 각각의 이단 임펠러(2,3)는 큰 직경의 제1 림(4)과 작은 직경의 제2 림(4a)을 갖고 키이홈(7a)을 갖는 축공(7)을 포함하는 원통상 코어부(6)의 외주연으로부터 상기한 큰 직경의 제1 림(4)의 내주연까지 연장되는 다수의 경사각이 없는 직선상의 제1 방사상 배플(5)이 형성되는 점은 도 1a에 나타낸 경우와 동일하나, 상기한 코어부(6)의 외주연으로부터 상기한 작은 직경의 제2 림(4a)의 내주연까지 연장되는 제2 방사상 배플(5a)은 그 저면이 제1 방사상 배플(5)의 상면과 일치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로 직선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양정 및 토출압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유체 중의 고형 이물질이나 오염물질에 대한 커팅 효과를 갖게 구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한 다수의 경사 구배를 갖는 제2 방사상 배플(5a)의 경사각 또는 경사 구배는 당업자라면 필요로 하는 양정, 토출압, 유량 등과 관련한 펌프의 용도, 성능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설계적 사항에 불과한 것으로서, 가능한 다양한 임의의 구조 역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여기서, 제1 이단 임펠러(2)와 제2 이단 임펠러(3)는 큰 직경의 제1 림(4)에 소정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형성된 나사공 형성부(8)의 나사공(8)을 통하여 삽입되는 고정 나사(15)에 의하여 상호 계합 고정된다.
도 3a는 도 1a의 자흡식 펌프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b)의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복수단 임펠러가 적용되는 경우의 상부 케이싱(20)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로서, 그 구성은 도 1a 내지 1e의 구성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실질적인 상위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복수단 임펠러(1b)는 단 하나의 복수단 일체형 임펠러로 구성되며, 큰 직경의 하나의 제1 림(4)과 상기한 제1 림(4)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작은 직경의 2개의 제2 림(4a), 키이홈(미도시)을 갖는 축공(7)을 포함하는 원통상 코어부(6), 상기한 코어부(6)의 외주연으로부터 상기한 큰 직경의 제1 림(4)의 내주연까지 연장되는 다수의 직선상 방사상 배플(5)로 구성되며, 도 1a 및 도 1c에 도시한 복수단 임펠러(1)와는 달리, 코어부(6)의 외주연으로부터 상기한 작은 직경의 제2 림(4a)의 내주연까지 연장되는 다수의 제2 방사상 배플은 존재하지 않는다.
도시된 예에서는 복수단 임펠러(1b)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고정나사 등과 같은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도 3a의 복수단 임펠러(1b)가 적용되는 상부 케이싱(20)의 저면에는 작은 직경의 제2 림(4a)에 의하여 한정되는 영역 내에 돌출 바닥부(27)가 형성되며, 이 돌출 바닥부(27)의 외주연 일부와 환형 부재(10a)의 만곡 내측면 사이에 상기한 작은 직경의 림(4a)이 회전 자재하게 위치되는 환형 공간부(27a)가 형성된다. 환형 흡입 개구(21a)와 환형 토출 개구(22a)는 상기한 돌출 바닥부(27)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도 있는 축 선단 수용부인 원형 오목부(24)의 주연부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부 케이싱(20) 외부의 토출공과 흡입공은 상호 대향하는 위치 또는 상호 직교하는 위치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하부 케이싱의 저면에도 돌출 바닥부가 형성되어 환형 부재와의 사이에 다른 쪽의 작은 직경의 제2 림(4a)이 회전 자재하게 위치되는 환형 공간부가 설치됨은 물론이다.
도 4a에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자흡식 펌프(100a)의 요부 분해 사시도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자흡식 펌프(100a)는 도 1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복수단 임펠러(1c), 상부 케이싱(20), 환형부재(10,10a), 하부 케이싱(30) 및, 임펠러 구동 수단(7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c)를 도 4a의 자흡식 펌프(100a)에 사용되는 복수단 임펠러(1c)의 사시도인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한 복수단 임펠러(1c)는 제1 이단 임펠러(2)와 제2 이단 임펠러(3)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식 중간 플레이트(9)로 구성되며, 각각의 이단 임펠러(2,3)는큰 직경의 제1 림(4)과 작은 직경의 제2 림(4a), 키이홈(미도시)을 갖는 축공(7)을 포함하는 원통상 코어부(6), 상기한 코어부(6)의 외주연으로부터 상기한 큰 직경의 제1 림(4)의 내주연까지 연장되는 다수의 직선상 제1 방사상 배플(5) 및 상기한 코어부(6)의 외주연으로부터 상기한 작은 직경의 제2 림(4a)의 내주연까지 연장되는 다수의 직선상 제2 방사상 배플(5a)(도시된 예에서는 제2 방사상 배플(5a)이 경사각이 없는 직선상의 플랫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경사각 및/또는 경사 구배를 갖는 직선상 또는 나선상의 깃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로 구성된다.
제1 이단 임펠러(2)와 제2 이단 임펠러(3)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식 중간 플레이트(9)는 큰 직경의 제2 림(4,4)의 외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9b)를 가지며, 플랜지(9b)에는 복수개의 나사공(9a)이 형성되어 상부 케이싱(20)과 하부 케이싱(30) 사이에 협지된 다음 큰 고정나사(예컨대, 도 1b에서의 도면부호 81)에 의해 동시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 이단 임펠러(2)와 제2 이단 임펠러(3)는 상호 독립적인 분리형으로 형성되고, 중간 플레이트(9)는 구동축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고정되며, 작은 직경의 제2 림(4a)의 내주연 영역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는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작은 직경의 제2 림(4a)과 큰 직경의 제1 림(4) 사이의 일영역에 유체 통과용 환형공(9c)이 아울러 형성된다. 제1 이단 임펠러(2)와 제2 이단 임펠러(3)의 직선상 제2 방사상 배플(5a,5a)은 정확히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방사상 배플(5a,5a)은 경사각 및/또는 경사 구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이 경우 제2 방사상 배플(5a,5a)의 저면과 상면은 각각 상호 대향하는 동일 위치에 형성되나 경사각 및/또는 경사 구배는 조립된 상태에서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제1 이단 임펠러(2)와 제2 이단 임펠러(3) 각각의 제1 방사상 배플(5)과 제2 방사상 배플(5a) 및 제2 림(4a)은 상호 일체형 또는 나사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분리형의 어느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도 4a로 환원하여 도 1a와 실질적으로 상위한 점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부 케이싱(20)에는 흡입공(21)과 환형 흡입 개구(미도시) 만이 형성되며 토출공(34)과 환형 토출 개구(34a)는 하부 케이싱(30)에 형성되고, 환형 부재(10)와 환형 부재(10a)는 상호 대칭인 영역에 있어서의 임펠러(1c) 상하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 4a에 도시된 예에서는, 임펠러 구동 수단(70)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c)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중간 플레이트(9)는 회전되지 않게 고정), 상부 케이싱(20)의 3시 방향 영역(상부 케이싱(20) 외측의 정면에서 볼 때)에 형성되는 환형 흡입 개구(미도시) 부분에 음압이 걸리게 되어 환형 부재(10a)의 3시 방향 영역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흡입공(21)과 환형 흡입 개구(미도시)를 통하여 유체가 흡입되고, 흡입된 유체는 환형 부재(10a)의 3시 방향 영역에 인접한 영역에서 가압되어 제1 이단 임펠러(2)의 제2 방사상 배플(5a) 사이의 공간부와 고정된 중간 플레이트(9) 중앙의 개구(미도시) 및 환형공(9c)를 경유하여 제2 이단 임펠러(3)의 제2 방사상 배플(5a) 사이의 공간부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빠져나간 후, 제2 이단 임펠러(3)의 제1 방사상 배플(5) 사이의 공간부를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부 케이싱(30)의 일측(상기한 환형 부재(10a)와 선대칭인 영역에 대응하는 하방의 위치)에 설치된 환형 부재(10)의 3시 방향 일측단부에 의하여 더욱 가압되어 상기한 하부 케이싱(30)의 3시 방향 영역에 형성되는 환형 토출 개구(34a)를 경유하여 토출공(34)으로 토출된다. 결과적으로, 상부 케이싱(20)의 흡입공(21)을 통하여 흡입되는 유체는 하부 케이싱(30)의 토출공(34)을 통하여 이송된다.
도 4a에 도시된 예에서는 흡입공(21)과 토출공(34)이 상부 케이싱(20) 및 하부 케이싱(30)에 각각 형성되며, 본 발명의 복수단 임펠러(1c)는 배플(5a)이 유체 중의 이물질이나 오염물에 의한 폐색이 방지될 수 있도록 마찬가지로 양방으로 오픈되어 있는 반면 배플(5)은 중간 플레이트(9)에 의해 부분적으로 폐색되어 있어서 보다 강한 흡입 및 가압력을 발휘할 수가 있는 세미폐색형(semiclog type)이고, 환형 부재(10) 및 (10a)는 각각 임펠러(1c)의 전후 방향으로 선대칭인 영역에 위치함을 주목할 필요가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4a에 도시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본 발명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d)를 도 4c에 나타낸다.
도 4c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d)의 기본 구성은, 중간 플레이트(9)의 외주연이 제1 및 제2 이단 임펠러(2,3)의 외주연과 일치되며, 이들은 고정나사(15) 등에 의해 함께 고정되어 있어서, 중간 플레이트(9)도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게 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4a에 나타낸 본 발명의 복수단 임펠러(1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중간 플레이트(9)와 제1 및 제2이단 임펠러(2,3)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제2 림(4a,4a)에 의해 한정되는 중간 플레이트(9)의 중앙 영역은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점도 동일하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제1 림(4)과 제2 림(4a) 사이의 일 영역에 유체 통과용 환형공(9c)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변형된 본 발명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로서는 제1 및 제2 이단 임펠러(2,3)의 제2 림(4a,4a) 중 어느 하나 또는 양방 모두에 제2 방사상 배플(5a)을 형성시키지 않은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을 들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임은 물론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양흡입 양토출 형태의 자흡식 펌프(100b)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요부인 본 발명에 따른 조립 구조체(200)에 대한 분해 사시도로서,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한 예와 본질적인 구성은 동일하므로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에 도시한 본 발명의 양흡입 양토출 형태의 자흡식 펌프(100b)는 펌프 조립 구조체(200)와 모터 등과 같은 구동 수단(70), 커플러(60) 및, 선택적 구성 요소로서의 베드(80)로 구성된다.
도 5b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펌프 조립 구조체(200)는 흡입공(21)과 연통되는 환형 흡입 개구(21a)와 토출공(34)과 연통되는 환형 토출 개구(21b)를 함께 갖는 상부 케이싱(20),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e), 상기한 임펠러(1e) 사이에 개재되는 단 하나의 환형 부재(10), 흡입공(21)과 연통되는 환형 흡입 개구(34b)와 토출공(34)과 연통되는 환형 토출 개구(34a)를 함께 갖는 하부 케이싱(30)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복수단 임펠러(1e)는 2매 일 세트로 구성되며 각각의 이단 임펠러(2,3)는 단 하나의 환형 부재(10)을 중심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며 상호 분리형 또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방사상 배플(5,5a)은 각각 경사각 및/또는 경사 구배가 없는 직선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각각의 임펠러(2,3)의 방사상 배플(5a)이 각각 경사각 및/또는 경사 구배를 가지며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예에서는, 흡입공(21)과 토출공(34)이 오목공(24) 및 축공(33)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의 상부 케이싱(20) 및 하부 케이싱(30) 상에 각각 동시에 형성되며, 본 발명의 복수단 임펠러(1e)는 배플(5,5a)이 유체 중의 이물질이나 오염물에 의한 폐색이 방지될 수 있도록 양방으로 오픈되어 있는 비폐색형(non-clog type)이고, 단일 환형 부재(10)는 각각의 이단 임펠러(2) 및 (3) 사이의 영역에 고정되며 환형 부재(10)는 그 외측면에 형성되는 나사공(11)을 통하여 상부 케이싱(20) 및/또는 하부 케이싱(30)의 플랜지(25,31) 내주연부에 나사 고정된다. 또한, 상기한 단일 환형 부재(10)의 양단부는 직각 단부면으로 또는 소음 저감을 위해 쐐기 형상 또는 라운드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예에서는, 임펠러 구동 수단(70)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e)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부 케이싱(20) 및 하부 케이싱(30)의 9시 방향 영역(상부 케이싱(20) 정면의 외측으로부터 바라볼 때)에 각각 하나씩 총 2개로 형성되는 환형 흡입 개구(21a) 및 (34b) 부분에 동시에 음압이 걸리게 되어 환형 부재(10)의 9시 방향 영역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흡입공(21)과 환형 흡입 개구(21a,34b)를 통하여 유체가 동시에 흡입되어 임펠러(2,3)의 방사상 배플(5,5a) 사이의 공간부를 통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유입되고, 환형 부재(10)의 3시 방향 영역에 인접한 영역에서 가압되어 임펠러(2,3)의 방사상 배플(5,5a) 사이의 공간부로부터 상부 케이싱(20) 및 하부 케이싱(30)의 3시 방향 영역에 각각 하나씩 총 2개로 형성되는 환형 토출 개구(21b) 및 (34a)를 경유하여 하나의 토출공(34)으로 토출된다. 결과적으로, 상부 케이싱(20) 및 하부 케이싱(30)과 동시에 연통되는 흡입공(21)을 통하여 흡입되는 유체는 상부 케이싱(20) 및 하부 케이싱(30)과 동시에 연통되는 토출공(34)을 통하여 이송된다.
따라서, 단흡입 단토출 형태의 자흡식 펌프에 비하여 훨씬 더 높은 양정 및 토출압과 토출 유량을 갖는 고효율의 자흡식 펌프를 구현할 수가 있게 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f)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임펠러(1f)가 적용되는 하부 케이싱(30)의 횡단면도로서, 그 구성은 전술한 다양한 예의 구성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실질적인 상위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에 도시한 본 발명의 복수단 임펠러(1a)와 비교하여 도 6a의 임펠러(1e)는 코어부(6)로부터 제2 림(4a)로 연장되는 제2 배플(5a)이 방사상이 아닌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고점도 유체의 이송에 특히 적합한 형태를 하고 있다. 또한, 제2 림(4a)의 수평 방향 길이가 제1 림(4)의 수평 방향 길이보다 상대적으로훨씬 더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강력한 이송력을 발휘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으며, 하부 케이싱(30)도 이러한 형태의 복수단 임펠러(1e)의 제2 림(4a) 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1 바닥부(35)의 중앙부가 원통상 벽체(37)에 의하여 다시 제2 바닥부(35a)를 형성하고 있으며, 제2 바닥부(35a)의 중앙에는 축공(33)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부 케이싱도 이와 유사한 형태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환형 흡입 개구 및 환형 토출 개구가 형성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한 복수단 임펠러(1e)를 회전시키면 액체는 도 1a에서의 임펠러(1)와 동일한 형상의 임펠러에 의하여 생성되는 원심력에 의하여 도면에서 좌측의 제2 림(4a) 내부의 나선상 제2 배플(5a)을 통하여 높은 속도로 흡입되고 이 속도 에너지는 도면에서 우측의 제2 림(4a) 내부의 나선상 제2 배플(5a)을 통하여 높은 압력 에너지로 변환되어 토출되므로, 고점도 유체의 이송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흡식 펌프용 개량 임펠러는 회전 시 강한 흡입압 및 토출압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양방이 오픈된 비폐색형(non-clog) 또는 세미폐색형(semiclog)으로서 이송 대상 유체 중에 고형의 이물질이나 오염물이 존재하더라도 펌프 작동시 폐색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거의 없으며,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 구조체와 구동 수단으로서의 모터를 직결식으로 연결할 수가 있으므로 이 경우 소음과 진동이 적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상대적으로 큰 양정 및 현격히 증대된 토출압 및 토출 유량을 나타낼 수가 있으며, 유지보수시 배관의 해체없이도 펌프 내부의 점검이 가능하고, 초기 작동시 마중물의 도입이 불필요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신뢰성이 높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체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임을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Claims (11)

  1. 축공을 포함하는 코어부;
    상기한 코어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연장되는 직선상의 다수의 방사상 제1 배플에 의해 내주연이 연결되는 제1 림; 및
    상기한 제1 림과 동일 중심을 가지며 상기한 다수의 직선상 배플 형성면의 상하면 중 적어도 1면에 당접하여 위치하고 상기한 제1 림보다 작은 직경의 제2 림으로 구성되는
    자흡식(self-primimg) 펌프용 복수단 임펠러(plural impeller).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 림이 코어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방사상 제2 배플에 의해 연결되는 자흡식 펌프용 복수단 임펠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수의 방사상 제2 배플 각각은 상기한 다수의 방사상 제1 배플 각각과 동일 위치에서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흡식 펌프용 복수단 임펠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수의 방사상 제2 배플 각각은 상기한 다수의 방사상 제1 배플과 각각과 연결되며, 경사각이 없는 직선상, 나선상, 일정한 경사각을 갖는 직선상, 또는 일정한 경사 구배를 갖는 곡선상으로 형성되는 자흡식 펌프용복수단 임펠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복수단 임펠러가 제1 이단 임펠러와 제2 이단 임펠러로 구성되며, 각각의 이단 임펠러는 큰 직경의 제1 림과 작은 직경의 제2 림, 축공을 포함하는 원통상 코어부, 상기한 코어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상기한 큰 직경의 제1 림 및 작은 직경의 제2 림의 내주연까지 연장되는 다수의 방사상 제1 배플 및 다수의 제2 배플을 가지며, 상기한 제1 이단 임펠러와 제2 이단 임펠러는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분리형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자흡식 펌프용 복수단 임펠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이단 임펠러와 제2 이단 임펠러 사이에 일치하는 외주연을 갖는 중간 플레이트가 개재(介在)되고, 상기한 중간 플레이트는 상기한 제2 림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이 개구되고, 상기한 제1 림과 제2 림 사이의 일 영역에 유체 통과용 환형공이 형성되고, 상기한 환형공은 환형 토출 개구에 대응하는 영역 상에 형성되는 자흡식 펌프용 복수단 임펠러.
  7. 흡입 개구에 대칭으로 위치하는 토출 개구를 가지며, 상기한 흡입 개구와 토출 개구의 연장선과 직교하는 선상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내주연 일측에 장착되는 환형 부재를 갖는 상부 케이싱과;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기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복수단 임펠러와;
    중앙에 축공을 가지며 내주연 일측에 장착되는 환형 부재를 갖는 하부 케이싱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임펠러의 제2 림의 외주연이 상기한 2 매의 환형부재의 원호상 내측면과 대향하게 위치하며, 상기한 상부 케이싱에 장착되는 환형부재와 상기한 하부 케이싱에 장착되는 환형부재가 동일한 방향으로 상호 대응하는 동일한 일측 영역에 위치하는 자흡식 펌프 조립 구조체.
  8. 흡입 개구를 가지며, 상기한 흡입 개구에 인접한 일측 상방에 일단부가 위치하도록 그 내주연 일측에 장착되는 환형 부재를 갖는 상부 케이싱과;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기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와;
    토출 개구와 축공을 가지며 상기한 토출 개구에 인접한 일측 하방에 일단부가 위치하도록 그 내주연 일측에 장착되는 환형 부재를 갖는 하부 케이싱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임펠러의 제2 림의 외주연이 상기한 환형 부재의 원호상 내측면과 대향하게 위치하며, 상기한 상부 케이싱에 장착되는 환형부재와 상기한 하부 케이싱에 장착되는 환형부재가 각각 상기한 임펠러의 전후 방향에서 상호 대칭으로 대향하게 위치하며, 상기한 흡입 개구와 토출 개구는 상기한 임펠러의 축공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하게 위치하는 자흡식 펌프 조립 구조체.
  9. 환형 흡입 개구 및 환형 토출 개구를 갖는 상부 케이싱과;
    축공을 포함하는 코어부와, 상기한 코어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연장되는 직선상의 다수의 방사상 제1 배플에 의해 내주연이 연결되는 제1 림과, 상기한 코어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연장되는 직선상의 다수의 방사상 제2 배플에 의해 내주연이 연결되는 상기한 제1 림의 일면에만 형성되는 상기한 제1림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하나의 제2 림으로 구성되는 복수단 임펠러 2매를 1조로 형성되며,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한 복수단 임펠러와;
    환형 흡입 개구 및 환형 토출 개구와 축공을 갖는 하부 케이싱과;
    상기한 상부 케이싱 및/또는 하부 케이싱의 플랜지 내주연에 고정되며 상기한 2매 1조의 복수단 임펠러의 소정 간격 사이에 위치하는 단 하나의 환형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한 상부 케이싱의 환형 흡입 개구 및 상기한 하부 케이싱의 환형 흡입 개구는 동일한 방향으로 상호 대응하는 동일한 일측 영역에 위치하여 하나의 흡입 개구와 동시에 연통되고, 상기한 상부 케이싱의 환형 토출 개구 및 상기한 하부 케이싱의 환형 토출 개구는 동일한 방향으로 상호 대응하는 동일한 일측 영역에 위치하여 하나의 토출 개구와 동시에 연통되며,
    상기한 상부 케이싱 및 하부 케이싱 각각에 형성되는 환형 흡입 개구와 환형 토출 개구는 상기한 복수단 임펠러의 축공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게 위치하고, 상기한 환형부재의 양 단부는 각각 상기한 환형 흡입 개구 및 환형 토출 개구에 인접한 상방 및 하방 영역에 각각 위치하는
    양흡입 양토출 형태의 자흡식 펌프 조립 구조체.
  10. 내주연 일측에 환형 부재가 장착되는 제1 케이싱;
    축공과 상기한 축공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하게 위치하는 환형 흡입 개구 및 환형 토출 개구를 갖는 제2 케이싱;
    상기한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로 구성되며,
    상기한 복수단 임펠러의 코어부 외주면이 상기한 제1 케이싱에 장착되는 환형 부재의 원호상 내측면과 대향하게 위치하며, 상기한 원형 부재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한 제2 케이싱의 흡입 개구 및 토출 개구에 인접한 상방 또는 하방 영역에 위치하는 자흡식 펌프 조립 구조체.
  11. 상기한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흡식 펌프 조립 구조체와 임펠러 회전용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자흡식 펌프.
KR10-2002-0040742A 2002-07-12 2002-07-12 자흡식 펌프용 개량 임펠러 및 그 조립 구조체와 이를포함하는 자흡식 펌프 KR100484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742A KR100484057B1 (ko) 2002-07-12 2002-07-12 자흡식 펌프용 개량 임펠러 및 그 조립 구조체와 이를포함하는 자흡식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742A KR100484057B1 (ko) 2002-07-12 2002-07-12 자흡식 펌프용 개량 임펠러 및 그 조립 구조체와 이를포함하는 자흡식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452A true KR20040006452A (ko) 2004-01-24
KR100484057B1 KR100484057B1 (ko) 2005-04-20

Family

ID=37316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0742A KR100484057B1 (ko) 2002-07-12 2002-07-12 자흡식 펌프용 개량 임펠러 및 그 조립 구조체와 이를포함하는 자흡식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40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304A (ko) * 2014-05-27 2015-12-07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맥동 저감을 위한 자동변속기용 더블 오일 펌프
KR20160134286A (ko) * 2015-05-15 2016-11-23 정관영 자기복원성 젤 형상을 가지는 필-오프 타입의 고무 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4955409A (zh) * 2022-07-07 2022-08-30 湛江市恒润机械有限公司 刮料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6287B2 (en) 2017-12-04 2022-12-27 Hanwha Power Systems Co., Ltd Dual impell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1271Y2 (ko) * 1975-12-16 1980-07-25
JPS5653109Y2 (ko) * 1976-06-26 1981-12-10
JPS6129090U (ja) * 1984-07-26 1986-02-21 共同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自吸ポンプのインペラ−
KR0119717Y1 (ko) * 1996-01-20 1998-07-15 오완식 수중펌프용 임펠러유니트
JPH116488A (ja) * 1997-06-16 1999-01-12 Kayseven Co Ltd ベーンポンプ
KR19990033663U (ko) * 1999-05-11 1999-08-16 김정렬 진공펌프
KR200197730Y1 (ko) * 2000-04-08 2000-09-15 주식회사성보기전 자흡식 이중 임펠라형 수중폭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304A (ko) * 2014-05-27 2015-12-07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맥동 저감을 위한 자동변속기용 더블 오일 펌프
KR20160134286A (ko) * 2015-05-15 2016-11-23 정관영 자기복원성 젤 형상을 가지는 필-오프 타입의 고무 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4955409A (zh) * 2022-07-07 2022-08-30 湛江市恒润机械有限公司 刮料装置
CN114955409B (zh) * 2022-07-07 2023-11-03 湛江市恒润机械有限公司 刮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4057B1 (ko)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4257B2 (en) Self-priming centrifugal pump
USRE39228E1 (en) Field-serviceable solids-handling vertical turbine pump
US5522701A (en) Vertical barrel pump
JPH08312577A (ja) 回転液体ポンプとそのためのインペラ・軸組立体および可撓インペラポンプ組立体
EP1743101B1 (en) Centrifugal pum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94847B1 (ko) 스프르트 펌프
KR100484057B1 (ko) 자흡식 펌프용 개량 임펠러 및 그 조립 구조체와 이를포함하는 자흡식 펌프
KR101607428B1 (ko) 디스크 임펠러를 구비한 펌프
AU2020223675A1 (en) Pump for conveying a fluid
CN102852801A (zh) 节段式多级泵
KR100484058B1 (ko) 자흡식 펌프용 복수단 임펠러 및 그 조립 구조체와 이를 포함하는 자흡식 펌프
KR100951430B1 (ko) 자흡식 터보펌프
US2887958A (en) Pump
KR910010066A (ko) 가스제거 기능을 갖는 액체펌프
KR200302973Y1 (ko) 자흡식 펌프용 복수단 임펠러
US5071317A (en) Centrifugal pump having a unitary one-piece diffusion casing and a unitary one piece turbine impeller unit
CN100398830C (zh) 液环式泵
US2431221A (en) Centrifugal pump
KR100320288B1 (ko) 전주류형펌프
US6561765B2 (en) Fuel pumps with reduced contamination effects
CA1313974C (en) Impeller
JP2004036707A (ja) 樹脂軸受、及び該樹脂軸受を組み込んだ両吸込渦巻ポンプ
KR200324990Y1 (ko) 자흡식 펌프용 복수단 임펠러
JPH10205482A (ja) マグネット駆動ポンプ
WO2005068844A1 (en) Improved impeller for self-priming pump, assembly structure thereof and self-priming pump contain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