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973Y1 - 자흡식 펌프용 복수단 임펠러 - Google Patents

자흡식 펌프용 복수단 임펠러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973Y1
KR200302973Y1 KR20-2002-0032744U KR20020032744U KR200302973Y1 KR 200302973 Y1 KR200302973 Y1 KR 200302973Y1 KR 20020032744 U KR20020032744 U KR 20020032744U KR 200302973 Y1 KR200302973 Y1 KR 2003029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extension
rim
self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7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기호
맹소희
Original Assignee
맹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기호 filed Critical 맹기호
Priority to KR20-2002-00327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9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9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9/00Priming; Preventing vapour lock
    • F04D9/02Self-prim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4V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흡식 펌프용 개량 임펠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고양정이고 토출 유량이 높으며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내구성이 양호하며, 고점도 유체의 이송에 특히 적합한 자흡식 펌프용 복수단 임펠러에 관한 것으로서,
이 임펠러는 축공을 포함하는 코어부와 상기한 코어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연장되는 직선상의 다수의 방사상 배플에 의해 내주연이 연결되는 메인림으로 구성되는 제1 임펠러와; 메인림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방사상 배플을 갖지 않는 원형의 연장림으로 구성되며 제1 임펠러를 중간에 개재(介在)하는 2매의 제2 임펠러로 구성되며,
강한 흡입압 및 토출압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펌핑 초기 시 마중 유체의 도입이 불필요하고, 소음과 진동이 적으며,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상대적으로 큰 양정 및 현격히 증대된 토출압 및 토출 유량을 나타낼 수가 있고, 특히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에 의해 구성되는 하우징의 내측 모서리에 고점도 유체(예컨대, 고추장이나 된장, 고점성 중합체 등)가 들러붙는 일 없이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므로 고점도 유체의 이송에 특히 적합한 신뢰성이 높은 펌프이다.

Description

자흡식 펌프용 복수단 임펠러{IMPELLER HAVING PLURAL STAGES FOR SELFPRIMIMG PUMP}
본 고안은 자흡식 펌프용 개량 임펠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고양정이고 토출 유량이 높으며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내구성이 양호하며, 고점도 유체의 이송에 특히 적합한 자흡식 펌프용 복수단 임펠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는 특히 모터, 엔진, 터빈 등의 구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액체나 기체 등과 같은 유체를 관을 통해서 수송하거나, 저압의 용기 속에 있는 유체를 관을 통하여 고압의 용기 속으로 압송하는 유체기계를 말한다. 펌프는 탄광의 배수용, 선박용, 양수용, 건물용, 상수도용, 하수도용, 배수용, 농업관개용, 공업용수용, 발전소용, 각종 플랜트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펌프는 물뿐만 아니라 석유나 각종 약품 또는 펄프, 점조성 슬러지 등과 같은 특수한 유체의 수송에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펌프는 그 구조에 따라 왕복펌프, 로터리(회전)펌프, 원심펌프, 축류펌프,마찰펌프 및 기타 펌프로 대별되며, 또한 펌프의 초기 작동시 마중물(priming)을 필요로 하는 비자흡식 펌프와 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흡식 펌프로 대별될 수도 있다.
종래의 단일 단 임펠러가 수용되는 종래의 자흡식 펌프에 대한 일례를 도 7에 나타내면, 이러한 종래의 자흡식 펌프는 흡입공(31)과 토출공(32)을 갖는 상부 케이싱(30), 방사상 날개 및 림을 갖는 단일 단(single stage: 單一段) 임펠러(40), 환형 홈(21)을 갖는 하부 케이싱(20) 및, 모터(10)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싱(20)의 중앙을 관통하는 모터(10)의 축(11)은 키이(12)를 개재하여 임펠러(40)의 축공(42) 및 키이 삽입홈(41)에 삽지된다. 고정나사(35)는 상부 케이싱(30) 및 하부 케이싱(20)의 플랜지부를 나사 결합시키게 되며, 미설명 부호 36은 드레인콕이다.
이러한 종래의 자흡식 펌프의 작동 관계를 도시된 예를 통하여 설명하면, 모터(10)에 의하여 임펠러(4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부 케이싱(30)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 흡입개구(미도시) 부분에 음압이 걸려 물이 흡입되며 흡입된 물은 임펠러(40) 반대쪽의 하부 케이싱(20)의 환형 홈(21)을 따라 이송된 후, 상부 케이싱(30)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 토출개구(미도시) 부분으로 나온 다음, 토출공(32)을 통하여 압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자흡식 펌프는 그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 면적이 작고 초기 작동을 위한 마중물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은 있으나, 어느 것이나 모두 단일 단 임펠러와 환형 홈 구성을 채택하고 있는 관계로 상대적으로 양정이 낮고 토출압 및 토출 유량이 적은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고점도 유체의 이송은 불가능하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고 설치 면적이 작으면서도 보다 큰 양정과 높은 토출압 및 큰 토출 유량을 갖으며, 특히 고점도 유체의 이송에 적합한 효율성 높은 자흡식 펌프가 오랫동안 당업계에 요망되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점도 유체의 이송을 위한 펌핑시 마중 유체의 도입이 불필요하며 회전 시 강한 흡입압 및 토출압을 발생시키면서도 소음과 진동이 적은 장점을 갖는 자흡식 펌프용 임펠러, 저점도 유체의 효율적인 이송은 물론, 특히 고점도 유체의 이송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가 있는 자흡식 펌프용 임펠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은 축공을 포함하는 코어부와 상기한 코어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연장되는 직선상의 다수의 방사상 배플에 의해 내주연이 연결되는 메인림으로 구성되는 제1 임펠러와; 상기한 메인림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방사상 배플을 갖지 않는 원형의 연장림으로 구성되는 2매의 제2 임펠러로 구성되고: 상기한 제1 임펠러는 상기한 2매의 제2 임펠러 사이에 개재(介在)되는 자흡식 펌프용 복수단 임펠러에 의해 원활히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복수단(plural stage:複數段) 임펠러가 적용된 조립체를 포함하는 자흡식 펌프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복수단 임펠러의 평면도이다.
도 2c는 도 2b의 복수단 임펠러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조립체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a에 나타낸 복수단 임펠러가 적용되는 경우의 상부 케이싱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복수단 임펠러가 적용되는 경우의 상부 케이싱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단일 단(single stage) 임펠러를 수용하는 종래의 자흡식 펌프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복수단 임펠러
2: 제2 임펠러 3: 제1 임펠러
4: 메인림 4b: 연장림
4c: 연장플랜지 4d: 홀
41: 연장부 5: 방사상 배플
6: 코어부 7,7a: 축공
7b: 키이 홈
10,10a: 환형 부재 12: 경사면
13: 단차홈
20: 상부 케이싱
21: 흡입공 21a: 환형 흡입 개구
22: 토출공 22a: 환형 토출 개구
23: 나사공 24: 오목공
28: 바닥부 28a: 돌출 바닥부
29: 이격홈
30: 하부 케이싱
31: 플랜지 32: 나사공
33: 축공 34: 토출공
35: 바닥부
50: 하우징 60: 커플러
70: 구동수단(모터) 82: 환형부재 고정나사
86: 멈춤링 87: 메카니칼씰
88: 베어링 89: 멈춤링
100: 자흡식 펌프 200: 펌프 조립 구조체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복수단(plural stage:複數段) 임펠러(1)가 적용된 조립체(200)를 포함하는 자흡식 펌프(100)의 요부 분해 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자흡식 펌프(100)는 복수단 임펠러(1), 상부 케이싱(20), 환형부재(10,10a), 하부 케이싱(30) 및, 임펠러 구동 수단(70)으로 구성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를 도 2a와, 도 2a에 있어서의 본 고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의 평면도인 도 2b 및, 도 2b의 I-I선 단면도인 도 2c를 도 1에 나타낸 임펠러(1)와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시된 예에서는 본 고안의 복수단 임펠러(1)가 제1 임펠러(3)와 2매의 제2 임펠러(2)로 구성되며, 상기한 제1 임펠러(3)는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 2매가 결합된 것이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한 제1 임펠러(3)는 상기한 2매의 제2 임펠러(2) 사이에 개재(介在)된다.
상기한 제1 임펠러(3)는 축공(7)(구체적으로는, 축공(7a)과 키이홈(7b)으로 구성 - 도 2b 참조)을 포함하는 코어부(6)와 상기한 코어부(6)의 외주연으로부터 연장되는 직선상의 다수의 방사상 배플(5)에 의해 내주연이 연결되는 메인림(4)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제2 임펠러(2)는 상기한 메인림(4)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방사상 배플을 갖지 않는 원형의 연장림(4b)으로 구성되며, 2매의 상기한 연장림(4b)은 상기한 제1 임펠러(3)의 메인림(4)과 그 외주면이 상호 일치한다. 따라서, 상기한 제1 임펠러(3)는 상기한 2매의 제2 임펠러(2) 사이에 개재(介在)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제1 임펠러(3)에 형성되는 다수의 방사상 배플(5)은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메인림(4)과 수직하게 당접하도록 경사각이 없이 직선상으로 형성될수도 있으나, 소정의 경사 구배 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형태로 엇 비스듬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사각 또는 경사 구배는 당업자라면 필요로 하는 양정, 토출압, 유량 등과 관련한 펌프의 용도, 성능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설계적 사항에 불과한 것으로서, 가능한 다양한 임의의 구조 역시 본 고안의 영역 내이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에 있어서는 메인림(4)의 외주연면의 외주연 양단부에는 연장림(4b)을 형성하는 연장부(41)가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한 연장부(41)가 연장림(4b)과 이로부터 직각으로 원중심을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플랜지(4c)로 구성되며, 선택적으로는, 상기한 연장플랜지(4c)에는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는 다수의 홀(4d)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한 연장부(41)의 존재는 유체가 통과하는 하우징 내에 고점도 유체가 들러붙어 잔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되며, 상기한 연장플랜지(4c)에 형성되는 홀(4d)은 상기한 연장부(41)가 고점도 유체를 난류(亂流: turbulent flow)로 만듦에 있어 이를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고점도 유체가 하우징 내에 잔류하는 일 없이 원활히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분리식의 비일체형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제1 임펠러(3)와 제2 임펠러(2)는 상기한 메인림(4)에 형성될 수 있는 복수개의 나사공 형성부(미도시)를 통한 고정나사식 결합, 레이저 용접 등과 같은 적절한 고정 수단(미도시)에 의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메인림(4)의 상기한 연장부(41)도 상기한 연장림(4)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적절한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는 분리형이 아닌 일체형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고, 일부 분리형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영역 내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는 전체가 접액부이므로, 우수한 방청성을 갖는 스테인레스강(SUS),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강, 고강도 및 고경도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나 세라믹 소재, 고경도 방청 도금 처리된 탄소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는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낸 본 고안의 복수단 임펠러(1)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차이점에 대하여만 간략히 설명하면, 메인림(4)의 외주연면의 외주연 양단부에는 연장림(4b)을 형성하는 연장부(41)가 형성되는 점은 동일하나,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연장부(41)가 연장림(4b)만으로 형성되며, 이로부터 직각으로 원중심을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플랜지(4c)를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낸 본 고안의 복수단 임펠러(1) 보다 상대적으로 저점도인 유체의 이송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가 있다.
이어서, 도 1에 나타낸 자흡식 펌프(100)에 있어서의 상부 케이싱(20)의 구조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먼저 설명하면, 도 5는 도 2a에 나타낸 복수단 임펠러(1)가 적용되는 경우의 상부 케이싱(20)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나타낸 복수단 임펠러(1)가 적용되는 경우의 상부 케이싱(20)의 저면 사시도로서, 환형 부재(10a)의 형상에 약간 차이가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부 케이싱(20)자체의 형상 및 구조는 양자 공히 동일하다.
상부 케이싱(20)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 5 및 도 6을 함께 설명하면, 상부 케이싱(20)은 그 주연부에 복수의 나사공(23)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도면부호 미부여)를 가지며, 상부 케이싱(20)의 외측에는 상방으로 흡입공(21)과 토출공(22)이 형성되고(도 1 참조), 상기한 흡입공(21)과 토출공(22)은 상부 케이싱(20)의 바닥면(28)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바닥부(28a)에 개구되어 있는 환형 흡입 개구(21a)와 환형 토출 개구(22a)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한 상부 케이싱(20)에는 상기한 흡입 개구(21a)와 토출 개구(22a)의 연장선상을 피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연장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저면 일측에는 2매의 1/4 원판 상의 환형 부재(10a)가 복수의 고정나사(82)에 의해 고정되며, 상부 케이싱(20)의 돌출바닥부(28a)의 중앙부에는 축 수납용 오목공(24)이 형성된다.
다시 도 1로 환원하여, 하부 케이싱(30)은 그 주연부에 복수의 나사공(32)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31)를 가지며, 그 중앙 바닥부(35)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바닥부(도면부호 미부여)의 중앙에는 축공(33)이 관통되고, 상기한 환형 부재(10a)와 대응하는 일측 영역에는 다른 환형 부재(10)가 복수의 나사공(도시된 예에서는 4개로서 도면부호는 미부여)을 통하여 후방으로부터 나합되는 고정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도 4는 도 1에서의 펌프 조립체(200)의 조립된 상태에 대한 구체적인 횡단면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상부 케이싱(20) 및 하부 케이싱(30)은 각각의 나사공(23),(32)에 나사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상호 고정되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70은 모터 등과 같은 임의의 임펠러 구동 수단(70)이다.
큰 고정나사(도면부호 미부여)는 상기한 상부 케이싱(20)과 하부 케이싱(30) 및, 하부 케이싱(30) 하방의 연결 플레이트(40) 및, 커플러(60) 등이 수용되어 있는 하우징(50)을 동시에 고정하며, 모터 등과 같은 임의의 임펠러 구동 수단(70)은 상기한 하우징(5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부 케이싱(20)의 중앙부에는 전술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공(24)을 형성하고, 구름 베어링용 너트(도면부호 미부여)를 개재하여 축(도면부호 미부여)의 일단부가 위치하게 할 수도 있다. 축(도면부호 미부여)은 키이(도면부호 미부여)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복수단 임펠러(1)에 고정되어 함께 연동 회전하게 된다.
하부 케이싱(30)의 바닥부(35) 중앙에 형성되는 축공(33)을 통하여 삽입되는 축((도면부호 미부여)의 외주연 일단부에는 멈춤링(86)이 삽지되고 그 하방에는 물과 유체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메카니칼씰(87)이 위치된다. 중간 플레이트(40)와 하우징(50) 사이의 축(85) 주위에는 베어링(88)이 설치되고, 하우징(50) 내부의 축 둘레에는 멈춤링(89)이 장착된다.
한편, 환형 부재(10a)를 도 1 및 복수단 임펠러(1)가 적용되는 상부 케이싱(20)의 저면도인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한 환형 부재(10a)의 길이는 상기한 상부 케이싱(20)의 각각의 상기한 흡입 개구(21a)와 토출 개구(22a)의 대략 중앙에 이르는 반원상의 길이로부터 상기한 흡입 개구(21a)와 토출 개구(22a)의 단부에 이르는 1/3 원호상의 길이 까지 다양한 길이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한 환형 부재(10a)의 양단부의 형상은 직각 단부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한 바와 같이, 원활한 유체 흐름과 그에 따른 진동 감소를 목적으로 양단부의 단부면을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상의 경사면(12)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라운딩 처리된 곡선 구배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의 연장림(4b)과 이로부터 직각으로 원중심을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플랜지(4c)가 상부 케이싱(20) 및 하부 케이싱(30)에 맷치될 수 있도록, 환형 부재(10a,10)는 상부 케이싱(20) 및 하부 케이싱(30)의 내주연면으로부터 연장부(41)의 두께 보다 약간 넓은 거리 만큼 이격된 이격홈(도 5 및 도 6에서의 도면부호 29 참조)을 두고서 나사(82) 등에 의한 고정 수단으로 고정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환형 부재(10,10a)의 저면 외주연부에는 단차홈(13)이 형성되어 본 고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의 연장플랜지(4c)가 상기한 단차홈(13) 내에서 회전 자재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환형 부재(10a,10)는 도시된 예에서와는 달리 그 외주연면 상에 나사공을 형성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환형 부재(10a)는 임펠러(1) 내에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복수개로 나누어 형성할 수 있으며(도시된 예에서는 2개), 상기한 환형 부재(10a)의 직선상 저면은 상부 케이싱(20)의 돌출바닥부(28a)의 직선상 상면과 상호 당접하여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하부 케이싱(30)에 적용되는 환형 부재(10)의 경우도 이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언급은 생략하기로 하며, 다만 조립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한 환형 부재(10)의 경우에는 그 저면에 나사공이 형성되며 하부 케이싱(30)의 후방으로부터 나사를 통하여 나합고정된다.
한편, 메인림(4)의 외주연 양방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41)가 상기한 연장림(4)만으로 형성되며 연장 플랜지(4c)가 존재하지 않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복수단 임펠러(1)가 적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 3의 복수단 임펠러(1)가 적용되는 상부 케이싱(20)의 저면 사시도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 부재(10a)에는 단차홈(도 1 및 도 5에 있어서의 도면부호 13)은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한 환형 부재(10a)의 외주연면은 상기한 상부 케이싱(20)의 내주연면과 일정 거리 이격하여 이격홈(29)을 두고서 고정된다. 나머지 사항은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c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어서, 본 고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가 적용된 자흡식 펌프(1)의 작동 관계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임펠러 구동 수단(70)에 의하여 복수단 임펠러(1)가 상부 케이싱(20)으로부터 하부 케이싱(30) 쪽으로 바라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부 케이싱(20)의 환형 흡입 개구(21a) 부분에 음압이 걸리게 되어 환형 부재(10a)의 3시 방향 단부 영역으로부터 흡입공(21)과 환형 흡입 개구(21a)를 통하여 유체가 흡입되고, 흡입된 유체는 제1 임펠러(3)의 방사상 배플(5) 사이의 공간부를 통하여 회전하면서 가압되어 하부 케이싱(30)의 일측(상기한 환형 부재(10a)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환형 부재(10)의 9시 방향 영역에 위치하는 일측단부에 의하여 더욱 가압되어 제1 임펠러(2)의 방사상 배플(5) 사이의 공간부와 상기한 상부케이싱(20)의 환형 토출 개구(22a)를 차례로 경유하여 토출공(22)으로 토출된다.
이 때, 본 고안에 따른 복수단 임펠러(1)는 연장부(41)의 존재에 의하여, 유체의 이송 효율이 우수하며, 특히 고점도 유체의 이송시 상기한 연장부(41)(즉, 연장림(4b) 또는, 연장림(4b)과 연장플랜지(4c))에 의하여 케이싱의 주연부에 고점도 유체가 들러붙어 잔류하는 일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흡식 펌프용 개량 임펠러는 회전 시 강한 흡입압 및 토출압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유체와의 접촉 면적이 크고 복수단 임펠러에 형성되는 연장부의 존재로 인하여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에 의해 구성되는 하우징의 내측 모서리에 고점도 유체(예컨대, 고추장이나 된장, 고점성 중합체 등)가 들러붙는 일 없이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므로 고점도 유체의 이송에 특히 적합하며, 고점도 유체의 이송을 위한 펌핑 초기 시 마중 유체의 도입이 불필요하고, 소음과 진동이 적으며,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상대적으로 큰 양정 및 현격히 증대된 토출압 및 토출 유량을 나타낼 수가 있는 고점도 유체의 이송에 특히 적합하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체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영역 내임을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Claims (4)

  1. 축공을 포함하는 코어부와 상기한 코어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연장되는 직선상의 다수의 방사상 배플에 의해 내주연이 연결되는 메인림으로 구성되는 제1 임펠러와;
    상기한 메인림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방사상 배플을 갖지 않는 원형의 연장림을 포함하는 연장부로 구성되는 2매의 제2 임펠러로 구성되고:
    상기한 제1 임펠러는 상기한 2매의 제2 임펠러 사이에 개재(介在)되는 자흡식 펌프용 복수단 임펠러(plural stages impeller).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장부가 연장림과 상기한 연장림의 외주연으로부터 원중심을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플랜지로 구성되는 복수단 임펠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장플랜지에 상호 일정 거리 이격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단 임펠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수의 방사상 배플이 경사각이 없는 직선상, 나선상, 일정한 경사각을 갖는 직선상, 또는 일정한 경사 구배를 갖는 곡선상으로 형성되는 복수단 임펠러.
KR20-2002-0032744U 2002-11-01 2002-11-01 자흡식 펌프용 복수단 임펠러 KR2003029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744U KR200302973Y1 (ko) 2002-11-01 2002-11-01 자흡식 펌프용 복수단 임펠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744U KR200302973Y1 (ko) 2002-11-01 2002-11-01 자흡식 펌프용 복수단 임펠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973Y1 true KR200302973Y1 (ko) 2003-02-05

Family

ID=49400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744U KR200302973Y1 (ko) 2002-11-01 2002-11-01 자흡식 펌프용 복수단 임펠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9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855B1 (ko) 2011-06-09 2011-10-14 김찬원 진공 강 자흡식 펌프
KR20190042217A (ko) * 2017-10-16 2019-04-24 김찬원 진공 강 자흡식 펌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855B1 (ko) 2011-06-09 2011-10-14 김찬원 진공 강 자흡식 펌프
CN102817853A (zh) * 2011-06-09 2012-12-12 金赞元 真空腔自吸泵
KR20190042217A (ko) * 2017-10-16 2019-04-24 김찬원 진공 강 자흡식 펌프
KR102010310B1 (ko) * 2017-10-16 2019-08-13 김찬원 진공 강 자흡식 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4257B2 (en) Self-priming centrifugal pump
US3303791A (en) Flexible-vaned centrifugal pump
EP1719917B1 (en) A sealing arrangement for the attachment of a side plate of a centrifugal pump and an attachment screw used therewith
USRE39228E1 (en) Field-serviceable solids-handling vertical turbine pump
KR101694847B1 (ko) 스프르트 펌프
US5522701A (en) Vertical barrel pump
KR101607428B1 (ko) 디스크 임펠러를 구비한 펌프
KR200302973Y1 (ko) 자흡식 펌프용 복수단 임펠러
KR100484057B1 (ko) 자흡식 펌프용 개량 임펠러 및 그 조립 구조체와 이를포함하는 자흡식 펌프
KR100484058B1 (ko) 자흡식 펌프용 복수단 임펠러 및 그 조립 구조체와 이를 포함하는 자흡식 펌프
US20100040461A1 (en) Volute for centrifugal pump
KR200324990Y1 (ko) 자흡식 펌프용 복수단 임펠러
KR100951430B1 (ko) 자흡식 터보펌프
US6916152B2 (en) Centrifugal sewage pumps with two impellers
US2431221A (en) Centrifugal pump
EP0649987B1 (en) A pump housing for a rotary pump
KR200344168Y1 (ko) 자흡식 편심 펌프
JP2004036707A (ja) 樹脂軸受、及び該樹脂軸受を組み込んだ両吸込渦巻ポンプ
US20110158841A1 (en) Screw Pump with Anti-Turbulent Structure
KR100527665B1 (ko) 기액 혼합 펌프용 임펠러 및 이를 포함하는 기액 혼합 펌프
WO2005068844A1 (en) Improved impeller for self-priming pump, assembly structure thereof and self-priming pump containing the same
JPH10205482A (ja) マグネット駆動ポンプ
KR100540381B1 (ko) 자흡식 펌프용 임펠러
US6579077B1 (en) Deep well submersible pump
KR100541353B1 (ko) 원추형 임펠러를 구비한 액체 공급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