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6395A - 랜덤 암호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랜덤 암호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6395A
KR20040006395A KR1020020040669A KR20020040669A KR20040006395A KR 20040006395 A KR20040006395 A KR 20040006395A KR 1020020040669 A KR1020020040669 A KR 1020020040669A KR 20020040669 A KR20020040669 A KR 20020040669A KR 20040006395 A KR20040006395 A KR 20040006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assword
random
memory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0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0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6395A/ko
Publication of KR20040006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639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dditional secure or trusted devices, e.g. TPM, smartcard, USB or software tok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호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기기의 사용이 종료될 때마다 암호를 랜덤하게 재 설정하고, 사용 개시 시에 랜덤하게 설정되어 있는 암호를 자동으로 확인하여 전자기기의 사용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랜덤 암호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마다 자동적으로 암호를 확인하고, 랜덤한 암호로 변경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첫 번째로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마다 암호를 일일이 수동으로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암호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발생되며, 두 번째로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마다 암호가 랜덤한 숫자로 가변되어 보안적인 측면에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되며, 세 번째로 암호를 기억할 필요가 없게 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발생된다.

Description

랜덤 암호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andom password}
본 발명은 암호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기기의 사용이 종료될 때마다 암호를 랜덤하게 재 설정하고, 사용 개시 시에 랜덤하게 설정되어 있는 암호를 자동으로 확인하여 전자기기의 사용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랜덤 암호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및 텔레비전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암호 설정 및확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들의 이용을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암호를 결정하여 수동으로 입력하여야 한다. 암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전자기기의 사용 초기에 암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화면에 출력시키고, 출력된 암호 입력창에 사용자가 키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암호를 입력하면 이미 저장된 암호와 입력된 암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정상적으로 전자기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이용을 차단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암호 설정 및 확인 방법은 첫 번째로 사용자가 암호를 수동으로 설정하여야 하는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두 번째로 사용자가 설정된 암호가 타인에게 비교적 쉽게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 있었으며, 세 번째로 컴퓨터, 텔레비전 등의 전자기기의 사용 초기에 매번 수동으로 암호를 입력시켜야 하는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네 번째로 사용자가 설정한 암호를 망각하는 경우에 A/S 센터를 이용하여 암호를 해독하거나 재 설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기기의 사용 종료 때마다 암호를 랜덤하게 결정된 암호로 자동 변경시키고, 사용 개시 시에는 랜덤하게 설정된 암호를 자동으로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랜덤 암호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랜덤 암호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랜덤 암호 제어 장치가 적용된 텔레비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랜덤 암호를 설정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랜덤 암호 자동 확인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랜덤 암호 제어 장치는 전자기기의 암호 제어 장치에 있어서, 암호 설정 제어신호에 따라서 랜덤한 숫자 정보를 생성시키기 위한 랜덤 암호 생성부, 상기 랜덤 암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숫자 정보를 암호로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랜덤 암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숫자 정보를 암호로 저장하는 카드, 상기 메모리에서 읽어낸 암호와 카드에서 읽어낸 암호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용 종료 시에 암호 설정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랜덤 암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랜덤한 숫자 정보인 암호를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카드에 각각 저장시키도록 제어하는 제1프로세스, 상기 전자기기의 사용 개시 시에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카드에 각각 저장된 암호를 읽어내어 상기 비교부로 전송하고,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이용 가능 여부를 제어하는 제2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암호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랜덤 암호 제어 방법은 전자기기의 암호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자기기 사용 종료 시에 랜덤하게 생성되는 암호를 상기 전자기기에 내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전자기기에 로딩된 카드에 각각 저장시키는 단계, (b) 상기 전자기기 사용 개시 시에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전자기기에 로딩된 카드로부터 암호를 독출하는 단계, (c) 상기 메모리에서 독출한 암호와 상기 전자기기에 로딩된 카드로부터 독출된 암호를 비교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c)의 비교 결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기의 정상적인 이용을 차단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랜덤 암호 제어 장치가 적용되는 전자기기는 시스템 제어부(100), 암호 제어부(110), 랜덤 암호 생성부(120), 메모리(130), 스마트 카드(140) 및 비교부(15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암호 제어부(110), 랜덤 암호 생성부(120), 메모리(130), 스마트 카드(140) 및 비교부(150)를 포함하는 회로를 랜덤 암호 제어 장치(1000)라 칭한다. 그리고, 랜덤 암호 생성부(120)는 구체적으로 카운팅부(120-1) 및 클럭 발생부(120-2)로 구성된다.
스마트 카드(140)는 전자기기 사용 중에는 랜덤 암호 제어 장치(1000)에 로딩(loading)되며, 전자기기의 사용이 종료된 후에는 언로딩(unloading)되도록 랜덤 암호 제어 장치(1000)를 설계한다.
시스템 제어부(100)는 전자기기 장치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전자기기의 사용 개시 및 종료를 알리는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랜덤 암호 제어 장치(1000)의 암호 제어부(110)로 출력시킨다. 그리고, 랜덤 암호 제어 장치(1000)의 암호 제어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암호 비교 결과에 상응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암호가 일치하는 않는 경우에는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사용 개시 제어신호는 전원 온(ON) 키가 입력되는 경우에 생성되고, 사용 종료 제어신호는 전원 오프(OFF) 키가 입력되는 경우에 생성되도록 설계한다.
첫 번째로, 전자기기 제품 출하 후의 최초 사용시의 암호 확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전자기기가 생산되어 출하되기 전에 스마트 카드(140) 및 메모리(130)에는 초기 값으로 동일한 암호 값이 저장된다.
전자기기를 구입한 후에 사용자가 최초로 스마트 카드(140)를 랜덤 암호 제어 장치(1000)에 로딩시킨 후 전원을 온(ON)시키면, 시스템 제어부(100)는 전원 온(ON) 키 입력에 의한 사용 개시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암호 제어부(110)에 인가한다.
그러면, 암호 제어부(110)는 메모리(130) 및 로딩된 스마트카드(140)에 각각 저장된 암호를 독출하여 비교부(15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비교부(150)는 메모리(130) 및 스마트 카드(140)로부터 독출된 암호를 각각의 해당 비트별로 상호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 후에, 이에 대한 판단 결과 정보를 암호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전자기기의 최초 사용에 해당되는 경우에, 메모리(130) 및 스마트 카드(140)에는 동일한 초기 암호 값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비교부(150)는 양 암호의 동일성을 알리는 판단 결과 정보를 출력한다.
그러면, 암호 제어부(110)는 암호 확인 결과에 따른 전자기기의 사용을 허락하는 제어신호를 시스템 제어부(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키 명령에 따라서 시스템 제어부(100)에 의하여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두 번째로, 전자기기 사용 때마다 랜덤한 암호로 변경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전자기기의 전원을 오프(OFF)시키면, 시스템 제어부(100)는 암호 제어부(110)로 사용 종료를 알리는 사용 종료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암호 제어부(110)는 카운팅부(120-1)로 암호 생성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카운팅부(120-1)는 클럭 발생부(120-2)에서 생성되는 클럭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카운팅 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카운팅부(120-1)는 암호 생성 제어신호가 입력된 시점까지 카운팅한 값을 홀딩하여 출력시키도록 동작한다. 여기에서, 카운팅부(120-1)는 일 예로서, 8비트 카운터를 이용하여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암호 제어부(110)는 카운팅부(120-1)에서 출력되는 카운팅 값을 메모리(130) 및 로딩된 스마트 카드(140)의 암호 영역에 각각 새로 저장한다. 즉, 이미 저장되어 있는 암호를 대체하여 카운팅부(120-1)에서 출력되는 카운팅 값으로 메모리(130) 및 로딩된 스마트 카드(140)에 저장된 암호 값들을 업데이트시킨다.
이에 따라서, 메모리(130) 및 스마트 카드(140)에는 전자기기의 사용을 종료할 때마다 매번 상이한 암호가 생성되어 저장될 것이다.
세 번째로, 전자기기의 제품 출하 후 최초의 사용이 아닌 경우의 암호 확인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자기기의 전원 온(ON) 키 입력에 의한 사용 개시를 알리는 사용 개시 제어신호가 암호 제어부(110)로 입력되는 경우에, 암호 제어부(110)는 암호 확인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암호 제어부(110)는 메모리(130) 및 로딩된 스마트카드(140)에 각각 저장된 암호를 독출하여 비교부(15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만일, 스마트 카드(140)가 랜덤 암호 제어 장치(1000)에 로딩되지 않은 경우에는, 암호 제어부(110)는 시스템 제어부(100)로 이를 알리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시스템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하여 암호 확인을 위한 스마트 카드가 입력되지 않았다는 경고 메시지가 화면으로 출력시키도록 한다.
비교부(150)는 메모리(130) 및 스마트 카드(140)로부터 독출된 암호를 각각의 해당 비트별로 상호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 후에, 판단 결과 정보를 암호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그러면, 암호 제어부(110)는 판단 결과 정보가 양 암호가 일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경우에는 전자기기의 사용을 허락하는 제어신호를 시스템 제어부(100)로 전송하고, 양 암호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경우에는 전자기기의 사용을 허락하지 않는 제어신호를 시스템 제어부(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서, 시스템 제어부(100)는 암호 제어부(110)로부터 전자기기의 사용을 허락하는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입력되는 키 명령에 따라서 전자기기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만일 암호 제어부(110)로부터 전자기기의 사용을 허락하지 않는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100)는 암호가 일치하지 않아 전자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음을 알리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시킨 후에 전자기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랜덤 암호 제어 장치를 텔레비전에 적용한 경우의 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랜덤 암호 제어 장치가 적용된 텔레비전은 안테나(201), 방송 수신부(202), A/V 신호처리부(203), 스피커(204), 디스플레이부(205), TV 제어부(206), 전원 공급부(207), TV 메모리(208), 키입력수단(209) 및 랜덤 암호 제어 장치(1000)를 구비한다.
랜덤 암호 제어 장치(10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호 제어부(110), 랜덤 암호 생성부(120), 메모리(130), 스마트 카드(140) 및 비교부(150)를 구비한다.
우선, 텔레비전의 기본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키입력수단(209)의 키 버튼을 이용하여 TV의 전원을 온(ON)시키면, TV 제어부(206)는 전원 공급부(207)를 제어하여 주변 회로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시청자가 채널을 선택하면, TV 제어부(206)에서 생성된 채널 제어신호에 의하여 방송 수신부(202)는 안테나(201)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신호 중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채널의 방송신호만을 선택하여 출력시킨다. 그러면, A/V신호처리부(203)에서는 노이즈 제거, 주파수 특성 보상 등의 신호처리를 출력신호의 규격에 맞추어 실행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204)로 출력되고, 신호 처리된 R/G/B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05)로 출력된다.
그러면, 본 발명에 의한 랜덤 암호 제어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V 메모리(208)에는 TV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가 키입력수단(209)으로 전원 온(ON) 키를 입력시키면, TV 제어부(206)는 전원 공급부(207)에 전원 온(ON) 제어 신호를 생성시키기 전에 다음과 같은 암호 확인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전원 온(ON)키가 입력되면, TV 제어부(206)는 사용 개시를 알리는 사용 개시 제어신호를 랜덤 암호 제어 장치(1000)로 전송한다.
그러면, 도 1의 회로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암호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서 메모리(130) 및 로딩된 스마트 카드(140)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암호를 상호 비교한 후에, 암호 제어부(110)는 암호 비교 결과에 따라서 양 암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TV의 사용을 허락하는 제어신호를 TV 제어부(206)로 전송하고, 양 암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TV의 사용을 허락하지 않는 제어신호를 TV 제어부(206)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서, TV 제어부(206)는 암호 제어부(110)로부터 TV의 사용을 허락하는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 전원 공급부(207)로 전원 온(ON)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전원 공급부(207)에 의하여 주변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여 TV가 정상적으로동작되도록 한다.
그러나, 만일 암호 제어부(110)로부터 TV의 사용을 허락하지 않는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 ,TV 제어부(100)는 전원 공급부(207)로 전원 오프(OFF)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전원 공급부(207)에 의한 주변 회로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켜 TV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없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TV 제어부(206)의 프로그램을 키입력수단(209)으로부터 전원 온(ON)키가 입력되는 경우에, 우선 전원 공급부(207)에 전원 온(ON)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전원을 정상적으로 공급하고, 암호 제어부(110)로부터 TV의 사용을 허락하지 않는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만, 전원 공급부(207)에 의한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기 위한 전원 오프(OFF) 제어신호를 생성시키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TV 제어부(206)는 암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암호가 일치하지 않아 TV의 전원을 오프(OFF)시킨다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되도록 프로그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키입력수단(209)으로 전원 오프(OFF)키를 입력시키면, TV 제어부(206)는 다음과 같은 암호 생성 프로세스를 실행시킨 후에 전원 공급부(207)에 전원 온(OFF)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서 전원 공급을 차단시킨다.
전원 오프(OFF)키가 입력되면, TV 제어부(206)는 사용 종료를 알리는 사용 종료 제어신호를 랜덤 암호 제어 장치(1000)로 전송한다.
그러면, 도 1의 회로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암호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서 랜덤 암호 생성부(120)에서 랜덤하게 생성된 암호를 메모리(130) 및 로딩된 스마트 카드(140)에 각각 저장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랜덤 암호 제어 방법을 도 3 및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랜덤하게 암호를 설정하는 방법을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자기기의 사용 종료를 알리는 종료 제어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단계301). 일 예로서, 전자기기의 사용 종료를 알리는 종료 제어신호는 전원 오프(OFF) 키 입력에 의하여 발생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단계301의 판단 결과 종료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카운터의 카운팅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단계302).
그리고 나서, 카운터의 값을 전자기기에 내장된 메모리 및 전자기기에 로딩된 스마트 카드에 암호로 각각 저장시킨다.
이에 따라서, 메모리 및 스마트 카드에는 전자기기 사용 종료 때마다 랜덤하게 생성된 암호가 저장된다.
다음으로, 암호를 자동으로 확인하는 방법을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자기기의 사용 개시를 알리는 개시 제어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단계401). 일 예로서, 전자기기의 사용 개시를 알리는 개시 제어신호는 전원 온(ON) 키 입력에 의하여 발생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단계401의 판단 결과 개시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전자기기에 내장된메모리 및 전자기기에 로딩된 스마트 카드에 각각 저장되어 있는 암호를 독출한다(단계402).
그리고 나서, 스마트 카드에서 독출한 암호와 메모리에서 독출한 암호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단계403).
단계403의 비교 결과 스마트 카드에서 독출한 암호와 메모리에서 독출한 암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전자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단계404).
그러나, 만일 단계403의 판단 결과 스마트 카드에서 독출한 암호와 메모리에서 독출한 암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암호가 일치하지 않아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없다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시킨 후에(단계405) 전자기기의 출력을 차단시키거나 전원을 차단시켜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없도록 제어한다(단계406). 경우에 따라서는 단계405를 생략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랜덤 암호 제어 동작에 따라서, 전자기기 사용 개시 때마다 자동적으로 암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전자기기의 정상적 사용 여부를 결정하고, 또한 전자기기 사용 종료 때마다 랜덤하게 생성된 암호로 자동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방법, 장치, 시스템 등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연적으로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질 수 있으며 또는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는 정보를 저장 또는 전송할 수 있는 어떠한 매체도 포함한다.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의 예로는 전자 회로, 반도체 메모리 소자, ROM, 플레쉬 메모리, E2PROM,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섬유 매체, 무선 주파수(RF) 망, 등이 있다. 컴퓨터 데이터 신호는 전자 망 채널, 광 섬유, 공기, 전자계, RF 망, 등과 같은 전송 매체 위로 전파될 수 있는 어떠한 신호도 포함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설명된 특정의 실시 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예로서 이해되어 지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본 발명에 기술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도 다양한 다른 변경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보여지거나 기술된 특정의 구성 및 배열로 제한되지 않는 것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마다 자동적으로 암호를 확인하고, 랜덤한 암호로 변경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첫 번째로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마다 암호를 일일이 수동으로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암호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발생되며, 두 번째로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마다 암호가 랜덤한 숫자로 가변되어 보안적인 측면에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되며, 세 번째로 암호를 기억할 필요가 없게 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발생된다.

Claims (7)

  1. 전자기기의 암호 제어 장치에 있어서,
    암호 설정 제어신호에 따라서 랜덤한 숫자 정보를 생성시키기 위한 랜덤 암호 생성부;
    상기 랜덤 암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숫자 정보를 암호로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랜덤 암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숫자 정보를 암호로 저장하는 카드;
    상기 메모리에서 읽어낸 암호와 카드에서 읽어낸 암호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용 종료 시에 암호 설정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랜덤 암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랜덤한 숫자 정보인 암호를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카드에 각각 저장시키도록 제어하는 제1프로세스, 상기 전자기기의 사용 개시 시에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카드에 각각 저장된 암호를 읽어내어 상기 비교부로 전송하고,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이용 가능 여부를 제어하는 제2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암호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암호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암호 생성부는
    클럭 신호를 생성시키는 클럭 발생부; 및
    상기 클럭 발생부로부터 입력된 클럭 신호를 카운팅하여 상기 암호 설정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시점에 카운팅된 값을 홀딩하여 출력시키기 위한 카운팅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암호 제어 장치.
  3. 전자기기의 암호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자기기 사용 종료 시에 랜덤하게 생성되는 암호를 상기 전자기기에 내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전자기기에 로딩된 카드에 각각 저장시키는 단계;
    (b) 상기 전자기기 사용 개시 시에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전자기기에 로딩된 카드로부터 암호를 독출하는 단계;
    (c) 상기 메모리에서 독출한 암호와 상기 전자기기에 로딩된 카드로부터 독출된 암호를 비교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c)의 비교 결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기의 정상적인 이용을 차단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암호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a1) 상기 전자기기의 사용 종료 제어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a2) 상기 단계(a1)의 판단 결과 사용 종료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랜덤한 숫자 정보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a3) 상기 단계(a2)에서 생성된 숫자 정보를 상기 전자기기에 내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전자기기에 로딩된 카드에 각각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암호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한 숫자 정보는 소정의 클럭 신호를 카운팅하여 상기 암호 설정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시점에 카운팅된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암호 제어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사용 종료 시점은 전원 오프(OFF) 명령이 입력되는 시점으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암호 제어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사용 개시 시점은 전원 온(ON) 명령이 입력되는 시점으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암호 제어 방법.
KR1020020040669A 2002-07-12 2002-07-12 랜덤 암호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40006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669A KR20040006395A (ko) 2002-07-12 2002-07-12 랜덤 암호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669A KR20040006395A (ko) 2002-07-12 2002-07-12 랜덤 암호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395A true KR20040006395A (ko) 2004-01-24

Family

ID=3731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0669A KR20040006395A (ko) 2002-07-12 2002-07-12 랜덤 암호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63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651B1 (ko) * 2006-06-16 2008-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 암호 변환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7722A (ja) * 1988-08-09 1990-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計算機システム
JPH04157837A (ja) * 1990-10-20 1992-05-29 Fujitsu Ltd 暗号処理用鍵供給方式
JPH0574135A (ja) * 1991-09-12 1993-03-26 Seiko Epson Corp メモリーカード
JPH08329211A (ja) * 1995-05-31 1996-12-13 Ekushingu:Kk Idカード、idカード処理装置及びidカード処理 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7722A (ja) * 1988-08-09 1990-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計算機システム
JPH04157837A (ja) * 1990-10-20 1992-05-29 Fujitsu Ltd 暗号処理用鍵供給方式
JPH0574135A (ja) * 1991-09-12 1993-03-26 Seiko Epson Corp メモリーカード
JPH08329211A (ja) * 1995-05-31 1996-12-13 Ekushingu:Kk Idカード、idカード処理装置及びidカード処理 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651B1 (ko) * 2006-06-16 2008-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 암호 변환 장치 및 방법
US8312287B2 (en) 2006-06-16 2012-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changing a passwo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27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components
US9021568B2 (en) Verification method for verifying validity of program, and verification system
US6675300B1 (en) Remote controlled computer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having an identification number
CN101578609B (zh) 安全启动计算设备
US20090316903A1 (en) Time sync-type otp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for mobile phones
KR100755212B1 (ko) 오티피 발생용 아이씨 칩이 내장된 휴대폰을 이용한시간동기방식 오티피 생성 및 인증시스템과 그 방법
US10306052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secure authentication to a compute device
CN105704332B (zh) 移动支付方法和装置
US7793339B2 (en)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network information in an authorization process
US200901651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management of debugging processes within communication devices
US10896268B2 (en) Security adjustments in mobile devices
CN103092503A (zh) 移动终端的解锁及验证方法与解锁及验证装置
US7275257B1 (en) Remote controlled comput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00332854A1 (en) Storage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storage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P3787219A1 (en) Key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WO2016072833A1 (en) System and method to disable factory reset
KR960024874A (ko) 마이컴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암호 설정 장치 및 암호 설정 방법
US20040268133A1 (en) Secure personal identification entry system
KR20040006395A (ko) 랜덤 암호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033930A (ko) 보안 정보를 암호화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N116954649A (zh) 一种现场可更换单元的属性信息更新方法和装置
CA2067301C (en) Receiver having an individual selective call function and a security function for preventing unauthorized use of the receiver
CN110784767B (zh) 电视机许可码写入方法及装置
CN113850938A (zh) 智能门锁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5475755A (en) Password processing whereby a foreign password is referred to after fail of several attemp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