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6193A - 안테나 이득개선을 위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연결커넥터 - Google Patents

안테나 이득개선을 위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연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6193A
KR20040006193A KR1020020040185A KR20020040185A KR20040006193A KR 20040006193 A KR20040006193 A KR 20040006193A KR 1020020040185 A KR1020020040185 A KR 1020020040185A KR 20020040185 A KR20020040185 A KR 20020040185A KR 20040006193 A KR20040006193 A KR 20040006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onnector
terminal
portable terminal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0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1537B1 (ko
Inventor
최종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02-0040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537B1/ko
Publication of KR20040006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6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5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8Quick-releasable antenna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서 휴대 단말기 사용시 손쉽게 휴대 단말기와 외부안테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안테나 이득개선을 위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연결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그 연결커넥터는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안테나를 제거한 위치에 곧바로 연결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휴대 단말기와 장착시 휴대 단말기의 급전선은 외부 안테나가 결합되는 커넥터 단자의 심선에 연결되고 휴대 단말기의 그라운드선은 커넥터 단자의 접지판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차량 내부에서도 휴대 단말기의 통화감도를 향상시킬수 있게 되어 보다 향상된 통화품질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안테나 이득개선을 위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연결커넥터{Antenna connector of mobile-phone for improving antenna gains}
본 발명은 안테나 이득개선을 위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연결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 단자에 외부 안테나를 손쉽게 결합시켜 안테나 이득을 개선하고자 한 안테나 이득개선을 위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연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점차 소형화 추세에 있는 휴대 단말기(PCS, 셀룰러폰, IMT-2000 등의 이동통신단말기, TRS, PDA, 무선휴대통신 등)에는 전파수신율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헤리컬·다이폴·휩·패치 안테나 등과 같이 다양한 안테나가 제공되며, 통상 적정 길이를 가지도록 다단식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폴 형식의 안테나가 많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한 안테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 몸체부(10)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부(12)가 형성되며 중심부 내측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홈(14)이 형성된 몸체부(10) 및, 그 관통홈(14)을 통해 하우징(20)이 구비된 안테나(22)가 설치되며, 상기 안테나(22)는 상측에 안테나 선단부(24)가 구비되며 내측에는 전파수신을 위한 심선(26)이 제공되는 한편, 안테나의 하부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원통형의 급전부(30)가 구비되며 안테나가 몸체부(10)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스토퍼(40)가 압착 또는 본딩에 의해 일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때에는 송·수신 전파의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의 몸체(10) 내부에 절첩된 다단 또는 단일 형상의 안테나 선단부(24)를 상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일정 길이만큼 안테나(22)를 인출시킨 상태에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테나(22)를 인출시키면 상기 스토퍼(40)는 휴대 단말기의 회로인쇄기판(도면 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급전부(30)와 접속하게 된다. 사용 후에는 다시 안테나(22)를 몸체(10) 내부로 밀어 넣었다.
그런데,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전술한 안테나 등은 소형이며 안테나 이득이 약 0~5㏈i로서 아주 작기 때문에, 중계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실내나 지하, 전파음영지역 등에서는 수신율이 극도로 저하되어 상대방과의 통화를 원할히 할 수 없었다. 뿐만 아니라 이동중인 차량 내부에서 자체 안테나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를 통해 통화를 할 때에도 차량의 유리, 차체 등에 발생되는 약 3~5㏈정도의 손실 등으로 인하여 통화가 자주 끊기는 등 통화감도가 저하되어 제품의 신뢰성 및 통화품질이 불량하였다. 즉 차량의 차체가 시일드(Shield)역할을 하기 때문에, 송·수신상태가 평소보다 더욱 불량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실내나 이동중인 차량 내부에서의 통화품질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건물 실내등에 중계장치를 설치하거나, 차량 외부에 고이득 안테나를 설치하고 인입선을 이용하여 차량 내부의 휴대단말기와 연결하여 통화품질을 개선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차량 외부에 설치한 고이득 안테나와 인입선을 직접 연결할 수 없는 휴대 단말기인 경우에는 이에 적합한 송수신 장비를 장착해야만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구매 및 설치비용이 별도로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안테나와 바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는 휴대 단말기에 외부 안테나를 손쉽게 연결하여 송·수신 감도를 향상시키도록 한 안테나 이득개선을 위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연결커넥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테나 이득개선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연결커넥터는, 일정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안테나를 제거하고, 차량 외부에 설치된 외부 안테나의 케이블 단자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케이블 단자와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장착 위치에 결합되도록 하단부에 나사선이 구비된 돌출부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바, 상기 커넥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측으로 연장되어 휴대 단말기의 급전선과 연결되는 심선이 제공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심선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커넥터 하우징 상부에 장착된 접지판에 일단이 접속하고 타단은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휴대단말기의 그라운드선과 연결되는 바 형상의 그라운드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안테나 구조를 보이고 있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이득개선을 위해 외부 안테나를 연결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연결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커넥터 하우징, 102 : 접지판,
104 : 커넥터단자, 106 : 심선,
108 : 급전부, 110 : 그라운드부재,
112 : 연결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이득개선을 위해 외부 안테나를 연결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연결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부 안테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는 기존의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를 제거하고 그 안테나가 장착된 위치에 바로 장착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구조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단자에 장착되도록 소정 직경을 가지는 연결부(112)가 하단부에 형성된 대략 원통형상의 커넥터 하우징(100), 그 커넥터 하우징(100) 상단부에 외부 안테나를 연결하기 위해 돌출형성된 커넥터단자(104)로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은, 그 상단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단자(104)가 결합된 접지판(102)이 나사결합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단자(104)는 그 내부에 심선(106)이 제공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급전부(108)와 연결되며, 그 심선(106)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그라운드쪽에서 올라온 선이 그 접지판(102)에 접속되도록 그라운드선이 구비된 인청동의 그라운드부재(110)가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120은 커넥터 하우징을 고정하기 고정 너트(nut)다.
그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도 2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이동중인 차량 내부에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유리, 차체 등에 발생되는 손실 등으로 인하여 통화감도가 좋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와 차량 외부에 설치된 외부 안테나(고이득 안테나)를 접속하여 통화 감도를 향상시키는 바, 사용중인 휴대 단말기에 기 제공된 안테나를 휴대 단말기 본체로부터 제거하고, 그 제거된 안테나 위치에 본 발명의 안테나의 연결커넥터를 장착한다.
상기 연결 커넥터는 기존 안테나를 제거한 후 커넥터 하우징(100)의 하단에 나사선(114)이 형성된 연결부(112)를 휴대 단말기 본체에 형성된 나사선과 결합하면 손쉽게 작업할 수 있으며, 연결커넥터의 장착이 이루어지면 바(bar) 형상의 그라운드부재(110)의 일단(하방향)은 휴대 단말기의 접지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상방향)은 연결커넥터의 접지판(102)에 접속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도면 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급전부(108)는 커넥터단자(104)에 제공된 심선(106)과 연결되게 된다.
그와 같이 휴대 단말기에 연결 커넥터를 연결한 후, 그 커넥터단자(104)에 차량 외부에 설치된 외부안테나의 케이블 단자를 연결하면, 상기 커넥터단자(104)의 심선(106)과 급전부(108)가 연결되어 외부 안테나에 급전을 하게 된다. 이와 아울러 외부안테나는 커넥터의 접지단자 및 바 형상의 그라운드선을 매개하여 휴대 단말기의 접지단자와 접속되기 때문에, 외부 안테나 사용시 발생되는 전자파를 유기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급전라인과 그라운드선을 교체하게 되면 임피던스 부정합이 일어나는데, 이때에는 상기 급전라인과 그라운드선 상호간의 간격을 조정하여 보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휴대 단말기를 차량 내에서 사용하지 않을때는 외부 안테나의 케이블 단자를 커넥터단자(104)로부터 분리하는 한편, 그 커넥터단자(104) 또한 휴대 단말기의 본체로부터 분리시키고, 그 커넥터 단자 위치에 원래의 단말기 안테나를 연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테나 이득개선을 위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연결커넥터에 따르면, 통화 감도가 떨어지는 차량 내부에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 상대방과 통화시, 그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안테나를 제거하고, 그 안테나 위치에 차량 외부에 설치된 외부 안테나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를 장착할 수 있음으로써, 차량 내에서도 기존의 휴대 단말기 및 외부 안테나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의 송·수신 감도를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일정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안테나를 제거하고, 차량 외부에 설치된 외부 안테나의 케이블 단자를 연결하여 통화감도를 향상시키도록 제공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단부에 접지판이 나사결합되는 커넥터 하우징 및, 그 접지판 소정 위치에 상기 외부 안테나의 케이블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단자가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 하면에 돌출형성된 연결부를 매개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와 결합시 상기 커넥터 단자내에 제공된 심선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급전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급전부와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심선과 일정 거리 이격설치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그라운드부 및 상기 접지판에 각각 연결되는 바 형상의 그라운드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이득개선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연결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급전라인과 그라운드선 교체시에 발생되는 임피던스 미스매칭은 상기 급전라인과 그라운드선 상호간의 간격을 조정하여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이득개선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연결커넥터.
KR10-2002-0040185A 2002-07-11 2002-07-11 안테나 이득개선을 위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연결커넥터 KR100491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185A KR100491537B1 (ko) 2002-07-11 2002-07-11 안테나 이득개선을 위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연결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185A KR100491537B1 (ko) 2002-07-11 2002-07-11 안테나 이득개선을 위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연결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193A true KR20040006193A (ko) 2004-01-24
KR100491537B1 KR100491537B1 (ko) 2005-05-27

Family

ID=37316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0185A KR100491537B1 (ko) 2002-07-11 2002-07-11 안테나 이득개선을 위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연결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5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597B1 (ko) * 2006-12-18 2008-10-22 (주)파트론 단말기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220469T2 (de) * 1991-12-10 1997-12-04 Blaese Herbert R Hilfsantenne
FR2694138B1 (fr) * 1992-07-24 1994-08-19 Alcatel Radiotelephone Système d'adaptation entre une fiche d'antenne et un socle d'un radiotéléphone.
US5524284A (en) * 1994-07-29 1996-06-04 The Antenna Company Antenna adapter for portable cellular telephone
US6043780A (en) * 1995-12-27 2000-03-28 Funk; Thomas J. Antenna adapter
US5835064A (en) * 1996-02-21 1998-11-10 Andrew Corporation Antenna adapter assembly for portable cellular telephone
KR19990014481A (ko) * 1998-11-11 1999-02-25 김종오 무선통신기기의 안테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597B1 (ko) * 2006-12-18 2008-10-22 (주)파트론 단말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1537B1 (ko) 200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0743B2 (en) Portable wireless device
US6342860B1 (en) Micro-internal antenna
KR100434456B1 (ko)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US4860024A (en) Antenna for a portable radiotelephone
US20060176225A1 (en) Antenna arrangement for connecting an external device to a radio device
TW200623530A (en) A dual-band planar inverted-f antenna with a branch line shorting strip
US20100019973A1 (en) Multi-band antenna
EP1182727A3 (en) An antenna apparatus and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EP1202382A3 (en) Antenna
US9520641B2 (en) Antenn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antenna assembly
KR101335824B1 (ko) 이동단말기
CN103022647A (zh) 天线组合
JP2005142785A (ja) 複合アンテナ
CN208637611U (zh) 一种vhf-uhf双频合路全向天线
US6075487A (en) Portable telephone and antenna device
KR100491537B1 (ko) 안테나 이득개선을 위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연결커넥터
KR101523026B1 (ko) 다중대역 옴니 안테나
US7551143B2 (en) Antenna feed line for portable terminal
US6697021B2 (en) Double F antenna
KR20130104003A (ko) 스피커 일체형 내장형 안테나
KR20090008031A (ko) 평판형 역 에프 안테나
CN217934209U (zh) 一种5g全频段高效率天线装置
KR200428619Y1 (ko) 휴대용 무선기기의 모노폴(monopole)안테나를다이폴(dipole)안테나로 변경하는 커플링 부품
KR100294990B1 (ko) 안테나를 내장한 이동 전화 단말기
KR20050096649A (ko) 케이블 커넥터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이동통신 기지국용어레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