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3058A - 노치를 갖는 음순 패드 - Google Patents

노치를 갖는 음순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3058A
KR20040003058A KR10-2003-7016058A KR20037016058A KR20040003058A KR 20040003058 A KR20040003058 A KR 20040003058A KR 20037016058 A KR20037016058 A KR 20037016058A KR 20040003058 A KR20040003058 A KR 20040003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alternatively
absorbent
less
no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2073B1 (ko
Inventor
로날드 엘. 에덴즈
제임스 제이. 라반
로라 제이. 킬리
토마스 피. 키난
실비아 비. 리틀
메리 엘. 맥다니엘
스티븐 엘. 눈
윌리엄 지. 리브즈
헤터 에이. 소레보
수잔 엠. 웨이엔버그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53459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00305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US10/036,990 external-priority patent/US20020193769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0/036,635 external-priority patent/US20030208178A1/en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40003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0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09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having only interlabial part, i.e. with no extralabial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3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characterised by an unusual contour
    • A61F13/4724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characterised by an unusual contour with asymmetry around the x or y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음순 패드와 같은 흡수 용품 (40)에 관한 것이다. 음순 패드는 월경 목적을 위해, 실금자 보호를 위해, 또는 상기 둘 다를 위해 인간 여성이 착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그 주변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노치 (100)을 갖는다.

Description

노치를 갖는 음순 패드 {Labial Pad Having a Notch}
본 출원은 2001년 6월 8일 출원된 미국 출원 제60/297001호, 2001년 8월 27일 출원된 미국 출원 제60/315255호, 2001년 8월 27일 출원된 미국 출원 제60/315256호, 2001년 12월 31일 출원된 미국 출원 제10/036635호, 및 2001년 12월 31일 출원된 미국 출원 제10/036990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월경액과 같은 신체 분비물의 흡수를 위해 구성된 다양한 방식의 다양한 흡수 용품이 공지되어 있다. 여성 위생에 있어서, 당업계는 외음부 영역에 대해 외부에 착용하도록 개발된 생리대, 및 질강 내에 위치하여 월경액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개발된 탐폰이라는 2가지 기본적 유형의 여성 위생 보호 용품을 제공하였다. 1가지 유형의 장치 내에 상기 2가지 구조적 특징을 융합시키려고 시도한 혼성 여성 위생 보호 장치도 제안되었으나, 장점들을 전유하려는 노력이 구조적 단점 및 해부 기능적 단점의 보다 명백한 영속성에 의해 빛을 잃게되는 한, 허용가능한 의미있는것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음순 장치 또는 음순 사이 장치로 공지되어 있으며, 일부분이 착용자 질전정의 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의 덜 침입성인 장치도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 장치들 중 다수가 여성 착용자의 음순 사이에 착용될 수 있는 훨씬 더 작은 장치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를 완전히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이에 대해, 몇몇 제조업자들은 상기 기재된 선행 장치들에 비해 크기가 매우 작은 음순 패드를 생산하였다. 그러나, 이들 장치 중 다수의 구성이, 여성 착용자와 해부학적으로 들어맞아야 하는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다수의 이들 장치가 지닌 눈에 거슬리는 기하구조로 인하여, 구조적 부재들이 클리토리스 및(또는) 회음부와 같은 여성 해부구조의 매우 민감한 부분과 접촉하여 자극하게 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자들은 선행 기술 고유의 결함 및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에 대해 혁신적인 음순 패드를 개발하는 데 있어 철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음순 패드와 같은 흡수 용품의 적어도 일부분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노치를 클리토리스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흡수 용품이 클리토리스와 접촉하여 자극하게 될 가능성을 최소화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음순 패드와 같은 흡수 용품의 적어도 일부분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노치를 회음부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흡수 용품이 회음부와 접촉하여 자극하게 될 가능성을 최소화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한 실시양태에서, 흡수 용품은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수 용품은 흡수체를 포함한다. 흡수체는 주요 종축, 주요 횡축, 이격된 제1 및 제2 종방향 측면, 및 이격된 제1 및 제2 횡방향 말단 영역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상기 종방향 측면은 횡방향 말단 영역과 함께 흡수체의 주변부를 형성한다. 이 실시양태의 흡수체는 횡방향 말단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노치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흡수 용품은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수 용품은 흡수체를 갖는다. 흡수체는 주요 종축, 주요 횡축, 이격된 제1 및 제2 종방향 측면, 및 이격된 제1 및 제2 횡방향 말단 영역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상기 종방향 측면은 횡방향 말단 영역과 함께 흡수체의 주변부를 형성한다. 이 실시양태의 흡수체는 그 주변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노치를 갖는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흡수 용품은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수 용품은 흡수체를 포함한다. 흡수체는 주요 종축, 주요 횡축, 이격된 제1 및 제2 종방향 측면, 및 이격된 제1 및 제2 횡방향 말단 영역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상기 종방향 측면은 횡방향 말단 영역과 함께 흡수 용품의 주변부를 형성한다. 이 실시양태의 흡수체는 종방향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노치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흡수 용품은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수 용품은 흡수체를 포함한다. 흡수체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기하구조, 반경, 주변부 및 중앙축을 갖는다. 이 실시양태의 흡수체는 그 주변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노치를 갖는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흡수 용품은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흡수 용품은 유체 투과성 커버, 액체 불투과성 배플, 및 커버와 배플 사이에 위치한 흡수체를 포함한다. 흡수체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기하구조, 반경, 주변부 및 중앙축을 갖는다. 이 흡수체도 그 주변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노치를 갖는다.
부가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흡수 용품은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수 용품은 액체 불투과성 배플 및 흡수체를 포함한다. 흡수체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기하구조, 반경, 주변부 및 중앙축을 갖는다. 흡수체는 그 주변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노치를 갖는다.
추가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흡수 용품은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흡수 용품은 유체 투과성 커버 및 흡수체를 포함한다. 흡수체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기하구조, 반경, 주변부 및 중앙축을 갖는다. 흡수체는 그 주변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노치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음순 패드와 같은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패드의 주변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노치를 갖는 음순 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특징, 측면 및 장점은 하기 설명, 첨부 청구항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음순 패드와 같은 흡수 용품의 환경을 나타내는 인간 여성의 간략화된 해부 단면도이다.
도 2는 외부 생식기를 나타내는 인간 여성의 간략화된 해부 단면도이다.
도 3은 인간 여성의 클리토리스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게 되는 흡수 용품의 주변부에 위치한 노치를 갖는, 펼쳐지거나 실질적으로 편평한 흡수 용품의 배치를 나타내는 간략화된 도면이다.
도 4는 그 주변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노치를 갖는 흡수 용품의 한 형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라인 5-5를 따라 절단한 흡수 용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흡수 용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흡수 용품의 주변부에 위치한 노치의 한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은 흡수 용품의 또다른 형태의 주변부에 위치한 노치의 다른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9는 흡수 용품의 또다른 형태의 주변부에 위치한 노치의 또다른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0은 흡수 용품의 추가 형태의 주변부에 위치한 노치의 또다른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1은 그 주변부를 따라 하나 이상의 노치를 갖는 흡수 용품의 추가 형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2는 흡수 용품의 추가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형태를 실질적으로 접힌 상태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질적으로 한 축에 대해 접힌 흡수 용품의 부가 형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5는 실질적으로 한 축에 대해 접혀 있고 질전정에 배치하기 위해 착용자의 손가락으로 움켜잡은 도 14의 형태를 나타내는 과장된 확대도이다.
도 16은 그 주변부를 따라 위치한 하나 이상의 노치를 갖는 흡수 용품의 다른 부가 형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7은 그 주변부를 따라 위치한 하나 이상의 노치를 갖는 흡수 용품의 또다른 부가 형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8은 그 주변부를 따라 위치한 하나 이상의 노치를 갖는 흡수 용품의 또다른 부가 형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9는 그 주변부를 따라 위치한 하나 이상의 노치를 갖는 흡수 용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0은 그 주변부를 따라 위치한 하나 이상의 노치를 갖는 흡수 용품의 다른 추가 형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1은 그 주변부를 따라 위치한 하나 이상의 노치를 갖는 흡수 용품의 또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2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기하구조를 갖고, 인간 여성의 클리토리스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게 되는 주변부에 위치한 노치를 갖는, 펼쳐지거나 실질적으로 편평한 흡수 용품의 배치를 나타내는 간략화된 도면이다.
도 23은 실질적으로 원형인 기하구조와, 그 주변부에 하나 이상의 노치를 갖는 흡수 용품의 한 형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서 라인 24-24를 따라 절단한 흡수 용품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흡수 용품의 주변부에 위치한 노치의 한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6은 흡수 용품의 주변부에 위치한 노치의 다른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7은 흡수 용품의 주변부에 위치한 노치의 또다른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8은 그 주변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노치를 갖는 흡수 용품의 한 형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9는 그 주변부에 위치한 노치의 다른 실시양태를 갖는 흡수 용품을 나타내는 부분 파단 상면도이다.
도 30은 그 주변부에 위치한 노치의 또다른 실시양태를 갖는 흡수 용품을 나타내는 부분 파단 상면도이다.
도 31은 그 주변부에 위치한 노치의 또다른 실시양태를 갖는 흡수 용품을 나타내는 부분 파단 상면도이다.
본원의 도면, 즉 도 1 내지 도 31에서 각각의 유사한 부분들은 유사한 참조 기호로 식별되며, 도 3 및 도 22는 일반적으로 (42) (또한, 도 1 참조)로 지칭되는 착용자의 질전정 내에 배치된, 일반적으로 (40)으로 지칭되는 음순 패드와 같은 흡수 용품을 펼쳐지거나 편평한 구성으로 배치하는 것과 배치 전의 상태를 도식적으로 예시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음순 패드"는 적어도 몇개의 흡수체 성분을 보유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이는 대음순 사이에 배치되도록 특별히 구성되고, 사용시에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하기 서술의 목적상, 질전정 (42)는 앞음순 연결부 (44)로부터 꼬리쪽으로 위치한 지점 근처에서 시작하여 뒤음순 연결부 (46)까지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질전정 (도 1 참조)의 저부 (48)와 내부로 접하는 음순 내의 한정된 영역을 나타낸다. 당업자는 소음순 (59) 및 대음순 (61)의 상대적인 크기 및 형상에 관해 여성들 사이에 광범위한 변화가 존재하며 이와 밀접하게 질전정 (42)의 윤곽이 규정됨을 잘 이해할 것이다 (도 1 및 도 2 참조). 그러나, 본 서술의 목적상 이러한 차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는 않을 것이며, 당업자는 임의의 경우에서 흡수 용품 (40)의 질전정 (42) 내로의 배치는 소음순 (59)와 관련된 이러한 임의의 고려에 상관없이 대음순 (61) 사이에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질전정 (42)의 꼬리쪽으로는 둔부 (54) 영역 내의 항문 (52)에 이르는 회음부 (50)가 존재한다. 본원의 목적상, 질전정 (42) 자체 내에 질구 (56), 요도구 (58) 및 클리토리스 (60)로 구성된 주요 비뇨생식 기관이 위치한다. 이러한 해부학적 영역을 상기에서 간략히 검토하면서 본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질전정 (42)를 편의상 일반적으로 뒤음순 연결부 (46)과 클리토리스 (60) 사이의 영역으로 고려할 것이다. 그러나, 인간 여성 해부구조 중의 상기 부분에 대한 설명을 더욱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헌 [Anatomy of the Human Body by Henry Gray, Thirtieth American Edition (Carmine D. Clemente ed., Lea& Febiger, 1985) at 1571-1581]을 참조한다.
본원에서 논의된 흡수 용품 (40)은 질전정로부터의 유체 흐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질전정 (4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흡수 용품 (40)의 주된 용도는 질구 (56)를 통해 배출되는 월경액의 흡수이지만, 부수적으로 여성 요실금의 경우에 흡수 용품을 동일하게 잘 개조하여 뇨 흡수용 요실금 장치의 한 유형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예시한 형태인 흡수 용품 (40)은 일반적으로 x 방향을 따라 뻗은 주요 종축 (L)을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종방향"은 흡수 용품의 사용시에 직립 여성 착용자를 좌우의 절반의 신체로 이등분하는 수직 면으로 일반적으로 정렬된 (예를 들어, 수직 면에 대략적으로 나란함) 흡수 용품 (40)의 면에서의 선, 축 또는 방향을 의미한다. 종방향은 일반적으로 도 4에서 x-축으로 예시된다. 또한, 흡수 용품 (40)은 주요 횡축 (T)를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횡방향", "횡" 또는 "y 방향"은 일반적으로 종방향과 수직인 선, 축 또는 방향을 의미한다. 횡방향은 일반적으로 도 4에서 y-축으로 예시된다. "z 방향"은 상기 기재한 수직 면에 일반적으로 나란한 선, 축 또는 방향인 것이 전형적이다. z 방향은 일반적으로 도 5에서 z-축으로 예시된다. 용어 "상부"는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머리 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는 반면, 용어 "하부" 또는 "아래쪽"은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발 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원의 논의의 목적상, 흡수 용품 (40)의 각 층, 예를 들어 유체 투과성 커버 (62), 액체 불투과성 배플 (64) 및(또는) 흡수체 (66)은 상부 또는 신체측 표면 및 상부 또는 신체측 표면에 대향하는 표면으로서또한 기재된 하부 표면을 보유한다.
도 6에서, 흡수 용품 (40)은 유체 투과성 커버 (62), 액체 불투과성 배플 (64) 및 커버와 배플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 (66)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 (66)은 제1 말단 영역 (70), 제2 말단 영역 (72), 및 각 말단 영역 사이에 배치된 중앙 영역 (74)를 보유한다. 흡수 용품 (40)은 흡수 용품의 적어도 일부가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 내에 배치되도록 하는 적합한 크기 및 모양의 것이어야 한다. 또한, 흡수 용품 (40)은 착용자의 질구 (56) 및(또는) 요도구 (58)로부터의 월경액, 뇨 또는 다른 신체 분비물의 흐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고 방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 (66) 및 이로 인한 흡수 용품 (40)은 일반적으로 이격된 제1 (76) 횡방향 말단 영역과 제2 (78) 횡방향 말단 영역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기하구조를 나타낸다. 흡수체 (66) 및 이로 인한 흡수 용품 (40)이 또한 횡방향 말단 영역들 (76, 78) 사이에 위치하는 이격된 제1 (80) 및 제2 (82) 종방향 측면을 포함함을 주지함으로써 전체 기하구조가 완성되며, 이들이 함께 주변 측면 (즉, 주변부로서 정의되는 곳)으로서 때때로 본원에 언급된다.
흡수체 (66)의 기하구조는 흡수 용품 (40)의 전체 크기 및 효과에 영향을 주는 중요 인자이다. 일반적으로, 흡수체 (66)는 주요 횡축 (T)와 일반적으로 나란하게 놓여있고 한쪽 종방향 측면에서 반대쪽 종방향 측면 (80, 82)으로 뻗어있는 선을 따라 측정한 최대 폭 (Wmax), 및 주요 횡축 (T)와 일반적으로 나란하게 놓여있고 한쪽 종방향 측면에서 반대쪽 종방향 측면 (80, 82)으로 뻗어 있는 선을 따라 측정한 최소 폭 (Wmin)을 갖는다. 흡수체 (66)의 최대 폭 (Wmax)은 전형적으로 약 30 mm 이하, 다르게는 약 40 mm 이하, 다르게는 약 50 mm 이하, 다르게는 약 60 mm 이하, 또는 다르게는 약 70 mm 이하이다. 흡수체 (66)의 최소 폭 (Wmin)은 전형적으로 약 30 mm 이상, 다르게는 약 20 mm 이상, 다르게는 약 10 mm 이상, 또는 다르게는 약 5 mm 이상이다. 따라서, 흡수체 (66)의 폭은 약 5 mm 이상 내지 약 70 mm 이하까지의 범위일 수 있지만, 흡수체의 대략적인 폭(들)은 특히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 내에서 흡수 용품 (40)의 의도된 배치 및 전반적인 디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당업자는 특정 형태의 흡수체 (66) 및 이로 인한 특정 형태의 흡수 용품 (40)의 최소 폭 (Wmin)이 최대 폭 (Wmax)과 동일할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최대 폭 (Wmax)만을 언급한다.
또한, 흡수체 (66)은 일반적으로 주요 종축 (L)에 평행하게 놓이고 한 쪽 횡방향 말단 영역 (76)으로부터 다른 쪽 횡방향 말단 영역 (78)로 진행되는 라인에 따라 측정된 최대 길이 (Lmax)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흡수체 (66)의 최대 길이 (Lmax)는 약 40 mm 이하, 다르게는 약 50 mm 이하, 다르게는 약 60 mm 이하, 다르게는 약 70 mm 이하, 다르게는 약 80 mm 이하, 다르게는 약 90 mm 이하, 또는 다르게는 약 100 mm 이하이다. 또한, 흡수체 (66)은 일반적으로 주요 종축 (L)에 평행하게 놓이고 한 쪽 횡방향 말단 영역 (76)으로부터 다른 쪽 횡방향 말단 영역 (78)로진행되는 라인에 따라 측정된 최소 길이 (Lmin)를 가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흡수체 (66)의 최소 길이 (Lmin)는 약 100 mm 이상, 다르게는 약 90 mm 이상, 다르게는 약 80 mm 이상, 다르게는 약 70 mm 이상, 다르게는 약 60 mm 이상, 다르게는 약 50 mm 이상, 또는 다르게는 약 40 mm 이상이다. 따라서, 흡수체 (66)의 길이는 약 40 mm 이상 약 100 mm 이하의 범위일 수 있지만, 흡수체의 대략적인 길이(들)은 특히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 내에서 흡수 용품 (40)의 의도된 배치 및 전반적인 디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당업계의 숙련자는, 본 발명의 흡수체 (66)의 특정 형태, 따라서 흡수 용품 (40)의 특정 형태의 최소 길이 (Lmin)는 그의 최대 길이 (Lmax)와 동일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적어도 도 2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최대 길이 (Lmax)만을 언급한다. 최대 길이 (Lmax)가 최소 길이 (Lmin)와 동일하지 않은 흡수체 (66)의 형태, 따라서 흡수 용품 (40)의 형태를 적어도 도 7 내지 도 11 및 도 16 내지 도 20에 예시하였다.
제1 말단 영역 (70) 및 제2 말단 영역 (72)가 각각 흡수체 (66)의 중앙 영역 (74)로부터 횡방향 말단 영역 (각각 76 및 78)을 향하여 바깥쪽으로 최소로 연장되는 거리는, 흡수체의 최대 길이 (Lmax)의 약 30% 이상, 다르게는 약 20% 이상, 또는 다르게는 약 10% 이상이다. 제1 말단 영역 (70) 및 제2 말단 영역 (72)가 각각 흡수체 (66)의 중앙 영역 (74)로부터 횡방향 말단 영역 (각각 76 및 78)을 향하여 바깥쪽으로 최대로 연장되는 거리는, 흡수체의 최대 길이 (Lmax)의 약 20% 이하, 다르게는 약 30% 이하, 또는 다르게는 약 40% 이하이다. 따라서, 말단 영역 (70, 72)는 흡수체 (66)의 최대 길이 (Lmax)의 최소 약 20% 내지 최대 약 80%를 차지할 수 있지만, 제1 및 제2 말단 영역의 대략적인 크기는 특히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 내에서 흡수 용품 (40)의 의도된 배치 및 전반적인 디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흡수 용품 (40)은 의도된 양 및 유형의 신체 분비물(들)을 흡수하여 보유하기에 충분한 용량을 지니고 있다. 흡수 용량은 유체 보유 코어 또는 일반적으로 66으로 나타낸 흡수체에 의해 제공된다. 적어도 월경액에 있어, 흡수체 (66)의 최소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19 g/g 이상, 다르게는 약 18 g/g 이상, 다르게는 약 17 g/g 이상, 다르게는 약 16 g/g 이상, 다르게는 약 15 g/g 이상, 다르게는 약 14 g/g 이상, 다르게는 약 13 g/g 이상, 다르게는 약 12 g/g 이상, 다르게는 약 11 g/g 이상, 다르게는 약 10 g/g 이상, 다르게는 약 9 g/g 이상, 다르게는 약 8 g/g 이상, 다르게는 약 7 g/g 이상, 다르게는 약 6 g/g 이상, 다르게는 약 5 g/g 이상, 다르게는 약 4 g/g 이상, 다르게는 약 3 g/g 이상, 다르게는 약 2 g/g 이상, 또는 다르게는 약 1 g/g 이상이다. 또한, 흡수체 (66)의 최대 용량은 약 5 g/g 이하, 다르게는 약 6 g/g 이하, 다르게는 약 7 g/g 이하, 다르게는 약 8 g/g 이하, 다르게는 약 9 g/g 이하, 다르게는 약 10 g/g 이하, 다르게는 약 11 g/g 이하, 다르게는 약 12 g/g 이하, 다르게는 약 13 g/g 이하, 다르게는 약 14 g/g 이하, 다르게는 약 15 g/g 이하, 다르게는 약 16 g/g 이하, 다르게는 약 17g/g 이하, 다르게는 약 18 g/g 이하, 다르게는 약 19 g/g 이하, 다르게는 약 20 g/g 이하, 다르게는 약 25 g/g 이하, 또는 다르게는 약 30 g/g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흡수체 (66)의 용량은 약 1 g/g 이상 내지 약 30 g/g 이하의 범위일 수 있지만, 흡수체의 대략적인 용량은 특히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 내에서 흡수 용품 (40)의 의도된 배치 및 전반적인 디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당업계의 숙련자는, 초흡수성 중합체(들) 또는 코팅된 초흡수성 중합체(들)을 흡수체 (66)에 첨가함으로써 통상적으로 흡수 용량이 실질적으로 증가되는 효과가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개별적 부재를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흡수체 (66)은 상부 또는 신체측 표면 및 하부 표면 (또는 상부 또는 신체측 표면과 대향하는 면)은, 흡수 및(또는) 흡착이 가능하고 그 후 의도된 신체 분비물(들)의 보유가 가능한 임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합한 물질은 일반적으로 친수성이고 압축가능하며 정합성이 있다. 흡수체 (66)은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임의의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예는, 다양한 천연 또는 합성 섬유, 다겹의 크레이프 셀룰로스 와딩, 플러프 셀룰로스 섬유, 레이온 또는 기타 재생 셀룰로스 물질, 목재 펄프 섬유 또는 분쇄 목재 펄프 섬유, 에어레이드 물질, 직물 섬유, 폴리에스테르와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블렌드, 흡수성 발포체, 흡수성 스폰지, 초흡수성 중합체, 코팅된 초흡수성 중합체, 섬유 다발 또는 니트, 또는 임의의 균등 물질 또는 물질의 배합물을 포함하나, 이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에 대한 임의의 많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친수성으로 된 소수성 물질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흡수체 (66)의 총 흡수 용량은 흡수 용품 (40)의 의도된 용도 및 분비물 하중 디자인과 상용성이 있어야 한다. 또한, 흡수체 (66)의 크기 및 흡수 용량은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체 (66)의 치수, 형상 및 구성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체는 적어도 도 12 및 도 1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두께, 또는 친수성 구배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초흡수성 중합체(들)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흡수체 (66)은, 적어도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z축에 평행하게 놓인 라인을 따라 측정된 두께, 캘리퍼 또는 높이 (H)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흡수체 (66)의 최소 두께는 약 9 mm 이상, 다르게는 약 8 mm 이상, 다르게는 약 7 mm 이상, 다르게는 약 6 mm 이상, 다르게는 약 5 mm 이상, 다르게는 약 4 mm 이상, 다르게는 약 3 mm 이상, 다르게는 약 2 mm 이상, 다르게는 약 1 mm 이상, 또는 다르게는 약 0.5 mm 이상이다. 통상적으로 흡수체 (66)의 최대 두께는 약 2 mm 이하, 다르게는 약 3 mm 이하, 다르게는 약 4 mm 이하, 다르게는 약 5 mm 이하, 다르게는 약 6 mm 이하, 다르게는 약 7 mm 이하, 다르게는 약 8 mm 이하, 다르게는 약 9 mm 이하, 또는 다르게는 약 10 mm 이하이다. 따라서, 흡수체 (66)의 두께는 약 10 mm 이하일 수 있지만, 흡수체의 대략적인 두께는 특히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 내에서 흡수 용품 (40)의 의도된 배치 및 전반적인 디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흡수체 (66)은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밀도가 낮고, 이는 안락함을 위해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된다. 일반적으로, 흡수체의 밀도는 약 0.5 g/cc 미만이다. 달리 언급하자면, 흡수체 (66)은 통상적으로 최대 밀도가 약 0.5 g/cc 이하, 다르게는 약 0.4 g/cc 이하, 다르게는 약 0.3 g/cc 이하, 다르게는 약 0.2 g/cc 이하, 다르게는 약 0.1 g/cc 이하, 다르게는 약 0.09 g/cc 이하, 다르게는 약 0.08 g/cc 이하, 다르게는 약 0.07 g/cc 이하, 다르게는 약 0.06 g/cc 이하, 다르게는 약 0.05 g/cc 이하, 다르게는 약 0.04 g/cc 이하, 다르게는 약 0.03 g/cc 이하, 또는 다르게는 약 0.02 g/cc 이하이다. 또한, 흡수체 (66)은 일반적으로 최소 밀도가 약 0.01 g/cc 이상, 다르게는 약 0.02 g/cc 이상, 다르게는 약 0.03 g/cc 이상, 다르게는 약 0.04 g/cc 이상, 다르게는 약 0.05 g/cc 이상, 다르게는 약 0.06 g/cc 이상, 다르게는 약 0.07 g/cc 이상, 다르게는 약 0.08 g/cc 이상, 다르게는 약 0.09 g/cc 이상, 다르게는 약 0.1 g/cc 이상, 다르게는 약 0.2 g/cc 이상, 다르게는 약 0.3 g/cc 이상, 또는 다르게는 약 0.4 g/cc 이상이다. 따라서, 흡수체 (66)의 밀도는 약 0.5 g/cc 이하의 범위일 수 있지만, 흡수체의 대략적인 밀도는 특히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 내에서 흡수 용품 (40)의 의도된 배치 및 전반적인 디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흡수체 (66)은 바람직하게는 기본 중량이 평방미터당 약 600 g (gsm) 미만이다. 달리 언급하자면, 흡수체 (66)은 통상적으로 최대 기본 중량이 약 600 gsm 이하, 다르게는 약 500 gsm 이하, 다르게는 약 400 gsm 이하, 다르게는 약 300 gsm 이하, 다르게는 약 200 gsm 이하, 또는 다르게는 약 100 gsm 이하이다. 또한, 흡수체 (66)은 일반적으로 최소 기본 중량이 약 0.1 gsm 이상, 다르게는 약 50 gsm 이상, 다르게는 약 100 gsm 이상, 다르게는 약 150 gsm 이상, 다르게는 약 200 gsm 이상, 다르게는 약 250 gsm 이상, 다르게는 약 300 gsm 이상, 다르게는 약 350 gsm이상, 다르게는 약 400 gsm 이상, 다르게는 약 450 gsm 이상, 다르게는 약 500 gsm 이상, 또는 다르게는 약 550 gsm 이상이다. 따라서, 흡수체 (66)의 기본 중량은 약 600 gsm 이하이지만, 흡수체의 대략적인 기본 중량은 특히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 내에서 흡수 용품 (40)의 의도된 배치 및 전반적인 디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적합한 흡수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프로필렌과 셀룰로스 섬유의 블렌드로 만들어지고, 코텍스 (등록상표, KOTEX) 맥시 팬티라이너에 사용되며, 킴벌리-클락 코포레이션 (Kimberly-Clark Corporation, Neenah, WI, USA)으로부터 입수가능한 코폼 (coform) 재료와 유사한 것이 있다.
임의의 배플 (64)는 통상적으로 흡수체 (66)의 하부 표면에 존재하며, 액체-불투과성인 임의의 바람직한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플 (64)는 공기와 수분 증기를 흡수체 (66) 밖으로 통과시키지만, 체액(들)의 통과는 차단할 것이다. 적합한 배플 재료의 예로는, 최소 두께가 약 0.025 mm 이상이고 최대 두께가 약 0.13 mm 이하인 마이크로-엠보싱 중합체 필름,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가 있다. 액체-불투과성이 되도록 처리된 직물 및 부직포 뿐만 아니라, 이성분 필름도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재료의 예로는 불연속 기포 폴리올레핀 발포체가 있다. 불연속 기포 폴리에틸렌 발포체도 적합할 수 있다.
배플 (64)는, 인접한 측면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흡수체 (66)과 고정된 관계로 유지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결합 방법을 이용하여 임의의 그러한 고정 관계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의 예로는, 초음파, 열 결합, 또는 2개의 결합 표면 사이의 다양한 패턴의 접착제 도포가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배플 재료의 구체적인 예로는 코텍스 (등록상표) 팬티라이너에 사용되며 플리안트 코포레이션 (Pliant Corporation, Schaumburg, IL, USA)으로부터 입수가능한 폴리에틸렌 필름과 유사한 것이 있다.
임의의 유체 투과성 커버 (62)는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을 가지며, 상부 표면은 통상적으로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여 신체 분비물(들)을 수용한다. 커버 (62)는 바람직하게는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 내의 조직에 무자극성이며 가요성인 재료로 만들어진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가요성인"은 유순하여 신체 표면(들)에 용이하게 들어맞거나, 외부 힘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됨으로써 반응하는 재료를 나타내는 것이다.
커버 (62)에는 안락함과 적합성, 그리고 신체 분비물(들)을 신체에서 멀리 떨어져 흡수체 (66)을 향하게 유도하는 기능이 제공된다. 커버 (62)는 그 구조에 액체를 거의 또는 전혀 보유하지 않아서,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 내의 조직에 대해 비교적 안락하고 무자극성인 표면을 제공해야 한다. 커버 (62)는 또한 표면에 접촉한 체액이 용이하게 투과할 수 있는 임의의 직물 또는 부직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재료의 예로는,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또는 기타 열-결합가능한 섬유의 본디드 카디드 웹;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공중합체;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 지방족 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락트산; 미세 천공된 필름 웹 및 적합한 망사 (net) 재료가 있다. 적합한 커버 재료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지고, 코텍스 (등록상표) 팬티라이너용 커버 원료로서 사용되며, 샌들러 코포레이션 (Sandler Corporation, Germany)으로부터 입수가능한 본디드 카디드 웹과 유사한 것이 있다. 적합한 재료의 다른 예로는 중합체와 부직포 재료의 복합재가 있다. 복합재는 통상적으로, 중합체를 스펀본드 재료의 웹 상에 압출시킴으로써 형성된 일체형 시트의 형태이다. 또한, 유체 투과성 커버 (62)는 체액(들)이 흡수체 (66) 내로 투과하는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형성된 다수의 구멍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생리학적 함수성의 커버 재료도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생리학적 함수성"은, 질전정의 환경에 배치되었을 때 질전정 (42)의 조직과 흡수 용품 (40) 사이에 적합한 습윤 계면을 유지하는 커버 재료를 내포하는 것으로, 안락함의 요건에 대해 온화한 것은 또한 흡수 용품이 질전정를 통해 이동하는 체액(들)을 수용하고 흡수체 (66)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수행해야 한다는 자명한 인자를 기억하며 질전정의 습윤 조직 환경 내에 직물 또는 직물-유사 구조를 삽입시키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고전적인 의미로는 사용 전에 (커버가 이 시간에는 건조된 것이기 때문에) "함수성"이 아니지만, 커버 (62)는 적당한 수분의 양 또는 질전정 (42) 내에서 요구되는 적당한 수분 균형을 유지한다 (또는 적어도 그 유지를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커버 (62)는 커버를 보다 친수성이 되게 하는 계면활성제로 처리된 표면의 일부를 적어도 포함한다. 이는 모욕적인 체액(들)이 보다 용이하게 커버 (62)를 투과하도록 한다. 또한, 계면활성제는 월경액과 같은 모욕적인 체액(들)이흡수체 (66)에 흡수되기 보다는 커버 (62)를 흘러 넘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 적합한 방법은 흡수체 (66)의 상부 표면 위에 놓인 커버 (62)의 상부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계면활성제를 제공한다.
커버 (62)는, 인접한 측면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흡수체 (66)과 고정된 관계로 유지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결합 방법을 이용하여 임의의 그러한 고정 관계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의 예로는, 2개의 결합 표면 사이에 다양한 패턴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 흡수체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의 인접 표면 중 일부와 엔탱글링 (entangling)시키는 것, 또는 커버의 인접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흡수체의 인접 표면 중 일부와 융합시키는 것이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형적으로 커버 (62)는 흡수체 (66)의 상부 표면 상에 위치하나, 또한 흡수체를 감싸고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또는, 커버 (62) 및 배플 (64)은 흡수체 (66)의 주변부를 넘어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주변부를 가질 수 있고, 적어도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주변부로 함께 결합되어 연부 (84)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루잉 (gluing), 크림핑 (crimping), 고온 봉합 등과 같은 공지된 기술을 활용하여, 연부 (84)를 흡수체 (66)의 전체 주변부가 그들의 결합에 의해 한계가 정해지도록 전체적으로, 또는 커버 (62)와 배플 (64)이 부분적으로 주변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흡수 용품 (40)의 착용자에게 자극 및(또는) 불편함을 줄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연부 (84)와 적어도 연부에 바로 인접하는 흡수 용품 영역이 부드럽고, 압축가능하며, 정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렇게 형성된 임의의 연부 (84)의 폭은 약 10 mm 이하, 다르게는 약 9 mm 이하, 다르게는 약 8 mm 이하, 다르게는 약 7 mm 이하, 다르게는 약 6 mm 이하, 다르게는 약 5 mm 이하, 다르게는 약 4 mm 이하, 다르게는 약 3 mm 이하, 다르게는 약 2 mm 이하, 또는 다르게는 약 1 mm 이하일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렇게 형성된 임의의 연부 (84)의 폭은 약 0.5 mm 이상, 다르게는 약 1 mm 이상, 다르게는 약 2 mm 이상, 다르게는 약 3 mm 이상, 다르게는 약 4 mm 이상, 다르게는 약 5 mm 이상, 다르게는 약 6 mm 이상, 다르게는 약 7 mm 이상, 다르게는 약 8 mm 이상, 또는 다르게는 약 9 mm 이상일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형성된 임의의 연부 (84)의 폭은 약 0.5 mm 내지 약 10 mm의 범위일 수 있으나, 임의의 연부의 대략적 폭은 특히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 내에서 흡수 용품 (40)의 의도된 배치 및 전반적인 디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커버 (62) 및(또는) 배플 (64)은 흡수체 (66)의 주변부와 공통 경계 상에 있는 주변부를 가질 수 있다.
임의로는, 굴곡부 (F)의 요망되는 축은 특정 형태 흡수체 (66)의 주요 종축 (L) 상에, 또는 실질적으로 그에 평행하게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굴곡부 (F)의 요망되는 축은 종방향, 즉 x 방향을 따라 진행되고, 주요 종축 (L)로부터 중심까지의 거리는 약 10 mm 이하, 다르게는 약 9 mm 이하, 다르게는 약 8 mm 이하, 다르게는 약 7 mm 이하, 다르게는 약 6 mm 이하, 다르게는 약 5 mm 이하, 다르게는 약 4 mm 이하, 다르게는 약 3 mm 이하, 다르게는 약 2 mm 이하, 또는 다르게는 약 1 mm 이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굴곡부 (F)의 요망되는 축은 주요 종축 (L)을 따라 정렬된다. 전형적으로, 굴곡부 (F)의 요망되는 축은, 흡수체 (66)의 최대 길이 (Lmax)의 약 90% 이상, 다르게는 약 80% 이상, 다르게는 약 70% 이상, 다르게는 약 60% 이상, 다르게는 약 50% 이상, 또는 다르게는 약 40% 이상 종방향으로 최소로 연장된다. 전형적으로, 굴곡부 (F)의 요망되는 축은, 흡수체 (66)의 최대 길이 (Lmax)의 약 50% 이하, 다르게는 약 60% 이하, 다르게는 약 70% 이하, 다르게는 약 80% 이하, 다르게는 약 90% 이하, 또는 다르게는 약 100% 이하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굴곡부 (F)의 요망되는 축은 흡수체 (66)의 치수, 형상 및(또는) 구성에 의해 자연적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흡수체에 약화된 축 또는 영역이 부여되어 굴곡부의 요망되는 축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굴곡부 (F)의 요망되는 축은, 예를 들어 스코링 (scoring), 프리폴딩 (pre-folding), 슬릿팅 (slitting), 엠보싱 등을 포함하는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기술로 형성시킬 수 있다. 본원에서는, 굴곡부 (F)의 요망되는 축은 흡수체 (66) 중에 위치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당업계의 숙련자는 요망되는 굴곡부의 축이 커버 (62), 배플 (64) 및(또는) 흡수체 중에; 커버 및 배플 중에; 커버 및 흡수체 중에; 또는 배플 및 흡수체 중에 형성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것이다. 존재하는 경우, 전형적으로, 굴곡부 (F)의 요망되는 축은 흡수 용품 (40)이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 내에 위치하기 전에 보다 쉽게 접히도록 한다.
흡수 용품 (40)은 적어도 도 5 및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z축에 평행하게 놓인 라인을 따라 측정된 두께, 캘리퍼 또는 높이 (H)를 갖는다. 전형적으로 흡수 용품 (40)의 최소 두께는 약 9 mm 이상, 다르게는 약 8 mm 이상, 다르게는 약 7 mm 이상, 다르게는 약 6 mm 이상, 다르게는 약 5 mm 이상, 다르게는 약 4 mm 이상, 다르게는 약 3 mm 이상, 다르게는 약 2 mm 이상, 다르게는 약 1 mm 이상, 또는 다르게는 약 0.5 mm 이상이다. 전형적으로 흡수 용품 (40)의 최대 두께는 약 1 mm 이하, 다르게는 약 2 mm 이하, 다르게는 약 3 mm 이하, 다르게는 약 4 mm 이하, 다르게는 약 5 mm 이하, 다르게는 약 6 mm 이하, 다르게는 약 7 mm 이하, 다르게는 약 8 mm 이하, 다르게는 약 9 mm 이하, 또는 다르게는 약 10 mm 이하이다. 따라서, 흡수 용품 (40)의 두께는 약 10 mm 이하일 수 있으나, 흡수체의 대략적 두께는 특히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 내에서 흡수 용품 (40)의 의도된 배치 및 전반적인 디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형적으로 흡수 용품 (40)은,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 내에 위치하기 전에, 적어도 도 13, 도 14 및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축을 따라 접힌다. 이러한 축을 따라 접히는 경우, 흡수 용품 (40)은, 흡수 용품이 질전정 (42) 내에 위치하는 경우 착용자의 손가락(들)이 오염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오목부 (92)를 형성한다. 일단 삽입되면, 흡수 용품 (40)은 펼쳐지려는 경향이 있어 질전정를 메우게되고, 따라서 흡수 용품의 상부 표면이 질전정 (42)의 조직과 접촉한 채로 유지된다. 흡수 용품 (40)은 자신이 접혀진 축을 따라 탄성적으로 편향되어 흡수 용품이 펼쳐지려는 경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흡수 용품 (40)의 흡수체 (66)는, 적어도 도 12 및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의 종방향 연부를 따라 두꺼워질 수 있고,따라서 또한 요망되는 경우, 전형적으로 흡수 용품 (40)의 상부 표면이 질전정 (42)의 조직에 접촉되게 하려는 편향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본원에 기재된 흡수 용품 (40)이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 조직과의 접촉을 유지시키기 위한 임의의 부가적 특징부를 반드시 필요로하는 것은 아니다. 질전정 (42)의 조직이 지닌 고유의 습윤 표면으로 인해, 통상적으로 흡수 용품 (40)의 상부 표면과의 접촉이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착용자는 흡수 용품 (40)을 축을 따라 접은 후 질전정 (42) 내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적어도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주변부에서 접힌 흡수 용품 (40)을 유지할 수 있다. 그 후, 착용자가 접힌 흡수 용품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 (92) 내에 위치한 손가락(들)로 힘을 가함으로써 흡수 용품 (40)을 질전정 (42)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적어도 도 3, 도 4, 도 7 내지 도 11 및 도 16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 (66), 및 이에 따른 흡수 용품 (40)에는 주변부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노치 (100)이 제공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노치"는 재료, 재료의 층 또는 재료의 적층물의 주변부를 따라 존재하는 공간, 만입부 또는 중공 (hollow)을 나타낸다. 흡수체 (66), 및 이에 따른 흡수 용품 (40)에 대한 다수의 가능한 기하구조로 인하여, 사용 중인 특정 흡수 용품을 보지 않고는 구성된 특정 흡수 용품에서 노치 (100)을 위치시키는 곳을 나타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흡수 용품 (40)의 적어도 클리토리스 (60)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는 부분의 주변부에 위치시키는 경우에, 노치 (100)은 흡수 용품이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에 배치될 때 여성 착용자로부터 실질적으로 이격된 관계를 유지한다고 결정된 것으로 믿어진다. 그러한 이격된 관계는 흡수 용품 (40)이 민감한 클리토리스 (60)과 접촉할 가능성을 최소화시켜주기 때문에, 흡수 용품이 클리토리스와 접촉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자극 및 가능하게는 통증성 찰상 효과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또한, 흡수 용품 (40)의 적어도 회음부 (50)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는 부분의 주변부에 위치시키는 경우에, 노치 (100)은 흡수 용품이 민감한 회음부 영역과 접촉하여 자극하게 될 가능성을 최소화시키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회음부 영역이 매우 민감하거나, 또는 상해나 출산시의 절개로 인해 봉합수술을 했을 때 산후 흡수 용품 (40)을 사용하려는 착용자에게 중요한 것으로 믿어진다. 그러나, 아이를 낳지 않은 착용자 조차도, 즉 출산시의 신장, 상해 또는 절개에 노출되지도 않고 이를 경험하지도 않은 사람도 매우 민감한 회음부 영역을 가질 수 있음은 주목할만 하다.
구체적으로, 흡수체 (66), 및 이에 따른 흡수 용품 (40)은 횡방향 말단 영역들 (76, 78)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부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노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치 (100)은 실질적으로 흡수체 (66)의 주요 종축 상에, 또는 이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노치 (100)은 실질적으로 굴곡부 (F)의 요망되는 축 상에, 또는 이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도 있다. 노치 (100)은 또한 흡수체 (66)에 자연적인 접음선 또는 굽힘선을 제공할 수도 있기 때문에, 흡수 용품은 상기 선을 따라 접히거나 굽혀질 때 보다 용이하게 접히거나 굽혀진다.이는, 적어도 도 11, 도 16 내지 도 18 및 도 20에 기재된 바와 같이 흡수체 (66)이 각각의 대향하는 횡방향 말단 영역 (76, 78)의 주변부에 하나 이상의 노치 (100)이 위치하는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흡수 용품 (40)이 질전정 내에 배치되는 경우, 노치 (100)은 적어도 클리토리스 (60)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는 횡방향 말단 영역의 주변부에 위치할 때, 흡수 용품 (40)이 민감한 클리토리스와 접촉하여 자극할 가능성을 최소화시킨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흡수체 (66), 및 이에 따른 흡수 용품 (40)은 종방향 측면들 (80, 82) 중 하나 이상의 주변부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노치 (10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노치 (100)은 실질적으로 흡수체 (66)의 주요 횡축 (T) 상에, 또는 이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노치 (100)은 흡수체 (66)에 자연적인 접음선 또는 굽힘선을 제공할 수도 있기 때문에, 흡수 용품은 임의의 상기 횡축 또는 선을 따라 접히거나 굽혀질 때 보다 용이하게 접히거나 굽혀진다. 이는, 적어도 도 2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흡수체 (66)이 각각의 대향하는 종방향 측면 (80, 82)의 주변부에 하나 이상의 노치 (100)이 위치하는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흡수 용품 (40)이 질전정 내에 배치되는 경우, 노치 (100)은 적어도 클리토리스 (60)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는 종방향 측면의 주변부에 위치할 때, 흡수 용품 (40)이 민감한 클리토리스와 접촉하여 자극할 가능성을 최소화시킨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또다른 형태에 있어서, 흡수체 (66), 및 이에 따른 흡수 용품 (40)은 중앙축 (C)를 가지며, 이는 일반적으로 흡수 용품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절반부로 분할한다. 일반적으로, 흡수체 (66), 및 이에 따른 흡수 용품(40)은 적어도 도 23, 도 25,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원형인 기하구조를 나타낸다. 실질적으로 원형인 기하구조로 구성될 때, 흡수체 (66)은 흡수체의 중앙에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흡수체의 주변부에 위치한 지점으로 연장되는 반경 (R)을 갖는다. 실질적으로 원형인 상기 형태의 주변부는, 예상된 바와 같이 그의 원주를 따라 나타날 수 있다. 흡수체 (66)의 기하구조는 흡수 용품 (40)의 전반적인 크기 및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이다. 일반적으로, 흡수체 (66)의 최대 반경 (Rmax)은 전형적으로 약 20 mm 이하, 다르게는 약 25 mm 이하, 다르게는 약 30 mm 이하, 다르게는 약 35 mm 이하, 다르게는 약 40 mm 이하, 다르게는 약 45 mm 이하, 또는 마지막으로 다르게는 약 50 mm 이하이다. 흡수체 (66)의 최소 반경 (Rmin)은 전형적으로 약 45 mm 이상, 다르게는 약 40 mm 이상, 다르게는 약 35 mm 이상, 다르게는 약 30 mm 이상, 다르게는 약 25 mm 이상, 다르게는 약 20 mm 이상, 또는 마지막으로 다르게는 약 15 mm 이상이다. 따라서, 흡수체 (66)의 반경은 약 15 mm 이상 내지 약 50 mm 이하까지의 범위일 수 있지만, 흡수체의 대략적인 반경은 특히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 내에서 흡수 용품 (40)의 의도된 배치 및 전반적인 디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임의로는, 굴곡부 (F)의 하나 이상의 요망되는 축이 흡수체 (66)의 특정 형태의 중앙축 (C) 상에, 또는 실질적으로 그에 평행하게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굴곡부 (F)의 상기 요망되는 축은 중앙축 (C)에 평행하게 위치하고 이로부터 중심이 벗어날 수도 있으며, 그 거리는 약 10 mm 이하, 다르게는 약 9 mm 이하, 다르게는약 8 mm 이하, 다르게는 약 7 mm 이하, 다르게는 약 6 mm 이하, 다르게는 약 5 mm 이하, 다르게는 약 4 mm 이하, 다르게는 약 3 mm 이하, 다르게는 약 2 mm 이하, 또는 다르게는 약 1 mm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굴곡부 (F)의 요망되는 축은 중앙축 (C)를 따라 정렬된다. 통상적으로, 굴곡부 (F)의 요망되는 축은, 흡수체 (66)의 직경 길이의 약 90% 이상, 다르게는 약 80% 이상, 다르게는 약 70% 이상, 다르게는 약 60% 이상, 다르게는 약 50% 이상, 다르게는 약 40% 이상 최소로 연장된다. 통상적으로, 굴곡부 (F)의 요망되는 축은, 흡수체 (66)의 직경 길이의 약 50% 이하, 다르게는 약 60% 이하, 다르게는 약 70% 이하, 다르게는 약 80% 이하, 다르게는 약 90% 이하, 또는 다르게는 약 100% 이하로 연장된다.
적어도 도 22, 도 23 및 도 25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 (66), 및 이에 따른 흡수 용품 (40)은 흡수체의 주변부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노치 (1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치 (100)은 실질적으로 흡수체 (66)의 중앙축 (C) 상에, 또는 이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노치 (100)은 실질적으로 굴곡부 (F)의 요망되는 축 상에, 또는 이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노치 (100)은 흡수체 (66)에 자연적인 접음선 또는 굽힘선을 제공할 수도 있기 때문에, 흡수 용품 (40)은 임의의 상기 선 또는 축을 따라 접히거나 굽혀질 때 보다 용이하게 접히거나 굽혀진다. 이는, 적어도 도 2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원형 기하구조인 흡수체 (66)이 그의 주변부에 위치한 2개 이상의 노치 (100)을 갖는 경우에 (이 중 하나의 노치는 축 또는 선의 대향 말단에 또는 그 근처에 있음) 특히 그러하다. 흡수 용품 (40)이 질전정 내에 배치되는 경우, 노치 (100)은 적어도 클리토리스 (60)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는 흡수 용품의 주변부에 위치할 때, 민감한 클리토리스와 접촉하여 자극할 가능성을 최소화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본원에 기재된 실시양태의 노치 (100)의 치수는,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 내에 적당히 배치될 때 흡수 용품 (40)이 경우에 따라 클리토리스 (60) 및(또는) 회음부 (50)과 접촉하여 자극할 가능성을 최소화시키기에 충분한 것이다. 달리 언급하자면, 노치 (100)의 바람직한 치수는, 흡수 용품이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 내에 배치될 때 흡수 용품 (40)이 경우에 따라 클리토리스 (60) 및(또는) 회음부 (50)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이격된 관계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것이다.
적합하게는, 노치 (100)은 흡수체의 주변부로부터 수직으로 측정시 흡수체 (66) 주변부로부터 깊이 (102) 안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깊이는 약 30 mm 이하, 다르게는 약 25 mm 이하, 다르게는 약 20 mm 이하, 다르게는 약 15 mm 이하, 다르게는 약 10 mm 이하, 다르게는 약 5 mm 이하, 다르게는 약 4 mm 이하, 또는 다르게는 약 3 mm 이하이다. 또는, 노치 (100)은 약 2 mm 이상, 다르게는 약 3 mm 이상, 다르게는 약 4 mm 이상, 다르게는 약 5 mm 이상, 다르게는 약 10 mm 이상, 다르게는 약 15 mm 이상, 다르게는 약 20 mm 이상, 또는 다르게는 약 25 mm 이상인 깊이 (102)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흡수체의 주변부로부터 수직으로 측정시 깊이 (102)는 약 2 mm 이상 내지 약 30 mm 이하까지의 범위일 수 있지만, 노치의 대략적인 깊이는 특히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 내에서 흡수 용품 (40)의 의도된 배치및 전반적인 디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노치 (100)은 폭 (104)를 가지며, 상기 폭의 가장 넓은 부분은 대체로 흡수체 (66)의 적어도 주변부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노치 (100)은 약 30 mm 이하, 다르게는 약 25 mm 이하, 다르게는 약 20 mm 이하, 다르게는 약 15 mm 이하, 다르게는 약 10 mm 이하, 다르게는 약 5 mm 이하, 다르게는 약 4 mm 이하, 다르게는 약 3 mm 이하, 다르게는 약 2 mm 이하, 다르게는 약 1 mm 이하, 또는 다르게는 약 0.5 mm 이하의 폭 (104)를 갖지만, 노치의 대략적인 폭은 특히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 내에서 흡수 용품 (40)의 의도된 배치 및 전반적인 디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될 때, 노치 (100)은 U-형, V-형, W-형, 반원형 또는 이들의 각종 조합형을 비롯한 다양한 기하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가능한 노치 (100)의 기하구조에 대한 몇몇 예가 몇몇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원에서 확인된 노치의 기하구조가 비제한적인 것이며, 본원에 기재된 노치 (100)에 적합할 수 있는 다수의 기하구조들 중 단지 극소수의 예에 불과함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노치 (100)은 흡수체 (66)의 주변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기하구조를 갖는 흡수 용품 (40)의 주변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기하구조의 예로는 직사각형, 계란형, 타원형, 사다리꼴, 원형, 반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눈물방울형, 다이아몬드형, 나비형, 배형 (pear-shaped), 심장형 또는 이들의 각종 조합형이 포함되나, 이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비록 본 발명이 특정 실시양태를 참조로 하여 상당히 상세히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다른 실시양태도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의 정신 및 범위가 본원에 포함된 실시양태에 대한 예시 및 설명으로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24)

  1. 실질적으로 원형인 기하구조와 주변부를 가지며 그 주변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노치 (100)을 갖는 흡수체 (66)을 포함하는,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흡수 용품 (40).
  2. 제1항에 있어서, 노치가 흡수체의 주변부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된 흡수 용품.
  3. 제2항에 있어서, 노치의 치수가, 흡수 용품이 질전정 내에 배치될 때 상기 흡수 용품이 여성 착용자의 클리토리스 (60)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이격된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기에 충분한 것인 흡수 용품.
  4. 제2항에 있어서, 노치의 깊이 (102)가 약 30 mm 이하이고, 노치의 폭 (104)가 약 30 mm 이하인 흡수 용품.
  5. 제2항에 있어서, 노치의 치수가, 흡수 용품이 질전정 내에 배치될 때 상기 흡수 용품이 여성 착용자의 회음부 (50)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이격된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기에 충분한 것인 흡수 용품.
  6. 제1항에 있어서, 유체 투과성 커버 (62)를 더 포함하는 흡수 용품.
  7. 제6항에 있어서, 커버가 흡수체를 둘러싸고 있는 흡수 용품.
  8. 제1항에 있어서, 액체 불투과성 배플 (64)를 더 포함하는 흡수 용품.
  9. 제6항에 있어서, 액체 불투과성 배플 (64)를 더 포함하는 흡수 용품.
  10. 제1항에 있어서, 흡수체가 초흡수성 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흡수 용품.
  11. 주요 종축, 주요 횡축, 이격된 제1 (80) 및 제2 (82) 종방향 측면, 이격된 제1 (76) 및 제2 (78) 횡방향 말단 영역 (종방향 측면은 횡방향 말단 영역과 함께 전체적으로 흡수체의 주변부를 형성함), 및 흡수체의 주변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노치 (100)을 갖는 흡수체 (66)을 포함하는, 여성 착용자의 질전정 (42)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흡수 용품 (40).
  12. 제11항에 있어서, 노치가 흡수체의 주변부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된 흡수 용품.
  13. 제12항에 있어서, 노치의 치수가, 흡수 용품이 질전정 내에 배치될 때 상기 흡수 용품이 여성 착용자의 클리토리스 (60)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이격된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기에 충분한 것인 흡수 용품.
  14. 제12항에 있어서, 노치의 깊이 (102)가 약 30 mm 이하이고, 노치의 폭 (104)가 약 30 mm 이하인 흡수 용품.
  15. 제12항에 있어서, 노치의 치수가, 흡수 용품이 질전정 내에 배치될 때 상기 흡수 용품이 여성 착용자의 회음부 (50)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이격된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기에 충분한 것인 흡수 용품.
  16. 제11항에 있어서, 유체 투과성 커버 (62)를 더 포함하는 흡수 용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커버가 흡수체를 둘러싸고 있는 흡수 용품.
  18. 제11항에 있어서, 액체 불투과성 배플 (64)를 더 포함하는 흡수 용품.
  19. 제16항에 있어서, 액체 불투과성 배플 (64)를 더 포함하는 흡수 용품.
  20. 제12항에 있어서, 노치가 하나 이상의 종방향 측면에 위치한 흡수 용품.
  21. 제2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횡방향 말단 영역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노치를 더 포함하는 흡수 용품.
  22. 제12항에 있어서, 노치가 하나 이상의 횡방향 말단 영역에 위치한 흡수 용품.
  23. 제2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종방향 측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노치를 더 포함하는 흡수 용품.
  24. 제11항에 있어서, 흡수체가 초흡수성 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흡수 용품.
KR1020037016058A 2001-06-08 2002-05-24 노치를 갖는 음순 패드 KR100882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9700101P 2001-06-08 2001-06-08
US60/297,001 2001-06-08
US31525601P 2001-08-27 2001-08-27
US31525501P 2001-08-27 2001-08-27
US60/315,256 2001-08-27
US60/315,255 2001-08-27
US10/036,990 US20020193769A1 (en) 2001-06-08 2001-12-31 Labial pad having a notch
US10/036,635 US20030208178A1 (en) 2001-06-08 2001-12-31 Labial pad having a notch
US10/036,990 2001-12-31
US10/036,635 2001-12-31
PCT/US2002/016477 WO2002100314A1 (en) 2001-06-08 2002-05-24 Labial pad having a no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058A true KR20040003058A (ko) 2004-01-07
KR100882073B1 KR100882073B1 (ko) 2009-02-10

Family

ID=27534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058A KR100882073B1 (ko) 2001-06-08 2002-05-24 노치를 갖는 음순 패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404276B2 (ko)
JP (1) JP4220373B2 (ko)
KR (1) KR100882073B1 (ko)
AR (1) AR034385A1 (ko)
BR (1) BR0210270B1 (ko)
CA (1) CA2449231C (ko)
CO (1) CO5550409A2 (ko)
DE (1) DE60229131D1 (ko)
MX (1) MXPA03010979A (ko)
WO (1) WO20021003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10B1 (ko) * 2006-11-01 2007-08-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인식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코디네이션 시스템 및 그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1634B2 (en) 2003-12-18 2011-04-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odily exudate capturing article
JP2010017454A (ja) * 2008-07-14 2010-01-28 Univ Of Fukui 股間用温熱パッド
JP6501292B2 (ja) * 2014-11-26 2019-04-17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3873A (en) 1974-07-03 1976-10-05 Hirschman Shalom Z Feminine hygienic pad
CA1247303A (en) * 1984-05-21 1988-12-28 Frederich O. Lassen Labial sanitary pad
US4605404A (en) * 1985-01-16 1986-08-12 Sneider Vincent R Disposable pad for panty hose
US5336208A (en) 1991-01-10 1994-08-09 Advanced Surgical Intervention, Inc. Urinary incontinence pad
CA2090990C (en) 1992-11-13 2002-11-12 John Philip Vukos Interlabial sanitary pad
AU670467B2 (en) 1992-12-31 1996-07-18 Mcneil-Ppc,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flexible bending axes
AU687766B2 (en) 1993-02-22 1998-03-05 Mcneil-Ppc, Inc. Absorbent articles
US6045544A (en) * 1996-08-30 2000-04-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ped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US6254584B1 (en) 1997-01-03 2001-07-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in comfortable interlabial absorbent structure
US5738212A (en) 1996-10-04 1998-04-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brous pad and a dispensing package therefor
BR9714254A (pt) 1997-01-03 2000-04-18 Procter & Gamble Dispositivo interlabial absorvente tendo estrutura em dobras
ZA985215B (en) 1997-06-16 1999-01-06 Procter & Gamble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EP0888765A1 (en) 1997-07-01 1999-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ridimensional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slit in the rear region
CA2330683C (en) * 1998-12-30 2008-05-27 Mcneil-Ppc, Inc. Body-attachable interlabial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BR0108481A (pt) * 2000-02-18 2005-01-25 Hakle Kimberly Deutschland Gbm Artigos absorventes
BR0210045B1 (pt) 2001-05-22 2013-06-25 absorvente interlabial; método de fabricação de um elemento de acondicionamento individual e elemento de acondicionamento individu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10B1 (ko) * 2006-11-01 2007-08-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인식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코디네이션 시스템 및 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04276B2 (en) 2013-11-20
AR034385A1 (es) 2004-02-18
JP2005503192A (ja) 2005-02-03
JP4220373B2 (ja) 2009-02-04
CO5550409A2 (es) 2005-08-31
BR0210270B1 (pt) 2013-10-29
CA2449231C (en) 2009-09-15
BR0210270A (pt) 2006-04-04
EP1404276A1 (en) 2004-04-07
WO2002100314A1 (en) 2002-12-19
EP1404276B1 (en) 2008-10-01
CA2449231A1 (en) 2002-12-19
DE60229131D1 (de) 2008-11-13
MXPA03010979A (es) 2004-02-27
KR100882073B1 (ko) 2009-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796B1 (ko) 탭을 갖는 음순 패드
KR100854560B1 (ko) 음순 사이 패드
KR100876240B1 (ko) 다양한 수단을 가진 음순 패드
AU2002256109A1 (en) Labial pad having various means
KR20040003059A (ko) 손가락을 수용하여 위치시키는 보조 기구를 갖는 음순사이 패드
KR20040003060A (ko) 음순 패드
KR100882073B1 (ko) 노치를 갖는 음순 패드
US20020193769A1 (en) Labial pad having a notch
JP2004530486A (ja) タブを有する陰唇パッド
US20030208178A1 (en) Labial pad having a notch
AU2002314805A1 (en) Labial pad having a notch
AU2002258732A1 (en) Labil napkin
KR20050023420A (ko) 처리제 유지용 음순 제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