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0769A - 액정표시장치 모듈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0769A
KR20040000769A KR1020020035708A KR20020035708A KR20040000769A KR 20040000769 A KR20040000769 A KR 20040000769A KR 1020020035708 A KR1020020035708 A KR 1020020035708A KR 20020035708 A KR20020035708 A KR 20020035708A KR 20040000769 A KR20040000769 A KR 20040000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crystal display
lamp
mol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7821B1 (ko
Inventor
마재락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5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7821B1/ko
Publication of KR20040000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8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에서 누설전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램프의 전기장이 화면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화면을 출력하는 액정패널과; 이 액정패널 후면에서 액정패널에 광원을 제공하는 램프 및 다수의 화상구현보조부재로 구성된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light assembly); 외부로부터 영상신호 등을 받아 액정패널에 원하는 화면을 구현하는 구동회로부와; 이들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합성수지재의 몰드프레임과, 이 몰드프레임 후면부의 램프 설치부분에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하부커버 및, 몰드프레임 전면부의 각 모서리에 결합되는 사각틀 형태의 메탈 섀시로 구성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된 액정표시장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화상구현보조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정전기를 방지하는 대전처리된 방전부재이되, 상기 방전부재는 외부 그라운드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모듈{Liquid Cristal Device Modul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전기장 발생을 차단시켜 화면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액정표시장치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형 표시장치의 하나인 액정표시장치(LCD)는 음극선관(CRT)에 비해 시인성이 우수하고 평균소비전력도 같은 화면크기의 CRT에 비해 작을 뿐만 아니라 발열량도 작기 때문에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나 전계방출표시장치(FED:Field Emission Display)와 함께 최근에 휴대폰이나 컴퓨터의 모니터, 텔레비젼의 차세대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LCD)는 특수하게 표면처리된 2개의 얇은 유리판 사이에 고체와 액체의 중간물질인 액정물질을 주입해 상하 유리판 위의 전극의 전압차로 액정분자의 배열을 변화시킴으로써 명암을 발생시켜 영상을 표시하는 작동원리를 갖는다.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 모듈은 화면을 출력하는 액정패널과; 이 액정패널 후면에서 액정패널에 광원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light assembly); 외부로부터 영상신호 등을 받아 액정패널에 원하는 화면을 구현하는 구동회로부와; 이들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합성수지재의 몰드프레임과, 이 몰드프레임 후면부의 램프 설치부분에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하부커버 및, 몰드프레임 전면부의 각 모서리에 결합되는 사각틀 형태의 메탈 섀시로 구성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진다.
도 1 은 종래 액정표시장치(LCD) 모듈의 램프측 단면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의 액정표시장치 모듈은 에지 라이팅(Edge lighting) 방식으로써 LCD 모듈의 일측에 램프(27)를 선형으로 설치하여 도광판(25)으로 빛을 방사하는 방식을 채용한 것이다.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LCD 모듈은 몰드프레임(30)에 의해 액정패널(10)과 램프(27)를 비롯한 구성품들의 위치가 정해지고, 하부커버(40)와 메탈섀시(60)에 의해 고정조립된다.
램프(27)는 도광판(25)의 측단에 설치되는데 상기 램프(27)의 외곽으로 금속재질의 램프 하우징(2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램프 하우징(272)은 램프(27)를 보호하는 동시에 램프(27)의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금속재로 형성되어 도광판(25)으로 방사되는 빛의 량이 많아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램프 하우징(272)은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커버(40)와 접촉되어 있는데 램프 하우징(272)과 하부커버(30) 사이에 도전성 양면테이프(29)를 개재하여 서로 도전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커버(40)는 다시 외부 그라운드(GND)에 접지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이유는 램프(27)에서 발생한 전기장이 액정패널(10)의 화면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기장의 전하를 램프 하우징(272)에 차아징(charging)시켜 누설전류를 발생시킨 후 외부로 방출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누설전류의 발생은 램프(27) 주위에 금속물질이 많을 수록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전기장을 방지하여 화면품질을 향상시키기는 하였으나, 누설전류의 발생이 증가하여 배터리 소모량이 증가하게 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LCD 모듈은 휴대용 영상기기나 랩톱 컴퓨터 등과 같이 외부전원에 의존하지 않고 이동중에 내부 배터리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이 누설전류가 많이 발생하여 배터리 소모량이 증가하면 그만큼 사용시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발생된 것이다.
도 2 는 종래 LCD 모듈 중 직하형 방식을 채용한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상기 직하형 방식(direct lighting)방식은 액정패널(10)의 배면에서 램프(27)가 빛을 발하는 구조로써 도시된 바와같이 패널(10)의 저면에서 화면으로 직접 빛을 방사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직하형 LCD 모듈의 경우에서는 램프(27)에서 발생한 전기장을 외부 그라운드(GND)와 연결시키지 않고 있으며, 상기 전기장에 의해 액정이 비정상적으로 구동하므로써 투과율 차이가 발생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결무늬 형태의 화면 얼룩(1)이 나타나 화면품질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써 램프에서 누설전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램프의 전기장이 화면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램프측 단면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2 는 종래 액정표시장치 모듈 중 직하형 방식을 채용한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3 은 종래 액정표시장치 화면에 나타나는 물결무늬 노이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이해를 돕기위해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요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다른 실시예로써, 직하형 방식을 채용한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액정패널20: 백라이트 어셈블리
21,23: 프리즘시이트22,24: 확산시이트
25: 도광판30: 몰드프레임
40: 하부커버60: 메탈섀시
S: 화상구현보조부재GND: 그라운드 접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면을 출력하는 액정패널과; 이 액정패널 후면에서 액정패널에 광원을 제공하는 램프 및 다수의 화상구현보조부재로 구성된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light assembly); 외부로부터 영상신호 등을 받아 액정패널에 원하는 화면을 구현하는 구동회로부와; 이들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합성수지재의 몰드프레임과, 이 몰드프레임 후면부의 램프 설치부분에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하부커버 및, 몰드프레임 전면부의 각 모서리에 결합되는 사각틀 형태의 메탈 섀시로 구성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된 액정표시장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화상구현보조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정전기를 방지하는 대전처리된 방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전부재는 외부 그라운드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과 일치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종래 도면부호를 그대로 인용하기로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이해를 돕기위해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인 LCD 모듈은 액정패널(10)의 후면에 광원으로서 백라이트(backlight) 어셈블리(20)가 제공되는 바, 이 백라이트 어셈블리(20)는, 플라스틱 재질의 사각틀 형태로 된 몰드프레임(30)의 일측 모서리부에 내설되어 빛을 방출하는 램프(도시생략)와, 액정패널(10) 후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확산시이트(22, 24) 및 프리즘시이트(21, 23)와, 램프로부터 방출된 빛을 판 전면으로 안내하는 도광판(25)(Light Guide Panel)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는 몰드프레임(30)에 끼워맞춰진 후 배면에서 하부커버(40)와 전면에서 메탈섀시(60)에 의해 조립되어 LCD 모듈이 완성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요부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램프(27) 주변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4에서 일부 설명한 바와 같이, LCD 모듈은 메탈섀시(60)와 하부커버(40) 및 몰드프레임(30)에 의해 외관이 조립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몰드프레임(30)에는 액정패널(10)과 백라이트 어셈블리(20)가 설치되고,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는 램프(27)와 도광판(25)을 비롯하여 다수의 박형(薄形) 시이트가 포함되어 있는바 상기 다수의 박형 시이트를 이하 화상구현보조부재(S)라 정의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몰드프레임(30)의 일측단에는 선형으로 램프(2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램프(27)의 측면으로 도광판(2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도광판(25)의 상면으로는 화상구현보조부재(S)가 다층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화상구현보조부재 위에는 2개의 유리기판으로 구성된 액정패널(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화상구현보조부재(S)는 LCD 모듈마다 차이가 있으나,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확산시이트(22,24:diffuser sheet), 프리즘시이트(21,23)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상구현보조부재(S) 중 확산시이트(24)가 대전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광판(25)의 일측에 구비된 램프(27)는 금속재의 하우징(272)에 둘러싸여있다. 상기 램프 하우징(272)은 모듈의 후면을 커버하는 하부커버(40)와 양면 테이프(290)로 본딩 접촉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양면 테이프(290)가 비도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커버(40)와 램프 하우징(272)이 비도전성 양면테이프(290)로 접착되어 있으므로 램프(27)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의 전하가 하부커버(40)를 통해 그라운드(GND)로 연결되지 못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대체하기 위하여 도광판(25) 위에 적층되어 있는 다수의 화상구현보조부재(S) 중 하나인 확산시이트(24)를 대전처리시켜 설치하였다. 상기 대전처리하는 방식은 특별히 한정을 두지 아니하나 차아징된 전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외부 그라운드(GND)로 연결시키는 방식이면 족하다. 일례로 확산시이트(21)의 가장자리에 투명전극(ITO)을 코팅하여 전하의 흐름을 유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램프(27)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에 의하여 차아징된 전하가 대전처리된 확산시이트를 통하여 외부 그라운드(GND)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액정패널의 화면이 전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종래 램프 하우징(272)이 외부 그라운드(GND)와 직접접속됨으로 인해 발생되었던 다량의 누설전류 역시 저감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써, 전기장을 방지하는 부재, 즉 방전부재로서 대전처리된 확산시이트(21)를 채용하였으나, 액정패널(10)과 도광판(25) 사이의 화상구현보조부재 중 하나를 선택하여 대전처리시켜 사용이 가능하다.
다시말해서 백라이트 어셈블리(20) 중 상기 실시예에서 언급된 확산시이트(22,24) 뿐 아니라 프리즘시이트(21,23) 등 어떠한 부재라도 대전처리한 후 외부 그라운드(GND)와 연결시킴으로써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액정표시장치 모듈 중 에지 라이팅(Edge lighting) 방식을 채용한 것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하 직하형(Direct lighting) 방식을 채용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다른 실시예로써, 직하형 방식을 채용한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4와 도 5의 에지 라이팅 방식과 달리 직하형 방식은 액정패널(10)의 배면에 다수개의 램프(27)를 설치하여 액정패널(10)의 전면으로 직접 빛을 방사하는 방식으로 도광판(25)과 액정패널(10) 사이에 다수의 화상구현보조부재가 설치됨은 에지 라이팅 방식과 유사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직하형 방식에서도 전기장에 의한 화면 노이즈 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방전부재를 사용하는바, 상기 방전부재는 다수의 화상구현보조부재 중 하나를 선택하여 대전처리한 후 외부 그라운드(GND)와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광판(25)과 액정패널(10) 사이에 위치하는 화상구현보조부재(S) 중 확산시이트(22,24) 또는 프리즘시이트(21,23) 중 하나이상을 선택하여 대전처리 한 후 외부 그라운드(GND)와 접속시켜 다수개의 램프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이 화면에영향을 주지 않도록 외부 그라운드로 빠져나가게 한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 5의 에지 라이팅 방식과 마찬가지로 램프 하우징이 직접 외부 그라운드와 연결됨에 의해 다량 발생하는 누설전류를 차단하여 배터리 소모량을 절감시킬 수 있고, 램프에 의한 정전기 발생에 따른 전하를 외부로 전달하여 화면의 노이즈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첫째, 금속재의 종래 램프 하우징이 외부 그라운드와 접속되어 다량의 누설전류가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램프 하우징의 접속을 차단시켜 누설전류의 양을 최소화하였으므로 배터리 소모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
둘째, 직하형 방식을 채용한 모듈의 경우 램프에서 발생한 정전기에 의한 전하를 대전처리된 방전부재를 통해 외부 그라운드로 전달시킬 수 있으므로 화면의 노이즈 현상을 제거하여 화면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화면을 출력하는 액정패널과; 이 액정패널 후면에서 액정패널에 광원을 제공하는 램프 및 다수의 화상구현보조부재로 구성된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light assembly); 외부로부터 영상신호 등을 받아 액정패널에 원하는 화면을 구현하는 구동회로부와; 이들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합성수지재의 몰드프레임과, 상기 몰드프레임 후면에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하부커버 및, 몰드프레임 전면부의 각 모서리에 결합되는 사각틀 형태의 메탈 섀시로 구성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된 액정표시장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화상구현보조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정전기를 방지하도록 대전처리된 방전부재이되, 상기 방전부재는 외부 그라운드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재는 확산시이트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재는 프리즘시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 모듈은 램프설치구조에 있어서 직하형(Direct lighting) 또는 에지 라이팅(Edge lighting) 방식 중 하나를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KR1020020035708A 2002-06-25 2002-06-25 액정표시장치 모듈 KR100847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708A KR100847821B1 (ko) 2002-06-25 2002-06-25 액정표시장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708A KR100847821B1 (ko) 2002-06-25 2002-06-25 액정표시장치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769A true KR20040000769A (ko) 2004-01-07
KR100847821B1 KR100847821B1 (ko) 2008-07-23

Family

ID=37312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708A KR100847821B1 (ko) 2002-06-25 2002-06-25 액정표시장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78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117B1 (ko) * 2005-10-21 2007-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EP2184635A1 (en) * 2008-11-11 2010-05-12 Samsung SDI Co., Ltd. Backlight unit with integral wire grid polarizer
CN106019717A (zh) * 2016-08-03 2016-10-12 江西联思触控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液晶显示模组及液晶显示装置
CN106054430A (zh) * 2016-07-13 2016-10-26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Lcd显示模组以及液晶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931A (ja) * 1992-07-06 1994-01-28 Nec Kagoshima Ltd カラー液晶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05249460A (ja) * 1993-02-10 1993-09-28 Seiko Epson Corp 液晶パネルモジュール
JP3792456B2 (ja) * 1999-10-28 2006-07-05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
JP2002258763A (ja) * 2001-03-01 2002-09-11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照明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117B1 (ko) * 2005-10-21 2007-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EP2184635A1 (en) * 2008-11-11 2010-05-12 Samsung SDI Co., Ltd. Backlight unit with integral wire grid polarizer
CN106054430A (zh) * 2016-07-13 2016-10-26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Lcd显示模组以及液晶显示装置
CN106019717A (zh) * 2016-08-03 2016-10-12 江西联思触控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液晶显示模组及液晶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7821B1 (ko)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07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722096B1 (ko) 휴대용 표시장치
US6796678B2 (en) Backlight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6798150B2 (en) Back light unit
US7131742B2 (en)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623845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4874558B2 (ja) 表示装置用収納容器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JP2006146121A5 (ko)
US20030020849A1 (en) Backlight assembly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999784B2 (en) Backlight unit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24466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0847821B1 (ko) 액정표시장치 모듈
KR20210136708A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172554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754143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058068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필터 접지구조
KR20080064482A (ko) 표시 장치
KR101246603B1 (ko) 표시 장치용 수납 용기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421916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용 램프의 단자 연결구조
KR101225255B1 (ko) 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KR20060104755A (ko) 표시 장치
KR10108647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971395B1 (ko) 백 라이트 유닛
KR20080042191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50031226A (ko) 액정표시장치의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