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828Y1 - 사용이 편리한 캔 - Google Patents

사용이 편리한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828Y1
KR200399828Y1 KR20-2005-0023133U KR20050023133U KR200399828Y1 KR 200399828 Y1 KR200399828 Y1 KR 200399828Y1 KR 20050023133 U KR20050023133 U KR 20050023133U KR 200399828 Y1 KR200399828 Y1 KR 2003998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sealing cover
outlet
bevera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1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석
Original Assignee
김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석 filed Critical 김재석
Priority to KR20-2005-00231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8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8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8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preformed openings, e.g. tearable strips or plastic plugs
    • B65D17/501Flexible tape or foil-like material
    • B65D17/502Flexible tape or foil-like material applied to the external part of the container wall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47Provided with additional elements other than for closing the opening
    • B65D2517/0049Straws, spouts, funnels, or other devices facilitating pouring or emptying
    • B65D2517/005Straws, spouts, funnels, or other devices facilitating pouring or emptying formed as part of the ta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06Beverage can, i.e. beer, sod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맥주와 쥬스 등의 음료를 담는 용기인 음료용 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캔의 배출구주위가 커버부에 의해 접착되도록 하고, 손잡이를 이용하여 밀봉커버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밀봉커버에 벤딩홈을 형성하여 손쉽게 캔을 오픈하고, 또한 캔이 개방되면 캔내부에 내장된 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용 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유통되고 있는 음료용 캔은 일반적으로 캔따개를 이용하여 배출구를 개방한 후 직접 음용자가 배출구 부위에 입을 대어 음용하거나, 스트로우를 꽂아 용기속의 내용물을 음용하게 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직접 입을 대고 음용시에는 배출구주위의 먼지나 세균 등 유해한 물질들도 동시에 마시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탄산음료인 경우 충치가 발생함은 물론 음용자가 여성인 경우 입술에 바른 루즈가 얼룩지게 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많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보다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용기속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이 편리한 캔{easy can}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맥주와 쥬스 등 각종음료들이 일회용의 캔에 담겨 대량 유통되고 있고, 이러한 캔들은 일반적으로 캔따개를 이용, 캔의 상부에 위치한 배출구를 개방한 후 직접 음용자가 배출구 부위에 입을 대어 음용하거나, 스트로우를 꽂아 캔속의 내용물을 음용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캔의 구조는 개봉이 용이하지 않고, 개봉시 심한 경우 손톱을 다치기도 하며, 또한 음용시 배출구주위의 먼지나 세균 등 유해한 물질들도 마시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고, 또한 음용자가 여성인 경우 입술의 루즈가 얼룩지는 등 여러 가지 불편한 점들이 많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캔의 따개구조를 개량하여 배출구를 밀봉커버로 접착하고, 밀봉커버에 벤딩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캔의 내부에 굴신부가 있는 스트로우를 내장하여 캔을 오픈하면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캔을 개봉함과 아울러 위생적으로 캔속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캔 상부면의 외곽에 절개선인 스코어라인을 형성하고, 리벳에 의해 지지되는 캔따개를 이용하여 스코어라인을 파쇄한 후 캔상부면 전체를 들어내도록 구성된 캔이 참치 등 생선통조림 등에 적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캔은 그 사용에 있어서 절개된 부위가 너무 커서 음료용인 경우 음용시에 불편하고, 또한 절개된 부위에 손을 다칠 염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캔상부면의 일부에 스코어라인을 형성하고 캔따개로 눌러 캔의 내부로 배출구가 용기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구성된 캔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캔따개가 작아 스코어라인을 파쇄하기에 많은 힘이 소요되며, 그리고 용기내부로 들어가는 배출구부에 먼지와 세균들이 있는 경우 음용시에 이러한 유해물질들도 섭취하게 되며, 탄산음료 등을 음용시에는 충치가 발생하게 된다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종래 캔의 상부면에 배출구를 형성하고, 그위에 밀봉커버를 적정한 강도로 접착시키며, 밀봉커버에 고리를 체결하여, 고리를 잡아당기면 캔이 오픈되도록 함과 동시에, 밀봉커버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밀봉커버가 쉽게 구부려지도록 밀봉커버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다수의 벤딩홈을 형성시키고, 그리고 보다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굴신부가 형성된 스트로우를 내장하여 캔의 개방시 스트로우가 인출되도록 구성된 캔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A는 2피스 구조의 음료용 캔에 본 고안이 적용된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11)은 캔의 상부면(12)과 측부면(10)을 체결하는 캔 상단의 시이밍 부, (12)는 캔의 상부외측면, (13)은 배출구를 봉하는 밀봉커버, (13a)는 밀봉커버와 상부외측면(12)과의 접착부, (14)는 음료가 나오는 배출구, (14a)는 캔의 오픈시, 밀봉커버에서 가장 먼저 구부려지도록 형성된 제1벤딩홈, (14b)는 두번째 구부려지는 제2벤딩홈, (14c)는 가장 나중에 구부려지는 제3벤딩홈, (16)은 밀봉커버를 잡아당김으로써 캔을 오픈시키게 되는 고리, (17)은 고리의 손잡이부, (33a)는 캔의 내부에서 스트로우상단부(33)를 지지하게 되는 스트로우지지부의 위치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고리손잡이를 들어 올리면서 고리(16)에 손가락을 끼워 잡아당기면, 캔 상부면(12)에 접착된 접착부(13a)가 벗겨지면서 밀봉커버(13)가 캔의 상부면(12)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벤딩홈들이 순차적으로 굽혀지면서 적은 힘으로도 캔을 오픈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밀봉커버는 그 직경이 30mm 이내, 배출구는 그 직경이 26mm 이내, 접착부는 그 폭이 4mm 이내가 되도록 각각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러한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접착제는 캔 내부의 압력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강도를 유지하여야 하며, 오픈후의 접착제(13b)는 밀봉커버(13)에 잔류하도록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세심한 고려를 하여야 한다.
도 1의 B는 본 고안에 의한 캔이 오픈된 후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11)은 캔 상단의 시이밍 부, (12)는 캔의 상부외측면, (13a)는 접착제가 떨어져 나간 후의 접착부, (14)는 음료가 나오는 배출구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C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 캔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1)은 캔내부의 음료를, (2)는 음료의 표면을, (9)는 캔의 내측저부를, (10)은 캔의 측부를, (11)은 캔 상단의 시이밍 부를, (12)는 캔의 상부외측면을, (12a)는 캔의 상부내측면을, (13)은 밀봉커버를, (14)는 배출구를, (16)은 고리를, (17)은 고리의 손잡이부를, (30)은 굴신부가 형성되고 캔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는 스트로우를, (31)은 스트로우 하단부를, (32)는 스트로우의 접철부를, (33)은 스트로우의 상단부를, (33a)는 밀봉커버(13)내측면에 접착되어 스트로우상단부를 지지하는 스트로우지지부를, (33b)는 지지부가 스트로우상단부에서 쉽게 이탈되도록 형성시킨 구배부를, 그리고 (34)는 스트로우에 형성된 굴신부를, (35)는 굴신부(34)에 장착되는 탄성소재를, (R)은 굴신부(34)의 굴신각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고리(16)의 형태는 링과 같이 원형으로 하고, 소재는 스테인리스 등 금속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탄성소재(35)는 미세한 강철심이나 형상기억합금을 스트로우 굴신부(34)의 몸체나 외측면에 장치하여 캔의 오픈시 굴신부의 탄성을 강화하여 스트로우상단부(33)를 밖으로 인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2의 A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 캔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먼저, 고리(16)에 손가락을 넣어 위로 올리면서 잡아당기면, 접착제(13b)에 의해 상부외측면(12)과 결합되어 있던 밀봉커버(13)의 접착부(13a)가 벤딩홈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벗겨지면서 상부외측면(12)과 분리되게 된다.
그리고 밀봉커버(13)에 접합되어 있던 스트로우 지지부(33a)도 스트로우상단부(33)를 이탈하게 되며, 이때 지지부의 구배부(33b)에 의해 더욱 순조롭게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도 2의 B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 캔의 작동후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밀봉커버(13)가 캔의 상부면과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오픈전 탄성소재(35)에 의해 힘을 받으며, 지지부(33a),과 밀봉커버(13)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있던 스트로우(30)는, 밀봉커버가 상부면(12)과 분리됨에 따라 탄성소재(35)에 의해 굴신부(34)가 펴지면서, 스트로우상단부(33a)가 배출구(14)의 밖으로 돌출하게 되고, 구부려져 있던 굴신부의 각도(R)도, (R')로 변화하게 된다.
그러면 음용자는 돌출된 스트로우상단부(33)를 잡고 접철부(32)를 구부려 음용하기에 좋은 각도를 만들어 편리하게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의 A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캔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캔이 오픈된 후에도 밀봉커버(13)가 리벳(20)에 의해 상부외측면(12)에 지지되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는 캔이 오픈된 후 휴지통에 밀봉커버(13)를 버리는 수고를 덜고, 또한 밀봉커버의 방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캔의 중심부 쪽에 위치한 밀봉커버(13)를 길게 가공한 후 리벳팅을 위한 구멍을 만들고, 또한 캔의 상부외측면(12)에도 동일하게 구멍을 형성한 후 리벳(20)을 이용하여 리벳팅을 한 형태이며, 그 외의 구조와 부호들은 도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3의 B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음료용 캔의 오픈후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캔이 오픈된 후 리벳(20)에 의해 지지되는 밀봉커버(13)가 배출구(14)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11)은 시이밍부, (12)는 상부면, (13)은 밀봉커버, (13a)는 밀봉커버의 벗겨진 접착부, (13b)는 접착제, (14)는 배출구, (14a)는 제1벤딩홈의 위치, (14b)는 제2벤딩홈의 위치, (14c)는 제3벤딩홈의 위치, (16)은 고리, (33)은 스트로우의 상단부, (33a)는 스트로우 지지부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C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캔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1)은 음료, (2)는 음료의 표면, (9)는 캔의 내측저부, (10)은 캔의 측부, (11)은 캔 상단의 시이밍 부, (12)는 캔의 상부외측면, (12a)는 캔의 상부내측면, (13)은 밀봉커버, (14)는 배출구, (16)은 고리, (17)은 고리의 손잡이, (20)은 리벳, (30)은 굴신부가 있는 스트로우, (31)은 스트로우 하단부, (32)는 스트로우의 접철부, (33)은 스트로우의 상단부, (33a)는 스트로우 지지부, (33b)는 지지부의 구배부, (34)는 스트로우의 굴신부, (35)는 탄성소재, (R)은 굴신부의 굴신각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캔의 작동과정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고리(16)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위로 올리면서 잡아당기면, 접착제(13b)에 의해 상부면(12)과 결합되어 있던 밀봉커버(13)가 벤딩홈에 의해 용이하게 벗겨지면서도, 리벳(20)에 의해 상부면(12)을 이탈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밀봉커버(13)에 접합되어 있던 지지부(33a)도 스트로우상단부(33)를 이탈하게 되며, 이때 지지부의 구배부(33b)에 의해 더욱 순조롭게 분리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4의 B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음료용 캔의 작동후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밀봉커버(13)가 벗겨진 후 탄성소재(35)에 의해 굴신부(34)가 펴지면서, 스트로우상단부(33)가 배출구(14)의 밖으로 솟아오르게 되고, 구부려져 있던 굴신부의 각도 (R)도, 탄성소재(35)에 의해 (R')로 변하게 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5의 A는 본 고안의 위와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캔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캔이 오픈된 후에도 밀봉커버(13)가 고정접착부(15)에 의해 상부면(12)을 이탈하지 않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캔이 오픈된 후 휴지통에 밀봉커버(13)를 버리는 수고를 덜고, 또한 밀봉커버의 방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캔의 중심부 쪽에 위치한 밀봉커버(13)의 일부를 캔의 상부면(12)에 강력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킨 형태이며, 그 외의 구조와 부호들은 도3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이러한 구성은 리벳(20)을 이용하여 밀봉커버(13)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고안보다, 제조에 있어서 공정이 간편하고, 생산비용 또한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5의 B는 본 고안의 위와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음료용 캔의 오픈후 평면도로서, 캔이 오픈된 후 고정접착부(15)에 의해 지지되는 밀봉커버(13)가 배출구(14)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모습으로, 여기서 (11)은 시이밍부, (12)는 상부면, (13)은 밀봉커버, (13a)는 밀봉커버의 접착부, (13b)는 접착제, (14)는 배출구, (14a)는 제1벤딩홈의 위치, (14b)는 제2벤딩홈의 위치, (14c)는 제3벤딩홈의 위치, (16)은 고리, (33)은 스트로우의 상단부, (33a)는 스트로우 지지부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C는 본 고안의 위와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캔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1)은 음료, (2)는 음료의 표면, (9)는 캔의 내측저부, (10)은 캔의 측부, (11)은 캔 상단의 시이밍 부, (12)는 캔의 상부외측면, (12a)는 캔의 상부내측면, (13)은 밀봉커버, (14)는 배출구, (15)는 고정접착부, (16)은 고리, (17)은 고리의 손잡이부, (30)은 굴신부가 있는 스트로우, (31)은 스트로우 하단부, (32)는 스트로우의 접철부, (33)은 스트로우의 상단부, (33a)는 스트로우 지지부, (33b)는 지지부의 구배, (34)는 스트로우의 굴신부, (35)는 탄성소재, (R)은 굴신부의 굴신각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는 본 고안의 위와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캔의 작동과정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고리(16)에 손가락을 이용하여 위로 올리면서 잡아당기면, 접착제(13b)에 의해 상부외측면(12)과 결합되어 있던 밀봉커버(13)가 벤딩홈에 의해 쉽게 벗겨지면서도 고정접착부(15)에 의해 상부외측면(12)을 이탈하지 않게 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밀봉커버(13)에 접합되어 있던 스트로우지지부(33a)는 스트로우상단부(33)를 이탈하게 되고, 이때 지지부의 구배부(33b)에 의해 더욱 순조롭게 분리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6의 B는 본 고안의 위와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음료용 캔의 작동후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밀봉커버(13)가 벗겨지면 탄성소재(35)에 의해 굴신부(34)가 펴지면서, 스트로우상단부(33)가 배출구(14)의 밖으로 솟아오르게 되고, 밀봉커버(13)의 내측면과 지지부(33a)에 의해 구부려져 있던 굴신부의 각도(R)도, 탄성소재(35)에 의해 (R')로 변하게 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도1, 도3, 도5에 적용되는 밀봉커버(13)에 가공되는 벤딩홈들은,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에서 언급하였듯이 캔의 상부외측면(12) 쪽이나 상부내측면(12a) 쪽을 택일하거나, 또는 양쪽에 엇갈리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밀봉커버(13)의 오픈시에 소요되는 힘과 위생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상부내측면(12a)에 형성시킴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7의 A는 본 고안의 고리부분이 완성되기 전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고리(16)와 밀봉커버(13)가 체결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는 길쭉하게 가공된 캔외곽쪽의 밀봉커버부위에 고리(16)를 위치하게 한 후 둥굴게 파이프형태로 벤딩처리 한 후 겹쳐지는 부위를 접착가공하도록 구성한 것이나, 고리와 밀봉커버와의 체결방법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7의 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밀봉커버(13)와 고리(16)가 체결된 후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다른 부호들에 대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의 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캔 상부면의 시이밍 전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12)는 캔의 상부외측면, (13a)는 접착부, (14)는 배출구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조비용측면에서 볼 때, 본 고안을 더욱 경제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캔의 상부외측면(12)에서 밀봉커버(13)를, 금형을 이용하여 프레스로 떼어낸 후, 캔의 상부외측면(12)과 밀봉커버(13)를 각각 얇게 압연 가공하여 중첩되도록 접착부(13a)를 형성한 후 접착함이 바람직한 것이며, 본 고안에 의한 2피스로 구성되는 음료용 캔에 있어서 제조과정의 대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캔의 저부를 형성하고 측부를 가공하여 캔의 몸체를 완성시킨 후, 상부외측면(12)에서 밀봉커버(13)를 떼어내고, 압연가공으로 접착부(13a)를 형성하면서 배출구(14)를 완성시킨다.
그리고 상부면에서 프레스가공에 의해 분리된 배출구부위를 압연하여 접착부(13a)가 4mm 이내가 되도록 가공함과 아울러 고리체결부를 형성하고, 벤딩홈을 가공한 후, 고리(16)를 체결시키고, 상부내측면(12a)쪽에 지지부(33a)를, 밀봉커버(13)를 상부외측면(12)에 각각 접착제로 접합시킨다.
그 후 탄성소재(35)가 장치된 스트로우(30)와 함께 위생처리한 후 음료(1)를 넣고, 스트로우상단부(33)를 지지부(33a)에 끼운후 캔의 측부(10)와 상부외측면(12)를 시이밍 처리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3피스 구조의 캔인 경우는, 위의 공정에서 캔의 측부(10)의 형성 및 저부(9)와의 시이밍 과정을 추가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벤딩홈이 형성되고 고리(16)가 체결된 밀봉커버(13)를 캔의 상부외측면(12)에 접착시키고, 캔의 오픈시 벤딩홈에 의해 쉽게 밀봉커버(13)가 구부려지도록 하여 캔의 오픈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스트로우상단부(33)가 자동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본 고안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밀봉커버에 벤딩홈을 가공하므로 보다 적은 힘으로 캔을 오픈할 수 있고,
둘째, 밀봉커버를 접착제로 밀봉하므로 오픈이 용이하며,
셋째, 내장된 스트로우를 사용하여 충치예방은 물론, 위생적으로 음료를 마실 수 있고,
넷째, 스트로우를 따로 준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간편하며,
다섯째, 스트로우의 포장을 뜯고 캔에 꽂아야 하는 시간을 절약하고,
여섯째, 스트로우의 포장지가 절약되고 포장지로 인한 환경오염을 예방하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도 1의 A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 캔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의 B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 캔의 오픈후 개략적인 평면도
도 1의 C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 캔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의 A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 캔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의 B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 캔의 작동후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의 A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캔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의 B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캔의 오픈후 평면도
도 3의 C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캔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의 A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캔의 작동과정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의 B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캔의 작동후 개략적인 단면도
도 5의 A는 위와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캔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5의 B는 위와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캔의 오픈후 평면도
도 5의 C는 위와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캔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의 A는 위와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캔의 작동과정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의 B는 위와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캔의 작동후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의 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고리가 체결되기 전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7의 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고리가 체결된 후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7의 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상부외측면의 개략적인 평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료 (2) - 음료의 표면
(9) - 캔의 내측저부 (10) - 캔의 측부
(11) - 시이밍 부 (12) - 캔의 상부외측면
(12a) - 캔의 상부내측면 (13) - 밀봉커버
(13a) - 커버접착부 (13b)- 접착제
(14) - 배출구 (14a) - 제1벤딩홈
(14b) - 제2벤딩홈 (14c) - 제3벤딩홈
(15) - 고정접착부 (16) - 고리
(17) - 고리손잡이 (20) - 리벳
(30) - 스트로우 (31) - 스트로우 하단부
(32) - 스트로우 접철부 (33) - 스트로우 상단부
(33a) - 스트로우 지지부 (33b) - 지지부의 구배부
(34) - 스트로우의 굴신부 (35) - 탄성소재
(R) - 스트로우 굴신부의 오픈전 각도
(R‘) - 스트로우 굴신부의 오픈후 각도

Claims (1)

  1. 맥주와 쥬스, 탄산음료 등 음료가 담겨 음용되는 통상의 음료용 캔에 있어서,
    캔의 상부외측면(12)의 일부에 배출구(14)와 배출구의 주위에 그 폭이 4mm 이내의 접착부(13a)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4)는, 그 폭이 4mm 이내인 접착부를 가지며, 그 직경이 30mm 이내인 밀봉커버(13)에 의해 접착제(13b)로 밀봉되며;
    상기 밀봉커버(13)에는 다수의 벤딩홈(14a), (14b), (14c)이 형성되고, 오픈시 사용되는 고리(16)가 체결되고;
    상기 밀봉커버(13)는 캔의 오픈시 상부외측면(12)과 분리되거나, 리벳(20) 또는 고정접착부(15)에 의해 상부외측면(12)에 지지되며;
    상기 밀봉커버(13)의 내측면에 스트로우지지부(33a)가 부착되고, 지지부에 끼워지는 스트로우상단부(33)에 의해 캔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스트로우(30)가 내장되어 지지되고;
    상기 스트로우(30)에는 접철부(32)와 탄성소재(35)가 장치된 굴신부(34)가 형성되며;
    캔의 오픈시 스트로우상단부(33)가 배출구를 통하여 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캔.
KR20-2005-0023133U 2005-08-10 2005-08-10 사용이 편리한 캔 KR2003998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133U KR200399828Y1 (ko) 2005-08-10 2005-08-10 사용이 편리한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133U KR200399828Y1 (ko) 2005-08-10 2005-08-10 사용이 편리한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828Y1 true KR200399828Y1 (ko) 2005-10-28

Family

ID=43700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133U KR200399828Y1 (ko) 2005-08-10 2005-08-10 사용이 편리한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8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9654A (zh) * 2019-08-08 2019-10-15 浙江晟祺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喷头改进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9654A (zh) * 2019-08-08 2019-10-15 浙江晟祺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喷头改进结构
CN110329654B (zh) * 2019-08-08 2024-04-16 浙江晟祺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喷头改进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9972A (en) Container for beverages, preserved foods and the like
TW575514B (en) Beverage container with easy cleaning upper panel
JP2002500137A (ja) 繰り返し開け易く再シール可能な密封体と容器
MX2009000841A (es) Lengüeta para cierre y proceso de elaboracion de la misma.
US6443324B1 (en) Beverage container with self-contained straw
EP2030907B1 (en) Container with a closure device with guarantee seal
KR200399828Y1 (ko) 사용이 편리한 캔
EP0787097B1 (en) Beverage can with integral pour spout
JPH09301416A (ja) 飲料用イージーオープンカン
JP3089256U (ja) 飲用手段を備えた飲料水缶
KR200403341Y1 (ko) 위생적이고 사용이 편리한 캔
CA2409446C (en) Lid for cans containing drinks with reinforced seal
US20040226951A1 (en) Pressure-applied lid for canned beverages
CN201179197Y (zh) 吸管式奶瓶
WO2003013977A1 (en) Drink can lid with straw folded therein
CN215205905U (zh) 一种管盖一体式易拉盖
JP2001171662A (ja) 開封方法、開封補助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開封機構
CN214777811U (zh) 夹管式饮料杯盖
CN217970783U (zh) 提拉伸缩式饮料吸管软包装盒
JPH0744604Y2 (ja) ストロ−付きの飲料用容器
CN2265957Y (zh) 自带吸管易拉罐
CN2325349Y (zh) 一种易拉罐
CN2573424Y (zh) 内置吸管式易拉罐
KR200345971Y1 (ko) 개봉탭이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음료수 캔
KR200332933Y1 (ko) 음료 캔의 밀봉 탭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