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444Y1 - 옥외전광판 모듈 - Google Patents

옥외전광판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444Y1
KR200399444Y1 KR20-2005-0022845U KR20050022845U KR200399444Y1 KR 200399444 Y1 KR200399444 Y1 KR 200399444Y1 KR 20050022845 U KR20050022845 U KR 20050022845U KR 200399444 Y1 KR200399444 Y1 KR 200399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cb
outdoor
dot
modu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8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영재
Original Assignee
(주)동방데이타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방데이타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동방데이타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20-2005-00228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4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4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5/14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overall shape of the two-dimensional array
    • F21Y2105/16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overall shape of the two-dimensional array square or rectangular, e.g. for ligh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Abstract

본 고안은 옥외전광판 모듈에 관한 것으로, 각 도트들을 구분하는 격벽 구조로 된 무광의 모듈커버를 PCB에 완전 밀착하여 결합시켜 각 도트들 간의 빛의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하며, 각 모듈과 모듈의 결합시 생기는 이음새로의 빗물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단턱구조의 상부 및 하부를 갖는 모듈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옥외전광판 모듈{OUTDOOR DISPLAY BOARD}
본 고안은 옥외전광판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웃하는 각 도트들 간의 빛의 간섭을 차단하며, 모듈과 모듈간의 결합시 이음새를 통한 빗물의 유입을 막고, 각 모듈간의 보다 강한 결합이 가능한 옥외전광판 모듈에 관한 것이다.
발광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를 이용한 전광판은, 네온(neon)이나 파나플렉스(pana flex), 트라이 비젼(tri vision), 빌보드(bill board) 등을 이용한 전광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력 소비가 적고, 고품질의 화질 구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경기장이나, 상업방송 및 옥외용 광고수단을 위한 대형영상매체로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장점을 갖고 있는 LED를 이용한 전광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가 군을 이루어 하나의 도트(DOT)를 표현하고, 다수의 도트를 제어하여 점멸시킴으로써 문자 혹은 이미지 및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소등되어 있는 도트의 이웃하는 도트가 발광하게 되면, 소등되어 있는 도트에서의 빛의 반사로 인하여 전체적인 이미지 또는 영상이 선명하지 못하다.
또한, 옥외에 설치되는 대형전광판의 경우, 다수의 도트를 가진 각 모듈들을 결합하여 대형 화면을 연출하게 되는데, 이때 각 모듈 간 이음새를 통한 빗물의 유입으로 인해 고장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실외에 직접적으로 설치되는 만큼 강한 바람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부분적인 LED의 고장 시 간편하고 안전하게 고장 부분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어야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격자형으로 격벽이 형성된 구조인 모듈커버를 LED가 접속된 PCB(Printed Circuit Board : 인쇄회로기판)에 밀착 결합하여 각 도트들을 격리함으로써, 소등 된 도트가 발광하는 도트의 빛에 의해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며, 상기 모듈커버 및 PCB를 포함한 옥외전광판 모듈이 이웃하는 타 옥외전광판 모듈과의 결합 시 이음새를 통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고, 간단하게 나사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만으로도 보다 강한 결합력을 갖으면서 착탈이 편리한 옥외전광판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옥외전광판 모듈은, 전면에는 상기 하나의 도트를 표현하기 위해 구성되는 LED들이 군을 이루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소정간격을 유지하며 균일하게 배열 접속되어 있고, 상기 LED로 구성된 각 도트와 도트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소정 크기의 홀이 형성되었으며, 상부에는 나사체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구멍이 형성된 PCB; 및 후면은 상기 PCB의 전면에 부착되되, 상기 각 도트들 간 빛의 간섭을 차단하기 위해 격자형으로 격벽이 형성된 구조이며, 후면에는 상기 PCB에 형성된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홀에 삽입 되고, 최상단 격벽의 상단 및 최하단 격벽의 하단은 단턱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PCB의 나사구멍에 대응하는 위치 및 최하단 격벽의 단턱의 후면에 나사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나사구멍이 형성된 모듈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CB는, 빗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기 위해 표면을 방수코팅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듈커버에 형성된 돌기는 상기 PCB의 홀에 삽입된 후, 상기 PCB와의 결속력을 강화하기 위해, 종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모듈커버는 설치후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격벽의 후면으로부터 전면방향을 향해 타원형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모듈커버는 무광의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옥외전광판 모듈은, 이웃하는 타 모듈과의 결합시,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하되, 상기 PCB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구멍, 상기 PCB의 나사구멍에 대응하여 형성된 상기 모듈커버의 최상단 격벽에 관통하여 형성된 나사구멍 및 상기 최상단 격벽의 단턱구조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타 모듈의 모듈커버의 최하단 격벽을 모두 통과하여 나사조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전광판 모듈의 분해측면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옥외전광판 모듈과 이웃하는 타 옥외전광판 모듈들이 결합된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전광판 모듈과 이웃하는 타 옥외전광판 모듈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2의 Ⅲ-Ⅲ선에 따른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설명에 기재되는 나사구멍들은 혼란을 피하기 위해, PCB에 형성된 나사구멍에는 구분부호 'a'를, 모듈커버의 최상단 격벽에 형성된 나사구멍에는 구분부호 'b'를, 모듈커버의 최하단 격벽에 형성된 나사구멍에는 구분부호 'c'를 덧붙이도록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전광판 모듈은, LED(110)들이 접속된 PCB(100) 및 모듈커버(200)를 포함한다.
상기 PCB(100)에는, 하나의 도트를 표시하기 위해 구성되는 상기 LED(110)들이 군을 이루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소정간격을 유지하며 균일하게 배열 접속되어 있다. 즉, 상기 각 도트들의 점멸을 제어하여 줌으로써, 문자 혹은 이미지 및 동영상을 제공하여 줄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도2를 참조하면 더욱 명확할 것이다.
옥외전광판은 실외에 설치되는 만큼 빗물 등의 유입으로 인한 상기 PCB(100)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코팅 처리된 PCB(1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CB(100)에 접속된 LED(110)들로 구성된 각 도트와 도트 사이 소정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크기의 홀(120a,120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나사체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구멍a(13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120a,120b)은 이후 서술될 상기 모듈커버(200)의 돌기(220a,220b)와 결합이 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홀(120a,120b) 및 나사구멍a(130a)은 상기 모듈커버(200)와 함께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모듈커버(200)는 상기 각 도트들 간 빛의 간섭을 차단하기 위해 격자형으로 격벽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후면이 상기 PCB(100)에 부착된다.
소등되어 있는 도트의 이웃하는 도트가 발광하게 되면, 소등되어 있는 도트에서의 빛의 반사로 인하여 전체적인 이미지 또는 영상이 선명하지 못하게 되는데, 상기 모듈커버(200)는 각 도트들 간 빛의 간섭을 차단해줌으로써, 전광판에 표시되는 영상의 선명도를 극대화 시키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모듈커버(200)가 상기 PCB(100)에 부착될 시에는 부착되는 모듈커버(200)의 후면 및 PCB(100)의 전면이 서로 이격 되지 않도록 완전 밀착하여 결합시킨다. 이는 모듈커버(200)와 PCB(100)가 결합 된 면의 틈을 통해 각 도트 간 발생 할 수 있는 빛의 간섭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상기 모듈커버(200)의 후면에는, 상기 PCB(100)에 부착되었을 시, 상기 PCB(100)에 형성된 홀(120a,120b)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220a,220b)가 형성되어 상기 홀(120a,120b)에 삽입된다.
상기 모듈커버(200)는 균일하게 배열되어 있는 상기 각 도트와 도트 사이에 격벽이 놓여 지도록 설계된 것이다. 따라서 LED(110)들이 접속된 상기 PCB(100)에 모듈커버(200)를 부착할 시, 정확한 위치를 잡아주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는 상기 모듈커버(200)에 형성된 돌기(220a,220b)를 상기 PCB(100)에 형성된 홀(120a,120b)에 끼워 맞춤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기(220a,220b)의 종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모듈커버(200)와 PCB(100)의 결합 후에 상기 모듈커버(200)와 PCB(100)의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다. 즉, 도면에 표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220a,220b)는 종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탄성체를 소정 간격 이격시켜 내측을 상호 마주보게 하여 구성시킴으로써, 결합 후의 모듈커버(200)와 PCB(100)의 결속을 한층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옥외전광판은 실외에 설치되는 만큼 빗물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빗물이 각 도트를 둘러싼 격벽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원활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상기 모듈커버(200)의 각 격벽을 후면으로부터 전면방향을 향해 타원형으로 경사지게 구성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모듈커버(200)는 컬러 이미지를 표시할 시 각 격벽에 빛이 난반사 되어 이미지가 변질 되는 것을 막고, 강한 충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이 뛰어난 무광의 알루미늄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커버(200)의 최상단 격벽의 상단 및 최하단 격벽의 하단은 단턱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이웃하는 타 옥외전광판 모듈과의 결합시, 이음새를 통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전광판의 전면에서 빗물이 상기 모듈과 모듈이 결합된 이음새를 통해 유입되더라도, 위로 계단 진 형상으로 단턱지게 함으로써,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호 대응되는 단턱구조의 모듈커버(200)를 결합함으로써, 전체 전광판을 구성하는 각 모듈의 배열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내용은 도2의 정면도를 참조하면 더욱 명확할 것이다.
도3은, 도2의 Ⅲ-Ⅲ선에 따른 부분단면도이다.
옥외전광판 모듈이 이웃하는 타 옥외전광판 모듈과 결합시에는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 및 도3을 참조하면, 상기 PCB(100)의 상부에는 소정 위치에 나사(330)가 관통하는 나사구멍a(1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모듈커버(200)와 PCB(100)의 결합시, 상기 PCB(100)의 나사구멍a(130a)에 대응하는 상기 모듈커버(200)의 최상단 격벽에 나사구멍b(230b)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듈커버(200)의 최하단 격벽에는 이웃하는 타 옥외전광판 모듈의 PCB 및 모듈커버를 관통하여 들어온 나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구멍c(230c)이 형성된다. 즉 상기 나사(330)로써 상기 PCB(100), 모듈커버(200) 및 이웃하는 타 옥외전광판 모듈의 모듈커버를 모두 결합하여, 기상 악화로 인한 강한 바람에도 옥외전광판 모듈이 견뎌낼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는 것이며, LED(110)의 고장시, 위험성이 존재하는 전광판의 전면측에서가 아닌, 전광판의 후면측에서, 고장이 발생한 LED를 포함한 PCB의 나사를 풀어줌으로써, 안전하면서도 손쉽게 고장수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고안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격벽구조의 내구성이 강한 알루미늄 재질의 모듈커버로써 각 도트들을 격리하여, 소등되어 있는 도트가 발광하는 이웃 도트로 인해 반사 및 간섭을 일으켜 전광판에 표시되는 이미지 및 영상의 선명도를 저하 시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둘째, 모듈커버에 형성된 돌기를 PCB에 형성된 홀에 맞추어 결합해 줌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상기 모듈커버를 결합해 줄 수 있으며, 상기 돌기의 종단부에 걸림턱을 형성해 줌으로써, 모듈커버와 PCB의 결합후 결속력을 더욱 강화 해 줄 수 있다. 또한, 모듈커버와 PCB를 완전 밀착하여 접합면에 틈을 두지 않음으로써, 각 도트간에 빛의 간섭을 차단할 수 있다.
셋째, 모듈커버의 최상단 및 최하단 격벽을 단턱구조로 형성하여 각 옥외전광판 모듈을 결합해 줌으로써, 각 모듈간 이음새를 통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해줄 수 있으며, 하나의 나사로 PCB, 모듈커버 및 이웃 옥외전광판 모듈의 모듈커버를 모두 결합하여 강한 바람에도 견딜 수 있는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넷째, 모듈커버의 각 격벽의 후면으로부터 전면방향을 향해 타원형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빗물이 상기 각 격벽 내부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내구성이 강한 무광의 알루미늄 재질로 모듈커버를 제작함으로써, 각 격벽에 빛이 난반사 되어 컬러 이미지가 변질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전광판 모듈의 분해측면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옥외전광판 모듈과 이웃하는 타 옥외전광판 모듈들이 결합된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외전광판 모듈과 이웃하는 타 옥외전광판 모듈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2의 Ⅲ-Ⅲ선에 따른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PCB
110 : LED 120a,120b : 홀
130a : 나사구멍a
200 : 모듈커버
220a, 220b : 돌기 230b : 나사구멍b
230c : 나사구멍c
330 : 나사

Claims (6)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Light Emitting Diode)가 군을 이루어 하나의 도트(DOT)를 표현하고, 다수의 도트를 제어함으로써 문자 혹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광판에 있어서,
    전면에는 상기 하나의 도트를 표현하기 위해 구성되는 LED들이 군을 이루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소정간격을 유지하며 균일하게 배열 접속되어 있고, 상기 LED로 구성된 각 도트와 도트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소정 크기의 홀이 형성되었으며, 상부에는 나사체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구멍이 형성된 PCB; 및
    후면은 상기 PCB의 전면에 부착되되, 상기 각 도트들 간 빛의 간섭을 차단하기 위해 격자형으로 격벽이 형성된 구조이며, 후면에는 상기 PCB에 형성된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홀에 삽입 되고, 최상단 격벽의 상단 및 최하단 격벽의 하단은 단턱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PCB의 나사구멍에 대응하는 위치 및 최하단 격벽의 단턱의 후면에 나사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나사구멍이 형성된 모듈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전광판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옥외전광판 모듈은 이웃하는 타 모듈과의 결합시,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하되, 상기 PCB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구멍, 상기 PCB의 나사구멍에 대응하여 형성된 상기 모듈커버의 최상단 격벽에 관통하여 형성된 나사구멍 및 상기 최상단 격벽의 단턱구조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타 모듈의 모듈커버의 최하단 격벽을 모두 통과하여 나사조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전광판 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버에 형성된 돌기는 상기 PCB의 홀에 삽입된 후, 상기 PCB와의 결속력을 강화하기 위해, 종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전광판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버는 설치후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격벽의 후면으로부터 전면방향을 향해 타원형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전광판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버는 무광의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전광판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PCB는 빗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기 위해 표면을 방수코팅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전광판 모듈.
KR20-2005-0022845U 2005-03-31 2005-08-08 옥외전광판 모듈 KR200399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845U KR200399444Y1 (ko) 2005-03-31 2005-08-08 옥외전광판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806 2005-03-31
KR20-2005-0022845U KR200399444Y1 (ko) 2005-03-31 2005-08-08 옥외전광판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444Y1 true KR200399444Y1 (ko) 2005-10-24

Family

ID=43700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845U KR200399444Y1 (ko) 2005-03-31 2005-08-08 옥외전광판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4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4616B2 (en) Isolating alignment and structural strength in LED display systems
CN104050886B (zh) 发光二极管面板以及具有挡光板的显示器及其方法和用途
CN101294700B (zh) 贴片led室外防水模组
US20070279338A1 (en) Display system having pixels
KR20020096121A (ko) 주야 변환용 멀티 광고판
CN101353910B (zh) 一种可以显示图文信息的玻璃幕墙模组
KR200412112Y1 (ko)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KR100694877B1 (ko) 타일형 엘이디모듈
KR200399444Y1 (ko) 옥외전광판 모듈
KR200457680Y1 (ko) 보조발광체를 갖춘 발광사인물
KR100778660B1 (ko) 광고판 겸용 전광판
KR101510802B1 (ko) 수상용 태양광발전설비에 장착되는 엘이디 전광판
KR200416943Y1 (ko) 알루미늄 도금층이 형성된 led용 pcb
KR101824336B1 (ko) 모듈 타입으로 제공되는 엘이디 전광점수판용 케이스 어셈블리
CN210223389U (zh) 显示屏
KR100736343B1 (ko) 사인보드
CN202332121U (zh) 一种led显示装置
CN208673649U (zh) 一种防水防尘led显示屏结构
KR100819897B1 (ko) 엘이디 전광판의 프레임 후크 구조
KR20120024041A (ko) 양면 전광판 프레임
KR200192570Y1 (ko) 전광판용 모듈
KR101685390B1 (ko) 슬림형 led모듈 및 그 슬림형 led모듈을 이용한 led 전광판
KR20080002284A (ko) 조명용 엘이디모듈 및 그를 이용한 조명안내판
CN201599633U (zh) Led全彩灯条
CN200997232Y (zh) 基于防水封装led条形光源的动态广告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