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301Y1 - 승용차용 타이어의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승용차용 타이어의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301Y1
KR200399301Y1 KR20-2005-0023340U KR20050023340U KR200399301Y1 KR 200399301 Y1 KR200399301 Y1 KR 200399301Y1 KR 20050023340 U KR20050023340 U KR 20050023340U KR 200399301 Y1 KR200399301 Y1 KR 2003993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tire
base plate
load cel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양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33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3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3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3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02Inspecting ty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용차용 타이어의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타이어의 코드 분리를 유발하면서 충격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승용차용 타이어의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 측정장치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되는 충격전달 바(Bar, 30)와; 상기 충격전달 바에 충격이 가해질 때, 그 충격을 상기 충격전달 바를 통해 전달받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로드 셀(Load Cell, 40)과; 그리고, 상기 로드 셀에 의하여 감지되는 충격량을 연산하여 표시하는 제어유닛(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승용차용 타이어의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 측정장치 {DEVICE FOR GENERATING CORD BREAK-UP AND MEASURING IMPACT FORCE}
본 고안은 승용차용 타이어의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휠 및 타이어 조립체(Wheel and Tire Assemblies)에 대한 도로 해저드 충격 시험(Hazard Impact Test)를 규정한 SAE J1981 규격이, 일정 중량과 높이, 스트라이커(Striker)를 구비한 장비를 이용하여 타이어 트레드(Tread) 면에 충격을 주어 충격량을 예측하는 권고하고 있으나, 코드 분리(Cord Break-Up)의 예측과는 무관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타이어의 코드 분리를 유발하면서 충격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승용차용 타이어의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의 코드는 고무 부품을 보강하는 보강재로서, 스틸(Steel)로 형성되거나, 섬유 필라멘트사를 여러 겹으로 꼬아서 연사로 만들어 직조한 다음, 수지를 입히고, 고무를 부착한 심재이다.
이러한 코드는 차량 운행 도중에 연석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될 수 있으며, 일정 높이를 갖는 장애물(예컨대,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경계석)을 넘어갈 때, 상기 장애물에 부딪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드가 분리될 경우, 타이어의 내구성이 급격히 떨어져 안전사고를 유발할 위험성이 크며, 이러한 코드 분리 문제가 고객의 가장 큰 불만족 요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충격량에서 타이어 코어가 분리되는지, 또는 타이어 코드가 내구성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알아야만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타이어의 코드 분리를 유발하면서 충격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승용차용 타이어의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용 타이어의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 측정장치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되는 충격전달 바(Bar, 30)와; 상기 충격전달 바에 충격이 가해질 때, 그 충격을 상기 충격전달 바를 통해 전달받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로드 셀(Load Cell)과; 그리고, 상기 로드 셀에 의하여 감지되는 충격량을 연산하여 표시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로드 셀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의 신호를 터미널을 통해 입력받아 A/D변환하는 A/D컨버터(Converter)와; 그리고, 상기 A/D컨버터의 신호를 연산하여 표시하는 마이콤(Micom);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용 타이어의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 측정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용 타이어의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 측정장치는, 예컨대 차도와 인도의 경계석과 같는 일정 높이를 갖는 장애물 위로 타이어가 주행할 때, 타이어 트레드 면이 큰 충격을 받고, 이 때 타이어 코드가 분리되는 현상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시험실에서 간단하게 타이어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용 타이어의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 측정장치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되는 충격전달 바(Bar, 30)와; 상기 충격전달 바(30)에 충격이 가해질 때, 그 충격을 상기 충격전달 바(30)를 통해 전달받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면에 설치되는 로드 셀(40)과; 그리고, 상기 로드 셀(40)에 의하여 감지되는 충격량을 연산하여 표시하는 제어유닛(50)(도 3 참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타이어(10)가 베이스 플레이트(20)를 위로 주행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전달 바(30)에 충돌하면, 그 충격이 상기 충격전달 바(30)의 저면을 통해 로드 셀(40)에 전달되므로, 타이어(10)가 받는 충격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유닛(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 셀(40)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60)와; 상기 증폭기(60)의 신호를 터미널(Terminal, 70)을 통해 입력받아 A/D변환하는 A/D컨버터와; 그리고, 상기 A/D컨버터(80)의 신호를 연산하여 표시하는 마이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마이콤(90)에 충격량 계산 프로그램이 내장됨으로써, 실시간으로 타이어(10)가 받는 충격량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타이어(10)의 충격량과 타이어 코드의 분리 여부를 조사함으로써, 충격량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타이어 코드 분리 현상을 손쉽게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격전달 바(30)는, 타이어(10)에 의한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예컨대 I-빔(I-beam)과 같은 형강 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면에 닿아 있는 베이스플레이트(20)와 로드 셀(40)과 연결된 충격전달 바(30) 등이 움직이면 전달되어 들어오는 충격량을 정확하게 받아들일 수 없으므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20)는, 베이스플레이트(20)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 6개소에 앵커 볼트(25)로 지면에 고정시키고, 충격전달 바(30)도 역시 로드 셀(40)에 볼트(35)로 단단히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 및 충격전달 바(30)의 고정수단은 상기와 같은 앵커 볼트(25) 및 볼트(35)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용 타이어의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 측정장치에 의하면, 시험실에서 간단한 시험에 의하여, 일정 높이를 갖는 장애물에 대한 타이어의 충격량을 손쉽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이어의 코드 분리 여부도 손쉽게 예측할 수 있으므로, 타이어 코드의 내구성 향상을 위한 개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용 타이어의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용 타이어의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 측정장치에 타이어가 충돌하는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용 타이어의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 측정장치에 의하여 시험 결과를 취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25 : 앵커 볼트(Anchor Bolt)
30 : 충격전달 바(Bar), 35 : 볼트(Bolt)
40 : 로드 셀(Load Cell), 50 : 제어유닛,
60 : 증폭기, 70 : 터미널,
80 : A/D컨버터(Converter), 90 : 마이콤(Micom).

Claims (2)

  1.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되는 충격전달 바(Bar, 30)와;
    상기 충격전달 바에 충격이 가해질 때, 그 충격을 상기 충격전달 바를 통해 전달받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로드 셀(Load Cell, 40)과; 그리고,
    상기 로드 셀에 의하여 감지되는 충격량을 연산하여 표시하는 제어유닛(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타이어의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50)은, 상기 로드 셀(40)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60)와; 상기 증폭기의 신호를 터미널(70)을 통해 입력받아 A/D변환하는 A/D컨버터(Converter, 80)와; 그리고, 상기 A/D컨버터의 신호를 연산하여 표시하는 마이콤(Micom, 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타이어의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 측정장치.
KR20-2005-0023340U 2005-08-12 2005-08-12 승용차용 타이어의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 측정장치 KR2003993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340U KR200399301Y1 (ko) 2005-08-12 2005-08-12 승용차용 타이어의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340U KR200399301Y1 (ko) 2005-08-12 2005-08-12 승용차용 타이어의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301Y1 true KR200399301Y1 (ko) 2005-10-20

Family

ID=4370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340U KR200399301Y1 (ko) 2005-08-12 2005-08-12 승용차용 타이어의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3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232B1 (ko) * 2009-12-10 2012-07-0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충격량 측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232B1 (ko) * 2009-12-10 2012-07-0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충격량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66659B (zh) 一种用于车轮模拟实况冲击试验的方法
US912179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valuating tire properties
RU2564559C2 (ru) Зимняя шин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шип для шины
US932910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haracterizing vehicle tires
Al-Qadi et al. Pavement damage due to different tires and vehicle configurations
KR200399301Y1 (ko) 승용차용 타이어의 코드 분리 유발 및 충격량 측정장치
KR100537380B1 (ko) 타이어의 사이드 월 충격 시험장치
JP2005508008A (ja) 車体部分
JP2002156312A (ja) アクスルのミスアライメントおよびタイヤ磨耗のインジケータ
CN204705426U (zh) 检测事故汽车制动器制动力矩的装置
Holscher et al. Modeling of pneumatic tires by a finite element model for the development a tire friction remote sensor
KR100782474B1 (ko) 주행 타이어의 충격력 측정장치
Liu et al. Simplified fatigue durability assessment for rear suspension structure
KR100830578B1 (ko) 화물차량의 불균형 적재검출 및 안전운전안내 시스템과그의 제어방법
CN1584516A (zh) 车辆超载检测系统及其运行方法
ES2193756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medir la capacidad de carga de una plataforma.
KR20090115317A (ko) 차량의 과적 및 부정계측 검출장치
KR20040088251A (ko) 차량의 중량측정장치 및 그 방법
CN101476957A (zh) 电机驱动的机动车平板式制动力测量装置
JP2004157017A (ja) 衝突実験システム
CN105651529A (zh) 一种用于车轮模拟实况冲击试验的车辆及系统
JP5755080B2 (ja) タイヤの試験方法
JP4326848B2 (ja) 自動車の機械構成部品および自動車の挙動予測システム
KR20110058444A (ko) 타이어의 주행 상태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CN113375946B (zh) 一种车辆的车身动态扭转和弯曲测试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