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916Y1 -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 - Google Patents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916Y1
KR200398916Y1 KR20-2005-0022671U KR20050022671U KR200398916Y1 KR 200398916 Y1 KR200398916 Y1 KR 200398916Y1 KR 20050022671 U KR20050022671 U KR 20050022671U KR 200398916 Y1 KR200398916 Y1 KR 2003989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heet
clothing
exposure
prevent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성재
Priority to KR20-2005-0022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9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9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9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7/00Means for holding-down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2Shields or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동작 여부에 관계없이 신체에 의류가 항시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신체(특히 가슴부위)의 과도한 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체의 노출을 의식하여 동작 및 행동이 제한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장착시 의류의 표면으로 악세사리가 드러나도록 하여 개인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멋을 연출할 수 있는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Instrument Fixing Clothes for Preventing Exposure of Body Unexpected}
본 고안은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동작 여부에 관계없이 신체에 의류가 항시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신체(특히 가슴부위)의 과도한 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체의 노출을 의식하여 동작 및 행동이 제한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장착시 의류의 표면으로 악세사리가 드러나도록 하여 개인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멋을 연출할 수 있는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문명 발생의 초기부터 의류는 신체를 보호하고 노출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까지 인류에게 있어 생활 필수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의류는 상기와 같은 그 본래의 목적과 더불어 계급과 신분을 표현하거나 개인의 취향에 따른 멋을 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되어 왔다.
한편, 근래에 들어서 의류는 멋의 연출을 위한 디자인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여성용 의류는 여성미를 보다 강조하기 위한 디자인을 갖도록 발전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의류의 디자인 강조 경향에 기인하면, 착용자의 행동이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여성의 경우 허리를 굽혀 상체를 숙이게 되면, 상의가 신체로부터 이격되고 이에 따라 신체가 과도 노출(특히 가슴부위)되는 일이 빈번하였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착용자가 멋의 연출을 강조하다 보면 더욱 부각되었다. 예로서, 목 부위가 깊게 파진 의류의 착용시에는 상체를 조금만 숙여도 신체가 과도 노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신체의 노출을 의식함에 기인하는 동작 및 행동의 제한은 요식업을 비롯한 서비스업, 기타 활동성 직업을 갖는 사람의 경우에는 결국, 작업효율성 및 능률을 저하되는 2차적 문제점을 더불어 발생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동작 여부에 관계없이 신체에 의류가 항시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신체(특히 가슴부위)의 과도한 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체의 노출을 의식하여 동작 및 행동이 제한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장착시 의류의 표면으로 악세사리가 드러나도록 하여 개인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멋을 연출할 수 있는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소모성 부품과 비소모성 부품을 상호 손쉽게 분리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자원절약에 부합하고, 지속적인 사용에 따른 부가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신체에 접착될 수 있도록 일면이 접착성을 갖는 접착시트와; 상기 접착시트의 타면에 고정, 지지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의류의 선단 부위를 사이에 두고 접하는 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와 밀착부가 상호 밀착됨을 유지하도록 일정의 탄성을 갖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신체에 접착될 수 있도록 일면이 접착성을 갖는 접착시트의 타면에 고정부재가 고정, 지지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의류의 선단 부위를 사이에 두고 겹쳐질 수 있도록 굽힘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의류를 신체에 근접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두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같은 구성 및 구조를 갖는 부품에는 비록 실시예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부호를 명기함을 밝혀둔다.
<실시예 1>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의류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의류 고정구에 악세사리가 부가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르면, 의류 고정구(50)는 접착시트(10), 고정부재(20), 결합수단으로서 고무밴드(30)로 구성된다.
상기 접착시트(10)는 신체(300)의 피부에 접착되는 것으로서 일면에는 접착성을 갖도록 접착제 등이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접착층(11)이 형성된다.
상기 고무밴드(30)는 상기 접착시트(10)에 후술될 고정부재(2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면이 상기 접착시트(10)의 타면에 접착제 또는 제봉 등에 의해 부착된다. 이때, 상기 고무밴드(30)는 상기 고정부재(2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적어도 2개 이상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고무밴드(30)가 상호 이격되게 구성됨을 보인다. 상기한 바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재(20)는 복수개의 고무밴드(30)에 의해 좌,우 요동이 방지되면서 탄성지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재(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수단 인 고무밴드(30)를 통해 상기 접착시트(1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 지지되는 것으로서 의류(500)의 선단 부위를 사이에 두고 겹쳐질 수 있어야 한다. 즉,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고정부재(20)의 고무밴드(30)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연장된 부위를 연장부(21)라 하고, 상기 연장부(21)로부터 굽혀져 상기 연장부(21)와 겹쳐지는 부위를 굽힘부(23)라 하면, 상기 연장부(21)와 굽힘부(23) 사이에 의류(500)의 선단부위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재(20)는 굽힘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는 일단 굽혀진 후에는 그 형상이 다시 복원을 위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유지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야 한다. 예로서, 상기 고정부재(20)는 일정의 유연성을 갖는 금속이나, 금속 철심이 내재된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의류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의류 고정구(50)는 사용시 의류(상의)의 선단부위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접착시트(10)는 신체(300)에 접착되며, 상기 접착시트(10)에 고정된 고정부재(20)는 연장부(21)와 굽힘부(23)가 의류(500) 선단부위를 사이에 두고 상호 밀착되는 형태로 의류(500)에 고정된다. 이로서, 상기 고정부재(20)는 의류(500) 선단부위가 신체(300)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착용자가 상체를 숙일 경우, 상기 의류(500)를 신체(300)에 근접되게 유지시킴으로써, 신체(300)의 과도 노출(특히 가슴 부위의)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와 같은 의류 고정구(50)에 미관을 고려한 악세사리(40)를 부가 구성할 경우 부품(고정부재 등)의 노출을 방지하면서 자연스러운 멋을 연출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더불어 발생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악세사리(40)는 본 고안에 따른 의류 고정구의 장착시 상기 고정부재(20)를 비롯한 구성품의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멋을 연출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여기서, 상기 악세사리(40)는 상기 고정부재(20)의 굽힘부(23)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굽힘부(23)에 접착될 수도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의류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120)가 접착시트(10)에 고무밴드(30)를 통해 고정, 지지된 결합부(121)와 상기 결합부(121)의 외측면에 구성된 집게부(12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집게부(123)는 제조과정에서 상기 결합부(121)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고, 별도 성형되어 상기 결합부(121)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121)와 집게부(123)가 각각 별도 성형되어 상호 결합됨을 보인다. 한편, 상기 집게부(123)에는 사용시 편의를 위한 가압부(125)가 구성되는데, 상기 가압부(125)는 상기 집게부(123)가 복수개의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가 구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집게부(123)에 1개의 가압부(125)를 구성하고 상기 결합부(121)의 상부가 다른 하나의 가압부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집게부(123) 구성은 의류(500)의 선단 부위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 3>
도 5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의류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제 3실시예의 구성에서 상기 고정부재(120)를 상기 접착시트(1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 지지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커버부재(33), 벨크로테잎(35)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재(33)는 상기 고정부재(1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접착시트(10)에 접착되어 상기 고정부재(120)를 상기 접착시트(10)에 고정, 지지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33)는 단일, 복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커버부재(33)가 구성됨을 보인다. 한편, 상기 벨크로테잎(35)은 상기 접착시트(10)와 상기 커버부재(33)의 상호 접촉되는 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33)가 상기 접착시트(1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며, 결국 이는 상기 고정부재(120)가 상기 접착시트(1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 지지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결합수단으로서 커버부재(33)와 벨크로테잎(35)으로 이루어진 구성은 상기 접착시트(10)에 고정부재(120)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실시예 4>
도 6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의류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서는 상기 접착시트(10)에 고정부재(120)를 고정, 지지함에 있어, 상기 고정부재(120)가 상기 접착시트(10)에 형성된 홈(10a)을 통해 상기 접착시트(10)에 부분 내입되어 고정,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홈(10a)은 상기 접착시트(10)의 표면이 일정길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12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홈(10a)을 이루는 접착시트(10)의 표면이 신축성 또는 탄성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5>
도 7은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의류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120)를 접착시트(10)에 고정, 지지하기 위한 결합수단으로서 옷핀(25)이 채택되어 사용된다. 즉, 상기 옷핀(25)은 상기 고정부재(120)의 둘레를 감싸며 핀부(26)가 상기 접착시트(10)에 관통되어 상기 고정부재(120)를 접착시트(10)에 고정, 지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옷핀(25)은 타원의 형상을 갖기 보다는 핀부(26)를 포함하여 대략 사각 라인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부재(12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서는 상기 고정부재(120)와의 여유공간이 배제된 형태, 즉, 상기 고정부재(120)에 밀착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6>
도 8은 본 고안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의류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의류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서는 접착시트(1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20)가 상기 접착시트(10)의 타면(접착성을 갖는 면의 반대면)에 고정, 지지되는 결합부(221)와 상기 결합부(221)와 의류(500)의 선단 부위를 사이에 두고 접하는 밀착부(223)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부재(220)의 결합부(221)와 밀착부(223)는 상호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제작시 단일체로 성형됨을 밝혀둔다. 이와 같은 고정부재(220)의 구성은 외형상 상기 제 1실시예에서의 고정부재의 구성과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부재(220)는 굽힘 가능한 재질이 아닌, 일정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221)와 밀착부(223)가 상호 밀착됨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220)를 접착시트(10)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수단으로서, 상기 결합수단이 제 1결합단추(37)와 제 2결합단추(39)로 구성됨을 예시한다. 상기 제 1결합단추(37)는 암단추 형상으로서 상기 접착시트(10)의 타면에 구성된다. 상기 제 2결합단추(39)는 상기 고정부재(220)의 상기 접착시트(10)와 접촉되는 면 상에 구성되며 상기 제 1결합단추(37)와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 1(37) 및 제 2결합단추(39)가 결합되는 구성은 당해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갖춘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에 해당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회피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구성은 타실시예와 비교하여 그 구성이 단순하며, 의류(500)의 보다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고, 고정부재(220)와 접착시트(10)가 보다 용이하게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상대적 장점을 지닌다. 즉,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층(40)을 통해 신체(300)에 접착되는 접착시트(10)와 의류(500)의 선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220)의 결합이 보다 간단한 구조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요지에 벗어남 없이 다양한 변경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예로서, 상기 고정부재를 접착시트에 접착제 또는 테이프를 통해 고정시키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다만, 상기 제시된 실시예들은 상기 접착시트의 사용 가능의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고정부재의 지속적인 사용이 보장되도록 상기 접착시트와 고정부재의 분리 용이성을 높인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단일의 고정부재가 구성됨을 보였으나, 착용되는 의류에 따라 복수 또는 그 이상의 고정부재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남방과 같이 의류의 전면 선단이 양 갈래로 분리된 경우, 복수개의 고정부재를 구성하게 되면, 의류의 선단부위를 보다 용이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의 동작 여부에 관계없이 신체에 의류가 항시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신체(특히 가슴부위)의 과도한 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체의 노출을 의식하여 동작 및 행동이 제한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착시 의류의 표면으로 악세사리가 드러나도록 하여 개인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멋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소모성 부품과 비소모성 부품을 상호 손쉽게 분리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자원절약에 부합하고, 지속적인 사용에 따른 부가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의류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의류 고정구에 악세사리가 부가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의류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의류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의류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의류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의류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의류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의류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접착시트 10a: 홈
11: 접착층 20,120,220: 고정부재
21: 연장부 23: 굽힘부
25: 옷핀 26: 핀부
30: 고무밴드 33: 커버부재
35: 밸크로테잎 37: 제 1결합단추
39: 제 2결합단추 40: 악세사리
50: 의류 고정구 121,221: 결합부
123: 집게부 125: 가압부
223: 밀착부 300; 신체
500: 의류

Claims (9)

  1. 신체(300)에 접착될 수 있도록 일면이 접착성을 갖는 접착시트(10)와;
    상기 접착시트(10)의 타면에 고정, 지지되는 결합부(221), 상기 결합부(221)와 의류(500)의 선단 부위를 사이에 두고 접하는 밀착부(223)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221)와 밀착부(223)가 상호 밀착됨을 유지하도록 일정의 탄성을 갖는 고정부재(20,120,2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
  2. 신체(300)에 접착될 수 있도록 일면이 접착성을 갖는 접착시트(10)의 타면에 고정부재(20,120,220)가 고정, 지지되고 상기 고정부재(20,120,220)는 의류(500)의 선단 부위를 사이에 두고 겹쳐질 수 있도록 굽힘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의류(500)를 신체(300)에 근접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120,220)는 상기 접착시트(10)에 결합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일면이 상기 접착시트(10)의 타면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부재(20,120,220)를 탄성지지하는 고무밴드(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고정부재(20,120,220)를 덮는 커버부재(33)와;
    상기 커버부재(33)가 상기 접착시트(1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시트(10)와 상기 커버부재(33)의 상호 접촉되는 면에 각각 형성되는 벨크로테잎(35);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접착시트(10)의 타면에 구성된 제 1결합단추(37)와;
    상기 고정부재(20,120,220)의 상기 접착시트(10)와 접촉되는 면 상에 상기 제 1결합단추(37)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결합단추(39);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고정부재(20,120,220)의 둘레를 감싸며 핀부(26)가 상기 접착시트(10)에 관통되어 상기 고정부재(20,120,220)를 접착시트(10)에 고정, 지지하는 옷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120,220)는 상기 접착시트(10)에 형성된 홈(10a)을 통해 상기 접착시트(10)에 부분 내입되어 고정,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120,220)에는 장착시 의류(500)의 표면으로 노출되는 악세사리(40)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
KR20-2005-0022671U 2005-08-04 2005-08-04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 KR2003989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671U KR200398916Y1 (ko) 2005-08-04 2005-08-04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671U KR200398916Y1 (ko) 2005-08-04 2005-08-04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916Y1 true KR200398916Y1 (ko) 2005-10-17

Family

ID=43699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671U KR200398916Y1 (ko) 2005-08-04 2005-08-04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9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15044U (ja) 括りズボン
TWI221403B (en) Protected underwir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KR200398916Y1 (ko) 신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 고정구
JP4943965B2 (ja) ブラジャー
JPH11206896A (ja) 着装帯付顔面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28975B1 (ko) 기능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바지
JP2015084942A (ja) 立体型マスク(3ワイヤー)
JP2022086935A (ja) 立体マスク
US20190328064A1 (en) Wrist ban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090013152U (ko) 웨이브 와이어
KR20200000681U (ko) 보호대
JP3219230U (ja) ベルト
CN213549831U (zh) 隐形瘦脸面罩
JP4997653B2 (ja) 付け袖
JP2001295108A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KR200357358Y1 (ko) 의류용 어깨끈
US20230248089A1 (en) Mask guide
JP2003138405A (ja) ブラジャー
JP3191983U (ja) 時計バンドの安定着用具
JPH1018106A (ja) ブラジャー保形芯及びそれを用いたブラジャー
CN208403428U (zh) 防滑鞋垫套
KR200326290Y1 (ko) 합포된 직물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브래지어
KR200322725Y1 (ko) 봉제하지 않는 브래지어
KR20190113006A (ko) 3차원 무봉제 장갑 및 이의 제조 방법
JP3161925U (ja) ストッキング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