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473Y1 -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473Y1
KR200398473Y1 KR20-2005-0021183U KR20050021183U KR200398473Y1 KR 200398473 Y1 KR200398473 Y1 KR 200398473Y1 KR 20050021183 U KR20050021183 U KR 20050021183U KR 200398473 Y1 KR200398473 Y1 KR 200398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fall
tank
rainwater
filtra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헌영
Original Assignee
김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영 filed Critical 김헌영
Priority to KR20-2005-0021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4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4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정화조와, 상기 정화조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정화수방류관을 갖는 정화탱크와; 상기 교량의 배수관에 연결되며 상기 정화조를 통과하는 강우수안내관과, 상기 강우수안내관에서 상기 정화조 내부로 분기된 초기강우수유입관과, 상기 정화조 수위의 하강 및 상승에 따라 상기 초기강우수유입관을 개폐하는 강우수제어밸브를 갖는 강우수 제어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장치의 관리가 편리함과 동시에, 강우량에 관계없이 초기 강우수가 하천으로 방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Rainwater purify device for bridge}
본 고안은,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에는 강우(降雨)시 교량의 상면 도로상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빗물을 하천으로 방류하는 배수구 및 배수관이 마련되어야 하며, 배수관의 관로에는 빗물에 섞인 도로상의 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종래 일반적인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는 단순히 배수관 내에 필터 카트리지를 설치하여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구성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경우에는 빗물이 지속적으로 필터 카트리지를 통과하기 때문에, 강우량이 큰 집중호우나 폭우 등이 발생하면 과부하에 의한 역류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교량의 도로 상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은 대부분 초기 강우수에 씻겨져서 우수 정화장치로 유입되고, 그 이후 지속적으로 정화장치로 유입되는 강우수(이하 "지속 강우수"라 함)는 오염물질을 거의 포함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종래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는 초기 강우수로부터 지속 강우수가 모두 정화장치인 필터 카트리지를 통과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24025호에 개시된 바 있다. 이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10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3)의 도로(5) 상에 형성된 배수구(7)에 설치되며, 상부 내경면이 초기 강우수 유입구(111)로 형성되는 관상의 본체(110)와; 본체(110) 중앙에 동심적으로 설치되며, 내경면이 지속 강우수 유입구(121)로 형성되고 하단부가 교량(3)의 배수관(9)에 연결되는 중앙관(120)과; 본체(110)와 중앙관(120)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 카트리지(125)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101)로 유입되는 강우수 중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초기 강우수는 초기 강우수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어 필터 카트리지(125)에서 오염물질이 걸러진 다음, 중앙관(120) 하단에 형성된 배출공(123)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비교적 오염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지속 강우수는 중앙관(120) 상단의 지속 강우수 유입구(121)로 유입되어 배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는 필터 카트리지에 걸러지는 오염물질이 본체와 중앙관 사이에 쌓이면 관리자가 일일이 필터 카트리지를 분리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해야 하므로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필터 카트리지에 비교적 많은 량의 오염물질이 쌓여 있는 상태에서 비가 내리기 시작하면, 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 강우수가 지속 강우수 유입구로 넘쳐서 중앙관을 통해 하천으로 방류될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초기 강우수 유입구와 지속 강우수 유입구가 동일 평면상에서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집중호우나 폭우 등 강우량이 단시간에 크게 형성되는 강우가 발생하면 사실상 많은 량의 초기 강우수가 초기 강우수 유입구뿐만 아니라 지속 강우수 유입구로도 유입되어 하천으로 방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장치의 관리가 편리함과 동시에, 강우량에 관계없이 초기 강우수가 하천으로 방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정화조와, 상기 정화조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정화수방류관을 갖는 정화탱크와; 상기 교량의 배수관에 연결되며 상기 정화조를 통과하는 강우수안내관과, 상기 강우수안내관에서 상기 정화조 내부로 분기된 초기강우수유입관과, 상기 정화조 수위의 하강 및 상승에 따라 상기 초기강우수유입관을 개폐하는 강우수제어밸브를 갖는 강우수 제어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화조는 오버플로우벽에 의해 구획된 침전조와 여과조로 마련되고; 상기 강우수안내관은 적어도 상기 침전조 상부영역을 통과하며, 상기 초기강우수유입관은 상기 침전조 내부를 향해 적어도 하나가 분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강우수안내관과 상기 초기강우수유입관의 분기영역에는 강우수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강우수제어밸브는 상기 침전조의 만수위 상태에서 상기 강우수유입공을 차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강우수제어밸브는 상기 강우수유입공을 개폐하는 개폐변과, 상기 침전조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기 개폐변을 상하 이동시키는 플로우트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침전조 저부로부터 상기 교량의 도로 상면을 향하는 슬러지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여과조는 상기 침전조의 내측 저부면보다 낮은 내측 저부면을 가지고, 상기 여과조에는 최상단이 상기 침전조 저부면과 동일한 높이 이하에서 상기 여과조의 저부면를 향해 활성탄층과 자갈층 및 모래층의 여과층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정화수방류관은 방류량조절밸브를 가지고 상기 여과층 저부로부터 외부를 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여과층 상부영역의 상기 오버플로우벽에는 다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오버플로우벽에는 상기 다공을 덮는 여과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의 부분 절취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1)는 초기 강우수를 정화하여 하천으로 방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화조를 갖는 정화탱크(10)와, 초기 강우수를 정화탱크(10)로 유입시키고 지속 강우수는 하천으로 방류하는 강우수 제어관 유닛(20)을 포함한다.
정화탱크(10) 내에 형성되는 정화조는 초기 강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침전시키는 침전조(11)와, 침전조(11)에서 침전되지 않은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조(15)가 오버플로우벽(13)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침전조(11)는 강우수 내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침전을 위해서 그 하부영역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침전조(11)의 중앙영역에는 침전조(11)에 침전된 오염물질(슬러지(a))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배출관(11a)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슬러지배출관(11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침전조(11) 저부면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단부가 교량(3)의 도로(5) 상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교량(3)의 도로(5) 상에서 침전조(11)에 쌓인 슬러지(a)를 간단하게 흡입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슬러지배출관(11a)의 설치구조는 슬러지(a)를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여과조(15)는 침전조(11)의 내측 저부면보다 낮은 내측 저부면을 갖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여과조(15)의 저부에는 침전조(11)에서 침전되지 않는 강우수내의 유기물성분이나 기름성분 및 부유물 등의 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층이 마련되어 있다. 물론, 침전조(11) 내부의 오염수가 여과조(15)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는 경우(오버플로우벽(13) 및 후술할 다공(13b)의 구조를 변형하면)에 여과조(15)는 침전조(11)와 동일한 높이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과층은 최상단이 침전조(11) 저부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거나 침전조(11) 저부면에 비해 낮게 위치한다. 이는 침전조(11)로부터 여과조(15)로 유입되는 오염수가 여과층을 거치게 하기 위함이다.
여과층의 구성으로는 상부로부터 저부를 향해 활성탄층(15a)과 자갈층(15b) 및 모래층(15c)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탄층(15a)은 강우수에 포함된 유기물 성분이나 기름 성분 및 중금속 성분이나 제설제로 사용된 염화 칼슘 등의 오염물질을 흡착 여과하며, 자갈층(15b)과 모래층(15c)은 비교적 큰 입자 크기의 부유물로부터 비교적 미세한 입자 크기의 부유물질을 단계적으로 여과한다.
여기서, 여과층은 전술한 활성탄층(15a)과 자갈층(15b) 및 모래층(15c)의 구성 이외에 여건에 따라 다양한 재료의 여과층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여과조(15)의 저부에는 여과층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강우수를 외부로 방류하기 위한 정화수방류관(15d)이 마련되어 있으며, 정화수방류관(15d)에는 정화수의 방류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류량조절밸브(15e)가 설치되어 있다.
오버플로우벽(13)은 침전조(11)와 여과조(15)를 구획함과 동시에, 침전조(11)의 만수위를 설정하며, 강우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자중을 갖는 오염물질이 여과조(15)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이때, 오버플로우벽(13)의 여과층 상부영역 판면 즉, 침전조(11)와 여과조(15)를 구획하는 상부영역 판면은 비교적 미세한 직경의 다공(13b) 구조로 형성되고, 다공(13b)이 형성된 오버플로우벽(13)에는 섬유재질로 형성된 여과흡수포 또는 스폰지 재료로 제작된 여과필터(13a)가 다공(13b)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다공(13b) 구조와 여과필터(13a) 구성은 비가 내리지 않는 기간에 침전조(11) 내의 오염수가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침전조(11) 내의 오염수는 여과필터(13a)에서 오염물질이 걸러진 다음 다공(13b)을 통해 여과조(15)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강우수 제어관 유닛(20)은 정화탱크(10)로 유입되는 강우수의 유동경로를 침전조(11)를 거쳐 하천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강우수안내관(21)과, 강우수안내관(21)으로 유입된 강우수중 초기 강우수를 침전조(11)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초기강우수유입관(23)과, 강우수 유입 시기에 따라 초기강우수유입관(23)을 개폐하는 강우수제어밸브(25)를 포함한다.
강우수안내관(21)은 정화탱크(10) 외측으로부터 침전조(11) 상부영역을 거쳐 정화탱크(10) 반대편 외측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강우수안내관(21)은 침전조(11) 외측의 유입측 단부(21a) 영역이 교량(3)의 배수구(7)로부터 연장된 배수관(9)과 연결되며, 침전조(11)를 지나 정화탱크(10) 반대편 외측으로 연장된 배출측 단부(21b) 영역이 하천을 향하는 배수관(9)에 연결된다.
초기강우수유입관(23)은 침전조(11) 영역에 위치하는 강우수안내관(21)의 일 영역으로부터 침전조(11) 내측 저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하향 분기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초기강우수유입관(23)이 분기되는 강우수안내관(21)의 분기 영역에는 초기강우수유입관(23)의 내경에 비해 작은 직경의 강우수유입공(2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초기강우수유입관(23)은 정화탱크(10)의 처리용량에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분기관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일의 분기관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강우수제어밸브(25)는 초기강우수유입관(23) 내에 설치되며, 강우수유입공(21c)을 개폐하는 개폐변(25a)과, 부력을 가지고 침전조(11)의 수위변화에 따라 개폐변(25a)을 상하 이동시키는 플로우트(float)(25b)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강우수제어밸브(25)는 침전조(11)의 수위가 만수위일 때, 즉, 침전조(11)의 수위가 오버플로우벽(13) 상단에 위치할 때, 개폐변(25a)이 강우수유입공(21c)을 차단하는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1)의 강우수 정화과정을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강우(降雨)가 시작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강우수가 교량(3)의 상면 도로(5)상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7)로 배수되고, 배수된 초기 강우수는 배수관(9)과 연결된 강우수안내관(21)을 통해 정화탱크(10)로 유입된다. 이때, 교량(3)의 도로(5)상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은 초기 강우수에 씻겨져서 정화탱크(10)로 유입된다.
그리고, 정화탱크(10)로 유입된 초기 강우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우수안내관(21)에서 분기된 초기강우수유입관(23)을 통해 침전조(11)로 유입된다. 이때, 침전조(11)의 수위는 비가 내리기 전에 저수위 상태이므로 강우수제어밸브(25)가 초기강우수유입관(23) 하부영역에 위치하여 강우수유입공(21c)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침전조(11)로 초기 강우수가 유입되기 시작하여 도 6과 같이, 침전조(11)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면, 강우수제어밸브(25)는 플로우트(25b)의 부력에 의해 개폐변(25a)이 강우수유입공(21c)을 차단한다.
그러면, 지속 강우수는 강우수안내관(21)을 따라 정화탱크(10) 외부에서 연결된 배수관(9)을 통해 하천으로 방류된다. 지속 강우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오염물질이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하천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한편, 침전조(11)로 유입된 초기 강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 중 자중을 갖는 오염물은 침전조(11) 저부에 침전되며, 침전조(11)에서 침전되지 않는 초기 강우수내의 유기물성분이나 기름성분 및 부유물 등의 오염물질은 강우수와 함께 오버플로우벽(13)을 넘어 여과조(15)로 유입된다.
여과조(15)로 유입된 강우수는 활성탄층(15a)에서 유기물 성분이나 기름 성분 및 중금속 성분이나 제설제로 사용된 염화 칼슘 등의 오염물질을 흡착 여과되고, 자갈층(15b)과 모래층(15c)에서 비교적 큰 입자 크기의 부유물로부터 비교적 미세한 입자 크기의 부유물질이 단계적으로 여과되어 여과조(15)의 저부에 마련된 정화수방류관(15d)을 통해 하천으로 방류된다. 이때, 정화된 강우수의 방류량은 방류량조절밸브(15e)의 개방 정도에 의해 조절되며, 방류량조절밸브(15e)의 개방 정도는 강우량과 강우 상태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정화된 강우수의 방류에 따라 침전조(11)의 수위가 하강하여 지속 강우수가 침전조(11)로 유입될 수도 있지만, 지속적인 수위 변화에 따라 강우수제어밸브(25)가 강우수유입공(21c)을 차단하게 되므로 대부분의 지속 강우수는 정화탱크(10)를 거치지 않고 방류된다.
한편, 강우가 중단되어 침전조(11) 내의 수위가 낮아져서 도 5와 같이, 침전조(11) 내에 남아 있는 강우수가 오버플로우벽(13)을 넘지 못하는 위치가 되면, 침전조(11) 내의 강우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필터(13a)를 거쳐 오버플로우벽(13)의 다공(13b)을 통해 여과조(15)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비가 내리지 않는 기간에 침전조(11) 내의 오염수가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기간 동안 침전조(11) 내부에 쌓인 오염물질에 의해 형성된 침전조(11) 내의 슬러지(a)는 적정한 주기마다 교량(3)의 도로(5) 상면에서 슬러지배출관(11a)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여과조(15)의 각 여과층은 적정한 주기마다 교체가 가능하다. 여기서, 침전조(11)의 슬러지(a) 제거 주기 및 여과조(15)의 여과층 교체 주기는 정화탱크(10)의 용량에 따라 장기간 또는 단기간의 주기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는 초기 강우수는 정화탱크를 거치게 되고 지속 강우수는 정화탱크를 거치지 않고 하천으로 방류됨으로써,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초기 강우수를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집중호우나 폭우에 관계없이 초기 강우수가 반드시 정화탱크를 거치게 됨으로써, 초기 강우수에 의한 하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침전조에 쌓이는 슬러지의 제거가 편리하고 슬러지 제거 주기 및 여과층의 교체 주기를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관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전술 및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우수 정화장치를 하천의 교량에 적용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고안에 따른 우수 정화장치의 적용은 다양한 형태의 교량뿐만 아니라 다양한 도로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장치의 관리가 편리함과 동시에, 강우량에 관계없이 초기 강우수가 하천으로 방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의 교량 설치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의 부분 절취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의 부분 절취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의 교량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3 및 도 4의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의 우수 정화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정화탱크 11 : 침전조
13 : 오버플로우벽 15 : 여과조
20 : 강우수제어관유닛 21 : 강우수안내관
23 : 초기강우수유입관 25 : 강우수제어밸브

Claims (8)

  1.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정화조와, 상기 정화조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정화수방류관을 갖는 정화탱크와;
    상기 교량의 배수관에 연결되며 상기 정화조를 통과하는 강우수안내관과, 상기 강우수안내관에서 상기 정화조 내부로 분기된 초기강우수유입관과, 상기 정화조 수위의 하강 및 상승에 따라 상기 초기강우수유입관을 개폐하는 강우수제어밸브를 갖는 강우수 제어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는 오버플로우벽에 의해 구획된 침전조와 여과조로 마련되고; 상기 강우수안내관은 적어도 상기 침전조 상부영역을 통과하며, 상기 초기강우수유입관은 상기 침전조 내부를 향해 적어도 하나가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우수안내관과 상기 초기강우수유입관의 분기영역에는 강우수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강우수제어밸브는 상기 침전조의 만수위 상태에서 상기 강우수유입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우수제어밸브는 상기 강우수유입공을 개폐하는 개폐변과, 상기 침전조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기 개폐변을 상하 이동시키는 플로우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 저부로부터 상기 교량의 도로 상면을 향하는 슬러지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는 상기 침전조의 내측 저부면보다 낮은 내측 저부면을 가지고, 상기 여과조에는 최상단이 상기 침전조 저부면과 동일한 높이 이하에서 상기 여과조의 저부면를 향해 활성탄층과 자갈층 및 모래층의 여과층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정화수방류관은 방류량조절밸브를 가지고 상기 여과층 저부로부터 외부를 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층 상부영역의 상기 오버플로우벽에는 다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벽에는 상기 다공을 덮는 여과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
KR20-2005-0021183U 2005-07-20 2005-07-20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 KR200398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183U KR200398473Y1 (ko) 2005-07-20 2005-07-20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183U KR200398473Y1 (ko) 2005-07-20 2005-07-20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996A Division KR100646028B1 (ko) 2005-07-20 2005-07-20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473Y1 true KR200398473Y1 (ko) 2005-10-12

Family

ID=4369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183U KR200398473Y1 (ko) 2005-07-20 2005-07-20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47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408B1 (ko) * 2006-07-25 2007-02-16 주식회사 태원코퍼레이션 커브길 도로에 설치되는 초기우수 정화 구조물
KR100716151B1 (ko) 2006-05-26 2007-05-10 홍석희 교량용 오일 및 우폐수 분리배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일우폐수 처리방법
KR100755626B1 (ko) 2006-01-05 2007-09-04 김동필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626B1 (ko) 2006-01-05 2007-09-04 김동필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
KR100716151B1 (ko) 2006-05-26 2007-05-10 홍석희 교량용 오일 및 우폐수 분리배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일우폐수 처리방법
KR100681408B1 (ko) * 2006-07-25 2007-02-16 주식회사 태원코퍼레이션 커브길 도로에 설치되는 초기우수 정화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325B1 (ko)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200431389Y1 (ko)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100911819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200459753Y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834352B1 (ko) 우수배관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100904177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0605267B1 (ko) 우수처리장치
KR101746524B1 (ko) 비점오염물 저감을 위한 도로 및 교량용 집수정
KR100784496B1 (ko)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100704901B1 (ko) 강우의 특성을 고려한 우수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20190083289A (ko)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의 부유물질 제거를 위한 여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0799251B1 (ko) 우수배수로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101754123B1 (ko) 오일성분의 포집이 가능한 교량용 다단계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100741409B1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0420222B1 (ko) 강우수 정화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강우수 정화모듈
KR100904287B1 (ko)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KR200398473Y1 (ko)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
KR100646028B1 (ko)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
KR20090033680A (ko) 우수처리시스템 및 우수처리방법
KR101764398B1 (ko) 정체수 배재 및 역세척 설비를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501925B1 (ko) 비점오염을 정화하는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102373598B1 (ko) 처리수를 활용한 역세척 기능이 구비되는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203059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714397B1 (ko) 교량용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101159474B1 (ko) 비점오염물질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