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007Y1 - 세면대용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세면대용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007Y1
KR200398007Y1 KR20-2005-0019525U KR20050019525U KR200398007Y1 KR 200398007 Y1 KR200398007 Y1 KR 200398007Y1 KR 20050019525 U KR20050019525 U KR 20050019525U KR 200398007 Y1 KR200398007 Y1 KR 200398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oor
coupled
drain trap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5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차진
Original Assignee
황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차진 filed Critical 황차진
Priority to KR20-2005-00195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0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0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2Odour seals combined with additional object-cat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면대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플랙시블관과 배수관 사이에 배수트랩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배수트랩에 쌓여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은 배관연결용 컨넥터(110)가 작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상부연결관(120)과 하부연결관(130)이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의 몸체(100)와, 상기 직사각형의 몸체(100) 전면에 힌지(300)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00)와, 상기 도어(200)가 몸체(1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록킹력을 제공하는 록킹장치(400)와, 상기 록킹장치(400)에 의해 록킹력이 유지되면서 도어(200)가 닫혀져 있는 몸체(100)의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는 역류방지구(50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세면대용 배수트랩{A Water Supply Trap for a Washstand}
본 고안은 세면대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플랙시블관과 배수관 사이에 배수트랩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배수트랩에 쌓여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는 욕실 내부의 일측 벽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손과 얼굴을 씻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수도꼭지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저수조를 갖추고 있다.
한편, 상기 저수조의 저면에는 사용이 이루어진 물의 배출을 위한 배수밸브를 가지는 배수관이 설치되고, 상기 배수관의 하단부에는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줌과 동시에 플랙시블관을 통해 악취등이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배수트랩의 상단부가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수트랩의 하단부에는 플랙시블관이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에서 종래 세면대용 배수트랩(10)은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세면대(미도시)에 상단부가 연결된 배수관(20)의 하단부가 오링(30)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상부몸체(11)와, 상기 상부몸체(11)의 하부에 상부가 나사 결합되고 하부에는 플랙시블관(40)이 볼트(50)의해 고정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하부몸체(12)와, 상기 하부몸체(12)와 상부몸체(11)가 결합되며 형성된 공간부에 고정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역류방지구(15)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세면대용 배수트랩(10)은 역류방지구(15)가 내삽지게 설치되도록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를 나사 결합시키고, 상기 상부봄체(11)에는 세면대에 상부면에 결합되어 있는 배수관(20)의 하단부를 오링(30)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결합시키며, 상기 상부몸체(11)에 상부가 나사 결합되어 있는 하부몸체(12)의 하부에는 플랙시블관(40)의 상단부를 볼트(50)를 이용해 고정되게 결합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세면대용 배수트랩(10)은 상부몸체(11)에는 배수관(20)을 오링(30)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결합시키고, 상기 상부몸체(11)에 결합되는 하부몸체(12)에는 플랙시블관(40)을 결합시키며, 상기 플랙시블관(40)과 배수관(20)이 각각 상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를 나사 결합시켜야 함으로서, 배수트랩(10)을 설치시 부품수 및 작업공수가 증가하여 작업시 많은 작업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1)가 결합되며 형성된 공간부내에 설치되어 있는 역류방지구(15)에 머리카락등과 같은 이물질이 끼여 청소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 상기 상부몸체(11)에 결합되어 있는 배수관(20)과 하부몸체(12)에 결합되어 있는 플랙시블관(40)을 1차적으로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를 분리시켜야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배수트랩(10)을 청소시, 작업공수가 증가하고 복잡하여 작업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 배수트랩(10)을 청소한 후 재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를 분리시킨 후 재결합시켜야 함은 물론, 상기 하부몸체(12)와 상부몸체(11)에 플랙시블관(40)과 배수관(20)을 분리시킨 후 재 결합시켜야 하는데, 잦은 청소를 수행 시 상기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의 결합부위 및 상부몸체(11)에 결합되는 배수관(20)의 결합부위와 플랙시블관(40)의 결합부위가 파손되어 재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배수트랩에 쌓여있는 이물질을 제거시에도 플랙시블관과 배수관을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배수트랩에 쌓여있는 머리카락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세면대용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수관과 플랙시블관 사이에 배수트랩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수트랩을 설치시 부품수 및 작업공정이 저감되도록 하는 세면대용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배관연결용 컨넥터(110)가 작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상부연결관(120)과 하부연결관(130)이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의 몸체(100)와, 상기 직사각형의 몸체(100) 전면에 힌지(300)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00)와, 상기 도어(200)가 몸체(1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록킹력을 제공하는 록킹장치(400)와, 상기 록킹장치(400)에 의해 록킹력이 유지되면서 도어(200)가 닫혀져 있는 몸체(100)의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는 역류방지구(50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역류방지구(500)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몸체(100)의 상부와 하부에 플랙시블관(600)과 배수관(700)을 각각 배관연결용 컨넥터(110)에 삽입시켜주는 것에 의해 배수트랩(B)의 설치가 완료됨으로써, 상기 배수트랩(B)을 설치시 부품수 및 작업공수가 저감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인 배수트랩을 보인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배수트랩구조를 보인 단면도 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배수트랩구조를 보인 측면도 이고, 도 5는 본 고안인 배수트랩에 결합되는 플랙시블관을 보인 사시도 이며, 도 6은 본 고안인 배수트랩에 결합되는 실시예의 플랙시블관을 보인 사시도 이다.
본 고안의 세면대용 배수트랩은 도 2와 도 3 및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배관연결용 컨넥터(110)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연결관(120)과 하부연결관(130)이 직사각형의 몸체(100)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의 전면에는 도어(200)가 힌지(300)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진다.
한편, 상기 도어(200)가 힌지(300)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몸체(100)의 내부에는 역류방지구(500)가 분해 조립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상기 역류방지구(500)에 머리카락등과 같은 이물질이 끼여 세면대(미도시)에 담겨져 있는 물이 제대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세면대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배수트랩(B)의 몸체(100) 내부가 개방되도록 힌지(300)를 중심으로 도어(200)를 회동시켜 개방시킨 상태에서 몸체(100)에 설치되어 있는 역류방지구(500)를 몸체(100)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역류방지구(500)에 끼여있는 머리카락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몸체(100)의 내부에 역류방지구(500)를 조립시킨다.
또한, 상기 몸체(100)에 설치되는 도어(200)에는 상기 도어(200)가 몸체(100)에 기밀을 유지하며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록킹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는 록킹력이 해제되어 도어(200)가 힌지(300)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몸체(100)가 개방되도록 하는 록킹장치(400)가 설치되어 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세면대에 상부가 결합되어 있는 배수관(700)의 하부를 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연결관(120)에 결합되도록 배관연결용 컨넥터(110)에 삽입시키고, 상기 배관연결용 컨넥터(110)에 의해 상부연결관(120)에 배수관(700)이 연결되어 있는 몸체(100)의 하부연결관(130)에는 플랙시블관(600)이 연결되도록 배관연결용 컨넥터(100)에 삽입을 시킨다.
상기와 같이 하부연결관(130)과 상부연결관(120)에 플랙시블관(600)과 배수관(700)을 각각 연결시킨 후에는 몸체(100)의 내부에 역류방지구(500)를 조립시키며, 상기 역류방지구(500)를 조립한 후에는 몸체(100)의 내부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도어(200)를 힌지(300)를 중심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록킹장치(400)를 몸체(100)에 결합시켜, 상기 몸체(100)에 도어(20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어(200)를 몸체(100)에 결합시켜 사용중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역류방지구(500)에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이 끼여 청소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어 도어(200)를 록킹하고 있는 록킹장치(400)의 록킹력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힌지(300)를 중심으로 도어(200)를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도어(200)가 회전되면 몸체(100)의 내부가 개방되어지고,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역류방지구(500)에 끼여 있는 머리카락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시키게 되며, 상기 역류방지구(500)에 끼여있는 이물질을 제거한 후 에는 다시 힌지(300)를 중심으로 몸체(100)가 폐쇄되도록 도어(200)를 회전시킨 후 록킹장치(400)를 몸체(100)에 결합시켜 상기 몸체(100)를 폐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플랙시블관(600)에는 도 5와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자바라형상의 변곡부위(610)가 중앙부 혹은 상하부에 각각 형성시켜, 상기 플랙시블관(600)을 몸체(100)의 하부에 결합시 작업자가 상기 플랙시블관(600)의 길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며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 함을 밝혀 둔다.
이러한 본 고안은, 역류방지구(500)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몸체(100)의 상부와 하부에 플랙시블관(600)과 배수관(700)을 각각 배관연결용 컨넥터(110)에 삽입시켜주는 것에 의해 배수트랩(B)의 설치가 완료됨으로써, 상기 배수트랩(B)을 설치시 부품수 및 작업공수가 저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0)에 설치되어 있는 역류방지구(500)에 머리카락등과 같은 이물질이 끼여 막히는 경우에도 몸체(100)를 개방시켜 청소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청소작업이 완료됨으로써, 세면대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역류방지구에 끼여있는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종래 배수트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배수트랩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배수트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배수트랩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배수트랩에 결합되는 플랙시블관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배수트랩에 결합되는 실시예의 플랙시블관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몸체 110 : 컨넥터
120 : 상부연결관 130 : 하부연결관
200 : 도어 300 : 힌지
400 : 록킹장치 500 : 역류방지구
600 : 플랙시블관 610 : 변곡부위

Claims (3)

  1. 배관연결용 컨넥터(110)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상부연결관(120)과 하부연결관(130)이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의 몸체(100)와, 상기 직사각형의 몸체(100) 전면에 힌지(30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00)와, 상기 도어(200)가 몸체(1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록킹력을 제공하는 록킹장치(400)와, 상기 록킹장치(400)에 의해 록킹력이 유지되면서 도어(200)가 닫혀져 있는 몸체(100)의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는 역류방지구(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트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결관(130)에 결합되는 플랙시블관(600)에는 자바라형상의 변곡부위(610)가 중앙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트랩.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랙시블관(600)에는 자바라 형상의 변곡부위(610)가 상하부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2005-0019525U 2005-07-05 2005-07-05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398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525U KR200398007Y1 (ko) 2005-07-05 2005-07-05 세면대용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525U KR200398007Y1 (ko) 2005-07-05 2005-07-05 세면대용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007Y1 true KR200398007Y1 (ko) 2005-10-12

Family

ID=43699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525U KR200398007Y1 (ko) 2005-07-05 2005-07-05 세면대용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0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7716A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KR101008046B1 (ko) 세면대용 배수구 마개
JP2015507113A (ja) 洗面器用ポップアップ装置の設置構造及び設置方法
KR200398007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368837Y1 (ko) 착탈식 걸름망이 구비된 세면기용 배수전
KR200426500Y1 (ko)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
JP2003301491A (ja) 排水配管
RU2751915C2 (ru)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ая сливная арматура
US20060219297A1 (en) Drainage-aiding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110001706U (ko) 세면기의 회전 분리형 팝업밸브
KR20080088175A (ko) 세탁기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102045116B1 (ko) 노출형 세면기 배수트랩
KR20090106677A (ko) 세면대 배수관 막힘 방지용 필터링 기구
KR20060094616A (ko) 세면대용 거름망설치 배수관
KR200351785Y1 (ko) 점검구가 구비된 세면대 어셈블리 하부카바
KR200356292Y1 (ko) 세면기의 소제구 부착형 배수전 폽압장치용 킥 레버실
KR20090112619A (ko) 점검기능을 갖춘 트렌치 배수관 장치
JP4400308B2 (ja) 浴室ユニットの排水構造
KR20100020615A (ko) 세면기의 배수밸브
KR101940395B1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KR200416945Y1 (ko) 세면기용 배수장치
KR200321051Y1 (ko) 보조세척장치가 구비된 수도꼭지
KR20230000073U (ko) 탈착식 배수구 거름망
JP4779081B2 (ja) 排水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