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978Y1 - 슬리퍼 - Google Patents

슬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978Y1
KR200396978Y1 KR20-2005-0019690U KR20050019690U KR200396978Y1 KR 200396978 Y1 KR200396978 Y1 KR 200396978Y1 KR 20050019690 U KR20050019690 U KR 20050019690U KR 200396978 Y1 KR200396978 Y1 KR 2003969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per
band
bottom portion
slippers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6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무영
Original Assignee
이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무영 filed Critical 이무영
Priority to KR20-2005-00196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9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9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 A43B3/126Sandals; Strap guide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layout of the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 A43B3/128Sandals; Strap guide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so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리퍼에 관한 것으로서, 걷거나 뛸 때에 발바닥에 대응하는 슬리퍼 바닥이 발바닥을 따라 함께 변형되게 구성하여 걷거나 뛰는 중에 슬리퍼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정숙보행이 가능하며, 종래와 다른 구성을 갖고 있어 소비자에게 신비감을 줄 수 있게 구성된 슬리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면 선단에 고정되어 착용자의 발가락 쪽을 감싸는 띠를 구비한 슬리퍼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상면 후단에 위치하여 착용자의 발목을 감쌀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링과, 상기 링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의 상면 후단에 고정되는 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리퍼{Slipper}
본 고안은 슬리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걷거나 뛸 때에 발바닥에 대응하는 슬리퍼 바닥이 발바닥을 따라 함께 변형되게 구성하여 걷거나 뛰는 중에 슬리퍼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정숙보행이 가능하며, 종래와 다른 구성을 갖고 있어 소비자에게 신비감을 줄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슬리퍼(Slipper)는 뒤축이 없는 신발로서 발에 단부만 꿰어 신는다. 같은 종류로서, 샌들(Sandal)이 있는데, 샌들은 바닥부에 끈의 일단을 고정하고 바닥부에 올려진 발을 끈으로 감싼 후에 끈의 자유단을 체결수단으로 고정함으로써 신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리퍼와 샌들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점은 슬리퍼는 발의 단부만을 감싸며, 샌들은 발등 및 발뒤꿈치를 감싼다. 따라서 슬리퍼와 샌들을 신고 뛰었을 때에, 샌들보다는 슬리퍼가 잘 벗겨진다. 하지만, 슬리퍼는 간편하게 신을 수 있다는 장점과, 발의 단부만을 꿰고 있기 때문에 여름철에 시원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장점 때문에 많은 사람이 슬리퍼를 선호한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슬리퍼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리퍼를 신고 걷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퍼(10)는 바닥부(11)와, 발가락(3)에 끼워지는 끼움부(13)와, 끼움부(13)에 연결되며 발가락(3)들을 덮어 걸을 때에 발(1)의 단부를 지지하는 띠(15)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닥부(11)는 발바닥의 모양과 같은 형태로 상면에는 인체공학적인 구조를 갖고 있어 슬리퍼(10)를 신었을 때에, 발바닥에 바닥부(11)의 상면이 밀착되어 편안함을 준다. 이와 같은 바닥부(11)는 고무, 합성수지, 피혁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된다.
한편, 바닥부(11)의 상면 선단부에는 수직하게 돌출된 끼움부(13)가 고정되는데, 끼움부(13)는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게 위치한다. 이와 같은 끼움부(13)의 상단에는 띠(15)가 연결된다.
띠(15)는 그 양단이 바닥부(11)의 폭 양단에 고정되고, 길이 중간부에 끼움부(13)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슬리퍼(10)를 착용함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의 사이에 끼움부(13)가 위치하도록 띠(15)와 바닥부(11)의 사이로 발가락을 삽입하면, 띠(15)가 발가락들을 감싸면서 지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슬리퍼(10)를 신고 걷거나 뛰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의 선단은 띠(15)와 끼움부(13)에 의해 지지되어 발바닥에 밀착되지만, 바닥부(11)의 후단은 발(1)을 구속시키는 부재가 전혀 없어 발(1)과 별도로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은 특성 때문에, 슬리퍼(10)를 신고 걷거나 뛰면 슬리퍼(10)가 쉽게 벗겨지며, 특히 계단을 오르내릴 때에 슬리퍼(10)의 바닥부 후단이 계단과 부딪혀 소음을 발생하게 되어 정숙보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소음은 탄성을 갖는 바닥부(11)가 이동속도에 따라 바닥이나 계단에 부딪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슬리퍼(10)를 신었을 때에, 외측에서 볼 수 있는 부분은 바닥부(11) 가장자리와 띠(15)뿐 이다. 이와 같이 슬리퍼의 구성이 단순하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의 구현이 어렵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착용하기에 편리하면서 걷거나 뛸 때에 벗겨지지 않도록 구성한 슬리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슬리퍼는 발바닥과 대응하는 바닥부의 선단과 후단이 발바닥과 밀착되게 구성되어 걷거나 뛰더라도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특히 다양한 디자인의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면 선단에 고정되어 착용자의 발가락 쪽을 감싸는 띠를 구비한 슬리퍼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상면 후단에 위치하여 착용자의 발목을 감쌀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링과, 상기 링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의 상면 후단에 고정되는 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밴드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 후단에 접한 상태로 박음질되어 고정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밴드는 단부에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밴드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 후단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 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부의 저면에는 상기 구멍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의 안쪽에 상기 걸림부가 위치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서, 형광물질을 더 함유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서, 토르말린, 게르마늄, 옥, 은, 숯 중 어느 하나를 더 함유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밴드는 사각형의 단면이나, 원기둥의 형태 또는 폭 방향으로 만곡되게 고정된 형태를 갖는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슬리퍼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리퍼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슬리퍼를 신고 걷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슬리퍼의 바닥부와 밴드를 연결하는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슬리퍼의 바닥부와 밴드를 연결하는 관계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슬리퍼의 다양한 크기에 따른 평면도들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퍼(100)는 바닥부(110)와, 바닥부(110) 상면 선단에 돌출된 끼움부(130) 및, 끼움부(130)에 연결되며 바닥부(110)의 폭 양단에 고정되는 띠(140)를 포함하며, 고무 링(150)에 밴드(160)가 연결된 상태로 밴드(160)가 바닥부(110)의 후단에 고정된다.
상기 바닥부(110)와 끼움부(130) 및 띠(140)는 앞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어, 아래에서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며, 고무 링(150)과 밴드(160), 그리고 밴드(160)와 바닥부(110)의 연결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링(150)은 환형으로서, 그 외측에는 밴드(160)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고무 링(150)과 밴드(160)는 일체형으로서, 같은 재질의 고무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고무 링(150)에 형성된 밴드(16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0)에 고정된다. 일 예로서, 도 5에 보이듯이, 밴드(160)가 바닥부(110)의 상면 후단에 접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박음질에 의해 바닥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밴드(160)가 고무재질이고, 바닥부(110)는 고무, 합성수지, 피혁의 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충분히 박음질이 가능하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170은 박음질에 따른 실을 나타내고 있다.
다른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60)가 바닥부(110)의 후단에 형성된 구멍(111)을 관통한 상태로 고정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바닥부(110)의 구멍(111)을 관통한 밴드(160)의 단부에는 구멍(111)보다 큰 크기의 걸림부(161)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161)가 바닥부(110)의 구멍(111)을 통과하지 못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부(161)가 형성된 밴드(160)를 바닥부(110)에 설치할 수 있는 이유는, 밴드(160)가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바닥부(110)의 구멍(111)에 강제로 밀어 넣게 되면, 밴드(160)의 걸림부(161)가 바닥부(110)의 구멍(111)을 통과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바닥부(110)의 저면에 상기 구멍(111)과 대응하여 홈(113)이 형성되고, 걸림부(161)가 홈(113) 안쪽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그럼으로써, 지면과 바닥부(110) 저면 전체가 안정적으로 접하여 걷거나 뛸 수 있다.
한편, 착용자의 발(1) 크기에 따라 슬리퍼(100)의 크기가 결정된다. 발(1)이 클 경우에는 슬리퍼(100)의 크기 또한 크며, 고무 링(150) 또한 그 내경이 켜야 한다. 따라서 착용자의 발(1) 크기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퍼(100)의 크기 및 고무 링(150)의 크기를 달리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성인용 슬리퍼(도 7의 (a))의 경우에는 6 내지 10cm의 내경을 갖는 고무 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청소년용 슬리퍼(도 7의 (b))의 경우에는 5 내지 7cm의 내경을 갖는 고무 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어린이용 슬리퍼(도 7의 (c))의 경우에는 4 내지 6cm의 내경을 갖는 고무 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밴드는 그 길이가 3 내지 4cm이며 두께는 7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슬리퍼(100)에 있어서, 고무 링(150)과 밴드(160)는 형광물질을 함유하거나 토르말린, 게르마늄, 옥, 은, 숯 등 건강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슬리퍼(100)를 착용함에 있어서, 착용자는 고무 링(150)의 안쪽으로 발(1)을 넣은 후, 띠(140)와 바닥부(110)의 사이로 발(1)을 삽입하여 발가락(3) 사이에 끼움부(130)가 위치하도록 신는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슬리퍼의 밴드는 사각형 단면의 띠 구조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밴드의 구조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 8 및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슬리퍼의 밴드 구조가 다른 예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슬리퍼(100)의 밴드(160)는 원기둥의 형태이며, 도 9에 도시된 슬리퍼(100)의 밴드(160)는 그 폭방향으로 만곡되어 발뒤꿈치를 감싸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앞에서 기술한 슬리퍼(100)의 구체적인 설명 중에는, 끼움부(130)와 띠(140)로 발(1)의 앞쪽을 지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띠(140)의 폭을 넓게 하여 발가락을 지지하는 면적을 넓힘으로써, 끼움부 없는 띠만으로도 구성 가능하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슬리퍼는 걷거나 뛸 때에 벗겨지지 않도록 발의 앞쪽(발가락부)과 발의 뒤쪽(뒤꿈치)을 감싸 지지함으로써, 벗겨지기 쉬운 슬리퍼의 단점을 극복하였으며, 간편히 신을 수 있다는 슬리퍼의 장점은 그대로 갖고 있다.
또한, 도 4에 보이듯이, 걷거나 뛸 때에 슬리퍼의 뒷부분이 발바닥에 접하여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정숙보행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슬리퍼를 신었을 때에 바닥부의 가장자리와 띠 및 고무 링, 밴드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슬리퍼를 장식 및 발을 치장을 다양한 구성요소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슬리퍼는 발목을 감싸는 고무 링이 형성되어 종래의 슬리퍼와 다른 구성을 갖고 있어 고무 링을 이용한 새로운 디자인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소비자는 신비감을 갖게 되어 구매 욕구를 종래의 슬리퍼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하게 느끼게 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슬리퍼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슬리퍼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리퍼를 신고 걷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리퍼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슬리퍼를 신고 걷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슬리퍼의 바닥부와 밴드를 연결하는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슬리퍼의 바닥부와 밴드를 연결하는 관계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슬리퍼의 다양한 크기에 따른 평면도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슬리퍼의 밴드 구조가 다른 예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슬리퍼 110 : 바닥부
130 : 끼움부 140 : 띠
150 : 고무 링 160 : 밴드
161 : 걸림부 170 : 실

Claims (7)

  1.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면 선단에 고정되어 착용자의 발가락 쪽을 감싸는 띠를 구비한 슬리퍼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상면 후단에 위치하여 착용자의 발목을 감쌀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링과,
    상기 링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의 상면 후단에 고정되는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 후단에 접한 상태로 박음질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단부에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밴드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 후단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저면에는 상기 구멍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의 안쪽에 상기 걸림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서, 형광물질을 더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서, 토르말린, 게르마늄, 옥, 은, 숯 중 어느 하나를 더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것, 원기둥의 형태를 갖는 것, 폭 방향으로 만곡되게 고정된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퍼.
KR20-2005-0019690U 2005-03-10 2005-07-06 슬리퍼 KR2003969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690U KR200396978Y1 (ko) 2005-03-10 2005-07-06 슬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490 2005-03-10
KR20-2005-0019690U KR200396978Y1 (ko) 2005-03-10 2005-07-06 슬리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978Y1 true KR200396978Y1 (ko) 2005-09-28

Family

ID=4369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690U KR200396978Y1 (ko) 2005-03-10 2005-07-06 슬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9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5420B2 (en) Combination sock and shoe
JP2009516535A (ja) 履物
US7272897B2 (en) Sandal having a variety of lacing styles
US20060248748A1 (en) Footwear combination
US20130263360A1 (en) Socks and other footwear with selective friction reducing features
US10609981B1 (en) Insole sandal and shoe system
US9038286B2 (en) Footwear accessory
KR20040075918A (ko) 발목지지대를 갖는 양말
JP4047871B2 (ja) 甲留めベルトで係合する靴
KR200396978Y1 (ko) 슬리퍼
KR100420766B1 (ko) 구두용 누드 양말
JP2004344396A (ja) 靴に取り付ける靴べら
US20160183634A1 (en) SockTips
KR20170042885A (ko)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갖는 발찌 덧신
KR200341150Y1 (ko) 헬스 신발
KR20200072698A (ko) 벗겨짐 방지 기능을 갖는 덧신양말
KR20070094530A (ko) 미끄럼 방지용 신발류
KR101157454B1 (ko) 간이신발을 구비한 양말
KR200495829Y1 (ko) 기능성 신발
US20170238646A1 (en) Shoe wrap
JP7484072B2 (ja) フットカバー
KR200493593Y1 (ko) 양방향 슬리퍼
KR200281351Y1 (ko) 갑피 및 장식의 탈, 부착이 가능한 신발
US20210244129A1 (en) Maternity footwear
KR100575138B1 (ko) 건강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