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559Y1 - 돔 구조물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돔 구조물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559Y1
KR200396559Y1 KR20-2005-0020368U KR20050020368U KR200396559Y1 KR 200396559 Y1 KR200396559 Y1 KR 200396559Y1 KR 20050020368 U KR20050020368 U KR 20050020368U KR 200396559 Y1 KR200396559 Y1 KR 2003965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e structure
fixing
fixing member
closing plate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리지아
신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리지아, 신규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리지아
Priority to KR20-2005-0020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5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5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5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11Structures with a vertical rotation axis or the like, e.g. semi-spherical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41Frame connection details
    • E04B2001/3247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돔 구조물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수의 연결장치에 연결빔을 순차적으로 삽입 연결시켜 반구형으로 조립되는 돔 구조물에 있어서, 외주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20); 상기 고정부재(20) 내경과 연통되게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마감판(30); 상기 고정부재(20)의 외주면과 상기 마감판(30) 상부에 동일 길이를 유지하여 방사상으로 돌설된 제 1-6고정편(40-45); 및 상기 제 1-6고정편(40-45)에 수평으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빔(60)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7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다각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의 하부에는 마감판을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동일한 길이를 유지하여 한쌍의 고정편을 돌설하여 고급목재로 이루어진 연결빔을 삽입시켜 체결부재의 체결력으로써 돔 구조물을 조립하게 되어 돔 구조물 내부에서 고급 목재의 연결빔을 노출되게 하여 목재의 장식미를 최대로 이용할 수 있어 실내 장식미를 배가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돔 구조물 조립장치{AN ASSEMBLY APPRATUS DOME FRAMEWORK}
본 고안은 돔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각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의 하부에는 마감판을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동일한 길이를 유지하여 한쌍의 고정편을 돌설하여 고급 목재로 이루어진 연결빔을 삽입시켜 체결부재의 체결력으로써 돔 구조물을 조립하게 되어 돔 구조물 내부에서 고급 목재로 이루어진 연결빔을 노출되게 하여 목재의 장식미를 최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돔 구조물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돔 구조물은 전체적으로 반구형(半球形)의 형상을 갖는 건축 구조물로 조립유지 되는 것으로, 이는 주로 전원주택, 별장, 카페, 체육관, 종교시설 및 기타 건축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물을 조립유지 하기 위해서는 돔 구조물의 전체적인 곡률에 따라 적절하게 다양한 종류의 연결장치를 구비한 다음, 각 연결장치를 연결빔으로써 상호 연결하여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돔 구조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돔 구조물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 구조물(100)은 다수의 연결장치(200)를 구비하고, 연결빔(500)으로써 상호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반구형을 유지하여 조립하게 된다.
상기 연결장치(200)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210)와, 고정부재(210)의 각면 상부에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한쌍으로 돌설된 제 1-6고정편(220-225)과, 제 1-6고정편(220-225)의 하부에 한쌍으로 돌설된 제 1-6보강편(230-2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6고정편(220-225)은 고정부재(210)의 각면 상부에 동일한 길이와 간격을 유지하여 대향되게 돌설되고, 대응되게 체결공(226)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1-6보강편(230-235)은 제 1-6고정편(220-225)과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부재(210)의 하부에 돌설되고, 대응되게 삽입공(236)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 1-6고정편(220-225) 사이와 제 1-6보강편(230-235) 사이에는 공간부(300)가 형성되어 연결빔(500)이 삽입된다. 즉, 한쌍의 제 1-6고정편(220-225) 사이와 제 1-6보강편(230-235) 사이에는 공간부(300)가 형성되어 연결빔(500)이 삽입된다.
상기 연결빔(500)은 자체가 목재로 이루어져 제 1-6고정편(220-225)과 제 1-6보강편(230-235)의 사이에 각각 형성된 공간부(300)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은 다른 연결장치(200)의 제 1-6고정편(220-225)과 제 1-6보강편(230-235) 사이의 공간부(300)에 삽입되어 제 1-6고정편(220-225)과 제 1-6보강편(230-235)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체결공(226)과 삽입공(236)을 통하여 유-볼트(400)로써 안정되게 체결 고정됨으로써 다각형상으로 조립된다.
상기 유-볼트(400)는 제 1-6고정편(220-225)과 제 1-6고정편(230-235) 양측에 대향되게 형성된 체결공(226)과 삽입공(236)을 통하여 양단이 수직으로 삽입되어 제 1-6고정편(220-225) 및 제 1-6고정편(230-235)과 연결빔(500)을 안정되게 고정시켜 다각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연결장치(200)는 돔 구조물(100)을 반구형으로 조립 유지하기 위하여 돔 구조물(100)의 전체적인 곡률에 적절하게 형성된다. 즉, 다수의 연결장치(200)의 제 1-6고정편(220-235)과 제 1-6보강편(230-235)을 고정부재(210)로부터 각각 경사가 다르게 돌설함으로써 돔 구조물(100)이 전체적으로 반구형을 유지하여 조립된다.
그리고, 연결장치(200)의 고정부재(210)는 돔 구조물(100)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자체를 다각형으로 형성하게 된다. 즉, 다수의 연결장치(100) 연결이 용이하도록 고정부재(210) 자체를 다각형 예컨대, 오각형 및 육각형으로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돔 구조물(100)의 내외측에는 마감재(600)가 고정되어 벽체를 구성하게 된다. 즉, 돔 구조물(100)의 연결빔(500) 내외측에 마감재(600)를 고정시켜 벽체를 구성하게 되고, 이 벽체 내부에 배선 및 단열재 등을 내장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돔 구조물이 조립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다각형, 예컨데 오각, 육각으로 이루어진 연결장치(200)의 고정부재(210) 각면의 상하부에 돌설된 제 1-6고정편(220-225)과 제 1-6보강편(230-235)사이의 공간부(300)에 목재인 연결빔(500) 일측을 순차적으로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연결빔(500) 일측 양면이 제 1-6고정편(220-225)과 제 1-6보강편(230-235)의 공간부(300)에 밀착된다. 이와 동시에 연결빔(500)의 단부가 고정부재(210)의 각면에 면접촉으로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6고정편(220-225)과 제 1-6보강편(230-235)의 일측과 타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체결공(226)과 삽입공(236)을 통하여 수직으로 유-볼트(400)를 순차적으로 삽입시켜 체결 고정하게 된다.
그러면, 유-볼트(400)의 양측이 제 1-6고정편(220-225)과 제 1-6보강편(230-235)의 체결공(226)과 삽입공(236)을 통과하여 체결 고정됨으로써 제 1-6고정편(220-225)과 제 1-6보강편(230-235) 및 연결빔(500)을 안정되게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연결빔(500)의 타측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다른 연결장치(200)에 유-볼트(400)로써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 다수의 연결장치(200)의 제 1-6고정편(220-225)과 제 1-6보강편(230-235) 사이의 공간부(300)에 연결빔(50)을 순차적으로 삽입시켜 유-볼트(400)로써 체결 고정하게 됨으로써 돔 구조물(100)이 반구형을 유지하여 조립된다.
이때, 연결장치(200)의 제 1-6고정편(220-225)과 제 1-6보강편(230-235)을 고정부재(210)로부터 하향으로 경사지게 돌설하고, 이에 연결임(50)을 조립하게 됨으로써 돔 구조물(100)이 전체적으로 반구형을 유지하여 조립된다. 즉, 돔 구조물(100)의 전체적인 곡률에 적절하게 연결장치(200)의 제 1-6고정편(220-225)과 제 1-6보강편(230-235)의 각도를 변형시켜 조립하게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돔 구조물(100)이 반구형을 유지하여 조립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조립된 돔 구조물(100)의 내외측에는 마감재(600)를 고정시켜 벽체를 구성하게 된다. 즉, 돔 구조물(100)의 연결빔(500) 내외측에 마감재(600)를 고정시켜 벽체를 구성하게 되고, 이 벽체 내부에 배선 및 단열재 등을 내장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돔 구조물 조립장치에 의하면 돔 구조물의 제 1-6고정편과, 제 1-6보강편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연결빔을 삽입시키고, 유-볼트의 체결력으로써 돔 구조물을 조립한 다음, 내외측으로 마감재를 고정시켜 내외부의 벽체를 구성하게 됨으로써 고급 목재로 이루어진 연결빔이 실내측에서 마감재에 의해 은폐되어 고급 목재의 특유의 장식미를 전혀 살리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돔 구조물의 조립시 고급 목재인 연결빔이 실내에서 노출되도록 하여 장식미를 높이게 되는 돔 구조물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연결장치에 연결빔을 순차적으로 삽입 연결시켜 반구형으로 조립되는 돔 구조물에 있어서, 외주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 내경과 연통되게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마감판;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마감판 상부에 동일 길이를 유지하여 방사상으로 돌설된 제 1-6고정편; 및 상기 제 1-6고정편에 수평으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빔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 돔 구조물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 돔 구조물 조립장치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돔 구조물(1)은 다수의 연결장치(10)를 구비하고, 언결빔(60)으로써 상호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반구형을 유지하여 조립하게 된다.
상기 연결장치(10)는 외주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20)와, 고정부재(20) 내경과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된 마감판(30)과, 고정부재(20)의 각면과 마감판(30) 상부에 동일 길이를 유지하여 방사상으로 돌설된 제 1-6고정편(40-4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20)는 다각형, 즉 오각 및 육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소켓(50)이 구비되고, 소켓(50)에는 실내에 조명을 하기 위한 전구(51)가 구비된다.
상기 마감판(30)은 고정부재(20) 내경과 연통되게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외주연이 고정부재(20)의 외주면과 동일하게 다각형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 1-6고정편(40-45)은 고정부재(20)의 외주면과 마감판(30)의 상부에 돌설되어 연결빔(60)이 삽입되는 끼움부(46)가 형성되고, 대향되게 체결공(47)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결빔(60)은 자체가 목재로 이루어져 제 1-6고정편(40-45) 사이와 마감판(30) 사이에 각각 형성된 공간부(46)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은 다른 연결장치(10)의 제 1-6고정편(40-45)의 공간부(46)에 삽입되어 제 1-6고정편(40-45)의 체결공(47)을 통하여 체결부재(70)로 안정되게 체결 고정됨으로써 다각형상으로 조립유지된다.
상기 체결부재(70)는 제 1-6고정편(40-45)의 체결공(47)을 통하여 양단이 수평으로 삽입되어 제 1-6고정편(40-45)과 연결빔(50)을 안정되게 고정시켜 다각형상을 유지하게 된는 데, 이는 주로 유-볼트로 이루어진다.
한편, 연결장치(10)는 돔 구조물(1)을 반구형으로 조립 유지하기 위하여 돔 구조물(1)의 전체적인 곡률에 적절하게 형성된다. 즉, 다수의 연결장치(10)의 제 1-6고정편(40-45)을 고정부재(20)의 외주면으로부터 각각 경사를 다르게 돌설함으로써 돔 구조물(1)이 전체적으로 반구형을 유지하여 조립된다.
또한, 돔 구조물(1)의 연결빔(60) 외측에는 전반적으로 제 1마감재(80)가 고정되고, 제 1마감재(80) 외측에는 보강부재(85)가 고정되며. 보강부재(85) 외측에는 제 2마감재(90)가 고정되어 벽체를 이루게 된다.
즉, 돔 구조물(1)의 연결빔(60) 외측으로 보강부재(85)로써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 1,2마감재(80)(90)를 고정하여 벽체를 구성하게 되고, 이 벽체 내부에 배선 및 단열재 등을 내장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정된 본 고안 돔 구조물이 조립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오각 및 육각 등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연결장치(10)의 고정부재(20) 외주면에 돌설된 제 1-6고정편(40-45)과 고정부재(20) 내경과 연통되게 형성된 마감판(30)에 구비된 끼움부(46)에 고급 목재인 연결빔(60) 일측을 순차적으로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연결빔(60) 일측 양면이 제 1-6고정편(40-45)과 마감판(30)의 끼움부(46)에 밀착된다. 이와 동시에 연결빔(60) 일단부가 고정부재(20)의 외주면에 면접촉으로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6고정편(40-45)의 체결공(47)을 통하여 통하여 수평을 유지하여 유-볼트인 체결부재(70)를 순차적으로 삽입시켜 체결 고정하게 된다. 그러면, 체결부재(70)의 양측이 제 1-6고정편(40-45)의 체결공(47)을 통과하여 체결 고정됨으로써 제 1-6고정편(40-45)과 연결빔(60)을 안정되게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연결빔(60)의 타측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다른 연결장치(10)에 체결부재(70)로써 순착적으로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 다수의 연결장치(10)의 제 1-6고정편(40-45)과 마감판(30)의 끼움부(46)에 연결빔(60)을 순차적으로 삽입시켜 체결부재(70)로써 체결 고정하게 됨으로써 돔 구조물(1)이 반구형을 유지하여 조립된다.
이때, 연결장치(10)의 제 1-6고정편(40-45)을 고정부재(20) 외주면으로부터 하향으로 경사지게 돌설하고, 이 사이에 연결빔(50)을 조립하게 됨으로써 돔 구조물(1)이 전체적으로 반구형을 유지하여 조립된다.
즉, 돔 구조물(1)의 전체적인 곡률에 적절하게 연결장치(10)의 제 1-6고정편(40-45)의 각도를 조립하게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돔 구조물(1)이 반구형을 유지하여 조립된다.
한편, 돔 구조물(1)의 연결빔(60) 외측에는 제 1마감재(80)가 고정되고, 제 1마감재(80) 외측에는 다수의 보강부재(85)가 등간격으로 고정되며, 보강부재(85) 외측에는 제 2마감재(90)가 고정되어 벽체를 이루게 된다.
즉, 돔 구조물(1)의 연결빔(60) 외측으로 보강부재(85)로써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 1,2마감재(80)(90)를 고정하여 벽체를 구성하게 되고, 이 벽체 내부에 배선 및 단열재 등을 내장시키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재(10)의 내부에는 소켓(50)을 구비하고, 이에 전구(51)를 구비하여 실내조명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다각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의 하부에는 마감판을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동일한 길이를 유지하여 한쌍의 고정편을 돌설하여 고급 목재로 이루어진 연결빔을 삽입시켜 체결부재의 체결력으로써 돔 구조물을 조립하게 되어 돔 구조물 내부에서 고급 목재의 연결빔을 노출되게 하여 목재의 장식미를 최대로 이용할 수 있어 실내 장식미를 배가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돔 구조물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돔 구조물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틀 구조물 조립장치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고정부재 30 : 마감판
40-45 : 제 1-6고정편 50 :소켓
51 : 전구 60 : 연결빔
70 : 체결부재

Claims (2)

  1. 다수의 연결장치에 연결빔을 순차적으로 삽입 연결시켜 반구형으로 조립되는 돔 구조물에 있어서,
    외주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20);
    상기 고정부재(20) 내경과 연통되게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마감판(30);
    상기 고정부재(20)의 외주면과 상기 마감판(30) 상부에 동일 길이를 유지하여 방사상으로 돌설된 제 1-6고정편(40-45); 및
    상기 제 1-6고정편(40-45)에 수평으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빔(60)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7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조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는 내부에 소켓(50)이 구비되고,
    상기 소켓(50)에는 실내 조명을 하기 위한 전구(5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조립장치.
KR20-2005-0020368U 2005-07-13 2005-07-13 돔 구조물 조립장치 KR2003965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368U KR200396559Y1 (ko) 2005-07-13 2005-07-13 돔 구조물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368U KR200396559Y1 (ko) 2005-07-13 2005-07-13 돔 구조물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559Y1 true KR200396559Y1 (ko) 2005-09-22

Family

ID=4369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368U KR200396559Y1 (ko) 2005-07-13 2005-07-13 돔 구조물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5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642B1 (ko) 2009-03-03 2011-11-30 오연수 막 구조물인양용 지지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642B1 (ko) 2009-03-03 2011-11-30 오연수 막 구조물인양용 지지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9122434A (ru)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рамах дисплея
US3703307A (en) Connector structure for suspended ceilings and the like
KR20090121994A (ko) 돔 건축물
KR20010080612A (ko) 다면형 조립 구조물 및 그 구축 방법
US20090196050A1 (en) Lighting fixture with modularized lampshade
US5313763A (en) Dome-shaped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KR20000019349U (ko) 난방관의 배관용 단열보드
KR200396559Y1 (ko) 돔 구조물 조립장치
US20030019994A1 (en) Structure two-level suspended lamp frame
KR200223456Y1 (ko) 돔 구조물 조립장치
KR101045350B1 (ko) 모형용 조립체
KR200276163Y1 (ko) 조립이 용이한 조명등 커버
KR200424325Y1 (ko) 천장 매립등
KR20180067881A (ko) 지오데식 돔 하우스 연결 구조체
JP4509082B2 (ja) 組立式発泡スチロール家屋
JP3905843B2 (ja) 組立式発泡スチロール家屋および組立式発泡スチロール家屋用分割片の製造方法
KR100444155B1 (ko) 구형 조립식건축물 및 그 건축방법
KR200415391Y1 (ko) 조명기구의 램프하우징
KR100469882B1 (ko) 돔형 구조물 연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302425Y1 (ko)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
KR200353133Y1 (ko) 조립식 구조물용 엠링크
KR0120216Y1 (ko) 조립식 하우스
KR200437731Y1 (ko) 통나무 프레임용 연결구
KR20010036506A (ko) 돔 구조물 연결장치
KR200282410Y1 (ko) 농업용 파이프 골조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