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510Y1 - 선형 변위 센서용 저항부재 - Google Patents

선형 변위 센서용 저항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510Y1
KR200396510Y1 KR20-2005-0019292U KR20050019292U KR200396510Y1 KR 200396510 Y1 KR200396510 Y1 KR 200396510Y1 KR 20050019292 U KR20050019292 U KR 20050019292U KR 200396510 Y1 KR200396510 Y1 KR 2003965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linear
displacement sensor
linear displacement
rotat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은종
김경아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차은종
김경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은종, 김경아 filed Critical 차은종
Priority to KR20-2005-0019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5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5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30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 H01C10/38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01C10/40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screw operated
    • H01C10/42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screw operated the contact bridging and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and parallel conducting bar or colle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G01P2015/0805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eing provided with a particular type of spring-mass-system for defining the displacement of a seismic mass due to an external acceleration
    • G01P2015/082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eing provided with a particular type of spring-mass-system for defining the displacement of a seismic mass due to an external acceleration for defining out-of-plane movement of the mass
    • G01P2015/0825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eing provided with a particular type of spring-mass-system for defining the displacement of a seismic mass due to an external acceleration for defining out-of-plane movement of the mass for one single degree of freedom of movement of the mass
    • G01P2015/0837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eing provided with a particular type of spring-mass-system for defining the displacement of a seismic mass due to an external acceleration for defining out-of-plane movement of the mass for one single degree of freedom of movement of the mass the mass being suspended so as to only allow movement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ubstrate, i.e. z-axis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전도성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회전롤러를 이용한 선형변위센서에 사용이 적합하도록 PCB로 이루어진 기판상에 선형의 제 1 및 제 2저항을 형성하여 안정한 접점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선형 변위 센서용 저항부재가 기재된다. 본 고안은 이동축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이동하기 위한 전도성을 가진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선형변위센서에 있어서, 회전 롤러와 선접점을 형성하도록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측에만 접점이 형성되는 전기저항값이 0인 순수도체물질로 형성된 일정 두께와 넓이를 가지는 선형의 제 1 저항체 및 회전 롤러와 선접점을 형성하도록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 1 저항체와 일정간격 이격되고 제 1 저항체와 동일 두께를 가지며 탄소를 함유한 선형의 저항체로 구성되며 양단에 접점이 형성되는 제 2 저항체를 포함하는 저항부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선형 변위 센서용 저항부재{resistance device for linear displacement transducer}
본 고안은 선형 변위 센서용 저항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도성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회전롤러를 이용한 선형변위센서에 사용이 적합하도록 PCB로 이루어진 기판상에 선형의 제 1 및 제 2저항을 형성하여 안정한 접점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선형 변위 센서용 저항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항성 변위센서(potentiometer)로 통칭되는 저항성 변위 센서는 선형 전기 저항체 상의 접점이 이동하면 전기저항값이 이동 변위에 따라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형전기저항체(10)의 전기저항값을 RL이라 할 때 B접점과 C접점간의 전기저항값 RD는 다음 <식1>과 같다.
..................................<식1>
여기서, L은 선형전기저항체(10)의 총길이이고, D는 B접점과 C접점간의 거리이다. 전기저항체(10)가 균일한 저항값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 즉, 선형(linear)으로 성형되어 있다면 변위(거리)는 저기저항에 비례한다는 원리이다.
<식1>을 D에 관해 풀면 <식 2>와 같이 변환되고,
..................................<식2>
<식2>에서 L과 RL은 일정한 값이므로 RD를 측정하여 D값 즉, 변위를 계측할 수 있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이와 같은 원리를 차용하는 선형 변위 센서는 변위 계측이 필요한 선반, 사출기등 정밀기계가공장치에 장착되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본 출원인에 의하여 2004년 6월 21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4-46051호에서는 전도성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회전롤러가 선형 전기 저항체를 이동하면서 이동거리에 따른 출력 저항값의 변화에 의하여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선형 변위센서가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4-46051호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이 변위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에 고정된 후 물체이동에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축(110)의 타단에 이동축(11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회전롤러(120)가 이동축(110)과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회전롤러(120)는 탄성을 지닌 전도성의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회전롤러(120)의 하부에는 회전롤러(120)와 접촉하도록 순수도체물질로 전기저항값이 0인 박막판 A(130)와 저항물질로 전기저항값이 RL인 박막판 B(140)가 평행한 상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형변위센서는 회전롤러(120)와 박막판 A(130)와 저항물질로 전기저항값이 RL인 박막판 B(140)가 접점을 형성하며 이동축(110)이 이동함에 따라 회전롤러(120)가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물체이동에 따른 전기저항의 변화를 측정하여 해당 물체의 변위 이동을 계측한다.
본 고안은 동일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4-46051호의 선형 변위센서에서 회전롤러와 접촉하는 저항부재에 관한 것으로, 선형 변위 센서에서 전도성 고무재질로 구성된 회전 롤러(Roller)와 선접점을 형성하도록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전기저항값이 0인 순수도체물질로 형성된 제 1 저항체 및 탄소를 함유하여 일정 저항을 가진 제 2 저항체를 동일높이로 형성하여 전도성 고무로 이루어진 회전 롤러와 탄성접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선형 변위 센서용 저항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동축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이동하기 위한 전도성을 가진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선형변위센서에 있어서,
회전 롤러와 선접점을 형성하도록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측에만 접점이 형성되는 전기저항값이 0인 순수도체물질로 형성된 일정 두께와 넓이를 가지는 선형의 제 1 저항체; 및
회전 롤러와 선접점을 형성하도록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 1 저항체와 일정간격 이격되고 제 1 저항체와 동일 두께를 가지며 탄소를 함유한 선형의 저항체로 구성되며 양단에 접점이 형성되는 제 2 저항체를 포함하는 저항부재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형 변위센서용 저항부재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형 변위센서용 저항부재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저항부재(200)는 도 3 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변위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도시되지 않음)과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이동축(110)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이동하기 위한 전도성을 가진 회전롤러(120)를 포함하는 선형변위센서(100)의 회전 롤러(120)와 선접점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인쇄회로기판(240)의 상부에 전기저항값이 0인 순수도체물질로 형성된 일정 두께와 넓이를 가지는 선형의 제 1 저항체(210)가 형성된다. 제 1 저항체(210)의 일측에는 전기신호가 인가되기 위한 접점(230)이 형성된다.
인쇄회로기판(240)의 상부에는 제 1 저항체(21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고 역시 회전 롤러(120)와 선접점을 형성하도록 제 2 저항체(220)이 형성된다. 제 2 저항체(220)는 제 1 저항체(210)와 동일 두께를 가지며 탄소를 함유한 선형의 저항체로 구성되며 양단에 접점(230)이 형성된다.
전도성 고무로 제조된 회전롤러(120)와 제 1 저항체(210)와 과 제 2저항체(220)이 접촉이 되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의 형태인 접점 C와 접점 D가 형성된다.
즉, 인쇄회로기판(240)의 상부에 순수도체물질로 전기저항값이 0인 선형의 제 1 저항체(210)와 역시 인쇄회로기판(240)의 상부에 저항물질로 전기저항값이 RL인 제 2 저항체(220)와 전도성 고무재질의 회전롤러(120)가 접촉하면서 이동한다.
그러므로, 회전롤러(120)가 이동하면서 형성되는 이동축의 이동 변위에 비례하는 RD 값을 획득하며, 수 mm 간격으로 이동시키며 RD 값을 측정하면 선형관계식을 얻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측정된 RD값으로부터 D값, 즉 변위가 계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형 변위 센서용 저항부재는 전도성 고무재질로 구성된 회전 롤러(Roller)와 선접점을 형성하도록 탄성접촉이 가능하므로 안정한 접점을 형성하며 롤러가 회전하게 되므로 마찰이 대폭 감소하여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그 개량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선형 변위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형 변위센서용 저항부재가 사용되는 선형변위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형 변위센서용 저항부재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형 변위센서용 저항부재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선형변위센서 110 : 이동축
120 : 회전롤러 100 : 선형변위센서
130, 140 : 박막판 200 : 저항부재
210 : 제 1 저항체 220 : 제 2 저항체
230 : 접점 240 : 인쇄회로기판

Claims (1)

  1. 이동축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이동하기 위한 전도성을 가진 회전롤러(120)를 포함하는 선형변위센서(100)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롤러(120)와 선접점을 형성하도록 인쇄회로기판(240)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측에만 접점(230)이 형성되는 전기저항값이 0인 순수도체물질로 형성된 일정 두께와 넓이를 가지는 선형의 제 1 저항체(210); 및
    상기 회전 롤러(120)와 선접점을 형성하도록 인쇄회로기판(24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저항체(210)와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1 저항체(210)와 동일 두께를 가지며 탄소를 함유한 선형의 저항체로 구성되며 양단에 접점(230)이 형성되는 선형의 제 2 저항체(220)를 포함하는 저항부재(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변위 센서용 저항부재.
KR20-2005-0019292U 2005-07-04 2005-07-04 선형 변위 센서용 저항부재 KR2003965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292U KR200396510Y1 (ko) 2005-07-04 2005-07-04 선형 변위 센서용 저항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292U KR200396510Y1 (ko) 2005-07-04 2005-07-04 선형 변위 센서용 저항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510Y1 true KR200396510Y1 (ko) 2005-09-23

Family

ID=4369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292U KR200396510Y1 (ko) 2005-07-04 2005-07-04 선형 변위 센서용 저항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5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587B1 (ko) 2019-11-27 2021-05-26 (주)우립기전 저항식 변위 센서
KR20210065492A (ko) 2019-11-27 2021-06-04 (주)우립기전 저항식 변위 센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587B1 (ko) 2019-11-27 2021-05-26 (주)우립기전 저항식 변위 센서
KR20210065492A (ko) 2019-11-27 2021-06-04 (주)우립기전 저항식 변위 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3534A (en) Pressure sensing device
US6360612B1 (en) Pressure sensor apparatus
US5225785A (en) Apparatus for sensing the thickness of a moving sheet of film
KR200396510Y1 (ko) 선형 변위 센서용 저항부재
WO1983003467A1 (en) Bi-directional touch sensor
WO2006040781A3 (en) Sensor for measuring phisical quantities based on the detection of the variation of an electrical parameter, and method for its fabrication
RU16083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атчика влажности
CN201269770Y (zh) 厚膜电阻式液位传感器
EP0558736B1 (en) Rotatable capacitance sensor
JPS63250802A (ja) 変位兼位置表示体
US201502096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elected exercise resistance
US7023684B1 (en) Variable position sensor employing capacitance
US20100171583A1 (en) Bi-directional bend resistor
WO2008046123A8 (de) Messvorrichtung
US20150300869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fuel level sensing
JPH04110618A (ja) 液面センサー
US6956384B1 (en) Linear displacement transducer with improved accuracy
CN114252004A (zh) 一种基于电阻测量的套齿齿侧间隙测量装置及方法
KR20050120931A (ko) 정밀도를 향상시킨 선형 변위 센서
ATE452328T1 (de) Amr-sensorelement für winkelmessungen
JP2006337118A (ja) エラストマセンサと該エラストマセンサを用いた振動検出方法。
KR100363687B1 (ko) 일체화된 온습도센서
KR102256592B1 (ko) 저항식 선형 변위 변환기
RU214243U1 (ru) Двухпараметрический гибкий датчик влажности и температуры
SU670906A1 (ru) Потенциометрический датч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