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458Y1 - Table retaining cold and warmth - Google Patents

Table retaining cold and warm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458Y1
KR200396458Y1 KR20-2005-0017013U KR20050017013U KR200396458Y1 KR 200396458 Y1 KR200396458 Y1 KR 200396458Y1 KR 20050017013 U KR20050017013 U KR 20050017013U KR 200396458 Y1 KR200396458 Y1 KR 2003964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cold
pocket
cups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01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창록
Original Assignee
최창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록 filed Critical 최창록
Priority to KR20-2005-00170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45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4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458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2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6Holders for glasses, ashtrays, lamps, candles or the like forming part of t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 가정 및 대중 음식점 등에서 사용하는 식탁 등의 테이블에 있어서, 특히 테이블의 상부면에 방사상으로 일정 깊이의 포켓을 형성하고, 그 포켓에는 내부에 냉,온매가 충전되어진 열전달구를 삽입하며, 상기 열전달구의 상측에는 취부홈을 갖는 덮개를 형성하여 그 포켓이 개폐되게 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a table such as a dining table for use in each home and restaurant, especially i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to form a pocket of a certain depth radially, and inserts a heat transfer hole filled with cold and hot medium inside the pocket By forming a cover having a mounting groove on the upper side of the heat transfer hole to open and close the pocket,

비교적 작은 크기의 열전달구를 통해 그 열전달구에 위치한 각종 컵이나 용기 등을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어 보다 용이한 취급이 가능하면서도, 테이블 자체에 냉,온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그 용기 및 컵 등을 그 열전달구에 올려 놓거나 빼내어 적당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열전달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덮개를 덮어 평평한 테이블면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뛰어난 효율성을 갖는 냉,온 유지부를 갖는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relatively small size of the heat transfer port allows the user to heat or cool various cups or containers located on the heat transfer port for easier handling.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roper temperature by placing or removing cups on the heat transfer hole, and when the heat transfer hole is not used, it is possible to use a flat table surface by covering the cover. .

Description

냉,온 유지부를 갖는 테이블 {Table retaining cold and warmth}Table retaining cold and warmth}

본 고안은 각 가정 및 대중 음식점 등에서 사용하는 식탁 등의 테이블에 있어서, 특히 사용자의 전면에 해당하는 테이블의 상부면에 냉,온매가 충전되어진 열전달구를 삽입 형성하여, 상기 열전달구에 의해 각종 음식물의 용기나 컵 등을 냉각 또는 가열시켜 음식물이나 음료, 주류 등의 온도가 충분한 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게 한 냉,온 유지부를 갖는 테이블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able such as a dining table used in each home and restaurant, in particular, by inserting a heat transfer hole filled with cold and warm mediu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user, various foods by the heat transfer sphe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having a cold and hot holding part that cools or heats a container or a cup of a cup so that the temperature of food, beverage, liquor, etc. can be maintained for a sufficient time.

근자에 들어 일반 가정에서는 주거형태의 변화에 따라 식탁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 보편적이고, 특히 대중음식점이나 주점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t is common to use a dining tabl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housing type in general households, especially in restaurants and taverns.

또한, 한국인의 식생활을 보면 대부분 뜨겁거나 차가운 음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이러한 음식들은 그 맛이나 향,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하기 위해서는 음식물의 온도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In addition, most Koreans eat hot or cold foods, and these foods are very important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food to maintain their taste, aroma and freshness for a long time.

그러나, 상기한 일반적인 테이블은 그 상부면에 각종 음식물을 올려놓고 이를 섭취하는 경우 뜨거운 음식이나 차가운 음식 또는 음료 등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금새 식어버려 음식 본래의 맛을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However, the general table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when various foods ar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consumed thereof, hot food, cold food, or beverage quickly cools down over time, and loses the original taste of food.

음식의 섭취 시간이 길거나 맥주 등의 차가운 주류를 섭취하는 경우 그 온도가 식어버려, 음식 고유의 맛이나 향, 신선도를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If the intake of food is long or intake of cold liquor, such as beer, the temperature is cooled, there is a problem that loses the taste, aroma, freshness of the food.

이에, 뜨거운 음식의 경우에는 별도의 휴대용 버너를 테이블 위에 올려 놓고 그 음식물을 지속적으로 가열하면서 섭취할 수 있게 하고 있으며, 맥주와 같은 차가운 주류는 그 보관용기를 차갑게 얼리거나 이중 격벽에 의한 냉매를 얼려 그 용기 자체가 냉동되게 한 상태에서 맥주 등을 시원한 상태로 섭취할 수 있게 하고 있는 것는 것인데,In the case of hot food, a separate portable burner is placed on the table to allow the food to be continuously heated and consumed. Cold liquor, such as beer, freezes the storage container or cools the refrigerant by a double partition. The container itself is frozen, and beer can be consumed in a cool state.

상기와 같은 휴대용 버너는 지나치게 테이블의 점유면적을 과다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너무 높아져 음식물의 섭취가 불편한 것이며, 화염이 지근에 위치하므로 주의를 요해야 함은 물론 부탄가스 등의 폭발 위험이 있는 것이며,The portable burner is not only excessively occupying an occupied area of the table, but also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is too high, making the food inconvenient, and the flame is located near the ground, requiring attention, as well as the explosion of butane gas. There is a danger,

용기 자체를 냉각시켜 음용할 수 있게 한 컵의 경우에는 그 컵 자체가 지나치게 커지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한 것이며, 이를 냉동고에서 얼리는 경우에는 많은 내부 체적을 요구하므로 소규모의 사업장이나 소형 냉장고 등에서는 그 용기를 얼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In the case of a cup that has cooled the container itself for drinking, it is very inconvenient to use because the cup itself becomes too large, and when frozen in a freezer, it requires a lot of internal volum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freeze.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테이블의 상부면에 방사상으로 일정 깊이의 포켓을 형성하고, 그 포켓에는 내부에 냉,온매가 충전되어진 열전달구를 삽입하며, 상기 열전달구의 상측에는 취부홈을 갖는 덮개를 형성하여 그 포켓이 개폐되게 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overcom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form a pocket of a certain depth radi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and inserts a heat transfer hole filled with cold and warm medium therein, the pocket of the heat transfer hole By forming a cover having a mounting groove on the upper side to open and close the pocket,

비교적 작은 크기의 열전달구를 통해 그 열전달구에 위치한 각종 컵이나 용기 등을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어 보다 용이한 취급이 가능하면서도, 테이블 자체에 냉,온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그 용기 및 컵 등을 그 열전달구에 올려 놓거나 빼내어 적당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열전달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덮개를 덮어 평평한 테이블면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뛰어난 효율성을 갖는 냉,온 유지부를 갖는 테이블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relatively small size of the heat transfer port allows the user to heat or cool various cups or containers located on the heat transfer port for easier handling.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roper temperature by placing or removing cups on the heat transfer hole, and when the heat transfer hole is not used, the cover can be used as a flat table surface to provide a table having a cold and hot holding unit having excellent efficiency. There is a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전체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ul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테이블(100)의 상부면에 방사상의 요홈상 포켓(1)을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포켓(1)에는 이중격벽(2)의 내부에 냉,온매(3)가 충전되어진 열전달컵(4)(4')이 삽입되며,A plurality of radial grooved pockets 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0, and the heat transfer cups 4, in which the cold and warm mediums 3 are filled in the double partitions 2, 4 ') is inserted,

상기 열전달컵(4)(4')의 상부면에는 상기 포켓(1)을 개폐하는 덮개(5)를 삽입하되,Inserting a cover (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ocket (1)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cup (4) (4 '),

상기 덮개(5)의 상부면에는 절곡 요홈조 상의 취부구(6)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5 is formed by forming a mounting hole 6 on the bent groove.

이때, 상기한 열전달컵(4)(4')의 중앙과, 상기 포켓(1)의 바닥 중앙에는 서로 관통되어진 배수공(7)을 형성하여, 상기 열전달컵(4)(4')의 내,외부면에서 생성되는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At this time, in the center of the heat transfer cup (4) (4 ') and the bottom center of the pocket (1) to form a drain hole (7) through each other, the inside of the heat transfer cup (4) (4'),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discharge the condensate generated from the outer surface,

상기한 포켓(1)의 내부 전체면에는 코팅층(8)을 형성하여 습기나 물이 그 테이블(100)의 내측으로 스며드는 것이 방지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A coating layer 8 may be formed on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pocket 1 to prevent moisture or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table 100.

테이블의 중앙부에는, 중앙의 삽입부(11)와 측면의 이중 격벽(12)에 냉,온매가 충전되어진 별도의 중앙열전달구(10)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열전달구(10)의 격벽(12) 내부는 별도의 연결관(13)에 의해 상기 열전달컵(4)(4')의 격벽 내부와 연통되게 하여, 이들 내부의 냉,온매가 서로 열전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table, a separate central heat transfer hole 10 in which cold and warm solvents are filled in the central insertion portion 11 and the double partition 12 on the side surface is formed, and the partition wall 12 of the central heat transfer hole 10 is formed. The inside)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partition walls of the heat transfer cups (4) and (4 ') by a separate connection pipe 13, so that the heat and cold inside the heat transfer.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냉,온 유지부를 갖는 테이블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table having the present invention cold, temperature holding unit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n more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테이블(100)은 그 상부면에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요홈상 포켓(1)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포켓(1)에는 수납 가능한 열전달컵(4)(4')이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 3, the inventive table 100 has a plurality of recessed pockets 1 radially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heat transfer cups 4 and 4 ′ that can be accommodated in each pocket 1. Is inserted.

이때의 열전달컵(4)(4')은 이중격벽(2)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중격벽(2)의 사이에는 냉,온매(3)가 충전되어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heat transfer cups 4 and 4 'are formed by the double partition 2, and the cold and warm medium 3 is filled between the double partitions 2.

따라서, 상기한 열전달컵(4)(4')의 내측에 컵이나 용기 등을 넣어 놓게 되면, 미리 냉각되거나 가열되어진 냉,온매(3)에 의해 상기한 컵이나 용기 등을 냉각 또는 가열시키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a cup or a container is placed inside the heat transfer cups 4 and 4 ', the cups or containers are cooled or heated by the cold or hot medium 3 that has been cooled or heated in advance. will be.

그러므로, 사용자는 테이블에 직접 형성되어진 열전달컵(4)(4')을 이용하여 차가운 음식과 뜨거운 음식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며, 그 음식물의 맛이나 향, 신선도를 유지시켜가며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user can use the heat transfer cups 4 and 4 'formed directly on the table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cold and hot foods and maintain the taste, aroma and freshness of the food. It will be possible.

또한, 이러한 열전달컵(4)(4')은 테이블(100)에 직접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내부의 컵이나 용기 등이 필요이상 냉각되거나 가열되었을 경우에는 그 열전달컵(4)(4')으로부터 꺼내어 테이블(100)의 상부면에 올려놓으면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온도로 음식물 등을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다시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한 열전달컵(4)(4')에 컵이나 용기 등을 다시 올려 놓으면 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heat transfer cups 4 and 4 'are formed directly on the table 100, when the cups or containers therein have been cooled or heated more than necessary, the heat transfer cups 4 and 4' are removed from the heat transfer cups 4 and 4 '. When taken out and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0, the user can ingest food and the like at an optimum temperature desired, and if the user wants to cool or heat it again, the heat transfer cups 4 and 4 'are provided. Put the cup or container back.

특히, 상기한 열전달컵(4)(4')의 상부면에 올려지고 그 포켓(1)의 상부면을 개폐할 수 있게 된 덮개(5)는 상기한 포켓(1)을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열전달컵(4)(4')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덮개(5)로 그 포켓(1)을 막아 테이블(100)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로 닫혀지도록 하여 테이블(100) 전면을 평평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In particular, the lid 5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cup 4, 4 ′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ocket 1 opens or closes the pocket 1. When the heat transfer cups 4 and 4 'are not used, the pocket 5 is closed by the cover 5 so as to be clos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0. It is to be able to use the table 100 flat,

상기한 덮개(5)의 상부면에 절곡 요홈조상으로 형성되어진 취부구(6)는 상기 덮개(5)를 보다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e mounting hole 6 formed in the upper groove of the cover 5 in the form of a bent groove makes it easier to handle the cover 5.

또한, 상기한 열전달컵(4)(4')이 냉각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내,외주면에 온도차에 따른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응축수가 모이게 되면 그 열전달컵(4)(4')의 바닥면에나 상기한 포켓(1)의 바닥면에 물이 고일 수 있게 되므로,In addition, when the heat transfer cups 4 and 4 'are cooled, condensed water is generated on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thereof, and when the condensed water is collected, the bottom of the heat transfer cups 4 and 4' is collected. Since water can collect on the surface o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cket 1 described above,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열전달컵(4)(4')과 포켓(1)의 바닥 중앙을 관통하는 별도의 배수공(7)을 형성하여, 그 배수공(7)에 의해 상기한 응축수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함은 물론, 그 포켓(1)의 청소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한 포켓(1)의 내측 전면에는 방수성의 코팅층(8)을 형성하여 상기한 응축수가 목재로 이루어진 테이블의 내측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4, a separate drain hole 7 is formed through the heat transfer cups 4 and 4 ′ and the bottom center of the pocket 1, and the condensed water is easily formed by the drain hole 7. It is to be easily discharged, of course, to facilitate the cleaning of the pocket (1), the inner surface of the pocket (1) to form a waterproof coating layer (8) by the condensate water made of wood It is to prevent the penetration into the inside of the table.

이와 같은 본 고안 테이블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테이블(100)의 중앙에 형성된 비교적 큰 중앙열전달구(10)를 형성하고, 그 중앙열전달구(10)의 이중 격벽(12) 내의 냉,온매는 별도의 연결관(13)을 통해 상기한 열전달컵(4)(4')의 이중격벽(2) 내부와 연통되게 함으로서,This invention table as shown in Figure 5 forms a relatively large central heat transfer port 10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able 100, the cold and warm medium in the double partition 12 of the central heat transfer hole 10 By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double partition (2) of the heat transfer cup (4) (4 ') through a separate connector (13),

상기 중앙열전달구(10)의 삽입부(11)에 충전되어지는 얼음 또는 드라이아이스, 핫팩 등의 냉,온체로부터 그 냉,온매(3)가 냉각 또는 가열되면 상기 각각의 열전달컵(4)(4')으로 온도가 전달되어 이들 각각의 열전달컵(4)(4')이 동시에 냉각 또는 가열되게 함으로서, 상기한 열전달컵(4)(4')을 개별적으로 취급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며,When the cold and hot medium 3 is cooled or heated from the cold or hot body such as ice or dry ice or hot pack, which is filled in the insertion portion 11 of the central heat transfer hole 10, the respective heat transfer cups 4 The temperature is transferred to 4 'so that each of these heat transfer cups 4 and 4' is simultaneously cooled or heated, so that the heat transfer cups 4 and 4 'do not have to be handled separately,

상기 중앙열전달구(10)의 상부에는 보다 대형의 냄비나 용기 등을 올려놓고 냉각 또는 가열시킨 후, 상기한 방사상의 열전달컵(4)(4')을 이용하여 개인 접시나 용기 등을 올려 놓고 사용하면 다수의 사람이 동시에 온도 유지가 잘 이루어진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fter placing a larger pot or containe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ral heat transfer port 10 and cooling or heating, a personal dish or container is placed using the radial heat transfer cups 4 and 4 '. When used, many people can eat foods that are well maintained at the same time.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냉,온 유지부를 갖는 테이블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열전달구를 통해 그 열전달구에 위치한 각종 컵이나 용기 등을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어 보다 용이한 취급이 가능하면서도, 테이블 자체에 냉,온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그 용기 및 컵 등을 그 열전달구에 올려 놓거나 빼내어 적당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열전달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덮개를 덮어 평평한 테이블면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뛰어난 효율성을 갖는 것이다.The above-described table having the cold and hot hold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eat or cool various cups or containers located at the heat transfer holes through heat transfer holes of a relatively small size, and thus can be handled more easily. Since the cold and hot holding part is formed, the user can directly put or remove the container and cup on the heat transfer hole to adjust the appropriate temperature.When not using the heat transfer hole, the cover can be used as a flat table surface. It has excellent efficienc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전체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냉,온 유지부 확대 단면도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ld, hot holding portion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냉,온 유지부 타실시예도4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ld, temperature holding unit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의 또다른 실시예도5 is another embodiment of a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1 : 포켓 2 : 이중격벽1: pocket 2: double bulkhead

3 : 냉,온매 4,4' : 열전달컵3: cold, warm 4,4 ': heat transfer cup

5 : 덮개 6 : 취부구5: cover 6: mounting hole

7 : 배수공 8 : 코팅층7: drain hole 8: coating layer

10 : 중앙열전달구 11 : 삽입부10: central heat transfer hole 11: insertion portion

12 : 격벽 13 : 연결관12 bulkhead 13 connector

100 : 테이블100: table

Claims (4)

테이블(100)의 상부면에 방사상의 요홈상 포켓(1)을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포켓(1)에는 이중격벽(2)의 내부에 냉,온매(3)가 충전되어진 열전달컵(4)(4')이 삽입되며, 상기 열전달컵(4)(4')의 상부면에는 상기 포켓(1)을 개폐하는 덮개(5)를 삽입하되,A plurality of radial grooved pockets 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0, and the heat transfer cups 4, in which the cold and warm mediums 3 are filled in the double partitions 2, 4 ') is inserted, and a cover 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ocket 1 is inserted into an upper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cups 4 and 4', 상기 덮개(5)의 상부면에는 절곡 요홈조 상의 취부구(6)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유지부를 갖는 테이블.A table having a cold and hot hold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5) is formed by forming a mounting hole (6) on the bending groov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열전달컵(4)(4')의 중앙과, 상기 포켓(1)의 바닥 중앙에는 서로 관통되어진 배수공(7)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유지부를 갖는 테이블.A table having a cold and hot hold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eat transfer cup (4) (4 ') and the bottom center of the pocket (1) formed through the drain holes (7) penetrating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포켓(1)의 내부 전체면에는 코팅층(8)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유지부를 갖는 테이블.A table having a cold and hot hold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ating layer (8) is formed on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pocket (1).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테이블의 중앙부에는, 중앙의 삽입부(11)와 측면의 이중 격벽(12)에 냉,온매가 충전되어진 별도의 중앙열전달구(10)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열전달구(10)의 격벽(12) 내부는 별도의 연결관(13)에 의해 상기 열전달컵(4)(4')의 격벽 내부와 연통되게 하여, 이들 내부의 냉,온매가 서로 열전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유지부를 갖는 테이블.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table, a separate central heat transfer hole 10 in which cold and warm solvents are filled in the central insertion portion 11 and the double partition 12 on the side surface is formed, and the partition wall 12 of the central heat transfer hole 10 is formed. ) The in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partition walls of the heat transfer cup (4) (4 ') by a separate connecting tube 13, the cold, hot and cold insid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heat transfer to each other Table with wealth.
KR20-2005-0017013U 2005-06-14 2005-06-14 Table retaining cold and warmth KR20039645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013U KR200396458Y1 (en) 2005-06-14 2005-06-14 Table retaining cold and warm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013U KR200396458Y1 (en) 2005-06-14 2005-06-14 Table retaining cold and warmt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458Y1 true KR200396458Y1 (en) 2005-09-22

Family

ID=43697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013U KR200396458Y1 (en) 2005-06-14 2005-06-14 Table retaining cold and warm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458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323B1 (en) * 2008-10-20 2009-07-02 (주)두바이스타세븐 Cool and hot table having cool system hot system
KR20160042545A (en) * 2014-10-10 2016-04-20 신호승 Mat having tab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323B1 (en) * 2008-10-20 2009-07-02 (주)두바이스타세븐 Cool and hot table having cool system hot system
KR20160042545A (en) * 2014-10-10 2016-04-20 신호승 Mat having table
KR101725295B1 (en) * 2014-10-10 2017-04-10 신호승 Mat having t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52438A1 (en) Clear Ice Cube Tray
AU2010100178A4 (en) Temperature keeping container
US9567150B2 (en) Refrigerating assembly
KR20090068565A (en) Tableware
US20040194495A1 (en) Portable food cooling container
KR200396458Y1 (en) Table retaining cold and warmth
CN104016007A (en) Heat preservation and cold insulation container
JP4609130B2 (en) Insulated container
CN201189054Y (en) Spiral isolation cup
KR20120120662A (en) A cooling case for liquor and drink
JP3215166U (en) Food cooling cover
CN202525831U (en) Cold insulation cup with icy column in the middle
CN205568571U (en) Domestic hot dishes heat preservation box
CN215501655U (en) Ice grid lunch box
KR200431622Y1 (en) Thermos bottle in multistage type
US10674870B1 (en) Food chilling device having pivotally coupled compartment
KR200196455Y1 (en) A multi-use refrigerator for a store
KR200168669Y1 (en) Container having heat and cooling source
KR200258681Y1 (en) Cup having cooling capability
CN213524191U (en) Prevent tainting of flavor environmental protection cutlery box
KR102542176B1 (en) portable beer cooler
KR200402281Y1 (en) a ice box
KR200206243Y1 (en) Cup having cool feeling
KR200382544Y1 (en) Tableware
CN207653776U (en) A kind of cant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