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258Y1 -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258Y1
KR200396258Y1 KR20050018937U KR20050018937U KR200396258Y1 KR 200396258 Y1 KR200396258 Y1 KR 200396258Y1 KR 20050018937 U KR20050018937 U KR 20050018937U KR 20050018937 U KR20050018937 U KR 20050018937U KR 200396258 Y1 KR200396258 Y1 KR 2003962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spring
plate
main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18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종현
Original Assignee
배형근
배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형근, 배종현 filed Critical 배형근
Priority to KR20050018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2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2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2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인플레이트의 상면과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저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2링크부재에 네 개의 인장스프링을 연결하여 메인플레이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토션스프링 및 두 개의 인장스프링을 사용할 때 발생되는 스프링의 수명 단축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방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는, 메인플레이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 및 메인플레이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에 있어서, 탄성수단은, 메인플레이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일측이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된 상태에서 저면이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면접되며 중심부에 형성된 스프링 관통홀의 타측 전후측에는 스프링 결합부가 스프링 관통홀의 내측을 향해 각각 두 개씩 형성된 제1,2링크부재와, 제1,2링크부재의 일측을 메인플레이트의 상면과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저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핀, 및 제1,2링크부재에 형성된 스프링 관통홀을 각각 관통한 상태에서 일단은 제1링크부재의 스프링 관통홀에 형성된 스프링 결합부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은 제2링크부재의 스프링 관통홀에 형성된 스프링 결합부에 각각 고정되는 네 개의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Sliding system of slide portable terminal}
본 고안은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플레이트의 상면과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저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2링크부재에 인장스프링을 연결하여 메인플레이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연결한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보급이 점차 확대되어감에 따라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과 다양한 디자인의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단말기들은 일반적으로 바 타입(bar type) 단말기로부터 플립 타입(flip type) 단말기, 플립 업 타입(flip-up type) 단말기, 폴더 타입(folder type) 단말기 등으로 발전해 오고 있으며, 최근에는 폴더 타입 단말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는 폴더 타입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채택할 만큼 공간적인 여유가 충분할 뿐만 아니라 반으로 접을 수 있어 타 단말기보다 쉽게 휴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전술한 폴더 타입 단말기와 유사한 크기의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지면서 동시에 단말기의 소형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타입의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이는 소정의 메인바디 상에서 슬라이딩바디가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슬라이딩되어 개방되는 형태의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로써, 기존의 폴더 타입 단말기에 비해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는, 숫자 또는 문자용 키패드가 부착된 메인바다 상에서 슬라이딩바디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과, 메인바디와 슬라이딩바디 사이에서 슬라이딩바디의 일정 슬라이딩위치를 기준으로 개방되는 방향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의 방향을 변환시키는 탄성수단을 구비한다.
이 때, 탄성수단으로는 일단이 메인바디에 부착되는 메인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슬라이딩바디에 부착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토션스프링을 주로 채용해 왔다.
그러나, 종래에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탄성수단의 경우, 토션스프링의 양단이 메인플레이트 또는 슬라이딩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홀에 관통시킨후 벤딩하여 고정됨으로써, 슬라이딩플레이트를 슬라이딩시킬 때 토션스프링의 양단이 관통홀의 날카로운 내측면과 직접 접촉하여 마찰계수가 증대됨에 따라 토션스프링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한편, 종래에는 토션스프링외에도 탄성수단으로서 일측이 메인플레이트 및 슬라이딩플레이트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링크부재를 구비하고 제1,2링크부재의 외측 양쪽에 두 개의 인장스프링을 결합하는 방식도 채용되어 왔으나, 이 경우에는 두 개의 인장스프링중 어느 하나가 끊어질 경우 제1,2링크부재의 슬라이딩이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더러 탄성수단으로서의 기능에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조립작업시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인장스프링이 이탈되거나 변형될 염려도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메인플레이트의 상면과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저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2링크부재의 안쪽에 네 개의 인장스프링을 연결하여 메인플레이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토션스프링 및 두 개의 인장스프링을 사용할 때 발생되는 토션스프링 및 인장스프링의 수명단축 현상을 보완할 수 있는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특히, 본 고안은 탄성수단으로서 네 개의 인장스프링을 채용함으로써, 인장스프링을 2개 사용할 때보다 응력을 최소화하고 하중의 평균편차를 최소화하여 스프링의 수명을 2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를 제공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방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바디에 결합되는 메인플레이트와,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바디에 결합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 및 메인플레이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에 있어서, 탄성수단은, 메인플레이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일측이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된 상태에서 저면이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면접되며 중심부에 형성된 스프링 관통홀의 타측 전후측에는 스프링 결합부가 스프링 관통홀의 내측을 향해 각각 두 개씩 형성된 제1,2링크부재; 제1,2링크부재의 일측을 메인플레이트의 상면과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저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핀; 및 제1,2링크부재에 형성된 스프링 관통홀을 각각 관통한 상태에서 일단은 제1링크부재의 스프링 관통홀에 형성된 스프링 결합부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은 제2링크부재의 스프링 관통홀에 형성된 스프링 결합부에 각각 고정되는 네 개의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진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메인플레이트의 양측단부에는 서로 대향되는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고,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양측단부에는 가이드홈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돌부가 각각 절곡 형성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메인플레이트의 가이드홈에 각각 삽입 고정되고 일측에 형성된 홈에 슬라이딩플레이트의 가이드돌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이루어지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제1,2링크부재의 타측에는 메인플레이트의 상면 및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저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판부가 다른 부분보다 높게 형성되며, 인장스프링의 바깥쪽에 위치되는 제1,2링크부재의 전후측에는 가이드공이 각각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제1링크부재에는 제2링크부재에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공에 각각 삽입되는 두 개의 제1가이드핀이 장착되고, 제2링크부재에는 제1링크부재에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공에 삽입되는 두 개의 제2가이드핀이 각각 장착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스프링 관통홀의 전후측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스프링 결합부중 어는 하나는 다른 것에 비해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되며, 이웃하는 두 개의 스프링 결합부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두 개의 인장스프링은 길이가 서로 다르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전후단부 양측 모서리를 커팅하여 전후단부에서 전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각각 형성됨에 따라 슬라이딩바디의 케이스 스토퍼의 형태가 변하더라도 그 형태 변화에 상관없이 슬라이딩플레이트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슬라이딩플레이트에 대한 메인플레이트의 상대적인 동작거리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방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바디(1)에 결합되는 메인플레이트(110)와, 휴대용단말기의 슬라이딩바디(2)에 결합되며 메인플레이트(110)에 대하여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120), 및 메인플레이트(110)와 슬라이딩플레이트(120)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수단(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메인플레이트(110)는 키패드(1a)가 구비되는 메인바디(1)의 상면 후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그 양측 가장자리가 상부로 절곡되되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110a)이 형성된다.
이 때, 메인플레이트(110)의 양측 가장자리는 ‘ㄱ’자 형태로 서로 대향되게 절곡되어 가이드홈(110a)을 각각 형성하며, 가이드홈(110a)의 내측으로는 후술할 슬라이딩플레이트(120)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가이드돌부(121)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전술한 슬라이딩플레이트(120)는 메인플레이트(110)의 상면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그 양측 가장자리에는 메인플레이트(110)의 가이드홈(110a)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돌부(121)가 각각 일체 형성된다.
이 때, 가이드돌부(121)는 슬라이딩플레이트(120)의 양측 가장자리가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ㄴ’자 형태로 형성되되 단부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여 메인플레이트(110)의 가이드홈(110a)에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슬라이딩플레이트(120)의 절곡된 가이드돌부(121)로 인해 메인플레이트(110)와 슬라이딩플레이트(1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메인바디(1)에 구비되는 키패드(1a) 및 슬라이딩바디(2)의 LCD와 연결된 FPCB(연성회로기판) 동작시 간섭이 최소화된다.
한편, 슬라이딩플레이트(120)의 전후단부 양측 모서리를 커팅하여 전후단부에서 전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20b)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바디(2)의 케이스 스토퍼(2a)의 형태가 변하더라도 그 형태 변화에 상관없이 슬라이딩플레이트(120)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슬라이딩플레이트(120)에 대한 메인플레이트(110)의 상대적인 동작거리(stroke)(L)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전술한 탄성수단(130)은 메인플레이트(110)와 슬라이딩플레이트(120) 사이에 설치되어 메인플레이트(110)와 슬라이딩플레이트(120)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서로 면접되면서 슬라이딩되는 제1,2링크부재(131)(132)와, 제1,2링크부재(131)(132)의 일측을 플레이트들(110)(12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핀(133)과, 일단은 제1링크부재(131)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링크부재(132)에 고정되는 네 개의 인장스프링(134), 및 제1,2링크부재(131)(132)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네 개의 가이드핀(135)으로 구성된다.
제1,2링크부재(131)(1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메인플레이트(110)와 슬라이딩플레이트(120)에 고정되는 일측이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된 상태에서 저면이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면접된다.
이 때, 인장스프링(134)의 바깥쪽에 위치되는 제1,2링크부재(131)(132)의 전후측 즉, 후술할 스프링 관통홀(131e)(132e)의 전후방에는 네 개의 가이드핀(135)이 각각 관통되는 가이드공(131a)(132a)이 각각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2링크부재(131)(132)에는 각각 두 개씩의 가이드공(131a)(132a)이 형성되며, 또한 각 가이드공(131a)(132a)을 각각 관통하는 가이드핀(135)이 각각 두 개씩 장착된다.
그리고, 제1,2링크부재(131)(132)의 일측에는 다른 부분보다 높게 형성되어 메인플레이트(110)의 상면 및 슬라이딩플레이트(12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판부(131b)(132b)가 각각 형성되며, 이 고정판부(131b)(132b)의 중심에는 고정핀(133)이 관통되는 고정핀 관통홀(131c)(132c)이 각각 형성된다.
이처럼, 제1,2링크부재(131)(132)의 일측에 다른 부분보다 높은 고정판부(131b)(132b)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제1,2링크부재(131)(132)를 서로 맞대어 슬라이딩시킬 때 가이드공(131a)(132a)을 관통하는 가이드핀(135)의 상하단이 메인플레이트(110)의 상면 및 슬라이딩플레이트(120)의 저면에 접촉되지 않아 제1,2링크부재(131)(132)의 슬라이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링크부재(131)(132)의 가이드공(131a)(132a)으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가이드핀(135)이 관통되면서 고정되는 가이드핀 고정홀(131d)(132d)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1,2링크부재(131)(132)의 중심측에는 네 개의 인장스프링(134)이 관통되는 스프링 관통홀(131e)(132e)이 넓게 형성된다.
한편, 제1,2링크부재(131)(132)에 형성되는 스프링 관통홀(131e)(132e)의 타측 양쪽에는 인장스프링(134)의 구부러진 양단이 각각 걸려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부(131f)(132f)가 스프링 관통홀(131e)(132e)의 안쪽으로 두 개씩 이격 형성된다. 이 때, 스프링 결합부(131f)(132f)는 고정판부(131b)(132b)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스프링 관통홀(131e)(132e)의 내측을 향해 절곡 형성된다.그리고,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 관통홀(131e)(132e)의 전후측에 각각 이웃하게 형성된 두 개의 스프링 결합부(131f)(132f)중 어느 하나는 다른 것에 비해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되며, 이웃하는 두 개의 스프링 결합부(131f)(132f)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두 개의 인장스프링(134)은 그 길이가 서로 다르다.
고정핀(133)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3단의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되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가면서 직경이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핀(133)중 직경이 가장 큰 1단(133a)은 고정판부(131b)(132b)의 저면에 걸리고, 2단(133b)은 고정판부(131b)(132b)의 중심에 형성된 고정핀 관통홀(131c)(132c)을 관통하며, 3단(133c)은 메인플레이트(110) 및 슬라이딩플레이트(120)에 형성된 고정핀 관통홀(110b)(120a)을 각각 관통한 후 단부가 리벳팅된다.
이 때, 고정핀(133)의 1단(133a)은 제1,2링크부재(131)(132)의 저면보다 돌출되지 않아야 제1,2링크부재(131)(132)의 슬라이딩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인장스프링(134)의 일단은 제1링크부재(131)의 타측에 형성된 네 개의 스프링 결합부(131f)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제2링크부재(132)의 타측에 형성된 네 개의 스프링 결합부(132f)에 각각 결합된다.
가이드핀(135)은 제1,2링크부재(131)(132)가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133)과 마찬가지로 3단의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되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가면서 직경이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핀(135)중 직경이 가장 큰 1단(135a)은 제1,2링크부재(131)(132)의 상면에 걸리고, 2단(135b)은 가이드공(131a)(132a)을 관통하며, 3단(135c)은 가이드핀 고정홀(131d)(132d)에 고정된다.
이 때, 제1링크부재(131)의 가이드핀 고정홀(131d)에 고정되는 가이드핀(135)의 2단(135b)은 제2링크부재(132)의 가이드공(132a)을 관통하고, 제2링크부재(132)의 가이드핀 고정홀(132d)에 고정되는 가이드핀(135)의 2단(135b)은 제1링크부재(131)의 가이드공(131a)을 각각 관통함으로써, 제1,2링크부재(131)(132)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한다.
한편, 미설명부호 140은 메인플레이트(110)의 가이드홈(110a)에 각각 삽입 고정되며 일측에 형성된 홈(140a)에 슬라이딩플레이트(120)의 가이드돌부(121)가 직접 삽입되는 합성수지재의 가이드부재이다. 이러한 가이드부재(140)로 인해 금속재로 된 각 플레이트(110)(120)들이 직접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마찰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슬라이딩플레이트(120)의 원활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부재(140)의 타측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141)가 돌출 형성되고, 고정돌기(141)는 메인플레이트(110)의 가이드홈(110a) 양측 중앙에 형성된 고정홀(110b)에 삽입됨으로써, 가이드부재(140)가 메인플레이트(110)의 가이드홈(110a) 내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메인플레이트(110)는 메인바디(1)의 상면 후단부에 부착되고, 슬라이딩플레이트(120)는 슬라이딩바디(2)의 저면 전체에 부착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바디(2)가 메인바디(1)에 클로즈된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플레이트(110)가 슬라이딩플레이트(120)의 후단부에 위치된다.
이 때, 탄성수단(130)의 제1링크부재(131)는 메인플레이트(110)에 고정되고 제2링크부재(132)의 타단부는 슬라이딩플레이트(120)에 고정되므로, 제1,2링크부재(131)(132)에 연결된 인장스프링(134)의 압축력에 의해 제1,2링크부재(131)(132)는 서로 벌어진 상태가 되고, 슬라이딩플레이트(120)는 클로즈된 상태를 유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바디(2)가 클로즈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바디(2)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밀면, 슬라이딩플레이트(120)가 메인플레이트(110)의 가이드홈(110a)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메인바디(1)의 상면에 위치된 키패드(1a)가 개방된다.
이 때, 슬라이딩플레이트(120)의 양측부에 형성된 가이드돌부(121)는 메인플레이트(110)의 양측부에 형성된 가이드홈(110a)에 삽입된 가이드부재(140)에 의해 원활하게 슬라이딩된다.
한편, 슬라이딩플레이트(12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기 시작하면 제1,2링크부재(131)(132)가 서로 겹쳐지면서 인장스프링(134)의 탄성력이 더욱 커져 슬라이딩플레이트(12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해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플레이트(120)를 방해하는 힘을 극복하고 계속해서 슬라이딩바디(2)를 슬라이딩시키면 인장스프링(134)의 변곡점을 지나게 되고, 이 변곡점 이후부터는 인장스프링(134)의 복원력에 의해 제1,2링크부재(131)(132)가 서로 벌어지면서 슬라이딩플레이트(120)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 때는 더 이상 슬라이딩바디(2)를 슬라이딩시키지 않아도 슬라이딩플레이트(120)가 인장스프링(134)의 인장력에 의해 의해 자동으로 오픈된다.
이처럼, 슬라이딩플레이트(120)가 완전히 오픈되면 슬라이딩플레이트(120)는 인장스프링(134)의 인장력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린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에 따르면, 메인플레이트의 상면과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저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2링크부재의 스프링 관통홀을 통해 제1,2링크부재를 인장스프링으로 연결하여 메인플레이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링크부재의 바깥쪽에 인장스프링을 연결하는 것보다 취급시 인장스프링이 쉽게 변형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토션스프링의 단부가 플레이트의 관통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인장스프링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전혀 없다.특히, 네 개의 인장스프링을 구비하고 이를 스프링 관통홀의 전후측에 각각 두 개씩 배치함으로써, 인장스프링중 어느 하나가 끊어질 경우라도 다른 인장스프링을 이용하여 탄성수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인장스프링 자체의 응력 및 하중의 평균편차를 줄여 제품의 신뢰성 및 수명을 길게 연장할 수 있다.또한, 인장스프링이 제1,2링크부재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어 슬라이딩 동작시 연성회로기판(FPCB)과 인장스프링이 직접 접촉되지 않아 계속적으로 반복동작함으로써 FPCB가 마모되거나 인장스프링이 늘어나더라도 인장스프링의 피치(Pitch) 사이로 FPCB가 변형되어 동작되더라도 인장스프링에 끼거나 간섭을 주지 않는다.그리고, 메인플레이트 내의 가이드홈 내에 합성수지재로 된 가이드부재를 삽입 고정하고 이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홈을 따라 슬라이딩플레이트가 슬라이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금속재로 된 슬라이딩플레이트가 슬라이딩될 때 금속재로 된 메인플레이트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아 마찰계수가 최소화됨에 따라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양단부를 하향 절곡하여 메인플레이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메인바디에 구비되는 키패드 및 슬라이딩바디의 LCD와 연결된 FPCB(연성회로기판) 동작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전후단부 양측 모서리를 커팅하여 전후단부에서 전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딩바디의 케이스 스토퍼의 형태가 변하더라도 그 형태 변화에 상관없이 슬라이딩플레이트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슬라이딩플레이트에 대한 메인플레이트의 상대적인 동작거리(stroke)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아울러 슬라이딩플레이트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금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장치가 적용되는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바디가 클로즈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장치가 적용되는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바디가 오픈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탄성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슬라이딩장치를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도 1 상태에서의 탄성수단의 모습을 보인 슬라이딩장치의 저면도.
도 7은 도 1 상태에서 도 2 상태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을 보인 슬라이딩장치의 저면도.
도 8은 도 2 상태에서의 슬라이딩장치를 나타낸 저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슬라이딩바디의 케이스 스토퍼의 다양한 형태에 따른 슬라이딩플레이트에 대한 메인플레이트의 상대적인 동작거리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슬라이딩장치 110 : 메인플레이트
120 : 슬라이딩플레이트 130 : 탄성수단
131 : 제1링크부재 132 : 제2링크부재
133 : 고정핀 134 : 인장스프링
135 ; 가이드핀 140 ; 고정부재

Claims (6)

  1.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바디에 결합되는 메인플레이트와,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바디에 결합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일측이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된 상태에서 저면이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면접되며, 중심부에 형성된 스프링 관통홀의 타측 전후측에는 스프링 결합부가 스프링 관통홀의 내측을 향해 각각 두 개씩 형성된 제1,2링크부재;
    상기 제1,2링크부재의 일측을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저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핀; 및
    상기 제1,2링크부재에 형성된 스프링 관통홀을 각각 관통한 상태에서 일단은 상기 제1링크부재의 스프링 관통홀에 형성된 상기 스프링 결합부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링크부재의 스프링 관통홀에 형성된 상기 스프링 결합부에 각각 고정되는 네 개의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양측단부에는 서로 대향되는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돌부가 각각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가이드홈에 각각 삽입 고정되고 일측에 형성된 홈에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가이드돌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이루어지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링크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상면 및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저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판부가 다른 부분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인장스프링의 바깥쪽에 위치되는 상기 제1,2링크부재의 전후측에는 가이드공이 각각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에는 상기 제2링크부재에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공에 각각 삽입되는 두 개의 제1가이드핀이 장착되고, 상기 제2링크부재에는 상기 제1링크부재에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공에 삽입되는 두 개의 제2가이드핀이 각각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관통홀의 전후측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스프링 결합부중 어는 하나는 다른 것에 비해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되며, 이웃하는 상기 두 개의 스프링 결합부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두 개의 인장스프링은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전후단부 양측 모서리를 커팅하여 전후단부에서 전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각각 형성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바디의 케이스 스토퍼의 형태가 변하더라도 그 형태 변화에 상관없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상대적인 동작거리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KR20050018937U 2005-06-30 2005-06-30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KR2003962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18937U KR200396258Y1 (ko) 2005-06-30 2005-06-30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18937U KR200396258Y1 (ko) 2005-06-30 2005-06-30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258Y1 true KR200396258Y1 (ko) 2005-09-20

Family

ID=39942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18937U KR200396258Y1 (ko) 2005-06-30 2005-06-30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258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690B1 (ko) 2005-09-13 2007-02-26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 장치.
WO2007037596A1 (en) * 2005-09-29 2007-04-05 Hitech Parts Co., Ltd. Link assembly with springs which can be extended and contracted and slider assembly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having the link assembly
WO2008111739A1 (en) * 2007-03-13 2008-09-18 Khvatec. Co., Ltd. A slim type slid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WO2009154373A2 (ko) * 2008-06-17 2009-12-23 주식회사 하이텍파츠 인장 스프링을 구비한 슬라이더 링크 조립체
KR100970983B1 (ko) 2008-10-02 2010-07-20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슬라이드 장치용 스프링 모듈
US7831285B2 (en) 2004-03-08 2010-11-09 Hitech Parts Co., Ltd. Slider assembly for sliding-type mobile phone and cellular phone having the slider assembly
KR101018443B1 (ko) * 2007-12-21 2011-03-07 주식회사 벨포원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및 휴대단말기
US7970445B2 (en) * 2007-02-07 2011-06-28 Quanta Computer Inc. Semiautomatic sliding structur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1285B2 (en) 2004-03-08 2010-11-09 Hitech Parts Co., Ltd. Slider assembly for sliding-type mobile phone and cellular phone having the slider assembly
KR100686690B1 (ko) 2005-09-13 2007-02-26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 장치.
WO2007037596A1 (en) * 2005-09-29 2007-04-05 Hitech Parts Co., Ltd. Link assembly with springs which can be extended and contracted and slider assembly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having the link assembly
US7970445B2 (en) * 2007-02-07 2011-06-28 Quanta Computer Inc. Semiautomatic sliding structure
WO2008111739A1 (en) * 2007-03-13 2008-09-18 Khvatec. Co., Ltd. A slim type slid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KR101018443B1 (ko) * 2007-12-21 2011-03-07 주식회사 벨포원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및 휴대단말기
WO2009154373A2 (ko) * 2008-06-17 2009-12-23 주식회사 하이텍파츠 인장 스프링을 구비한 슬라이더 링크 조립체
WO2009154373A3 (ko) * 2008-06-17 2010-03-04 주식회사 하이텍파츠 인장 스프링을 구비한 슬라이더 링크 조립체
KR100970983B1 (ko) 2008-10-02 2010-07-20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슬라이드 장치용 스프링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6258Y1 (ko)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KR100839415B1 (ko) 슬라이더 조립체용 업/다운 유지수단 및 그러한 업/다운유지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조립체
US7869844B2 (en) Slid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of cellular phone
KR100753884B1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873091B1 (ko) 복수의 스프링을 구비한 신축가능한 링크 조립체 및 이를구비한 슬라이더 조립체
EP1809007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sliding module
US7403612B2 (en) Slide mechanism
JP2008196525A (ja) ヒンジ機構および携帯端末
US5847801A (en) Hinge structure and bearing member for hinge in frame of spectacles
US20110117977A1 (en) Mobile terminal
US8265720B2 (en) Slid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US20100035668A1 (en) Slide hinge module for mobile phone
US20190212509A1 (en) Optical transceiver
KR200395928Y1 (ko)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KR200376773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 조립체
KR200396257Y1 (ko)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KR200416094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KR200365393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구조
JP4822717B2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0856333B1 (ko) 휴대폰용 더블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403709Y1 (ko) 슬라이더 조립체용 업/다운 유지수단 및 그러한 업/다운유지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조립체
KR200363295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 조립체
KR200419226Y1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411625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898561B1 (ko) 슬라이딩 힌지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