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220Y1 -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 및 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 및 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220Y1
KR200396220Y1 KR20-2005-0018537U KR20050018537U KR200396220Y1 KR 200396220 Y1 KR200396220 Y1 KR 200396220Y1 KR 20050018537 U KR20050018537 U KR 20050018537U KR 200396220 Y1 KR200396220 Y1 KR 200396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inforcing
fastening
coupling
slee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5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규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콘크리트
주식회사 보림에쓰에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콘크리트, 주식회사 보림에쓰에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콘크리트
Priority to KR20-2005-00185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2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2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01C5/08Reinforced units with steel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4Pavings for railroad level-cros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 및 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은, 철근이 내부에 매설되고, 침목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홈이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 보강부재; 및, 상기 체결홈을 천공하여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침목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 및 그 설치구조{Fabricated block for railroad crossing and structure for installation of the same}
본 고안은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 및 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RMGC용 레일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통행이 용이하도록 하는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 및 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MGC(Rail Mounted Gantry Crane)용 레일은 항만에서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크레인의 이동을 위한 레일이다. 즉, RMGC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컨테이너를 선적, 하역, 운송한다. RMGC용 레일은 레일과 레일 사이의 간격이 일반 철도 레일보다 크다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각각의 독립적인 침목이 RMGC용 레일을 지지한다. 다시 말해, 하나의 침목이 하나의 레일만을 지지한다.
한편, 철도 건널목에는 보행자와 차량 통행을 위해 목재형 보판이나 시멘트 블록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목재형 보판은 육면체 목재가 다수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목재형 보판은 레일과 레일사이에서 못, 앵커 또는 스크류 스파이크 등을 사용하여 침목과 결합된다. 목재형 보판은 레일의 외측에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시멘트 블록은 레일과 레일 사이에 시멘트가 타설되어 제조된다. 레일의 외측에는 보행자와 차량 통행이 가능하도록 보턱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목재형 보판이 설치된 경우에는 차량 통행시 앵커나 스크류 스파이크가 부상하여 통행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앵커나 스크류 스파이크가 부상하면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침목이 손상되어 수명이 단축될 수 있고, 잦은 보수가 필요하게 된다. 아울러, 노면이 고르지 못하게 됨으로써 차량 통행시 진동을 수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멘트 블록의 경우에는 시멘트 블록을 침목에 결합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현장에서 시멘트를 타설하여 블록을 제조함으로써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이 현장 타설식으로 제조된 시멘트 블록은 건널목이 필요하지 않게 된 경우에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RMGC 궤도용 레일에 사용되고,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통행시 진동을 최소화하는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 및 그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은, 철근이 내부에 매설되고, 침목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홈이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 보강부재 및, 상기 체결홈을 천공하여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침목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모서리에 설치되는 ㄱ형강 및 상기 철근과 ㄱ형강을 서로 결합하는 연결철근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인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의 설치구조는, 철근이 내부에 매설되고 침목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홈이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 보강부재 및 상기 체결홈을 천공하여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침목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레일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블록과, 상기 블록의 외측에 소정 높이까지 설치된 쇄석층 및, 상기 쇄석층의 상부에 상기 블록과 동일한 높이까지 설치된 포장층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모서리에 설치되는 ㄱ형강 및 상기 철근과 ㄱ형강을 서로 결합하는 연결철근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이 지반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100)은 콘크리트로 제조된 블록 몸체(10)와, 몸체(10)의 양측 모서리에 설치된 보강부재(20) 및, 몸체(10)와 침목을 결합시키는 체결부재(30)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10)는 전단철근(11)과, 내부철근(12) 및, 체결홈(31)을 구비한다. 상기 전단철근(11)과 내부철근(12)은 몸체(10)의 내부에 위치한다. 전단철근(11)은 내부철근(11)과 고정 결합된다.
상기 체결홈(31)은 블록 몸체(10)의 상면 중심부에 형성된다. 체결홈(31)을 천공하여 형성된 체결공(32)에 후술할 체결부재(30)가 삽입되어 몸체(10)와 침목(110)을 결합하게 된다.
상기 보강부재(20)는 몸체(10)의 양측 모서리에 설치되어 몸체(10)가 깨지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부재(20)는 몸체(10)의 양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ㄱ형강 및, ㄱ형강과 철근을 결합시키는 연결철근(21)을 구비한다. 연결철근(21)은 ㄱ형강의 모서리 내측에 일체로 결합되고, 내부철근(12)과 결합되어 ㄱ형강이 블록 몸체(10)의 양측 모서리에 위치하게 한다.
상기 체결부재(30)는 몸체(10)의 중심부에 위치한 체결홈(31)이 천공되어 형성된 체결공(32)에 삽입되어 블록 몸체(10)와 침목(110)을 결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재(30)는 앵커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측면인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의 설치구조는 블록(100)과, 쇄석층(50) 및, 포장층(51)을 구비한다. 블록(100)에 관해서는 전술한 바 있다. 블록(100)은 체결부재(30)에 의해 침목(110)과 결합된다. 각 침목(110)은 하나의 레일(130)을 독립적으로 지지한다. 블록(100)은 레일(130)의 양측에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쇄석층(50)은 블록(100)의 외측에 소정 높이까지 설치되며, 침목(1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포장층(51)은 쇄석층(50)의 상부에 설치되며, 블록(100)과 동일한 높이까지 설치되어 차량의 통행시의 진동을 최소화한다. 포장층(51)에는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과 그 설치구조는 일반 철도 레일에도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 및 그 설치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차량 및 기타 장비의 통행로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통행로를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둘째, 모서리면에 ㄱ형강을 보강함으로써 제품의 깨짐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노면과 블록의 높이가 동일하기 때문에 차량 통행시 진동을 최소화한다.
넷째, 공장에서 제작된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이므로 현장타설 방식보다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시공·교체가 용이하다.
다섯째, 중심부에 설치된 체결부재로 인하여 하중에 의한 전도, 이탈이 방지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이 지반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전단철근
12 : 내부철근 20 : 보강부재
21 : 연결철근 30 : 체결부재
31 : 체결홈 50 : 쇄석층
51 : 포장층 100 : 블록

Claims (4)

  1. 철근이 내부에 매설되고, 침목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홈이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 보강부재; 및
    상기 체결홈을 천공하여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침목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모서리에 설치되는 ㄱ형강; 및
    상기 철근과 ㄱ형강을 서로 결합하는 연결철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
  3. 철근이 내부에 매설되고, 침목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홈이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 보강부재 및, 상기 체결홈을 천공하여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침목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레일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블록;
    상기 블록의 외측에 소정 높이까지 설치된 쇄석층; 및
    상기 쇄석층의 상부에 상기 블록과 동일한 높이까지 설치된 포장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의 설치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모서리에 설치되는 ㄱ형강; 및
    상기 철근과 ㄱ형강을 서로 결합하는 연결철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의 설치구조.
KR20-2005-0018537U 2005-06-27 2005-06-27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 및 그 설치구조 KR200396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537U KR200396220Y1 (ko) 2005-06-27 2005-06-27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 및 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537U KR200396220Y1 (ko) 2005-06-27 2005-06-27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 및 그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220Y1 true KR200396220Y1 (ko) 2005-09-21

Family

ID=4369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537U KR200396220Y1 (ko) 2005-06-27 2005-06-27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 및 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2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6101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безбалластного пути
RU2641572C2 (ru) Способ превращения колеи на основании из балласта в колею на основании из плит
US5181657A (en) Composite rubber/concrete railroad grade crossing system
US8146834B2 (en) Concrete carriageway for rail vehicles
EP1700954A2 (en) Prefabricated modular member, permanent railway for tramways and subways including said member, and process for laying the same
KR100603901B1 (ko) 기존 거더의 일부를 활용한 판형교 유도상 구조 및 시공방법
KR20160001011U (ko) 철도 궤도 레일의 콘크리트 도상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US4117977A (en) Highway-railway crossing
CN207091835U (zh) 一种现浇轨枕板式无砟轨道
KR20120039429A (ko) 철도궤도용 프리캐스트 레일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JP2002227101A (ja) 鉄道線路用マクラギ一体型コンクリート道床構造
CN108547209B (zh) 一种单孔预制空心板无伸缩缝桥梁及其施工方法
JP2008127900A (ja) コンクリート軌道版
KR200396220Y1 (ko) 조립식 건널목용 블록 및 그 설치구조
NL1007815C2 (nl) Spoorconstructie.
HU210631B (en) Railway body
RU2431009C2 (ru) Участок пути и способ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борных бетонных плит
KR101224136B1 (ko) 철도궤도의 자갈도상용 pc침목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CN205999787U (zh) 一种适用于高速铁路桥梁的轨道结构
KR101037594B1 (ko) 날개형 블록
RU167457U1 (ru)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шпала для трамвайных путей с тремя горизонтальными площадками для установки плит дорожного покрытия
KR102497798B1 (ko) 철도 콘크리트 도상에 설치된 선로전환기 받침의 목침목을 선로전환기 받침판으로 바꾸기 위한 교체 시공방법
DK2800833T3 (en) fixed carriageway
KR102138365B1 (ko) 종방향 슬립을 허용하는 강철도교용 무도상궤도 구조
KR102497799B1 (ko) 철도 콘크리트 도상에 설치된 선로전환기 받침의 목침목을 콘크리트 블록으로 바꾸기 위한 교체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