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144Y1 - 퍼티 나이프 - Google Patents

퍼티 나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144Y1
KR200396144Y1 KR20-2005-0011241U KR20050011241U KR200396144Y1 KR 200396144 Y1 KR200396144 Y1 KR 200396144Y1 KR 20050011241 U KR20050011241 U KR 20050011241U KR 200396144 Y1 KR200396144 Y1 KR 2003961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tty knife
blade member
reinforcing member
blad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2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김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수 filed Critical 김기수
Priority to KR20-2005-00112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1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1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1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16Implements for after-treatment of plaster or the like before it has hardened or dried, e.g. smoothing-tools, profile trowels
    • E04F21/161Tr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퍼티 나이프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퍼티 나이프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단부에 장착되어 고정되며, 일정한 강성(剛性)을 유지하는 보강부재; 및 상기 보강부재를 감싸면서 단부에는 칼날이 형성되며, 연질의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칼날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부재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금속의 봉 형상이나 직사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칼날부재는 사다리꼴 형상이거나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고안에 의해 연질의 합성수지나 고무로 형성되는 칼날부재는 보강부재에 의하여 지지력이 확보되므로 상기 칼날부재는 측면으로 더욱 확장되면서도 요구되는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되어서 퍼티 나이프의 상품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퍼티 나이프 {Putty knife}
본 고안은 퍼티 나이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넓은 칼날을 형성할 수 있어서 작업면적을 확대할 수 있고, 또한 칼날은 적당하게 유연성이 유지되면서도 전체의 칼날부재는 견고하게 형상이 유지되므로 사용자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퍼티 나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해라, 스크래퍼 등으로 불리고 있는 퍼티 나이프는 자동차 썬팅작업, 자동차 흠집을 메우는 작업, 타일 부착시에 타일과 타일 사이를 메우고 마무리하는 작업, 옥상이나 바닥면에 방수처리를 하는 작업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퍼티 나이프는 일정한 탄성력을 유지하여서 도포되는 물질이 일정한 두께의 도포막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칼날부는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형성하고, 상기 칼날부의 상측으로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칼날부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일정한 탄성력이 유지되어야 하므로, 상기 칼날부를 크게 형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상기 칼날부를 크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칼날부는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제작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상기 칼날부가 크기나 형상에 관계없이 일정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는 퍼티 나이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쉽게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퍼티 나이프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단부에 장착되어 고정되며, 금속재질로 일정한 강성(剛性)을 유지하는 보강부재; 및 상기 보강부재를 감싸면서 단부에는 칼날이 형성되며, 연질의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칼날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금속의 봉 형상이나 직사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칼날부재는 사다리꼴 형상이거나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티 나이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퍼티 나이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티 나이프는 칼날부재(40), 보강부재(30) 및 손잡이(20)로 구성된다.
상기 칼날부재(40)는 일정한 두께로 물질을 도포하는 부위로서, 하측 선단부에는 칼날(41)이 형성되어서 예각을 이루며, 상부에는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연질의 고무나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작업형태에 따라서 사다리꼴, 반원형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반원형 퍼티 나이프는 작업면적이 적은 곳에 사용하고, 사다리꼴 퍼티 나이프는 작업면적이 많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칼날부재(4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칼날(41)은 직선을 유지하면서 단면이 예각으로 형성되게 하여 물질이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한다.
상기 칼날부재(40)에는 보강부재(30)가 매립되게 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30)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상기 칼날부재(40)에 일정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칼날부재(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의 봉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30)는 상기 칼날부재(40)에 매립될 수도 있으나, 외부에 노출시켜서 성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칼날부재(40)와 상기 보강부재(30)를 파지하기 위하여 상기 칼날부재(40)의 상부에는 손잡이(20)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손잡이(20)와 상기 칼날부재(40)의 결합은 볼트와 너트 혹은 리벳 등으로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상기 보강부재(30)는 상기 손잡이(2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또한 상기 손잡이(20)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상기 퍼티 나이프(10)의 사용상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칼날부재(40)의 하단부는 연질의 합성수지나 고무로 형성되어 일정각도로 휘어질 수 있으므로, 부드럽게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보강부재(30)는 횡 방향으로 상기 칼날부재(40)를 지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연질의 합성수지나 고무로 형성되는 칼날부재는 보강부재에 의하여 지지력이 확보되므로 상기 칼날부재는 측면으로 더욱 확장되면서도 요구되는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되어서 퍼티 나이프의 상품성이 증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퍼티 나이프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티 나이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퍼티 나이프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퍼티 나이프의 단면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티 나이프의 사시도.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티 나이프의 사시도.
도 6은 퍼티 나이프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퍼티 나이프, 20: 손잡이,
30: 보강부재, 40: 칼날부재,
41: 칼날

Claims (5)

  1. 손잡이(20);와 상기 손잡이(20) 단부에 장착되어 고정되며, 금속재질로 일정한 강성(剛性)을 유지하는 보강부재(30); 및 상기 보강부재(30)를 감싸면서 단부에는 칼날(41)이 형성되며, 연질의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칼날부재(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티 나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30)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티 나이프.
  3. 제 1항에 상기 보강부재(30)는 금속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티 나이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재(40)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티 나이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재(40)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티 나이프.
KR20-2005-0011241U 2005-04-22 2005-04-22 퍼티 나이프 KR2003961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241U KR200396144Y1 (ko) 2005-04-22 2005-04-22 퍼티 나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241U KR200396144Y1 (ko) 2005-04-22 2005-04-22 퍼티 나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144Y1 true KR200396144Y1 (ko) 2005-09-20

Family

ID=43697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241U KR200396144Y1 (ko) 2005-04-22 2005-04-22 퍼티 나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1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0384B2 (en) Combination wedge and notch trowel with reversible grip handle
CA2615766C (en) Taping knife with offset handle
US7434318B2 (en) Tool with enlarged hammer element
US6735840B2 (en) Burnishing tool
US9234358B2 (en) Skimming tool
EP2909395B1 (en) Tool for applying plaster to a surface
US8365340B2 (en) Multipurpose tool with moveably arranged plates
US7752703B1 (en) Articulated apparatus flat blade hand tool
WO2015198324A1 (en) Squeegee
JP2017222348A (ja) ワイパーブレード
KR200396144Y1 (ko) 퍼티 나이프
DE602006002839D1 (de) Kittspachtel aus Kunststoff für das Auftragen von Substanzen für Wandbeschichtung oder dergleichen
US9945132B2 (en) Finisher box with blade assembly
US20080295435A1 (en) Spackling tool and spackling pan
US10166569B1 (en) Painting system
US6044516A (en) Plastering trowel
KR200441556Y1 (ko) 시트지 밀착기구
US20060257513A1 (en) Artist's grout float
JP3174915U (ja) 左官施工用具
KR200396367Y1 (ko) 미장용 흙손
CN207920013U (zh) 一种阳台阴角施工抹刀
US20080313837A1 (en) Blade for a Trowel
US20100011526A1 (en) Towel for material application to concave surfaces
AU2007100647A4 (en) A sanding device
CN201011116Y (zh) 一种手用工具手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