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865Y1 -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 - Google Patents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865Y1
KR200395865Y1 KR20-2005-0017850U KR20050017850U KR200395865Y1 KR 200395865 Y1 KR200395865 Y1 KR 200395865Y1 KR 20050017850 U KR20050017850 U KR 20050017850U KR 200395865 Y1 KR200395865 Y1 KR 200395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ord
charging
plug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인
Original Assignee
(주)정인일렉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인일렉텍 filed Critical (주)정인일렉텍
Priority to KR20-2005-0017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8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8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에 사용되는 시가잭 전원코드와 휴대폰 충전 코드를 하나의 유에스비 잭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더 나아가서 무선카팩용 플러그를 유에스비 잭으로 일체가 되도록 연결한 후, 휴대폰을 거치시키는 충전 거치대에 일체형 코드를 끼워서 휴대폰의 충전과 휴대폰의 MP3음악 또는 멀티미디어기기의 MP3음악을 차량의 오디오 스피커를 통해서 들을 수 있도록 무선카팩을 제공함과 동시에 차량내부에서 무선카팩을 이용하여 핸즈프리가 가능하도록 마이크를 연결시킨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휴대폰을 고정하거나 거치시키고 충전시키기 위해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차량용 충전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충전 거치대에 차량의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유에스비 잭이 형성되고, 상기 유에스비 잭의 후단부에 각각의 코드가 연결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코드에는 차량의 전원을 인가시키는 시거잭과, 휴대폰을 충전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는 충전잭과, 상기 휴대폰과 연결되어 음악을 듣거나 멀티미디어기기와 연결되어 차량의 카스테레오에 장착된 오디오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플러그로 이루어지는 유에스비 코드 어세이와;
상기 유에스비 코드 어세이의 수플러그에 연결되는 암플러그를 구비하고, 휴대폰과 연결되고 무선카팩을 이용하여 핸즈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이어폰 플러그를 구비하며,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후단부에는 마이크가 구비되며 각각의 코드에 의해 연결되는 핸즈프리 코드 어세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는 각각의 코드가 모두 연결되어 있으므로 충전코드를 잃어버릴 염려가 없고 취급 관리가 쉽고 장소를 많이 차지 하지 않으므로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는 휴대폰 충전과 무선카팩과 핸즈프리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저렴하고, 구성이 간단하므로 소비자가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장치를 모두 사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욕구를 충분히 충족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A WIRELESS CARPACK WITH A HANDPHONE CHARGER AND HANDS FREE A SINGLE CODE}
본 고안은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차량에 사용되는 시가잭 전원코드와 휴대폰 충전 코드를 하나의 유에스비 잭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더 나아가서 무선카팩용 플러그를 유에스비 잭과 일체가 되도록 연결한 후, 휴대폰을 거치시키는 충전 거치대에 일체형 코드를 끼워서 휴대폰의 충전과 휴대폰의 MP3음악 또는 멀티미디어기기의 MP3음악을 차량의 오디오 스피커를 통해서 들을 수 있도록 무선카팩을 제공함과 동시에 차량내부에서 무선카팩을 이용하여 핸즈프리가 가능하도록 마이크를 연결시킨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정보통신이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여러가지 개인 휴대전화 - 휴대폰들이 출현하고 이는 장소에 구애없이 자유롭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휴대폰 주변기기도 함께 발전하게 되었는데 특히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기는 휴대폰의 사용에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최근에 이르러서는 다양한 멀티미디어의 기술개발에 의해서 원음에 가까운 음질과 사용자가 좋아하는 곡만을 녹음하여 휴대하고 다니면서 들을 수 있는 장치(CD, MD, DVD, MP3 등)들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장치들을 차량에서도 운전하면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한 카팩이 등장하였다.
카팩이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즉, 휴대용 CD, CDP, MDP, MP3 등의 음향기기의 음원을 자동차의 카스테레오를 통해서 음원 전송 후, 음악을 자동차에 설치된 고성능 및 고기능의 오디오 스테레오 사운드로 청음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종의 컨버터로서 무선카팩과 유선카팩으로 구분되어지고 유선카팩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카셋트 테잎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모서리에 이어폰 단자가 부착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카스테레오에 삽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무선카팩의 경우에는 FM라디오 주파수와 카팩의 주파수를 일치시켜서 무선방식으로 이어폰 단자를 멀티미디어기기에 꽂아서 사운드를 즐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또 다른 카팩의 경우에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휴대용 CD, CDP, MDP, MP3 등)들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거치대를 구비하고 거치대와 연결되는 이어폰용 잭과 시가잭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 것도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카팩의 경우에는 전원선과 이어폰 선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차량의 실내 설치시 선들이 서로 얽히고 꼬여서 보기가 흉하였고, 선들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카팩을 이용하는 경우 이어폰단자와 연결되는 이어폰을 운전자의 귀에 꽂고 있어야 하므로 운전을 방해하여 사고를 발생시키고 장시간 귀에 꽂고 있을 경우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 나아가서는 종래에는 차량의 충전 거치대와 무선카팩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므로서 차량의 실내가 더욱 복잡해지고 지저분해지거나 선들이 서로 꼬이고 얽혀서 운전자들의 불편함을 가중시키고 각각의 장치들을 구비하기 위하여 고가의 비용을 투자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차량용 충전 거치대는 시가잭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시가잭 전원선과 충전 거치대로부터 인출되어 휴대폰으로 연결되는 휴대폰 전원선이 각각 사용되어야 하므로 차량의 외관이 지저분하고, 설치가 까다로왔으며, 휴대폰을 분리시에는 전원선을 일일이 분리해야 하므로 번거로왔고, 또한 각각의 전원선을 보관하고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무선 카팩의 경우에도 카팩과 연결되는 이어폰 단자 코드와 전원선으로 연결되는 단자 코드등이 서로 얽히거나 꼬이는 불편함이 있었고, 각각 별개의 장치이므로 서로 다른 선들을 구분하여 정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관리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휴대폰 충전 거치대와 카팩을 별도로 구매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이유로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는 운전자들의 음악적 취향을 편리하게 만족시키면서도 휴대폰을 용이하게 충전시키고 거치시킬 수 있는 발명을 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휴대폰의 기능이 더욱 우수해지면서 휴대폰에 MP3를 저장하여 들을 경우 휴대폰에 직접 연결하여 고성능의 차량용 오디오를 통하여 카스테레오를 이용하여 수준높은 음질의 음악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휴대폰을 동시에 충전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하나의 장치로 제조함으로서 휴대폰 충전 거치대와 무선 카팩을 저렴하게 공급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차량을 운행하면서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 있는 핸즈프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차량의 운행시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법으로 처벌받게 되므로 별도의 핸즈프리를 구입하거나 핸즈프리를 차량에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출원인은 휴대폰 충전과 무선카팩 등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일체형 코드를 개발하였으나 더 나아가서 마이크를 구비시키고 무선카팩을 이용하여 핸즈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일체형 코드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폰 충전과 무선카팩과 핸즈프리를 일체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갈수록 고기능화되는 휴대폰의 MP3저장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휴대폰에 저장된 MP3음악을 차량내에 설치된 고음질의 오디오 스피커로 생생하게 즐길 수 있는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휴대폰 충전 거치대에서 인출된 각종 연결선들을 간편하게 정리하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차량의 카팩을 연결하는 이어폰 플러그를 일체화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휴대폰 충전 거치와 무선 카팩 및 핸즈프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일체형 코드를 동시에 구성함으로서 소비자에게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휴대폰 충전과 무선 카팩과 핸즈프리를 일체화시킴으로서 장치를 소형화시킬 수 있는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차량 내부에서 무선카팩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통화할 수 있는 핸즈프리가 가능하도록 마이크를 구비시킨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휴대폰을 고정하거나 거치시키고 충전시키기 위해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차량용 충전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충전 거치대에 차량의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유에스비 잭이 형성되고, 상기 유에스비 잭의 후단부에 각각의 코드가 연결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코드에는 차량의 전원을 인가시키는 시거잭과, 휴대폰을 충전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는 충전잭과, 상기 휴대폰과 연결되어 음악을 듣거나 멀티미디어기기와 연결되어 차량의 카스테레오에 장착된 오디오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플러그로 이루어지는 유에스비 코드 어세이와;
상기 유에스비 코드 어세이의 수플러그에 연결되는 암플러그를 구비하고, 휴대폰과 연결되고 무선카팩을 이용하여 핸즈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이어폰 플러그를 구비하며,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후단부에는 마이크가 구비되며 각각의 코드에 의해 연결되는 핸즈프리 코드 어세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어폰 플러그는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는 마이크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어폰 플러그는 3.5Φ원형의 플러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어폰 플러그는 10극의 사각플러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를 사용할 수 있는 일체형 코드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를 사용할 수 있는 일체형 코드를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를 사용할 수 있는 일체형 코드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우선, 도 1 및 도 3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본 고안의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를 사용할 수 있는 일체형 코드는 유에스비 잭(10)이 단부에 형성되어 각종 전자기기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유에스비 코드 어세이(100)와, 상기 유에스비 코드 어세이(100)에 연결되고 핸즈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핸즈프리 코드 어세이(200)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유에스비 코드 어세이(100)는 휴대폰(300)이 고정됨과 아울러 휴대폰이 충전되도록 이루어진 충전 거치대(미도시됨)와 차량의 오디오 스피커를 통해서 고음질의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연결하는 휴대폰 충전 및 무선카팩 이 가능하게 일체형 코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유에스비 코드어세이(100)에 연결되어 핸즈프리가 가능하도록 마이크(28)가 구비된 핸즈프리 코드 어세이(20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미도시된 충전 거치대를 통해 휴대폰이 충전되는 기술 구성은 통상의 충전 회로로 구성되어 있고, 무선카팩을 사용하기 위한 FM 무선회로 및 각종 전기회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통상의 전기회로를 적용하므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계속해서, 본 고안의 유에스비 코드 어세이(100)를 설명하여 보면, 우선 유에스비 잭(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에스비 잭(10)의 후단부에는 전원코드(12)가 연결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원코드(12)의 단부에는 차량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시거잭(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에스비 잭(10)의 후단부에는 충전코드(16)가 연결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충전코드(16)의 단부에는 충전잭(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잭(18)은 다양한 기종의 휴대폰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호환성이 우수하고 규격화된 24핀잭을 사용한다.
상기 유에스비 잭(10)의 후단부에는 플러그 코드(20)가 연결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코드(20)의 단부에는 수플러그(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플러그(22)는 3.5Φ플러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에스비 코드 어세이(100)는 상기 시거잭(14)과, 충전잭(18)과, 수플러그(22)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플러그(22)에는 핸즈프리 코드 어세이(200)가 연결되어 진다.
상기 핸즈프리 코드 어세이(200)는 이어폰 플러그(24)의 후단부에 마이크 코드(26)가 연결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 코드(26)의 단부에는 마이크(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어폰 플러그(24)는 4극 변환잭으로서 상기 마이크(28)와 연결되는 마이크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마이크(28)는 성능이 우수하고 소형인 씨(c) 마이크를 사용한다.
상기 이어폰 플러그(24)의 후단부에는 플러그 코드(30)가 연결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코드(30)의 단부에는 암플러그(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플러그(32)는 상기 수플러그(22)와 결합되도록 3.5Φ플러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즈프리 코드 어세이(200)의 암플러그(32)는 상기 유에스비 코드 어세이(100)에 형성된 수플러그(22)에 끼워져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유에스비 코드 어세이(100)의 시거잭(14)을 차량의 시거잭 플러그에 꽂아서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유에스비 코드 어세이(100)의 유에스비 잭(10)은 미도시된 충전 거치대에 꽂아서 연결시킨다.
상기와 같이 연결되면 차량의 12V의 배터리 전원이 시거잭(14)으로부터 유에스비 잭(10)을 통해서 충전거치대로 전원이 인가된다.
이때, 휴대폰의 충전은 상기 충전잭(1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지고, 각종 멀티미디어 기기(휴대용 CD, CDP, MD, DVD, MP3 등)- 바람직하게는 MP3 또는 휴대폰에 저장된 MP3용 음악을 들을 수 있는 휴대폰은 상기 수플러그(22)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유에스비 코드 어세이(100)에 핸즈프리 코드 어세이(200)를 결합 연결 시키면 핸즈프리가 가능하다.
즉, 핸즈프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암플러그(32)를 상기 수플러그(22)에 끼워서 연결시킨다.
상기 암플러그(32)의 일단에는 이어폰 플러그(24)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어폰 플러그(24)를 휴대폰(300)에 연결시킨다.
상기 이어폰 플러그(24)에는 마이크 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어폰 플러그(24)의 후단부에는 마이크(28)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무선카팩의 기능을 이용하여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서 음성이 전달되므로 핸즈프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휴대폰(100)에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되어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잭(18)은 통상의 규격품인 24핀 커넥터를 사용하고, 이때 직류전압 D.C 4.2V가 출력된다.
상기 시거잭(14), 충전잭(18), 수플러그(22) 및 마이크(28) 그리고 암플러그(32)를 연결하고 있는 각각의 코드들은 길이가 자유롭게 늘어나고 줄어들 수 있는 코일형 전원선 또는 3차원 공간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이고 회동할 수 있는 플렉시블 케이블 또는 감겼다가 풀리는 구조의 권취선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극히 용이하다 할 것이다.
상기 유에스비(USB) 잭(10)은 5핀형으로서 첫번째 핀은 그라운드로 형성되어 있고, 두번째 및 세번째 핀은 수플러그(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무선카팩의 좌,우측 채널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네번째 핀은 상기 휴대폰(100)과 연결되어 충전시킬 수 있도록 24핀의 충전잭(18)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다섯번째 핀은 상기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시거잭(14)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5핀형의 유에스비(USB)잭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충전시키는 전기회로도 통상의 회로도를 이용하므로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휴대폰 충전 및 무선카팩을 일체형 코드를 통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코드 및 전원선이 복잡하지 않고, 간단하게 정리가 될 수 있으며, 보관 및 휴대가 편리하다.
또한, 핸즈프리를 사용할 경우, 핸즈프리 코드 어세이(200)를 연결하여 사용하면 상기 무선카팩을 통해서 차량의 오디오로 통화가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휴대폰(300)과 연결되어 핸즈프리를 이용할 수있도록 마이크 단자가 구비된 이어폰 플러그(25)를 사용하는 바, 이때 10극의 사각 잭을 이용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즉, 최근의 휴대폰(300)은 다양한 기종과 함께 원형의 플러그 또는 사각의 플러그를 적절하게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는 바, 사각의 플러그 잭에도 호환성이 이루어지도록 사각잭을 사용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술된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고안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는 각각의 코드가 모두 연결되어 있으므로 충전코드를 잃어버릴 염려가 없고 취급 관리가 쉽고 장소를 많이 차지 하지 않으므로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는 휴대폰 충전과 무선카팩과 핸즈프리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저렴하고, 구성이 간단하므로 소비자가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장치를 모두 사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욕구를 충분히 충족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를 사용할 수 있는 일체형 코드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를 사용할 수 있는 일체형 코드를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를 사용할 수 있는 일체형 코드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에스비잭 12 : 전원코드
14 : 시거잭 16 : 충전코드
18 : 충전잭 20 : 플러그 코드
22 : 수플러그 24 : 이어폰 플러그
26 : 마이크 코드 28 : 마이크
30 : 플러그 코드 32 : 암플러그
100 : 유에스비 코드 어세이
200 : 핸즈프리 코드 어세이

Claims (4)

  1. 휴대폰을 고정하거나 거치시키고 충전시키기 위해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차량용 충전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충전 거치대에 차량의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유에스비 잭이 형성되고, 상기 유에스비 잭의 후단부에 각각의 코드가 연결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코드에는 차량의 전원을 인가시키는 시거잭과, 휴대폰을 충전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는 충전잭과, 상기 휴대폰과 연결되어 음악을 듣거나 멀티미디어기기와 연결되어 차량의 카스테레오에 장착된 오디오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플러그로 이루어지는 유에스비 코드 어세이와;
    상기 유에스비 코드 어세이의 수플러그에 연결되는 암플러그를 구비하고, 휴대폰과 연결되고 무선카팩을 이용하여 핸즈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이어폰 플러그를 구비하며,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후단부에는 마이크가 구비되며 각각의 코드에 의해 연결되는 핸즈프리 코드 어세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플러그는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는 마이크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플러그는 3.5Φ원형의 플러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플러그는 10극의 사각플러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
KR20-2005-0017850U 2005-06-21 2005-06-21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 KR2003958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850U KR200395865Y1 (ko) 2005-06-21 2005-06-21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850U KR200395865Y1 (ko) 2005-06-21 2005-06-21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865Y1 true KR200395865Y1 (ko) 2005-09-14

Family

ID=4369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850U KR200395865Y1 (ko) 2005-06-21 2005-06-21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8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319B1 (ko) 2005-11-09 2007-05-18 (주)테일러테크놀로지 멀티미디어용 휴대기기의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319B1 (ko) 2005-11-09 2007-05-18 (주)테일러테크놀로지 멀티미디어용 휴대기기의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14536A1 (en) Modular adaptor assembly for personal digital appliance
US6591085B1 (en) FM transmitter and power supply/charging assembly for MP3 player
US6526287B1 (en) Cellular phone capable of accommodating electronic device
US7876912B2 (en) Dual mode headset device
KR100721531B1 (ko) 도크 커넥터와 유에스비 커넥터 내장된 이어폰형 복합기능액세서리
US6931266B2 (en) Cellular phone in which memory is removably installable due to the removability of battery, and battery recharger capable of supporting date write to cellular phone memory
US20070077965A1 (en) Portable docking station for cell phone
AU2003251995B2 (en) Modular adaptor assembly for personal digital appliance
US20070230735A1 (en) Selective type headset
US20050151422A1 (en)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in a vehicle
CN103079150A (zh) 一种移动通讯或便携式电脑的立体声解决方案
US20080227426A1 (en) Structure of a car multimedia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KR200395865Y1 (ko) 무선카팩과 핸드폰 충전과 핸즈프리가 가능한 일체형 코드
CN203243510U (zh) 一种立体声蓝牙耳机
KR200370313Y1 (ko) 일체형 코드가 구비된 차량용 휴대폰 충전 거치대 겸용무선카팩
CN203233464U (zh) 带立体声蓝牙耳机的手机套
JP3111782U (ja) コネクタを備えたブルートゥース無線イヤホン
US20070259701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Detachable Audio Earpiece
WO2010060276A1 (zh) 无线扬声器装置与无线耳机的组合装置
KR200438262Y1 (ko) 엠피쓰리 장치
CN209881874U (zh) 一种多功能手机壳
US20060141925A1 (en) Hands-free adaptor
KR200406680Y1 (ko) 스피커 장치
KR100733485B1 (ko) 유에스비 커넥터 내장된 이어폰형 에프엠 트랜스미터
US20060068706A1 (en) Connector attached bluetooth wireless ear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