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565Y1 - 삼파장램프의 브라켓 - Google Patents

삼파장램프의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565Y1
KR200395565Y1 KR20-2005-0017875U KR20050017875U KR200395565Y1 KR 200395565 Y1 KR200395565 Y1 KR 200395565Y1 KR 20050017875 U KR20050017875 U KR 20050017875U KR 200395565 Y1 KR200395565 Y1 KR 2003955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bracket
wavelength lamp
lamp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코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코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코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2005-0017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5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5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5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1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permanently, e.g. welding, gluing or rive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 F21V19/008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at least one conductive element acting as a support means, e.g. resilient contact blades, piston-lik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01R33/083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characterised by the lamp hol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삼파장램프의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삼파장램프가 끼워지는 소켓과 상기 소켓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마감시키는 커버를 일체화시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되, 그 견고성을 향상시키고, 조립을 용이하게 유도한 삼파장램프의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삼파장램프의 브라켓 제작시 반드시 필요한 커버와 소켓을 하나로 일체화하여 소켓의 기능도 하면서 커버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한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의 소켓은 커버와 소켓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제작은 한번의 사출을 통해 제작할 수 있기에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그 내구성 역시 높다.
더불어 본 고안의 브라켓은 삼파장램프와 소켓 간의 견고한 체결을 달성하기에 별도의 탄성판이 필요 없어 미관상 깔끔하며, 그 체결의 상태가 견고하다.

Description

삼파장램프의 브라켓{The bracket of an electric bulb}
본 고안은 삼파장램프의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삼파장램프가 끼워지는 소켓과 상기 소켓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마감시키는 커버를 일체화시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되, 그 견고성을 향상시키고, 조립을 용이하게 유도한 삼파장램프의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구란 우리 인류사에서 약 100년이 넘게 주위를 밝혀준 도구로, 필라멘트를 이용한 백열전구에서 시작되어 형광등을 거치고, 현재 3파장 전구에 이르기까지 많은 발전을 해오고 있다.
그런데 우리가 일상적인 용어로 사용하는 상기 3파장 전구란 사실상 전구가 아닌 형광등의 일종이다.
즉, 필라멘트에 전류를 흘리면 이 필라멘트에서는 열과 빛이 발생되고 이를 이용하여 주변을 밝히는 형태의 백열전구가 아니라, 형광등처럼 원자가 에너지를 흡수했다가 방출할 때 발생하는 빛을 이용하는 것이다.
참고로 이러한 3파장 전구의 경우 적, 녹, 청의 세 가지 발광색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기존 형광등에서 빠져 있는 적색의 발광성분이 추가된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형광등의 차가운 푸른빛에서 부드러운 빛을 내는 백열전구의 장점도 흡수한 개량된 형광등이다.
이러한 3파장 전구의 경우, 그 모양과 효율 및 수명에 있어서 혁신적이기에 기존의 형광등이나 백열전구의 위치를 점점 위협해 가며, 사용이 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상점, 복도, 엘리베이터와 같이 장시간 불을 켜 놓는 곳은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지만, 종래 상기 삼파장램프(100)를 장착하는 그 브라켓에 많은 문제가 있었기에 도시된 도 1과 2를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도 1과 도 2에서 보이듯, 종래의 삼파장 램프 브라켓은 천장과 맞닿아 고정되는 몸체부(101)가 있고, 그 하부로 삼파장 램프(100)의 단자(102)가 끼워질 소켓(103)이 비치된다.
물론 상기 소켓(103)이 외부에서 보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소켓(103)을 감싸는 커버(104)도 그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종래의 삼파장램프(100)의 사용자는 먼저 브라켓을 천장에 견고히 체결한 상태에서 삼파장램프(100)를 소켓(103)에 끼워 넣고, 상기 램프(100)가 중력에 의해 작용되는 토크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판(105)으로 그 끝단을 잡도록 끼우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삼파장램프(100)의 브라켓은 우선 반드시 몸체(101)와 소켓(103) 그리고 커버(104)라는 구성요소를 갖추어야만 한다.
그런데 사실상 상기 커버(104)는 램프(100)와 소켓(103) 간의 이음부위를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도록 하는 미감 적인 효과 이외에는 필요가 없는 구성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반드시 구비하고 있는 종래 고안의 삼파장 램프의 브라켓은 그 제작단가도 높고, 견고성도 뒤 떨어진다.
또한 상기 긴 형태의 삼파장램프(100)의 일측에서 작용하는 토크를 잡아주기 위해 별도의 탄성판(105)이 구비되어야 하기에 그 비용도 부가되는 것이다.
하물며 상기 탄성판(105)은 몸체(101)에 스크류를 통해 결합되어야 하며, 램프(100)의 끝단을 잡아 주어야만 하기에 몸체(101)의 길이를 길게 형성시킬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이러한 삼파장 램프(100)의 브라켓은 그 제조비용이 많이 발생하고, 그 내구성도 뒤떨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고안은, 삼파장램프의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삼파장램프가 끼워지는 소켓과 상기 소켓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마감시키는 커버를 일체화시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되, 그 견고성을 향상시키고, 조립을 용이하게 유도한 삼파장램프의 브라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삼파장램프와 결합하여 램프의 불을 밝히는 브라켓에 있어서, 타원형상으로 제작되고, 그 좌우측단에 형성된 천정고정공과, 그 배면에 PCB기판과 안정기를 수용한 몸체부와; 몸체부의 저면 중심부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전구의 단자가 끼워지는 단자구멍이 형성된 타원형상의 소켓과; 상기 몸체부와 소켓 간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조가; 상기 체결구조를 통해 몸체부와 소켓이 견고히 체결되고, 상기 몸체부의 천정고정공을 관통한 스크류가 천정에 체결되어 설치되는 삼파장램프의 브라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부인 상기 몸체부와 소켓 간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조는, 소켓에서 돌출된 화살형 돌기와 몸체부에 형성된 대응하는 삽입공으로 구성된 삼파장램프의 브라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삼파장램프(L)와 결합하여 램프의 불을 밝히는 브라켓이라는 점에서는 종래의 그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브라켓을 이루는 종래의 구성 중 소켓과 커버를 분리된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일체된 형태로 제작한다는 점과, 삼파장램프와 소켓 간의 견고한 결합을 달성하여 별도의 탄성판이 불필요 하다는 점 및 그에 따라 제품의 견고성과 그 제작을 위해 발생되는 비용이 절감된다는 점에서 현저한 효과가 있기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타원형상으로 제작되고, 그 좌우측단에 형성된 천정고정공(11)과, 그 배면에 PCB기판(12)과 안정기를 수용한 몸체부(10)가 있고, 몸체부(10)의 저면 중심부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램프(L)의 단자(7)가 끼워지는 단자구멍(21)이 형성된 타원형상의 소켓(20)이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와 소켓(20) 간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조(3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조(30)를 통해 몸체부(10)와 소켓(20)이 견고히 체결되고, 상기 몸체부(10)의 천정고정공(11)을 관통한 스크류(8)가 천정에 체결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크게 몸체부(10), 소켓(20) 및 소켓(20)과 몸체부(10) 간의 결합을 위한 체결구조(3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본 고안의 중요한 특징은 상기 소켓(20)이 종래의 소켓과 현저히 다른 구성요건(소)라는 것이다.
이유는 종래 삼파장램프의 브라켓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삼파장램프(100)의 몸체(101)에 체결되는 소켓(103)이 별도로 구성되고, 그 안정기와 소켓(103) 간의 연결부위가 미관상 보기에 좋지 않아 이를 감출 수 있는 커버(104)가 별도로 구분된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 소켓의 기능도 하지만, 커버의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소켓(20)이 있다는 것이 구조적으로 큰 특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브라켓은 크게 구획하여 삼파장 램프(L)의 몸체(10)와 소켓(2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소켓(20)에는 삼파장 램프(L)가 끼워지고, 몸체(10)와 소켓(20)은 서로 일체로 결합되게 조립되는데 그를 위한 구성을 체결구조(30)라 한다.
먼저 소켓(20)과 삼파장 램프(L) 간의 결합을 위해 도 7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타원형상의 소켓(20)에는, 그 내부에 삼파장램프(L)의 돌출구(K)와 대응하는 삽입홈(24)이 좌우 양단에 구성된 상태로 제작된다.
따라서 이러한 돌출구(K)와 삽입홈(24) 간의 견고한 체결구조(30)에 따라 종래 고안의 브라켓에서 삼파장램프(L)에 작용하는 토오크를 저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던 탄성판(105)의 구성이 불필요하게 하는 것이다.
결국 본 고안은 그 조립되는 물품도 적으며, 그에 따라 생산단가도 적을 뿐만 아니라 제품이 견고한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와 소켓(20) 간의 견고하면서도 유기적인 결합을 위한 그 체결구조(30)를 갖추고 있는데, 이 체결구조(30)는 아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그 중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의 형태를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고안은 상기 몸체부(10)와 소켓(20) 간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조(30)는, 그 제 1실시예의 형태인 도 4와 5에서처럼, 소켓(20)에서 돌출된 화살형 돌기(31)와 몸체부(10)에 형성된 대응하는 삽입공(32)으로 구성된 상태로 서로 끼워 체결하는 것이다.
이는 소켓(20)에 삽입공(32)을 설치하고, 몸체부(10)에 화살형돌기(31)를 형성시켜도 무방하며, 간단히 끼우는 방식으로 체결이 가능하지만, 일단 화살형 돌기(31)가 삽입공(32)에 밀려 들어가게 되면, 그 자체의 탄성력으로 상기 삽입공(32)의 내주 지름보다 더 넓은 형태의 지름을 가진 돌기가 돌출되는 상태이기에 쉽게 빠지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도 4의 도면에는 상기 돌기(31)와 삽입공(32)이 4개로 형성된 실시예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2개에서 6개까지 형성되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몸체부(10)와 소켓(20) 간의 체결을 위한 제 2의 체결구조(30)는, 스크류(50)를 통해 견고히 체결시킨다.
물론 이러한 체결구조(30)도 역시 전술된 제1실시예의 체결구조(30)와 동일한 목적과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의 상기 몸체부(10)와 소켓(20) 간의 체결을 위한 제 3실시예의 체결구조(30)는, 열 융착을 통해 견고히 체결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처럼, 본 고안은 종래 삼파장램프의 브라켓 제작시 반드시 필요한 커버와 소켓을 하나로 일체화하여 소켓의 기능도 하면서 커버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한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의 소켓은 커버와 소켓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제작은 한번의 사출을 통해 제작할 수 있기에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그 내구성 역시 높다.
더불어 본 고안의 브라켓은 삼파장램프와 소켓 간의 견고한 체결을 달성하기에 별도의 탄성판이 필요 없어 미관상 깔끔하며, 그 체결의 상태가 견고하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삼파장램프의 브라켓을 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삼파장램프의 브라켓을 결합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삼파장램프의 브라켓을 결합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삼파장램프의 브라켓에 대한 제1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삼파장램프의 브라켓에 대한 제1실시예를 결합하여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삼파장램프의 브라켓에 대한 제1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소켓과 삼파장램프간의 견고한 체결을 위한 돌출구와 삽입홈을 도시한 요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몸체부 11; 천정고정공
12; PCB기판 20; 소켓
21; 단자구멍 30; 체결구조
31; 돌기 32; 삽입공
50; 스크류

Claims (6)

  1. 삼파장램프와 결합하여 램프의 불을 밝히는 브라켓에 있어서,
    타원형상으로 제작되고, 그 좌우측단에 형성된 천정고정공과, 그 배면에 PCB기판과 안정기를 수용한 몸체부와;
    몸체부의 저면 중심부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램프(전구)의 단자가 끼워지는 단자구멍이 형성된 타원형상의 소켓과;
    상기 몸체부와 소켓 간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조가;
    상기 체결구조를 통해 몸체부와 소켓이 견고히 체결되고, 상기 몸체부의 천정고정공을 관통한 스크류가 천정에 체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파장램프의 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형상의 소켓은,
    그 내부에 삼파장램프의 돌출구와 대응하는 삽입홈이 좌우 양단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파장램프의 브라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소켓 간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조는,
    소켓에서 돌출된 화살형 돌기와 몸체부에 형성된 대응하는 삽입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파장램프의 브라켓.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와 삽입공은,
    2개에서 6개까지 형성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파장램프의 브라켓.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소켓 간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조는,
    스크류를 통해 견고히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파장램프의 브라켓.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소켓 간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조는,
    열 융착을 통해 견고히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파장램프의 브라켓.
KR20-2005-0017875U 2005-06-21 2005-06-21 삼파장램프의 브라켓 KR2003955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875U KR200395565Y1 (ko) 2005-06-21 2005-06-21 삼파장램프의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875U KR200395565Y1 (ko) 2005-06-21 2005-06-21 삼파장램프의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565Y1 true KR200395565Y1 (ko) 2005-09-13

Family

ID=43696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875U KR200395565Y1 (ko) 2005-06-21 2005-06-21 삼파장램프의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5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8282B (zh) 用於燈管之端蓋組件
CA2623604C (en) Socket for fairy light
US7387407B2 (en) String of light with matched light bulbs and sockets
US7322828B1 (en) LED socket
US8529096B2 (en) Mechanical interface for glass bulb for use in solid state light source retrofit lamps
KR101049162B1 (ko) 직관형 led 램프 조립체
US20110189894A1 (en) Compact fluorescent light fixtures and related lamp conversion kits and adapters
US20140146529A1 (en) LED lamp fixture
WO2017024940A1 (zh) 电连接件
KR101140162B1 (ko) 직관형 엘이디 램프 조립체
KR100841120B1 (ko) 조명등용 전원 연결장치
JP3116268U (ja) ランプユニット
KR200395565Y1 (ko) 삼파장램프의 브라켓
KR200385719Y1 (ko) 조명기구의 전등커버 고정구
KR100904306B1 (ko) 소켓형 엘이디 등
US20100296300A1 (en) LED lamp
US8087802B1 (en) Compact florescent lamp cover
KR200379701Y1 (ko) 콤팩트형 형광램프
CN202140842U (zh) 一种led照明装置
US7568951B1 (en) Socket for fairy light
EP3607240A1 (en) Lighting device and luminaire comprising the same
KR200298341Y1 (ko) 형광등 케이스의 투광커버 결합구조
TW201405062A (zh) 內建整流模組之燈具
KR20100003609A (ko) 형광등형 엘이디 조명기구
KR101199168B1 (ko) 차량용 소켓 타입의 엘이디 램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