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526Y1 - 케이블용 지지선 인입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지지선 인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5526Y1 KR200395526Y1 KR20-2005-0017465U KR20050017465U KR200395526Y1 KR 200395526 Y1 KR200395526 Y1 KR 200395526Y1 KR 20050017465 U KR20050017465 U KR 20050017465U KR 200395526 Y1 KR200395526 Y1 KR 20039552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let
- cable
- clamping board
- state
- support lin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491 wire draw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02G7/056—Dead-end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을 전주에 견고한 상태로 지지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에 일체화된 지지선을 인입상태로 결속하는 인입클램프가 클램핑보드에 다수로 설치되어 한꺼번에 다수 회선의 케이블을 견고하게 지지함은 물론 상기 인입클램프를 단독으로 분리, 교체할 수 있는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용 지지선 인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전주용밴드에 형성된 다수의 연결고리에 일체로 연결되고 양측 선단에 클램핑보드와 분리됨을 방지하는 분리방지판이 형성된 연결스트랩과;
상기 연결스트랩의 양측을 삽입상태로 지지하는 삽지홈이 양측에 형성되고 삽지홈의 내측 상,하에 다수의 삽입홀이 형성된 클램핑보드와;
상기 삽입홀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다수의 인입클램프를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케이블을 전주에 견고한 상태로 지지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에 일체화된 지지선을 인입상태로 결속하는 인입클램프가 클램핑보드에 다수로 설치되어 한꺼번에 다수 회선의 케이블을 견고하게 지지함은 물론 상기 인입클램프를 단독으로 분리, 교체할 수 있는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용 지지선 인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용량의 정보를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근자에 들어 금속케이블을 대신하여 케이블(Optical cable)이 통신 전송로로서 주역의 자리를 확고히 하고 있다.
상기 케이블 중에서 특히 도 1과 같이 전주(1)에 설치된 광통신용 옥외함체(2)에서 분기되어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광케입블은 공중으로 건너도록 가설되며, 이러한 케이블을 가공케이블(overhead cable)이라고 한다.
상기 가공케이블이라 불리는 케이블(3)은 풍압무게, 착설에 의한 중량 증가 등의 요인으로 인해 하부로 쳐지거나 온도변화에 따라 케이블이 수축 및 팽창되는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이를 차단하기 위한 방안으로 케이블에 지지선(4)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며, 상기 지지선(4)은 부식 등을 감안하여 알루미늄합금으로 와이어의 형태로 길게 형성되고, 대표적인 가공케이블은 케이블의 외피와 지지선의 외피가 일체로 연결된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선을 전주에 결착된 전주용밴드(5)와 결합되는 클램프에 일체로 결속하여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므로써 상기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클램프는 공통적으로 다수 회선의 케이블을 동시에 결속할 수 없고 다만, 단일 회선의 케이블을 결속함에 제한되므로써 한꺼번에 다수 회선의 케이블을 지지하지 못해 작업성이 저하되며, 상기 클램프의 파손시 클램프만을 단독으로 교체할 수 없어 유지,보수에 따른 어려움이 가중됨은 물론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스트랩을 매개로 전주와 연결되는 클램핑보드에 다수의 인입클램프를 배치하여 한꺼번에 다수 회선의 케이블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인입클램프는 선택적으로 결합,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파손시 이를 단독으로 교체할 수 있게 함을 고안의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주에 결착되는 전주용밴드에 연결가능한 연결스트랩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스트랩의 선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클램핑보드를 구비하며, 상기 클램핑보드에 설치되는 다수의 인입클램프를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전주용밴드(5)에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스트랩(10)과, 상기 연결스트랩(10)의 양측 선단을 삽입상태로 지지하고 다수의 인입클램프(30)가 설치되는 클램핑보드(20)와, 상기 클램핑보드(20)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다수의 인입클램프(3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을 실시 가능하도록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고안의 지지선 인입장치가 연결되는 전주용밴드(5)는 전주(1)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결착되며, 외측에는 상기 연결스트랩(10)이 일체로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고리(6)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공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연결고리(6)에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스트랩(10)은 U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는 양측 선단에는 클램핑보드(20)와 결합시 클램핑보드(20)로부터 자연적으로 분리됨을 차단하는 분리방지판(11)이 각각 형성되며, 양측에는 클램핑보드(20)에 형성된 삽지홈(21)의 외측 개방구(23)를 통해 연결스트랩(10)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납짝한 형태를 갖는 한 쌍의 플렛부(12)가 각각 엇갈린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한 쌍의 플렛부(12)는 수평상태 및 수직상태로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므로써 후방측에 위치하는 수직상태의 플렛부(12)를 통해 도 5와 같이 연결스트랩(10)의 일측을 삽지홈(21)에 삽입한 후 연결스트랩(10)을 90도 회전시키고, 순차적으로 도 6과 같이 전방측에 위치하는 수평상태의 플렛부(12)를 통해 연결스트랩(10)의 타측을 삽지홈(21)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설령 수평상태의의 플렛부(12)를 통해 연결스트랩(10)의 일측이 클램핑보드(20)로부터 분리되더라도 다른 한 쪽의 플렛부(12)는 수직상태를 이루므로써 연결스트랩(10)이 완전하게 분리됨을 방지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연결스트랩(10)의 양측 선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클램핑보드(20)는 연결스트랩(10)의 양측을 삽입상태로 견고하게 지지하는 삽지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삽지홈(21)의 내측으로는 인입클램프(30)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홀(22)이 상,하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22)은 본 고안에서 주로 2개로 형성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7과 같이 3개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독으로도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삽입홀(22)의 갯수를 달리하거나 삽입홀(22)을 병렬 또는 다수의 열로 배치하는 것 만으로는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날 수 없게 된다.
다만 단독으로 설치되는 경우 한꺼번에 다수 회선의 케이블(3)을 지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반면, 상기 삽입홀(22)을 다수로 형성할수록 더욱 많은 회선의 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으나 너무 많은 갯수로 형성될 경우 선처리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통상 2~4개정도의 사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삽지홈(21)은 연결스트랩(10)을 삽입할 수 있도록 도 4와 같이 삽지홈(21)의 외측으로 개방구(23)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23)는 삽입경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개방구(23)는 연결스트랩(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외향으로 벌어지면서 분리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지홈(21)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스트랩(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자연적으로 분리됨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상기 개방구(23)는 플렛부(12)를 통해 연결스트랩(10)의 결합시 삽입이 용이하도록 외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벌어지는 가이드면(24)이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22)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다수의 인입클램프(30)는 삽입홀(22)에 억지끼움상태로 삽입되므로써 인위적으로 이를 분리시키지 않는 한 자연적으로 분리됨을 방지하며, 일측의 인입구(31)를 통해 케이블(3)의 지지선(4)을 인입시키면 자동으로 지지선(4)을 강력하게 파지하여 견고한 결속상태를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입클램프(30)는 내부에 설치된 조오가 스프링에 의해 탄지된 상태에서 지지선의 인입시 지지선(4)을 강력하게 조여주는 공지의 클램프와 같은 형태이다.
다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상기 인입클램프(30)가 클램핑보드(20)에 다수로 설치됨은 물론 상기 인입클램프(30)는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인입클램프(30)의 파손시 이를 단독으로 교체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도 5 내지 도 6과 같은 방법으로 클램핑보드(20)에 연결스트랩(1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스트랩(10)을 전주용밴드(5)에 형성된 다수의 연결고리(6)에 연결시킨 후 각각의 인입클램프(30)에 피복을 벗긴 지지선(4)을 인입시키면 자동으로 지지선(4)이 견고한 결속상태를 유지하므로써 케이블(3)은 팽팽한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신속하고 간편한 방법으로 케이블(3)을 견고하게 지지함은 물론 한꺼번에 다수 회선의 케이블(3)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장기간이 경과하여 상기 인입클램프(30)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이 저하됨에 따라 지지선(4)의 결속력이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8과 같이 인입클램프(30)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선(4)을 추가적으로 록킹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클램핑보드(20)의 상,하부에는 각각 록킹홀(25)이 형성되며, 상기 인입클램프(30)를 통과한 지지선(4)은 유턴하여 상기 록킹홀(25)을 관통한 후 압착구(4a)가 일체로 압착 설치되므로써 상기 인입클램프(30)의 결속력이 저하되더라도 지지선(4)이 인입클램프(30)로부터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케이블에 일체화된 지지선이 결속되는 인입클램프가 클램핑보드에 다수로 설치됨에 따라 다수 회선의 케이블을 동시에 견고하게 지지하므로써 작업성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선은 인입클램프에 인입시 자동으로 결속상태를 유지하므로써 작업이 매우 간편하며, 작업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인입클램프는 선택적으로 결합, 분리되므로써 파손시 상기 인입클램프를 단독으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따른 편의성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 일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클램핑보드와 인입클램프의 결합상태 사시도 및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삽지홈의 확대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 클램핑보드와 연결스트랩의 결합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클램핑보드와 인입클램프의 다른 실시예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지지선의 다른 실시예 록킹상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주 3: 케이블
4: 지지선 10: 연결스트랩
12: 플렛부 20: 클램핑보드
21: 삽지홈 22: 삽입홀
30: 인입클램프 31: 인입구
Claims (5)
- 전주용밴드(5)에 형성된 다수의 연결고리(6)에 일체로 연결되고 양측 선단에 클램핑보드(20)와 분리됨을 방지하는 분리방지판(11)이 형성된 연결스트랩(10)과;상기 연결스트랩(10)의 양측을 삽입상태로 지지하는 삽지홈(21)이 양측에 형성되고 삽지홈(21)의 내측 상,하에 다수의 삽입홀(22)이 형성된 클램핑보드(20)와;상기 삽입홀(22)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다수의 인입클램프(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지지선 인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연결스트랩(10)은 삽지홈(21)의 개방구(23)를 통해 삽입 가능하도록 양측에 엇갈리게 한 쌍의 납짝한 형태의 플렛부(12)가 형성되고, 상기 플렛부(12)는 각각 수직 및 수평상태로 형성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지지선 인입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삽지홈(21)은 외측으로 연결스트랩(10)이 삽입되는 경로인 개방구(23)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23)는 연결스트랩(10)이 외부로 벌어지면서 분리되지 않도록 삽지홈(21)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스트랩(1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개방구(23)에는 외향으로 벌어진 가이드면(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지지선 인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인입클램프(30)는 일측의 인입구(31)를 통해 지지선(4)의 인입시 자동으로 지지선(4)을 강력하게 파지하여 견고한 결속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지지선 인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인입클램프(30)를 통과한 지지선(4)은 클램핑보드(20)의 상,하부에 형성된 록킹홀(25)을 관통한 후 압착구(4a)가 일체로 압착 설치되어 견고한 록킹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지지선 인입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7465U KR200395526Y1 (ko) | 2005-06-17 | 2005-06-17 | 케이블용 지지선 인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7465U KR200395526Y1 (ko) | 2005-06-17 | 2005-06-17 | 케이블용 지지선 인입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5526Y1 true KR200395526Y1 (ko) | 2005-09-13 |
Family
ID=43696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7465U KR200395526Y1 (ko) | 2005-06-17 | 2005-06-17 | 케이블용 지지선 인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5526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2322Y1 (ko) * | 2019-07-01 | 2020-09-16 | (주)동인엔지니어링 | 다점식 토글클램프 |
-
2005
- 2005-06-17 KR KR20-2005-0017465U patent/KR20039552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2322Y1 (ko) * | 2019-07-01 | 2020-09-16 | (주)동인엔지니어링 | 다점식 토글클램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17052B1 (en) | Installation tool system for pole-mounted communication cables | |
US8648254B2 (en) | Device and method for stringing overhead cable | |
CN201196692Y (zh) | 装有光纤连接器的光缆及其牵引部件和光纤连接器 | |
KR101700919B1 (ko) | 전주에 케이블을 인장하여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고정 클램프 | |
US20050254768A1 (en) | Drop wire clamp | |
CN205565582U (zh) | 一种电缆固定线夹装置 | |
KR200395526Y1 (ko) | 케이블용 지지선 인입장치 | |
US20140367163A1 (en) | Conductor spool and optical fiber / electrical composite cable with conductor spool assembly | |
KR101206886B1 (ko) |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 | |
CN108879501A (zh) | 一种可调节式线夹定位装置 | |
CN105811315A (zh) | 110kv变电站电缆架设夹具 | |
CN218524929U (zh) | 一种通讯工程光纤交换箱 | |
KR200393276Y1 (ko) |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 | |
KR101923903B1 (ko) | 가공선로의 광섬유복합중성선 교체 공법 | |
CN213782809U (zh) | 一种基于电子信息通信用线缆夹持装置 | |
KR101785718B1 (ko) | 배전용 케이블 클램핑장치 | |
CN213636951U (zh) | 一种光电缆理线器 | |
KR200380997Y1 (ko) | 광케이블 접속단자의 광케이블 고정장치 | |
CN219181143U (zh) | 一种便于使用的电力耐张线夹 | |
KR100887419B1 (ko) | 송·배전선용 클램프 | |
CN201152904Y (zh) | 预绞式光缆引下线夹组件 | |
KR101668108B1 (ko) | 통신용 케이블 행거 | |
KR20100062001A (ko) | 유형케이블행거 | |
CN203014315U (zh) | 一种终端线夹 | |
CN105870864A (zh) | 一种快速接续耐张线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905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