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487Y1 -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 - Google Patents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487Y1
KR200395487Y1 KR20-2005-0017130U KR20050017130U KR200395487Y1 KR 200395487 Y1 KR200395487 Y1 KR 200395487Y1 KR 20050017130 U KR20050017130 U KR 20050017130U KR 200395487 Y1 KR200395487 Y1 KR 200395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eway
rim
jet
inlet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1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우
Original Assignee
대림요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요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요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71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4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4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4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wall, e.g. to a wall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8Siph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변기 본체 내부의 림도수로 상에서 분기된 제트 도수로를 비롯하여 림 도수로로 유입되는 세정수의 유입량을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세정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벽면측에 형성된 유입구로부터 변기 본체 내부에 형성된 림 도수로로 세정수가 전량 유입되고, 유입된 세정수의 일부는 상기 림 도수로 상의 입구측에서 분기된 제트 도수로 유입구를 통해 보올부의 하부측 제트 분출구로 분출되고, 나머지 세정수는 림 도수로에 구비된 림 배출공을 통해 보올부 내측면으로 배출되어져 변기 본체 내부의 배수트랩 및 상기 벽면측에 형성된 배출구로 유출되는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에 있어서, 상기 제트 도수로 유입구의 후방측으로 인접한 위치에 세정수의 일부를 제트 도수로의 유입구로 유도하는 소정형상의 둑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둑은 변기 본체를 좌우로 양분하는 상기 림 도수로의 어느 일방으로 선회력이 부여되도록 상기 림 도수로의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비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Wall hung toilet with siphon system}
본 고안은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변기 본체 내부의 림도수로 상에서 분기된 제트 도수로를 비롯하여 림 도수로로 유입되는 세정수의 유입량을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세정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세식 변기와 마찬가지로 벽걸이식 변기의 경우 사이펀작용에 의해 오물을 배출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공급된 세정수를 제트 도수로와 림 도수로로 유도한 다음, 보올부와 배수트랩을 거쳐 발생하는 사이펀작용에 의해 오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벽걸이식 변기의 세정력과 배수효과 등을 개선하고자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 20-2005-8501호의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래기술은 바닥에서 소정높이 이격된 상태에서 벽면(W)에 매설된 세정수 공급관(210)과 배출관(220)에 변기 본체(T) 내부에 구비된 유입구(10)와 배출구(90)가 연통되게 설치된다.
도 1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로, 50은 배수트랩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제트 도수로(30)는, 유입구(10)와 연통되는 림 도수로(20)상의 입구(25)측에서 분기되어 이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의 일부가 보올부(1)의 하부측 제트 분출구(37)로 분출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유입구(10)를 통해 세정수의 전량이 림 도수로(20)로 유입된 다음, 제트 도수로(30)로 분기되게 되므로 세정수의 초기 위치에너지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제트 도수로(30)로 유입되는 세정수의 양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림 도수로(20) 바닥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림 배출공(27)으로도 상당량의 세정수가 배출됨으로써 결국 제트 분출구(37)로 분출되는 세정수의 세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트 도수로(30)로 유입되고 남은 세정수가 상기 림 배출공(27)을 통해 배출되므로 선회력이 저하되어 보올부(1) 내측벽의 세정력 또한 저하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변기 본체 내부의 림 도수로 상에 차단비가 상이한 둑을 형성하고, 또한 림 도수로 상에서 분기되는 제트 도수로를 림 도수로 양측 또는 일측에 형성하도록 하여 세정수의 배출구조를 효율적으로 가변할 수 있는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림 도수로 상의 양측에 형성되는 둑의 차단비를 상이하게 형성하여 제트 도수로 및 림 도수로로 유입되는 세정수의 유입량을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세정력을 얻을 수 있는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를 제공함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는, 벽면측에 형성된 유입구로부터 변기 본체 내부에 형성된 림 도수로로 세정수가 전량 유입되고, 유입된 세정수의 일부는 상기 림 도수로 상의 입구측에서 분기된 제트 도수로 유입구를 통해 보올부의 하부측 제트 분출구로 분출되고, 나머지 세정수는 림 도수로에 구비된 림 배출공을 통해 보올부 내측면으로 배출되어져 변기 본체 내부의 배수트랩 및 상기 벽면측에 형성된 배출구로 유출되는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에 있어서, 상기 제트 도수로 유입구의 후방측으로 인접한 위치에 세정수의 일부를 제트 도수로의 유입구로 유도하는 소정형상의 둑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둑은 변기 본체를 좌우로 양분하는 상기 림 도수로의 어느 일방으로 선회력이 부여되도록 상기 림 도수로의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비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트 도수로는 좌우 대칭인 변기 본체 내부의 림 도수로 상의 양측 또는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과 같은 벽걸이식 변기의 경우, 바닥에서 소정높이 이격된 상태에서 벽면(W)에 매설된 세정수 공급관(210)과 배출관(220)에 각각 유입구(100)와 배출구(900)가 연통되게 설치되어야 함은 상기 종래기술과 같다.
상기 공급관(210)과 배출관(220)은 이미 벽면(W) 내부에 시공되어 있으므로 벽걸이식 변기의 유입구(100)와 배출구(900)를 상기 공급관(210)과 배출관(220)에 각각 연통되도록 하면 쉽게 설치가 완료되므로 바닥에 별도의 배출관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깔끔한 처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먼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관(210)과 배출관(220)에 연통되는 유입구(100)와 배출구(900)가 형성되어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게 되는 본 고안의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는, 변기 본체(T) 내부에 크게 보올부(1)와, 림 도수로(200), 둑(230), 제트 도수로(300) 및 배수트랩(5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100)와 연통되는 상기 림 도수로(200)는 보올부(1) 상부의 전체 둘레에 따라 보올부(1)의 안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그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림 배출공(270)이 구비되어 있어 림 도수로(200)의 입구(250)를 통하여 유입되는 세정수가 이곳을 통하여 배출되면서 선회되어 보올부(1)의 내측면을 세정하게 된다.
상기 제트 도수로(300)는 상기 유입구(100)와 연통되는 림 도수로(200)상의 입구(250)측에서 분기되도록 형성되어 보올부(1)의 하부측에서 제트 분출구(370)로 분출되도록 연통된다.
상기 제트 도수로(300) 유입구(350)의 후방측으로 인접한 위치에는 림 도수로(200) 상의 입구(250)를 통하여 유입되는 세정수의 일부를 제트 도수로(300)의 유입구(350)로 유도하는 소정형상의 둑(230)이 구비된다.
상기 둑(230)은 림 도수로(200)의 유로를 다양한 형상으로 차단하여 세정수 유입량의 상당량을 상기 제트 도수로(300) 유입구(350)로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보올부(1) 하부측의 제트 분출구(370)로 분출되는 세정수의 세정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즉, 유입구(100)를 통하여 유입되는 세정수는 전량 상기 림 도수로(200)의 입구(250)로 유입된 다음, 그 일부는 입구(250)측에서 분기된 제트 도수로(300)의 입구(350)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림 도수로(200)를 따라 계속 흐르도록 하되, 상기 둑(230)에 의해 림 도수로(200)로 계속 유입되는 세정수의 상당량이 상기 제트 도수로(300)를 통해 분출되는 원리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본 고안의 경우, 제트 도수로(300)의 유입구(350)로 유입되어 림 도수로(200)로 유입되어야 하는 상당량의 세정수가 상기 둑(230)에 의하여 상기 유입구(350)로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트 도수로(300)로 유입되는 세정수의 유입량이 증대되어 세정 효과의 향상을 거둘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유입되는 세정수가 상기 둑(230)에 부딪힌 후 상기 제트 도수로(300)의 유입구(350)로 상당량이 유입되어 제트 분출구(370)로 분출되므로 세정수의 초기 운동에너지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a)는 제트 도수로(300, 300')가 변기 본체(T)를 좌우로 양분하는 림 도수로(200) 상의 양측에 형성된 것이며, 도 4(b)는 일측에 형성된 것을 각각 도시한 것으로, 이때 본 고안에 따른 둑(230)은 제트 도수로(300)가 설치된 측에 함께 설치되게 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제트 도수로(300, 300')가 림 도수로(200) 상의 양측에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제트 도수로(300, 300')의 유입구(350, 350')의 후방에 인접하여 형성된 둑(230, 230')에 의한 차단비를 상이하게, 다시 말하자면 일측의 둑(230)은 크게, 타측의 둑(230')은 작게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비는 상기 둑(230, 230')에 의해 림 도수로(200)의 유로가 차단되는 비율, 즉 림 도수로(200)의 단면적 대 개방된 유로의 단면적의 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둑(230, 230')의 차단비를 상이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변기 본체(T)를 좌우로 양분하는 상기 림 도수로(200)로 유도되는 세정수에 어느 일방으로 선회력이 부여되도록 함으로써, 최종 림 도수로(200)에 형성된 복수개의 림 배출공(270)을 통하여 보울부(1, 도 3 참고) 내측벽의 세정력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먼저 벽면측의 유입구(100)를 통해 유입되는 세정수는 림 도수로(200) 양측에 형성된 제트 도수로(300, 300') 유입구(350, 350')측으로 각각 유도되어지며, 이때 상대적으로 차단비가 큰 둑(230)측의 제트 도수로(300) 유입구(350)로 세정수의 상당량이 상기 둑(230)에 의해 유입되게 됨으로써, 세정수 유입량의 증가에 의해 제트 분출구(370)로의 분사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차단비가 작은 둑(230')이 형성된 제트 도수로(300')의 유입구(350')와 연통된 제트 분출구(370')로도 세정수의 일부가 분사되며, 상기 제트 분출구(370)로 분사되는 세정수의 상당량과 합쳐져 분사력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함께, 차단비가 적은 둑(230')측의 림 도수로(200)를 통하여 유입되는 세정수의 양이 차단비가 큰 둑(230)측의 림 도수로(200)을 통하여 유입되는 세정수의 양 보다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되므로써 그에 상당하는 선회력 증가가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선회력이 증가된 세정수는 상기 림 도수로(200)의 림 배출공(270)을 통해 분사되게 되어 상기 보울부 내측벽의 세정력을 보다 강화 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림 도수로(200) 상에 형성된 둑(230, 230')의 차단비를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하면 유입되는 세정수가 제트 분출구(370, 370') 및 림 배출공(270)으로 적절히 분산되므로 세정력의 향상과 함께 다양한 범위 내에서 세정력을 효과적으로 가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비를 극단적으로 상이하도록 하면서, 또한 둑(230) 형성된 림 도수로(200) 측에만 제트 도수로(300)를 형성하도록 하여 실시될 수도 있게 된다.
즉, 일측에만 둑(230)을 형성하되 상기 둑(230)을 림 도수로(200)의 유로를 거의 밀폐되도록 하면서 타측의 둑(230')은 거의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림 도수로(200)의 유로를 거의 개방시키고, 상기 둑(230)이 형성된 림 도수로(200) 측에만 제트 도수로(300)를 형성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 본체(T)를 좌우로 양분하는 림 도수로(200)로 유입되는 세정수의 약 50% 정도에 해당되는 양이 상기 둑(230)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제트 도수로(300)의 유입구(350) 측으로 유입되며, 나머지 약 50% 정도에 해당되는 양은 반대측 림 도수로(200)로 전량 유입되게 된다.
그 결과, 제트 도수로(300) 유입구(350)측으로 유입되는 세정수의 유입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므로써 제트 분출구(370)로 분사되는 세정수가 보다 높은 분사력으로 분사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어느 일방,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계방향의 림 도수로(200)측으로 유입되는 세정수에 의해 선회력이 보다 향상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림 도수로(200)의 유로를 따라 유입되는 세정수의 선회력과 분사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림 배출공(270)이 지면과 수직한 선에 대하여 적절한 각도를 부여하여 형성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림 도수로 상에 차단비가 상이한 둑을 형성하고, 또한 림 도수로 상에서 분기되는 제트 도수로를 림 도수로 양측 또는 일측에 형성하도록 하여 세정수의 배출구조를 효율적으로 가변할 수 있는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변기 본체 내부의 림 도수로 상에서 분기된 제트 도수로를 비롯하여 림 도수로로 유입되는 세정수의 유입량을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세정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장소나 사용상 여건에 따라 세정수의 배출구조를 효율적으로 가변할 수가 있으므로 다양한 범위내에서 채택이 가능한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를 제공할 수도 있게 되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유입구 200.....림 도수로
230, 230'...둑 300, 300'..제트 도수로
350, 350'...제트 도수로의 유입구
370, 370'...제트 도수로의 제트 분출구
500.....배수트랩 900...배출구

Claims (2)

  1. 벽면측에 형성된 유입구(100)로부터 변기 본체 내부에 형성된 림 도수로(200)로 세정수가 전량 유입되고, 유입된 세정수의 일부는 상기 림 도수로(200) 상의 입구측에서 분기된 제트 도수로(300) 유입구(350)를 통해 보올부의 하부측 제트 분출구로 분출되고, 나머지 세정수는 림 도수로에 구비된 림 배출공을 통해 보올부 내측면으로 배출되어져 변기 본체 내부의 배수트랩(500) 및 상기 벽면측에 형성된 배출구(900)로 유출되는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에 있어서,
    상기 제트 도수로(300) 유입구(350)의 후방측으로 인접한 위치에 세정수의 일부를 제트 도수로(300)의 유입구(350)로 유도하는 소정형상의 둑(23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둑(230)은 변기 본체를 좌우로 양분하는 상기 림 도수로의 어느 일방으로 선회력이 부여되도록 상기 림 도수로의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비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트 도수로(300)는 좌우 대칭인 변기 본체 내부의 림 도수로 상의 양측 또는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
KR20-2005-0017130U 2005-06-15 2005-06-15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 KR2003954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130U KR200395487Y1 (ko) 2005-06-15 2005-06-15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130U KR200395487Y1 (ko) 2005-06-15 2005-06-15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487Y1 true KR200395487Y1 (ko) 2005-09-15

Family

ID=43696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130U KR200395487Y1 (ko) 2005-06-15 2005-06-15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4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384B1 (ko) 2010-11-10 2012-10-05 대림비앤코주식회사 절수형 양변기
CN108678112A (zh) * 2018-07-20 2018-10-19 佛山市家家卫浴有限公司 一种增压节能马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384B1 (ko) 2010-11-10 2012-10-05 대림비앤코주식회사 절수형 양변기
CN108678112A (zh) * 2018-07-20 2018-10-19 佛山市家家卫浴有限公司 一种增压节能马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4646B2 (en) Flushing structure of toilet and toilet
CN109898292B (zh) 一种防串水冲水水路及洗衣机
RU2007122802A (ru) Водяной затвор для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TWM288640U (en) Toilet structure
KR200395487Y1 (ko)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
RU2339761C1 (ru) Способ привлечения рыбы в рыбоход и рыбоход его осуществляющий
CN102359166B (zh) 预注水式双密封坐便器
CN104047350A (zh) 一种马桶
CN102587481B (zh) 节水蹲便器
CN202390910U (zh) 一种节水蹲便器
CN202390911U (zh) 一种节水冲便器
KR200388228Y1 (ko)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
KR20170132591A (ko) 사이폰 촉발관을 이용한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
CN214363866U (zh) 一种结构改进的连体坐便器
CN218176032U (zh) 一种横排式蹲便器
KR200418455Y1 (ko) 사이펀 여수로
CN214363865U (zh) 一种新型连体坐便器
CN211621849U (zh) 一种智能马桶喷嘴及智能马桶
CN113529890B (zh) 一种改善噪音的马桶装置
CN208777397U (zh) 一种马桶水路的排气结构
RU2816532C2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гидравлической структуры потока воды у циркуляционного порога в русле водотока с водозаборным сооружением
JPH06287990A (ja) サイホン式水洗便器
JP2001254420A (ja) ロータンク式サイフォンゼット便器
JP7176176B2 (ja) 水洗大便器
CN212129365U (zh) 一种蹲便器及一种蹲便器冲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