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481Y1 -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 Google Patents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481Y1
KR200395481Y1 KR20-2005-0017063U KR20050017063U KR200395481Y1 KR 200395481 Y1 KR200395481 Y1 KR 200395481Y1 KR 20050017063 U KR20050017063 U KR 20050017063U KR 200395481 Y1 KR200395481 Y1 KR 2003954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ontainer
cover
opening
type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06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균
Original Assignee
김민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균 filed Critical 김민균
Priority to KR20-2005-0017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48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4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481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3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 integral tamp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46Drinking-through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푸쉬타입 음료 용기의 개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푸쉬타입 음료 용기 개폐 구조는,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유출될 수 있는 유출구가 형성된 덮개; 상기 유출구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와 일체로 형성된 마개; 및 상기 마개의 일측에 상기 마개에서부터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마개가 용기 내부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편;을 구비하고, 상기 마개는, 상기 덮개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회동부; 및 소정의 가압력에 의하여 파쇄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와 연결된 파쇄부;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푸쉬타입 음료 용기 개폐 구조에 따르면, 마개가 덮개와 일체형으로 제조됨으로써 제조과정이 단순화되어 생산능률이 향상되고, 생산 비용도 절감된다. 또한, 마개가 개봉된 후에도 마개를 이용하여 유출구를 다시 막을 수 있음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 용기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Push-type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is formed with an outlet for outflow of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A stopp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to seal the outlet; And a catching piec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opper to extend from the stopper to prevent the stopper from being rotated into the container. The stopper may include a pivoting part connected to the cover to be rotatable; And a shredding part connected to the cover to be shredded by a predetermined pressing force. According to the push-type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is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lid, there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o improve the production efficiency and reduce the production cost. In addition, even after the plug is ope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y blocking the outlet again by using the plug.

Description

푸쉬타입 음료 용기의 개폐 구조{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push type beverage container}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본 고안은 푸쉬타입 음료 용기의 개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푸쉬타입 음료 용기의 마개를 개봉한 후에도, 유출구를 다시 막을 수 있고 마개를 분실할 위험이 없는 푸쉬타입 음료 용기의 개폐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which can close the outlet and open the stopper of the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even after opening the stopper of the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It is about.

일반적으로, 각종 과일음료나 탄산음료 등의 음료수는 별도의 컵이 없이도 마실 수 있도록 플라스틱 용기, 유리병 및 알루미늄 캔 등에 담겨져 유통된다. Generally, beverages such as various fruit drinks or carbonated drinks are distributed in plastic containers, glass bottles and aluminum cans so as to be drinkable without a separate cup.

상기 플라스틱 용기와 유리병은 마개를 열어 내용물을 마실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플라스틱 용기와 유리병은 마개를 개봉했을 때, 마개를 따로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고, 따로 보관한 마개를 분실할 위험도 있다. The plastic container and the glass bottle have a structure that can open the cap and drink the contents. By the way, the plastic container and the glass bottle are inconvenient because when the stopper is opened, the stopper must be stored separately, and there is a risk of losing the separately stored stopper.

상기 알루미늄 캔은 덮개의 마개를 떼어 내거나 내측으로 밀어 넣어 그 내부의 각종 음료를 식음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알루미늄 캔은 덮개와 마개를 각각 별도로 제조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상 복잡해지고 비용도 많이 든다. 한편,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모두 식음하지 않고 내용물이 남아 있는 용기를 보관해야 할 경우에는 마개를 떼어 내거나 내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생기는 유출구를 다시 막아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마개는 떼어 내거나 내측으로 밀어 넣어졌기 때문에 다시 사용할 수 없다. 결국, 내용물이 남아 있는 용기를 마개 없이 보관을 하게 된다면 외부의 이물질이 용기 내부로 들어갈 우려가 있어 위생상 많은 문제점이 있다.The aluminum can is detached or pushed inward to cover the lid so as to be able to drink various drinks therein. The aluminum can is complicated and expensive in the process because the cover and the cap must be manufactured separately.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necessary to store a container in which the contents remain without cooling all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it is preferable to stop the outlet opening caused by removing the stopper or pushing it inward. However, the stopper cannot be used again because it has been removed or pushed inward. As a result, if the container with the contents remaining without a stopper there is a risk of hygiene because there is a fear that foreign matter enters the inside of the container.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마개를 개봉한 후에도 다시 유출구를 막을 수 있고, 마개를 분실할 위험이 없는 푸쉬타입 음료 용기의 개폐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which can prevent the outlet again even after opening the stopper, and there is no risk of losing the stopper.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그 제조를 위한 생산 능률을 향상되고, 생산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푸쉬타입 음료 용기의 개폐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ening / closing structure of a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which can improve the production efficiency for the production and reduce the production cos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푸쉬타입 음료 용기의 개폐 구조는,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유출될 수 있는 유출구가 형성된 덮개; 상기 유출구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와 일체로 형성된 마개; 및 상기 마개의 일측에 상기 마개에서부터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마개가 용기 내부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편;을 구비하고, 상기 마개는, 상기 덮개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회동부; 및 소정의 가압력에 의하여 파쇄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와 연결된 파쇄부;가 구비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having an outlet opening through which contents of the container can be discharged; A stopp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to seal the outlet; And a catching piec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opper to extend from the stopper to prevent the stopper from being rotated into the container. The stopper may include a pivoting part connected to the cover to be rotatable; And a shredding part connected to the cover to be shredded by a predetermined pressing force.

바람직하게, 상기 마개는 상기 덮개의 상면에 돌출되어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다.Preferably, the stopper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and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회동부에는 상기 마개의 회동을 위해 홈이 형성된다. More preferably, a groove is formed in the rotating part for rotating the stopper.

또한, 상기 덮개는, 상기 마개가 상기 용기의 외측으로 회동된 경우에 상기 마개가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id further includes a fixing portion to which the plug is fitted and fixed when the plug is rotat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아울러, 상기 덮개에는 상기 마개 둘레에 융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id is preferably formed with a ridge around the stopp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will properly describ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desig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본 고안에 따른 푸쉬타입 음료 용기의 개폐 구조는 마개가 개봉된 후에도 덮개와 분리되지 않고 내용물이 남아 있는 용기를 보관하는 경우에 유출구를 다시 막을 수 있음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 용기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push-typ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y re-closing the outlet when the container is not separated from the cover even after the lid is opened. Can be.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푸쉬타입 음료 용기의 개폐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 and 2 show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푸쉬타입 음료 용기의 개폐 구조(100)는 마개(20), 마개(2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편(40), 및 마개와 일체형인 덮개(60)를 구비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100 of the push-type beve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topper 20, a locking piece 40 formed on one side of the stopper 20, and a cover 60 integral with the stopper. do.

마개(20)는 유출구(62)를 밀폐할 수 있도록 덮개(60)와 일체로 형성된다. 마개(20)는 덮개(60)와 일체형으로 이어지는 파쇄부(22)와, 회동부(24), 및 마개의 일측에 설치된 걸림편(40)을 구비한다.The stopper 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60 to seal the outlet 62. The stopper 20 includes a crushing portion 22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60, a rotating part 24, and a catching piece 4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opper.

상기 파쇄부(22)는 마개(20)와 덮개(60)의 이음부분이다. 마개(20)를 개봉하는 경우에, 마개(20)의 상부에서 용기(200) 내측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파쇄부(22)가 파쇄됨으로써 유출구(62)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파쇄부(22)의 두께는 상기 가압력에 의해 쉽게 파쇄될 수 있도록 마개(20) 두께의 0.3배 두께로 형성된다.The shredding part 22 is a joint of the stopper 20 and the cover 60. In the case of opening the stopper 20,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container 200 from the top of the stopper 20, the crush part 22 is crushed to form an outlet 62. 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crushing portion 22 is formed to be 0.3 times the thickness of the plug 20 so that it can be easily crushed by the pressing force.

상기 회동부(24)는 마개(20)를 개봉한 후에도 마개(20)가 덮개(60)와 일체형으로 이어지는 부분이다. 파쇄부(22)가 파쇄된 후, 마개(20)는 회동부(24)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회동부(24)에는 마개(20)의 원활한 회동을 위해 홈(2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ng part 24 is a part where the stopper 20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cover 60 even after opening the stopper 20. After the crushed portion 22 is crushed, the stopper 20 is rotated about the pivot 24. Rotating portion 24 is preferably formed with a groove 26 for smooth rotation of the stopper (20).

걸림편(40)은 마개(20)의 일측에 마개(20)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마개(20)는 용기(200) 내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파쇄부(22)가 파쇄되어, 용기(200) 내측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러나, 마개(20)가 용기(200) 내측 방향으로 회동하여 용기(200) 내부로 들어갈 경우에 마개(20)는 내용물이 유출구(62)를 통해 용기(20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해한다. 또한,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을 모두 식음하지 않고 내용물이 남아 있는 용기(200)를 보관해야 할 경우에, 마개(20)가 용기(200) 내측으로 들어감으로써 다시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유출구(62)를 다시 막아둘 수 없게 된다. 걸림편(40)은 마개(20)가 용기(20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용물이 용기(20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마개(20)를 다시 사용하여 유출구(62)를 다시 막아두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he catching piece 4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stopper 20 on one side of the stopper 20. The stopper 20 is crushed by the pressure applied in the container 200 inward direction 22 is rotated in the container 200 inward direction. However, when the stopper 20 rotates inside the container 200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00, the stopper 20 prevents the contents from flowing out of the container 200 through the outlet 62. 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store the container 200 in which the contents remain without cooling all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200, the stopper 20 enters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00 so that it cannot be used again. Can't be blocked again. The locking piece 40 prevents the stopper 20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00, thereby facilitating the contents to flow out of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200, as well as using the stopper 20 again to discharge the outlet 62.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it again.

덮개(60)는 용기 몸체(90)의 상부에 결합되어 용기 몸체(90)를 밀폐한다. 바람직하게, 덮개(60)의 두께는 마개(20) 두께의 2배이다. 덮개(60)에는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유출구(62), 상부로 일정부분 돌출된 융기부(64), 및 개봉된 마개(20)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66)가 형성된다.The cover 6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90 to seal the container body 90. 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lid 60 is twice the thickness of the plug 20. The cover 60 is formed with an outlet 62 through which the contents can flow out, a raised portion 64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and a fixing portion 66 to which the opened plug 20 can be fixed. .

상기 유출구(62)는 용기(200) 내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덮개(60)에 형성된다. 가압력에 의해 마개(20)의 파쇄부(22)가 파쇄된 후, 마개(20)가 뒤로 젖혀지면 유출구(62)는 용기(200) 내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 가능하도록 개방된다.The outlet 62 is formed in the cover 60 to allow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200 to flow out. After the crushing part 22 of the stopper 20 is crushed by the pressing force, when the stopper 20 is flipped backward, the outlet 62 is opened to allow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200 to flow out.

상기 융기부(64)는 덮개(60)와 일체형으로 덮개(60)의 소정 부분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융기부(64)는 마개(20) 둘레를 따라 돌출된다. 융기부(64)는 마개(20)를 개봉하기 위한 가압력에 저항함으로써 덮개(6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ridge 64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60 so th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over 60 protrudes upward. Preferably, the ridge 64 projects along the spigot 20. The ridge 64 prevents the cover 60 from being deformed by resisting the pressing force for opening the stopper 20.

상기 고정부(66)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두 개의 돌기를 구비한다. 돌기는 마개(20) 개봉 후, 마개(40)를 뒤로 젖혔을 때 마개(20)를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두 돌기 사이의 간격은 마개(20)가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는 간격이다.The fixing part 66 has two protrusion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protrusion serves to fix the stopper 20 when the stopper 20 is opened, after the stopper 20 is opened. The gap between the two projections is a gap that can be fixed by plugging the plug 20.

용기 몸체(90)는 푸쉬타입 음료 용기의 개폐 구조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음료를 담는 역할을 한다. 용기 몸체(90)의 재료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유리등이 사용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형상 또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The container body 90 serves to contain the beverage by being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The material of the container body 90 may be, for example, plastic, glass,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hape may also be variously modified.

그러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푸쉬타입 음료 용기의 개폐 구조(100)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Then,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100 of the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마개(20)를 개봉하기 위해 마개(20)의 상면에서 용기(200) 내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가압력으로 인하여 덮개(60)와 이어져 있는 마개(20)의 파쇄부(22)가 파쇄된다. 파쇄부(22)가 파쇄된 후, 마개(20)는 여전히 존재하는 압력에 의해 용기(200) 내측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러나, 마개(2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걸림편(40)이 덮개(60)의 상면에 걸림으로써 마개(20)가 용기(200) 내측 방향으로 더이상 회동 하지 못한다. 파쇄부(22)가 파쇄되어 형성된 유출구(62)를 통해 내용물을 식음하기 위해 마개(20)를 뒤쪽으로 회동하여 덮개(60)에 형성된 두 개의 돌기에 끼워서 고정시킨다.First, in order to open the stopper 20 is pressed into the container 200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20. Due to the pressing force, the shredding part 22 of the stopper 20 connected to the lid 60 is shredded. After the crushed portion 22 is crushed, the stopper 20 is rotated inwardly of the container 200 by the pressure still present. However, the locking piece 40 extending from the stopper 20 is caught by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60 so that the stopper 20 can no longer rotate inwardly in the container 200. The stopper part 22 is rotated by the stopper 20 to the rear to cool the contents through the outlet 62 formed by the crushed part is fixed to the two projections formed on the cover (60).

한편,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을 모두 식음하지 않는 경우에는 내용물이 남아 있는 용기(200)를 보관해야 한다. 이 때에는 고정부(66)에 고정된 마개(20)를 유출구(62)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마개(20)가 유출구(62)를 다시 막음으로써 내용물이 유출구(62)를 통해 흘러 넘치지 않게 한다. 또한, 마개(20)가 유출구(62)를 막음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 용기(20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내용물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all of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200 is not cooled, the container 200 must remain the contents remain. At this time, the stopper 20 fixed to the fixing portion 66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62. The stopper 20 again blocks the outlet 62 so that the contents do not overflow through the outlet 62. In addition, the stopper 20 may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container 200 by blocking the outlet 62 so that the contents may be stored in a sanitary manner.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to be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푸쉬타입 음료 용기의 개폐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마개가 덮개와 일체형으로 제조됨으로써 제조과정을 단순화하여 생산능률을 향상시키고, 비용도 절감된다.First, the stopper is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cover, there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o improve production efficiency and reduce costs.

둘째, 내용물이 남아 있는 용기를 보관하는 경우에, 마개가 개봉된 후에도 덮개와 분리되지 않고 유출구를 다시 막을 수 있음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 용기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Second, in the case of storing the container with the contents remain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y re-closing the outlet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cover even after the plug is opened.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are illustrativ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tter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푸쉬타입 음료 용기의 개폐 구조에서 마개가 밀폐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topper is clos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푸쉬타입 음료 용기의 개폐 구조에서 마개가 개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topper is open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 of FIG. 1.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마개 40 : 걸림편20: stopper 40: hook

60 : 덮개 90 : 용기 몸체60: cover 90: container body

100 : 푸쉬타입 음료 용기의 개폐 구조 100: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200 : 용기200: container

Claims (5)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유출될 수 있는 유출구가 형성된 덮개;A cover formed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contents of the container can be discharged; 상기 유출구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와 일체로 형성된 마개; 및A stopp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to seal the outlet; And 상기 마개의 일측에 상기 마개에서부터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마개가 용기 내부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편;을 구비하고,And a catching piec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opper to extend from the stopper to prevent the stopper from being rotated into the container. 상기 마개는,The stopper is 상기 덮개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회동부; 및A rotating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ver; And 소정의 가압력에 의하여 파쇄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와 연결된 파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타입 음료 용기의 개폐 구조.And a shredding portion connected to the lid so as to be shredded by a predetermined pressing for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개는 상기 덮개의 상면에 돌출되어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타입 음료 용기의 개폐 구조.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push-type beve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회동부에는 상기 마개의 회동을 위해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타입 음료 용기의 개폐구조.Opening structure of the push-type beve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for the rotation of the stopper.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덮개는,The cover is, 상기 마개가 상기 용기의 외측으로 회동된 경우에 상기 마개가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타입 음료 용기의 개폐 구조.When the stopper is rotat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portion which can be fixed by the plug is inserte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덮개에는 상기 마개 둘레에 융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타입 음료 용기의 개폐 구조.Opening structure of the push-type beve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is formed with a bulge around the stopper.
KR20-2005-0017063U 2005-06-14 2005-06-14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KR20039548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063U KR200395481Y1 (en) 2005-06-14 2005-06-14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063U KR200395481Y1 (en) 2005-06-14 2005-06-14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481Y1 true KR200395481Y1 (en) 2005-09-15

Family

ID=4369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063U KR200395481Y1 (en) 2005-06-14 2005-06-14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481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4113A (en) Container lid assembly
RU2286932C2 (en) Repeatedly sealable capping device for open end of beverage container
RU2559140C2 (en) Closure device for container and container provided with it
US6264051B1 (en) Bottle closure assembly
US20100170910A1 (en) Hinged closure
US6079588A (en) Resealable container cover
US8544685B2 (en) Reclosable dispensing closure
RU2387591C2 (en) Multi-element lock from plastic
US7810681B2 (en) Internal container bore mount fitment
US20070187410A1 (en) Hygienic beverage can lid
MX2011002892A (en) Flip cap.
KR200395481Y1 (e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push type beverage container
US20060289548A1 (en) Protective device for beverage cans
JP2008030773A (en) Lid and container
KR101229152B1 (en) A lid of a drinking bottle
JP4727453B2 (en) Hinge cap that can store the planned opening removed from the cap
KR20220084491A (en) Bottle cap for sealing
WO2004039688A1 (en) Disposable leak proof child drinking cup
RU51376U1 (en) DRINK TANK
CN1223838A (en) Thermally insulated bottles and the like
KR200230231Y1 (en) A lid of vessel
JP2011057284A (en) One-touch opening/closing cap having fall preventing function for beverage bottle
KR200230242Y1 (en) Beverage container for cap combined cup
KR20230100396A (en) Bottle cap for sealing
US20230010977A1 (en) Compact fast-opening cap and cap and mouthpiece assembly for a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