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095Y1 - 진열대용 선반 - Google Patents

진열대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095Y1
KR200395095Y1 KR20-2005-0016889U KR20050016889U KR200395095Y1 KR 200395095 Y1 KR200395095 Y1 KR 200395095Y1 KR 20050016889 U KR20050016889 U KR 20050016889U KR 200395095 Y1 KR200395095 Y1 KR 200395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divider
main body
good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호
Original Assignee
김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호 filed Critical 김병호
Priority to KR20-2005-0016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0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0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43Show shelves
    • A47F5/005Partitions therefore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열대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 상면 후단부에 복수의 슬롯을 갖는 고정부가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적재 공간을 분할하기 위하여 슬롯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품 진열 시 디바이더를 자유자재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품을 선반에 반입하거나 반출할 때 상품이나 손에 닿아 디바이더가 움직이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열대용 선반{Shelf for a showcase}
본 고안은 진열대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바이더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그 디바이더가 움직이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진열대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열대는 각종 물품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진열하기 위한 것으로, 가정에서 소장품이나 수집품을 진열하여 장식 효과를 내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고, 상점 등에서 상품을 수납하는 동시에 소비자에게 보여 구매를 촉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며, 전시회나 박물관 등에서는 전시물을 보관하면서 관람객들에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진열대에서, 상품을 수납하는 공간인 선반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을 적재하기 위한 본체(10)와, 상품의 구분이나 진열의 편리를 위해 본체(10)에 설치되는 "ㄴ"자 형상의 디바이더(20)로 구성된다.
여기서, 디바이더(20)는 설치 시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넓은 폭을 갖는 지지판(22)과, 상품을 구분하기 위한 수직판(24)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디바이더(20)는 본체(10)에 고정되게 설치되지 않아 선반에 상품을 반입하거나 반출할 때 상품 또는 손에 닿아 좌우로 쉽게 움직이거나 쓰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자석이 부착된 디바이더(미도시)가 제안된 바 있지만, 유리 선반 등에는 자석이 붙지 않아 그 쓰임이 매우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지판(22)이 선반 상면에 놓여지므로 지지판(22)의 두께만큼 단차가 발생함으로써, 상품의 적재를 위한 수납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많은 양의 상품을 적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디바이더(13) 간의 간격 유지에 있어서도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품 진열 시 디바이더를 자유자재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품을 선반에 반입하거나 반출할 때 상품이나 손에 닿아 디바이더가 움직이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진열대용 선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진열대용 선반은 상품을 적재하여 진열할 수 있도록 된 선반에 있어서, 상면 후단부에 복수의 슬롯을 갖는 고정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적재 공간을 분할하기 위하여 상기 슬롯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 후단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되, 소정 지점에서 한 번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 후단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되, 소정 지점에서 두 번 이상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바이더의 전단부에는 하향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 전단부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롯은 상기 디바이더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 진열된 상품이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전단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이탈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열대용 선반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반은 크게 본체(100), 디바이더(200) 및 이탈방지판(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상면에 여러 개의 상품을 적재하여 진열할 수 있도록 소정 면적의 넓은 사각형판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00)의 상면 후단부에는 후술한 디바이더(200)의 후단부가 끼워지는 고정부(120)가 형성되며, 상면 전단부에는 디바이더(200)의 돌기(220)가 끼워지는 복수의 끼움홈(11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20)는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본체(100) 후단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되, 소정 지점에서 한 번 절곡된다. 즉, 본체(100) 후단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후에 소정 지점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는 "ㄱ"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고정부(120)에는 디바이더(200)의 후단부가 끼워지는 복수의 슬롯(122)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 슬롯(122)은 본체(100) 상면 후단부와 만나는 부분에서부터 그 반대쪽에 조금 못 미치는 부분에 이르기까지 절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절개된 부분에는 디바이더(200)가 끼워져 고정되고, 절개되지 않은 부분은 디바이더(200)가 좌우측 또는 후방으로 쓰러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한편, 상기 슬롯(122)은 디바이더(200)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디바이더(200)의 폭과 상응하는 크기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바이더(120)는 길쭉하고 얇은 사각형판으로서, 본체(100) 상면에 진열된 상품을 종류별 또는 가격대별로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디바이더(200)는 전단부에 상기 본체(100)의 끼움홈(140)에 끼워지는 하향 돌출된 돌기(121)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 상면에 착탈 및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디바이더(200)의 후단부는 상기 슬롯(122)에 끼워지고, 디바이더(200)의 전단부는 상기 돌기(220)가 상기 본체(100)의 끼움홈(140)에 끼워짐으로써, 본체(100)에 착탈 및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품을 종류별 또는 가격대별로 구분하여 진열하고자 할 경우에 본체(100)로부터 이탈시켜 디바이더(200)를 적당한 위치에 다시 끼워주기만 하면 되므로 매우 편리하다.
또한, 상기 디바이더(120)는 아크릴, 유리, 알루미늄, 철판 중 어느 하나를 소재로 한다. 이러한 소재들은 투명성 및 가공성 또는 반사율이 높아 일반적인 다이아몬드 세공에서와 같이 많은 수의 절단면을 형성하여 빛을 반사시키는 면을 증가시킴으로써, 빛의 투과, 반사 및 굴절 등과 같은 산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외관상 입체감을 갖고 화려한 분위기를 연출하여 시선을 집중시키며, 진열된 물품을 강조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판(130)은 얇고 길쭉한 사각형판으로서, 본체(100) 상면에 진열된 상품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체(100) 상면 전단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반은 디바이더(200)가 본체(100)의 상면에 본체(1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세워져서 설치된다. 즉, 디바이더(200)의 후단부는 본체(100)의 고정부(120)에 형성된 슬롯(122)에 끼워지고, 디바이더(200)의 전단부는 본체(100)의 전단부에 형성된 끼움홈(140)에 끼워져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디바이더(200)가 상기 고정부(120) 및 끼움홈(140)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상품을 선반에 반입하거나 반출할 때에 디바이더(200)가 상품 또는 손에 의해 움직이거나 쓰러지지 않음과 동시에 상품들을 종류별 또는 가격별로 구분하여 진열하기 위하여 디바이더(20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열대용 선반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단면도로서, 전체적인 구조는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 다만, 전술한 제1실시예는 본체(100)의 고정부(120)가 한 번 절곡된 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진열대용 선반은 본체(100)의 고정부(120)가 두 번 절곡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1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20)는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본체(100) 후단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되, 소정 지점에서 두 번 절곡된다. 즉, 본체(100) 후단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후 소정 지점에서 한 번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후에 소정 지점에서 다시 한 번 절곡되어 상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고정부(120)에는 상기 디바이더(200)가 끼워지는 복수의 슬롯(122)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 슬롯(122)은 첫 번째 절곡되는 지점에서부터 절개되기 시작하여 두 번째 절곡되는 부분을 지나 끝단에 이르기까지 상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열대용 선반은 상기 고정부(120)가 두 번 절곡되어 상기 디바이더(200)를 더욱 견고히 고정시키므로 상품을 선반에 반입하거나 반출할 때 디바이더가 상품 또는 손에 의해 움직이거나 쓰러지는 것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진열대용 선반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단면도로서, 전체적인 구조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유사하다. 다만,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는 본체(100)의 고정부(120)가 한 번 내지 두 번 절곡된 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진열대용 선반은 본체(100)의 고정부(120)가 세 번 절곡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1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20)는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본체(100) 후단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되, 소정 지점에서 세 번 절곡된다. 즉, 본체(100) 후단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후 소정 지점에서 한 번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후에 소정 지점에서 또 한 번 절곡되어 상향으로 연장된 다음 소정 지점에서 다시 한 번 절곡되어 후방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고정부(120)에는 상기 디바이더(200)가 끼워지는 복수의 슬롯(122)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 슬롯(122)은 첫 번째 절곡되는 부분에서부터 시작하여 두 번째 및 세 번째 절곡되는 부분을 지나 끝단에 조금 못 미치는 부분에 이르기까지 상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진열대용 선반은 상기 고정부(120)가 세 번 절곡됨으로써 상기 디바이더(200)를 더욱 견고히 고정시키므로 상품을 선반에 반입하거나 반출할 때 상품 또는 손에 의해 디바이더(200)가 움직이거나 쓰러지는 것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4, 제5 및 제6실시예에 따른 진열대용 선반을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단면도로서, 전체적인 구조는 제1, 제2 및 제3실시예와 유사하다. 다만, 제1, 제2 및 제3실시예는 상기 디바이더(200) 전단부에 돌기(220)가 형성된 반면, 제4, 제5 및 제6실시예에 따른 진열대용 선반은 상기 디바이더(200) 전단부에 돌기(220)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이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4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는 상기 디바이더(200)가 상기 슬롯(122)에 끼워졌을 때, 견고히 고정된 상태에 있으며, 상기 디바이더(200)의 강도가 충분할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진열대용 선반은 도 4에 도시한 제1실시예와 디바이더(200) 전단부에 돌기(220)가 형성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서는 전체적인 구성요소 및 구조가 모두 동일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진열대용 선반은 상기 고정부(120)에 상기 디바이더(200)가 끼워져 견고히 고정되므로 상품을 선반에 반입하거나 반출할 때 디바이더(200)가 상품 또는 손에 의해 움직이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디바이더(200)가 상기 고정부(120)의 슬롯(122)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므로 디바이더(200)를 자유자재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계속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선반은 도 5에 도시한 제2실시예와 상기 디바이더(200) 전단부에 돌기(220)가 형성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서는 전체적인 구성요소 및 구조가 모두 동일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진열대용 선반은 상기 고정부(120)가 두 번 절곡되어 상기 디바이더(200)를 더욱 견고히 고정시키므로 상품을 선반에 반입하거나 반출할 때 디바이더(200)가 상품 또는 손에 의해 움직이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디바이더(200)가 상기 고정부(120)의 슬롯(122)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므로 디바이더(200)를 자유자재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계속하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선반은 도 9에 도시한 제3실시예와 디바이더(120) 전단부에 돌기(121)가 형성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서는 전체적인 구성요소 및 구조가 모두 동일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진열대용 선반은 상기 고정부(120)가 세 번 절곡되어 상기 디바이더(200)를 더욱 견고히 고정시키므로 상품을 선반에 반입하거나 반출할 때 디바이더(200)가 상품 또는 손에 의해 움직이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디바이더(200)가 상기 고정부(120)의 슬롯(122)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므로 디바이더(200)를 자유자재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진열대용 선반은 상품 진열 시 디바이더를 자유자재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품을 선반에 반입하거나 반출할 때 상품이나 손에 닿아 디바이더가 움직이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본체와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아 디바이더 간의 간격을 좁게 할 경우에도 충분한 적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외관상 입체감을 갖고 화려한 분위기를 연출하여 시선을 집중시키며, 진열된 물품을 강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진열대 선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평면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20: 고정부
122: 슬롯 140: 끼움홈
200: 디바이더 220: 돌기
300: 이탈방지판

Claims (6)

  1. 상품을 적재하여 진열할 수 있도록 된 선반에 있어서,
    상면 후단부에 복수의 슬롯을 갖는 고정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적재 공간을 분할하기 위하여 상기 슬롯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대용 선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 후단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되, 소정 지점에서 한 번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대용 선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 후단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되, 소정 지점에서 두 번 이상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대용 선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더의 전단부에는 하향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 전단부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대용 선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디바이더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대용 선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진열된 상품이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전단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이탈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대용 선반.
KR20-2005-0016889U 2005-06-13 2005-06-13 진열대용 선반 KR200395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889U KR200395095Y1 (ko) 2005-06-13 2005-06-13 진열대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889U KR200395095Y1 (ko) 2005-06-13 2005-06-13 진열대용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095Y1 true KR200395095Y1 (ko) 2005-09-07

Family

ID=4369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889U KR200395095Y1 (ko) 2005-06-13 2005-06-13 진열대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0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561B1 (ko) 2007-03-20 2008-06-26 박수국 골재의 입도분포 조절방법 및 그 혼합장치
CN111067307A (zh) * 2019-12-26 2020-04-28 柏赛塑胶科技(珠海保税区)有限公司 防脱储货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561B1 (ko) 2007-03-20 2008-06-26 박수국 골재의 입도분포 조절방법 및 그 혼합장치
CN111067307A (zh) * 2019-12-26 2020-04-28 柏赛塑胶科技(珠海保税区)有限公司 防脱储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49068A1 (en) Illusion storage rack
US8127695B2 (en) Display stand with table
US7367460B2 (en) Customizable display unit
US2501379A (en) Display tray
US3582170A (en) Display table
KR200395095Y1 (ko) 진열대용 선반
US3862784A (en) Front panel and partition holder for display shelf
US20190239660A1 (en) Product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006926A (en) Display shelving
CN205548154U (zh) 一种带有缺货提醒功能的四面展示陈列架
CA2096387C (en) Rack for newspapers
US20110284485A1 (en) Adjustable shelving display
US9609962B2 (en) Packaged collectible display system and assembly
JP2006231074A (ja) 片持ち梁式の固定棚と引っ込め可能なフラップを備えた陳列ユニット
CA2393427A1 (en) Display assembly
JP2007082779A (ja) 滑り性に優れた商品陳列棚の棚板
JP2009001341A (ja) 包装用ケース
US20020096483A1 (en) Convertible point of sale display system and methods for consumer products
JP2000181353A (ja) 表示具
US3120826A (en) Display unit
JP5638016B2 (ja) 包装用ケース
JP4196215B2 (ja) 包装用ケース
US20150208833A1 (en) Device for combined support, display, exhibition, reading and writing of flat objects.
JP2008307278A (ja) 商品陳列ユニット及び商品陳列装置
AU2009101086A4 (en) Product display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