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833Y1 - 방향제 겸용 연필꽂이 - Google Patents

방향제 겸용 연필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833Y1
KR200394833Y1 KR20-2005-0016555U KR20050016555U KR200394833Y1 KR 200394833 Y1 KR200394833 Y1 KR 200394833Y1 KR 20050016555 U KR20050016555 U KR 20050016555U KR 200394833 Y1 KR200394833 Y1 KR 2003948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main body
pencil holder
inlet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5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영
Original Assignee
이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영 filed Critical 이태영
Priority to KR20-2005-00165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8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8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8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향제 겸용 연필꽂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된 필기구수납부를 본체에 형성한 공지의 연필꽂이에 있어서,
본체(10)의 내부에 격벽(30)을 형성하여 격벽(30) 상부에는 필기구수납부(20)를 형성하고, 격벽(30) 하부에는 방향제수장부(40)를 형성하여, 방향제수장부(40)가 형성된 본체(10)의 하부 벽면에는 통기공(401)을 형성하고, 본체(10) 저면에는 방향제투입구(402)를 형성하여, 중심공(501)을 형성하고, 둘레에는 밀폐용 고무판(502)이 부설된 마개(50)를 상기 방향제투입구(402)에 끼워서 탈·부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연필꽂이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필꽂이를 책상에 올려놓고 사용할 경우에 책상에서 항상 은은한 방향제의 향기를 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향제 겸용 연필꽂이{AROMATIC AND PENCIL CASE}
본 고안은 방향제 겸용 연필꽂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연필꽂이의 하부에 방향제수장부를 형성하여 내부에 방향제를 수장함으로써, 연필꽂이의 주변에서 은은한 방향제 향기를 맡을 수 있게 한 방향제 겸용 연필꽂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지 공용된 연필꽂이는 바닥면이 있는 통 형상의 본체 상부에 투입구를 구비한 필기구수납부를 형성하여 그 수납부에 필기구를 꽂아서 보관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의 연필꽂이는 책상 위에 올려놓고 필기구를 꽂아서 보관하는 것 외는 별다른 기능이 없기 때문에 상품성이 크게 떨어지고, 사용자로 하여금 구매 의욕을 고취시키기 곤란하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들의 경우에는 연필꽂이를 구입해서 사용하기 보다는 컵이나 폐품 등을 연필꽂이 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필꽂이에 방향제 기능을 부가하여 연필꽂이와 방향제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연필꽂이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연필꽂이 본체의 내부에 격벽을 형성하여 격벽의 상부에는 필기구수납부를 형성하고, 격벽의 하부에는 방향제수장부를 형성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된 필기구수납부를 본체에 형성한 공지의 연필꽂이에 있어서,
본체(10)의 내부에 격벽(30)을 형성하여 격벽(30) 상부에는 필기구수납부(20)를 형성하고, 격벽(30) 하부에는 방향제수장부(40)를 형성하여,
방향제수장부(40)가 형성된 본체(10)의 하부 벽면에는 통기공(401)을 형성하고, 본체(10) 저면에는 방향제투입구(402)를 형성하여, 중심공(501)을 형성하고, 둘레에는 밀폐용 고무판(502)이 부설된 마개(50)를 상기 방향제투입구(402)에 끼워서 탈·부착할 수 있게 한 구성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10) 상부에 투입구(201)를 형성한 필기구수납부(20)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하여 이 필기구수납부(20)에 다양한 필기구를 꽂아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10)의 내부에는 필기구수납부(20)의 바닥면이 되는 격벽(30)을 형성하여 그 격벽(30)의 하부에는 방향제수장부(40)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방향제수장부(40)의 벽면에는 다수의 통기공(401)을 형성함으로써, 방향제수장부(40)에 투입된 방향제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통기공(401)을 통해 외부로 확산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체(10) 저면에는 방향제투입구(402)를 형성하여 이 투입구(201)를 통해 방향제를 투입하게 되며, 방향제의 투입이 완료되면 마개(50)를 이용해 투입구(201)를 막아서 방향제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마개(50)는 투입구(201)의 단면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된 마개(50)의 중심부에 중심공(501)을 형성하고, 마개(50)의 외주연에는 홈부를 형성하여 이 홈부에 밀폐용 고무판(502)을 끼운 것으로서, 중심공(501)에 손가락 등을 끼워서 마개(50)를 잡고 투입구(201)로 밀어 넣으면 마개(50) 외주연의 고무판(502)이 방향제수장부(40)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마개(50)를 지지함으로서, 마개(50)의 설치가 완료된다.
본체(10) 방향제수장부(40)에 투입되는 방향제는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주머니 형태의 방향제나 병 타입의 방향제 등 다양한 형태의 방향제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포프리와 같이 향기를 발산하는 원료를 넣어서 묶어놓은 주머니 형태의 방향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필꽂이의 하부에 방향제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연필꽂이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필꽂이를 책상에 올려놓고 사용할 경우에 책상에서 항상 은은한 방향제의 향기를 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저면 분해 사시도
도 3,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20 : 필기구수납부
201 : 투입구 30 : 격벽
40 : 방향제수장부 401 : 통기공
402 : 방향제투입구 50 : 마개
501 : 중심공 502 : 고무판
60 : 필기구 70 : 방향제

Claims (1)

  1.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된 필기구수납부를 본체에 형성한 공지의 연필꽂이에 있어서,
    본체(10)의 내부에 격벽(30)을 형성하여 격벽(30) 상부에는 필기구수납부(20)를 형성하고, 격벽(30) 하부에는 방향제수장부(40)를 형성하여,
    방향제수장부(40)가 형성된 본체(10)의 하부 벽면에는 통기공(401)을 형성하고, 본체(10) 저면에는 방향제투입구(402)를 형성하여, 중심공(501)을 형성하고, 둘레에는 밀폐용 고무판(502)이 부설된 마개(50)를 상기 방향제투입구(402)에 끼워서 탈·부착할 수 있게 구성한 방향제 겸용 연필꽂이
KR20-2005-0016555U 2005-06-10 2005-06-10 방향제 겸용 연필꽂이 KR2003948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555U KR200394833Y1 (ko) 2005-06-10 2005-06-10 방향제 겸용 연필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555U KR200394833Y1 (ko) 2005-06-10 2005-06-10 방향제 겸용 연필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833Y1 true KR200394833Y1 (ko) 2005-09-07

Family

ID=43695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555U KR200394833Y1 (ko) 2005-06-10 2005-06-10 방향제 겸용 연필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8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291166T1 (de) Kraftstoffbehälter
KR200394833Y1 (ko) 방향제 겸용 연필꽂이
KR200380265Y1 (ko) 방향제필통
WO2021261335A1 (ja) 薬液揮散器
KR200193029Y1 (ko) 필름통을 이용한 방향제 겸용 필기구 꽂이
JP2011201582A (ja) 中栓付容器
KR200171292Y1 (ko) 필통
KR200262562Y1 (ko) 향발산이가능한필기구
KR20190077790A (ko) 리필용 용기
KR200305411Y1 (ko) 향기 나는 펜
KR200178320Y1 (ko) 연필꽂이
CN212555588U (zh) 写字笔
JP2005519815A (ja) 液体容器及び使用方法
KR102397838B1 (ko) 소독제를 토출하는 볼펜
KR200294992Y1 (ko) 화이트 보드
JP3169765U (ja) コインホルダー
KR200290635Y1 (ko) 수납 케이스를 구비한 라이터
KR200368049Y1 (ko) 가구용 서랍
KR870003688Y1 (ko) 방향제(芳香劑)를 내장하는 필기구
JP2022002973A (ja) 薬液揮散器
KR20080004960U (ko) 뚜껑에 방향제 수용부를 구비한 용기
KR20190011010A (ko) 컵홀더용 물티슈 용기
JP2022002975A (ja) 薬液揮散器
KR950007258Y1 (ko) 연필꽂이 겸용 저금통
JP2022002976A (ja) 薬液揮散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