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777Y1 - Cooling or heating tube - Google Patents

Cooling or heating tu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777Y1
KR200394777Y1 KR20-2005-0009885U KR20050009885U KR200394777Y1 KR 200394777 Y1 KR200394777 Y1 KR 200394777Y1 KR 20050009885 U KR20050009885 U KR 20050009885U KR 200394777 Y1 KR200394777 Y1 KR 2003947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tube
heating
heating tube
tub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88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미옥
Original Assignee
김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옥 filed Critical 김미옥
Priority to KR20-2005-0009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77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7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777Y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1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solidified gases, e.g. carbon-dioxide snow
    • F25D3/125Movable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각 또는 가열 튜브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튜브에 있어서, 원통형의 외주면(122)과 원통형의 내주면(123)이 일측 단부에 위치한 제 1폐쇄수단(126) 및 타측 단부에 위치한 제 2 폐쇄수단(127)에 의해 양단부가 폐쇄되는 튜브본체(120); 및 튜브본체(120)의 폐쇄된 공간에 수용되는 냉각제 또는 가열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또는 가열 튜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or heating tube. More specifically, in the tube, both ends of the cylindric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 and the cylindrical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3 are formed by the first closing means 126 located at one end and the second closing means 127 located at the other end. Closed tube body 120; And it relates to a cooling or heating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olant or heating agent 140 accommodated in the closed space of the tube body (120).

Description

냉각 또는 가열 튜브{Cooling or heating tube}Cooling or heating tube

본 고안은 튜브본체에 폐쇄된 공간을 가지며, 그 공간에 냉각 또는 가열제를 수용하는 냉각 또는 가열 튜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냉각 또는 가열 튜브는 주로 음료용 빨대로 사용되겠지만, 식품 포장 용기의 내부에 삽입되어 용기안의 식품의 냉각, 가열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or heating tube having a closed space in the tube body and receiving the cooling or heating agent in the space. The cooling or heating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used as a drinking straw, but may be inserted into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and used for cooling and heating food in the container.

본 고안에 있어 냉각이란 냉각수단보다 온도가 높은 목적물의 열을 빼앗아 온도를 낮추는 경우뿐 아니라, 냉각수단의 온도가 목적물의 온도보다 높더라도, 주변 온도보다는 낮아 목적물의 온도 상승을 감소, 지연시키는 보냉의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means not only the case of lowering the temperature by removing the heat of the object having a higher temperature than that of the cooling means, but the cooling means to reduce and delay the temperature rise of the object lower than the ambient temperature even if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means i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object. It shall also include case.

본 고안에 있어 가열이란 가열수단보다 온도가 낮은 목적물에 열을 가하여 온도를 높이는 경우뿐 아니라, 가열수단의 온도가 목적물의 온도보다 낮더라도, 주변 온도보다는 높아 목적물의 온도 하강을 감소, 지연시키는 보온의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heating means not only to increase the temperature by applying heat to an object having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heating means, but also to reduce and delay the temperature drop of the object higher than the ambient temperature even if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means is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object. It shall also include case.

본 고안에 있어 음료용 컵(50)이란, 음료 흡입이 가능하게 일면이 개방된 컵뿐 아니라, 전체적으로 사방이 밀폐된 상용화된 음료용 팩 등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cup 50 is intended to include not only a cup whose surface is open to allow a beverage to be inhaled, but also a commercially available beverage pack and the like which are sealed in all directions.

본 고안에 있어 폐쇄라 함은 기계적, 거시적 폐쇄를 말하며, 반드시 화학적, 미시적으로 완전한 폐쇄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closure refers to mechanical and macroscopic closure, not necessarily chemical and microscopic closure.

종래의 빨대는 단순한 튜브로 이루어지고, 사람이 음료를 빨대로 흡입하는 경우에 흡입과정에 열교환이 거의 없어 입안으로 흡입되는 음료의 온도는 음료용 컵에 있을 때의 온도와 거의 같다. 하지만, 여름과 같이 주변 온도가 높은 경우에 냉장 상태에 있었던 음료라도 일정시간 이상 방치하면 주변으로부터의 열전달에 의해 음료의 온도는 금방 상승하고 음료 흡입시 시원함을 느낄 수 없다. 주면 온도가 낮은 겨울의 경우에 반대 현상이 발생한다.The conventional straw is made of a simple tube, and when a person inhales the drink with a straw, there is almost no heat exchange during the suction process,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drink sucked into the mouth is about the same as the temperature in the drink cup. However, even when the beverage is in the refrigerated state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high, such as summer, if lef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is quickly increased by heat transfer from the surroundings, and it is not felt cool when inhaling the beverage. In winter, when the temperature is low, the opposite occurs.

특2000-0067060, 특2002-0072258, 등록실용신안 20-0290734, 등록실용신안20-0242023 등의 경우에 컵에 드라이아이스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드라이아이스의 승화시 발생하는 주변열 흡수 현상을 이용하여 음료수의 온도를 낮추려 하였다. 하지만, 이런 종래 기술들은 드라이아이스 수납공간과 컵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이용 범위가 한정되며, 일회용 음료팩등의 경우 수납공간 형성에 있어 비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요구되는 효과를 얻기 위해 다량의 드라이아이스가 요구되는 점, 수납공간의 외주면에 의해서만 냉각되어 냉각 속도의 떨어지는 점, 냉각된 음료가 사람에 의해 흡입되기 전에 다시 주위와의 열교환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문제점 등으로 인해 소요 비용 대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낮다.In the case of JP2000-0067060, JP2002-0072258, Utilization Model 20-0290734, Utilization Model 20-0242023, the dry ice storage space is formed in the cup to take advantage of the absorption of ambient heat generated when sublimation of the dry ice. An attempt was made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However, these conventional technologies have a dry ice storage space and the cup is integrated, the use range is limited, in the case of disposable beverage packs, there is a cost problem in forming the storage space. In addition, a large amount of dry ice is required to obtain the required effect, the cooling rate is reduced only b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and the cooling rate decreases, and the temperature rises again by heat exchange with the surroundings before the cooled beverage is inhaled by a person. Due to such problems, the effect that can be obtained against the cost is low.

본 고안은 중공의 튜브내에 냉각 또는 가열 수단을 형성하여 튜브를 통하는 음료를 짧은 시간에 효과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시원한 음료 또는 따듯한 음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포장 용기에 삽입되는 경우, 포장 용기 안의 식품을 냉각, 또는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차가운, 또는 따듯한 음식을 섭취할 수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l or warm drink to the user by forming a cooling or heating means in the hollow tube effectively cooling or heating the beverage through the tube in a short time. In addition, when inserted into the packaging container, the food in the packaging container is to cool or heat to allow the user to eat cold or warm food.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uch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또는 가열 튜브의 사시도, 도 1b, 도1c, 도 1d는 도 1a의 폐쇄수단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냉각 또는 가열 튜브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또는 가열 튜브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또는 가열 튜브의 사시도.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or heating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b, 1c, 1d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osing means of Figure 1a, Figure 2 is a spiral cooling or heating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or heating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or heating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다.to be.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 또는 가열 튜브(100)는 원통형의 외주면(122)과 원통형의 내주면(123)이 일측 단부에 위치한 제 1 폐쇄수단(126) 및 타측 단부에 위치한 제 2 폐쇄수단(127)에 의해 양단부가 폐쇄되는 튜브본체(120); 및 상기 튜브본체(120)의 폐쇄된 공간에 수용되는 냉각제 또는 가열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또한, 선택적으로 주름부(180)를 가질 수 있다.The cooling or heating tub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ylindric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 and a cylindrical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3 having a first closure means 126 located at one end and a second closure means located at the other end. A tube body 120 whose both ends are closed by 127; And a coolant or a heating agent 140 accommodated in the closed space of the tube body 120, and may optionally have a pleat 180.

도 1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또는 가열 튜브(100)의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본체(120)는 원통형의 외주면(122)과 원통형의 내주면(123)의 일측 단부에 위치한 제 1폐쇄수단(126) 및 타측 단부에 위치한 제 2 폐쇄수단(127)에 의해 양단부가 폐쇄된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or heating tub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A, the tube body 120 includes a first closing means 126 located at one end of the cylindric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 and a cylindrical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3 and a second closing means 127 located at the other end. Both ends are closed by).

냉각제 또는 가열제(140)는 튜브본체(120)의 폐쇄된 공간에 수용된다. 냉각제로서는 드라이아이스 또는 얼음(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가열제로서는 손난로에 많이 사용되는 티오황산나트륨('하이포')이 사용될 수 있다.The coolant or the heating agent 140 is accommodated in the closed space of the tube body 120. Dry ice or ice (water) may be used as the coolant, and sodium thiosulfate ('hypo'), which is widely used in hand heaters, may be used as the heating agent.

드라이아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드라이아이스의 승화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튜브본체(120) 외부로 배출하고, 튜브본체(120) 내부의 압력상승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튜브본체(120)의 외주면(122)의 일부를 개방하여 이산화탄소 배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튜브본체(120)의 재질이 다공성의 종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배출구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티오황산나트륨을 사용하는 경우, 튜브본체(120) 외부로 방출을 막기 위해 튜브본체(120)는 강한 밀폐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야 한다.In the case of using dry ice, it is necessary to discharge carbon dioxide generated during the sublimation of the dry ice to the outside of the tube body 120 and to prevent a pressure increase inside the tube body 120. To this end,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 of the tube body 120 may be opened to form a carbon dioxide outlet. However, when the material of the tube body 120 is made of porous paper or the like, the outlet is not necessarily required. In the case of using sodium thiosulfate, the tube body 120 should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trong sealing property to prevent the discharge to the outside of the tube body 120.

음료통로(160)은 튜브본체(120)의 내부에 형성되고, 음료가 통과하는 통로의 기능을 하게 되며, 그 형상은 내주면(123)의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The beverage passage 160 is formed inside the tube body 120 and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beverage passes, and the shape thereof is determined by the shap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3.

본 고안에 의한 튜브가 음료용 빨대로 사용되는 경우, 음료통로(160), 외주면(122)과 내주면(123) 단면의 직경의 차이는 흡입성, 사용의 편리성, 냉각 또는 가열 효율을 고려할 때 2mm~8mm인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with a drinking straw, the difference in the diame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everage passage 160,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22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23 when considering the suction, convenience of use, cooling or heating efficiency It is preferable that it is 2 mm-8 mm.

도 1b, 도 1c, 및 도 1d는 도 1a의 폐쇄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1b, 도 1c, 및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폐쇄수단 또는 제 2 폐쇄수단은 중앙이 개방된, 외, 내주면(122, 123)과 일체되어 형성되는 평판형(130), 외, 내주면(122, 123)과 분리가 가능한 원통형(132)이나 마개형(134)일 수 있다.1B, 1C and 1D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closing means of FIG. 1A. 1b, 1c, and 1d, the first closing means or the second closing means is open in the center, the outer side, the plate type 130,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22, 123), the oute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122 and 123 may be separated from the cylindrical 132 or the plug 134.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냉각 또는 가열 튜브(200)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본체(120)는 일정한 피치를 갖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 또는 가열 튜브(200)는 음료용 컵(50)의 깊이가 낮아도 튜브를 길게 형성할 수 있어 음료의 냉각, 가열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iral cooling or heating tub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tube body 120 may be formed in a spiral having a constant pitch. The cooling or heating tube 200 can form a long tube even if the depth of the beverage cup 50 is low,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cooling and heating of the beverage.

음료 흡입의 편의를 위해 튜브본체(120)의 상부에 주름부(180), 음료흡입부(182)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주름부(180) 및 상기 음료흡입부(182)는 튜부본체(120) 대비 70°~ 100° 구부러져 음료 흡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For the convenience of beverage intake, the pleats 180 and the beverage intake 182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ube body 120. The wrinkle portion 180 and the beverage suction portion 182 may be bent 70 ° ~ 100 ° compared to the tubbu body 120 to facilitate the intake of beverage.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또는 가열 튜브(300)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본체(120)는 일측 단부 즉, 음료의 입구가 되는 단부로부터 가까운 부위는 나선형으로 중첩되며, 타측 단부 즉, 음료의 출구가 되는 단부로부터 가까운 부위는 직선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음료용 컵(50)의 깊이가 낮아도 튜브를 길게 형성하여 냉각, 가열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음료의 깊이가 낮아져도 낮은 위치의 음료에 위치한 넓은 면적의 튜브 외주면(122)에 의한 열교환이 계속되어 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무게 중심이 아래에 있어 냉각 또는 가열 튜브(300)가 음료용 컵(50)에 안정감 있게 위치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or heating tub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tube main body 120 is overlapped in a spiral shape at one end, that is, a portion close to the end of the beverage inlet, and has a straight shape at the other end, that is, a portion near the end of the beverage. It can be configured as. In this case, even if the depth of the beverage cup 50 is low, the tube can be formed long to increase the amount of cooling and heating, and even if the depth of the beverage is lowere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22 of a large area of the tube located in the lower position of the beverage Heat exchange can be continued to increase the thermal efficiency. In addition, the center of gravity is below the cooling or heating tube 300 is located in a stable cup 50 for the beverage.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또는 가열 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본체(120)는 사각형으로 절곡되어 있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 또는 가열 튜브(400)는 포장 용기에 들어 있는 식품(예를 들어, 도시락 용기 안의 식품, 스티로폴 포장 용기 안의 냉동 식품)의 냉각, 가열을 위한 삽입재로 적당하다. 이 경우에, 튜브 내부로 물질이 통과할 필요가 없어 내주면(123)을 없애고 통로가 존재하지 않게 형성할 수도 있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or heating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tube body 120 may be configured in a shape that is bent in a rectangle. The cooling or heating tube 400 is suitable as an insert for cooling and heating food in a packaging container (eg, food in a lunch box container, frozen food in a styropole packaging container). In this case, since the material does not need to pass into the tub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3 may be eliminated and the passage may be formed.

포장 용기에 들어 있는 식품의 냉각, 보냉을 위해 냉각제로서 드라이아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드라이아이스의 승화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튜브본체(120)의 내부에 형성된 배출통로(46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내주면(123)에 개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형성하거나, 내주면(123)을 다공성 재질의 재료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When dry ice is used as a coolant for cooling and cooling food in a packaging container, carbon dioxide generated during sublimation of dry ice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460 formed inside the tube body 120.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o form at least one or more outlets ope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3 or to configur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3 with a material of porous material.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에 의한 냉각 또는 가열 튜브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cooling or heating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본 고안에 의한 냉각 또는 가열 튜브(100)를 사용하여 음료를 흡입하는 경우, 튜브 내주면(123)을 통해 입에 도달하기 직전 상태에 있는 음료에 집중적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점에서, 컵 안의 모든 음료를 냉각의 대상으로 하고, 냉각제를 포함하는 수납공간의 외주면 만을 통해 열교환을 하는 종래 기술과 크게 다르다. When the beverage is sucked using the cooling or heating tub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exchange is intensively performed on the beverage in the state just before reaching the mouth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3 of the tube. In this respect, all of the beverages in the cup are subjected to cooling, and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in which heat exchange is performed only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containing the coolant.

본 고안을 가열 수단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티오황산나트륨에 충격을 주는 화학반응 유도수단, 예를 들어 금속조각이 추가로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수단을 작동시키면 그때부터 티오황산나트륨의 고체화가 이루어지면서 가열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heating means, a chemical reaction inducing means for impacting sodium thiosulfate, for example, metal fragments may be additionally required. When such induction means is operated, the solidification of sodium thiosulfate is possible from then on, thereby enabling the heating function.

본 고안에 의한 냉각 또는 가열 튜브는 음료수 빨대로 주로 사용되겠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락 등의 보온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Cooling or heating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used as a drinking straw, but is not limited to this can also be used for thermal insulation such as lunch box.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주로 설명되었으나, 고안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다른 가능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비열이 물보다 높은 임의의 다른 액체를 고체화, 저온화 또는 고온화시켜 냉각제 또는 가열제로 사용하는 것, 튜브본체의 형상을 원형이 아닌 직사각형, 삼각형으로 하는 것 등은 본 고안의 상술한 실시예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변경일 것이다.Although the subject innovation has been described primarily based on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ny other possib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subject innovation. For example, any other liquid whose specific heat is higher than water is used as a coolant or a heating agent by solidifying, lowering or raising the temperature, and the shape of the tube body is rectangular, triangular, not circular, and the like.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고안에 의하는 경우, 튜브 내주면(123)을 통해 입에 도달하기 직전 상태에 있는 음료는 냉각제 또는 가열제(140)의 작용에 의해 온도가 낮아지거나 높아진 튜브의 내주면(123)과 효과적, 집중적으로 열교환을 한다. 이 점에서, 컵 안의 모든 음료를 냉각의 대상으로 하고, 냉각제를 포함하는 수납공간의 외주면 만을 통해 열교환을 하는 종래 기술과 크게 다르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작용 및 효과의 측면에서 종래 기술보다 훨씬 우수한 특성을 보인다. 또한, 컵과 별도로 제작, 관리되기에 활용성, 관리의 측면에서도 종래 기술보다 우수한 특성을 갖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in the state just before reaching the mouth through the tube inner peripheral surface 123 is effective and concentrated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23 of the tube whose temperature is lowered or raised by the action of the coolant or the heating agent 140. Heat exchange with In this respect, all of the beverages in the cup are subjected to cooling, and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in which heat exchange is performed only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containing the coolant. This difference is much better than the prior art in terms of action and effect. In addition, since it is manufactured and managed separately from the cup, it has characteristics superior to those of the prior art in terms of usability and management.

본 고안에 따른 냉각 또는 가열 튜브는 흡입되는 음료를 짧은 시간에 효과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원한 음료 또는 따듯한 음료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포장 용기에 삽입되는 경우, 포장 용기 안의 식품을 냉각, 또는 가열하여 사용자는 차가운, 또는 따듯한 음식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The cooling or heating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cools or heats the inhaled beverage in a short time. Therefore,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a cool drink or a warm drink. In addition, when inserted into the packaging container, the food in the packaging container is cooled or heated to allow the user to consume cold or warm food.

전술한 고안에 대한 권리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의 기재에 구속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The scope of the above invention i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not bound by the description in the text of the specification, al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elonging to the equivalent scope of the claim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또는 가열 튜브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폐쇄수단의 사시도,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or heating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osing means of Figure 1a,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냉각 또는 가열 튜브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iral cooling or heating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또는 가열 튜브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or heating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또는 가열 튜브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or heating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50 : 음료용 컵,50: cup for drink,

100 : 냉각 또는 가열 튜브,100: cooling or heating tube,

120 : 튜브본체,120 tube body,

122 : 외주면,122: outer circumference,

123 : 내주면,123: If you give in,

126 : 제 1 폐쇄수단,126: first closing means,

127 : 제 2 폐쇄수단,127: second closing means,

140 : 냉각제 또는 가열제,140: coolant or heating agent,

160 : 음료통로,160: drink passage,

180 : 주름부,180: wrinkles,

200 : 냉각 또는 가열 튜브,200: cooling or heating tube,

300 : 냉각 또는 가열 튜브,300: cooling or heating tube,

400 : 냉각 또는 가열 튜브,400: cooling or heating tube,

460 : 배출통로.460: discharge passage.

Claims (8)

튜브에 있어서,In the tube, 원통형의 외주면(122)과 원통형의 내주면(123)이 일측 단부에 위치한 제 1 폐쇄수단(126) 및 타측 단부에 위치한 제 2 폐쇄수단(127)에 의해 양단부가 폐쇄되는 튜브본체(120); 및A tube body 120 having both ends of the cylindric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 and the cylindrical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3 closed by first closing means 126 located at one end and second closing means 127 located at the other end; And 상기 튜브본체(120)의 폐쇄된 공간에 수용되는 냉각제 또는 가열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또는 가열 튜브.Cooling or heating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olant or heating agent (140) accommodated in the closed space of the tube body (120).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튜브본체(120)가 일정한 피치를 갖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또는 가열 튜브.Cooling or heating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tube body 120 is formed in a spiral having a constant pitch.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튜브본체(120)의 일측 단부 영역은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타측 단부 영역은 직선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또는 가열 튜브.One end region of the tube body 120 is formed in a spiral, the other end region is a cooling or heating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ight shap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튜브본체(120)가 사각형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또는 가열 튜브.Cooling or heating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tube body 120 is bent in a square.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냉각제는 얼음, 드라이아이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가열제(140)는 티오황산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또는 가열 튜브.The coola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ce and dry ice, wherein the heating agent (140) is a cooling or heating tube, characterized in that sodium thiosulfate.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튜브본체(120)의 제 2 폐쇄수단(127)에 인접하는 주름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또는 가열 튜브.Cooling or heating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rrugated portion (180) adjacent to the second closing means (127) of the tube body (12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냉각제는 드라이아이스로 이루어지며;The coolant consists of dry ice; 드라이아이스의 승화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튜브본체(120)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외주면(122)에 개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또는 가열 튜브.Cooling or heating tube, characterized in that for forming at least one outlet open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 in order to be able to discharge the carbon dioxide generated during sublimation of dry ice to the outside of the tube body (120).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냉각제는 드라이아이스로 이루어지며;The coolant consists of dry ice; 드라이아이스의 승화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튜브본체(120)의 내부에 형성된 배출통로(46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내주면(123)에 개방된 배출구를 형성하거나, 내주면(123)을 다공성 재질의 재료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또는 가열 튜브.In order to discharge carbon dioxide generated during the sublimation of dry ice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460 formed inside the tube body 120, an open outlet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3 o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3 is porous. Cooling or heating tube comprising a material of the material.
KR20-2005-0009885U 2005-04-11 2005-04-11 Cooling or heating tube KR20039477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885U KR200394777Y1 (en) 2005-04-11 2005-04-11 Cooling or heating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885U KR200394777Y1 (en) 2005-04-11 2005-04-11 Cooling or heating tub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058A Division KR100675350B1 (en) 2005-04-11 2005-04-11 Cooling or heating tub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777Y1 true KR200394777Y1 (en) 2005-09-07

Family

ID=43695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885U KR200394777Y1 (en) 2005-04-11 2005-04-11 Cooling or heating tu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77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2213B1 (en) Beverage jug cover
US5947378A (en) Cooling drinking straw
JPH04208379A (en) Drink cooler
US11647864B2 (en) Thermal liquid container system with heat loss prevention lid
KR200394777Y1 (en) Cooling or heating tube
KR100675350B1 (en) Cooling or heating tube
US20050150235A1 (en) Water storage apparatus
CN207980975U (en) A kind of holding vessel of lubricating oil
CN216822650U (en) Pseudo-classic formula teapot that has initiative cooling function
US6173581B1 (en) Liquid cooler
CN112167975A (en) Beverage heating, cooling and heat preservation device and method
WO2021216648A1 (en) Thermal liquid container system with heat loss prevention lid
US10702083B2 (en) Systems for use with drinking containers to provide flows of air to users
CN220713575U (en) Thermal insulation wine pot
CN208114442U (en) A kind of Intelligent water cup
CN111012140A (en) Dual-purpose cup for heat preservation and cold insulation
JP3751856B2 (en) Beverage extractor
JP3321798B2 (en) Electronic refrigerator
CN214157022U (en) Beverage heating, cooling and heat preservation device
CN206596913U (en) Cup
CN219982679U (en) Double-layer ceramic pot
WO2009140831A1 (en) A beverage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CN108937451A (en) A kind of temperature control cup lid
CN213832937U (en) Self-heating structure of liquid food container
US20070107881A1 (en) Dispens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