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710Y1 -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710Y1
KR200394710Y1 KR20-2005-0017065U KR20050017065U KR200394710Y1 KR 200394710 Y1 KR200394710 Y1 KR 200394710Y1 KR 20050017065 U KR20050017065 U KR 20050017065U KR 200394710 Y1 KR200394710 Y1 KR 200394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booth
bottom plate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철인
Original Assignee
인우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우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우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7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7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7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설치작업을 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해체하여 이전설치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는, 바닥판과, 이 바닥판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위치하는 천장판과, 상기 바닥판과 천장판 사이에 설치되는 측면판과, 상기 바닥판의 일측에 고정 지지되고 현금자동지급기가 안치되는 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의 외측면에는 하부프레임이 설치되어 이 하부프레임에 측면판들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고, 이 측면판의 상부에는 상부프레임이 설치되어 측면판들의 상부를 고정하면서 이 상부프레임에 천장판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FABRICATED BOOTH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본 고안은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작업을 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해체하여 이전설치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금자동지급기는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를 입금 또는 출금할 수 있는 장치로서, 무인으로 운용하면서 수시로 입금 및 출금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인하여, 은행은 물론 사람의 왕래가 많은 곳이나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현금자동지급기는 통상적으로 24시간 무인으로 운용되므로 현금자동지급기에 보관된 현금이나 수표 등의 도난 방지 및 유지보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현금자동지급기의 외측에는 부스가 설치된다.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의 통상적인 구조는,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위치하는 천장판과, 상기 바닥판과 천장판 사이에 조립되는 측면판으로 구성되어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사각형이나 다각형 또는 원통형상의 박스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측면판의 일부분은 개방부로 형성되고, 이 개방부에는 바닥판에 지지되어 현금자동지급기가 설치되는 전면부가 조립된다.
상기 바닥판, 천장판, 측면판은 각각 다수의 금속패널로 이루어지며, 이들 각각의 부재들을 볼트나 나사못과 같은 고정부재를 이용하거나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여 부스를 제작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현급자동지급기용 부스는, 바닥판, 천장판, 측면판들은 볼트 조립이나 나사못 조립 및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방법으로 설치하므로, 설치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한번 설치된 부스는 해체하여 다른 곳으로 이전 설치하기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설치작업은 부스 설치장소에서 행하여지므로, 용접작업과 도장작업에 필요한 장비의 설치 및 철수작업이 매일 반복적으로 수반되어 번거롭고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작업을 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설치된 후에도 이를 해체하여 이전설치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는, 바닥판과, 이 바닥판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위치하는 천장판과, 상기 바닥판과 천장판 사이에 설치되는 측면판과, 상기 바닥판의 일측에 고정 지지되고 현금자동지급기가 안치되는 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의 외측면에는 하부프레임이 설치되어 이 하부프레임에 측면판들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고, 이 측면판의 상부에는 상부프레임이 설치되어 측면판들의 상부를 고정하면서 이 상부프레임에 천장판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부스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바닥판(2)과, 이 바닥판(2)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위치하는 천장판(4)과, 상기 바닥판(2)과 천장판(4) 사이에 설치되는 측면판(6)과, 상기 바닥판(2)의 일측에 고정 지지되고 현금자동지급기가 안치되는 전면부(8)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2), 천장판(4), 측면판(6)은 각각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다수의 금속패널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바닥판(2), 천장판(4), 측면판(6)은 뒤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어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바닥판(2)의 측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볼트구멍이 뚫려있어, 후술하는 하부프레임 및 하부코너프레임이 조립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바닥판(2)의 연결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2)들을 인접된 바닥판들과 면접촉한 상태에서 접촉면 양측에 고정블럭(10)을 위치시키고, 이 고정블럭(10)과 바닥판(2)을 볼트(12)로 체결하는 방법으로 바닥판(2)의 조립을 행할 수 있다.
이렇게 바닥판(2)들이 조립되면, 조립된 바닥판(2)의 후면쪽과 양측면 및 코너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상부측이 개방부로 이루어진 채널형태의 하부프레임(14) 및 하부코너프레임(16)을 밀착시키고, 볼트(18)로 이들 하부프레임(14) 및 하부코너프레임(16)을 바닥판(2)에 조립한다.
그리고 바닥판(2)의 전면쪽에는 하부전면프레임(18)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0)로 바닥판(2)에 고정하면 되는데, 이렇게 조립된 하부전면프레임(18)은 바닥판(2)의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로 이루어져 현금자동지급기가 안치되는 전면부(8)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부(22)가 걸려 전면부(8)가 전방으로 인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바닥판(2)에 하부프레임(14), 하부코너프레임(16) 및 하부전면프레임(18)이 조립되면, 상기 전면부(8)를 하부전면프레임(18)에 안착시키고, 하부코너프레임(16)의 각 코너에는 코너기둥(24)을 각각 삽입하고, 하부프레임(14)에는 측면판(6)들을 삽입하여 조립한다.
이러한 조립을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판(6)의 양쪽면 길이 방향으로는 다른 측면판과 끼움결합 될 수 있도록 돌기부(26)와 홈(28)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코너기둥(24)에도 측면판(6)의 돌기부(26)와 홈(28)이 끼움결합되는 돌기부(30)와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끼움 결합으로 측면판(6)들을 분리 기능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측면판(6)의 일정부분은 전면부(8) 내부에 설치되는 현급자동지급기의 유지보수 및 점검을 위하여 부스 내부로 관리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출입구(34)는 강화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측면판(6)들이 서로 끼움결합되면서 그 하단부가 하부프레임(14)에 안착되면, 측면판(6) 및 코너기둥(24)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면서 천장판(4)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측면판(6)과 코너기둥(24)의 상부 및 전면부(8)의 상부 후면에는 채널 형태의 상부프레임(36)이 삽입 고정된다.
이 상부프레임(36)은 하나의 단일체로 형성되거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부프레임(3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면으로 천장판(4)의 후면에 형성된 고정홈(38)이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고정돌기(40)가 형성되고, 조립된 천장판(4)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4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부(8) 후방에 설치된 상부프레임(36)에는 조립된 천장판(4)을 부스 내부에서 상부프레임(36)에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44)로 고정할 수 있도록 절개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천장판(4)의 일측을 부스 내부에서 고정부재로 고정하면 관리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조립된 부스를 해체할 수 없게된다.
상기 전면부(8)는 하나 또는 복수의 현금자동지급기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면부(8)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의 조립은, 먼저 부스의 바닥면적에 맞도록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다수의 바닥판(2)들을 인접된 바닥판들과 면접촉시겨 연결부위에 고정블럭(10)을 위치시키고 볼트(12)로 체결하여 바닥판(2)을 조립한다.
그 다음 조립된 바닥판(2)의 후면과 양측면 및 코너에는 상부측이 개방부로 이루어진 채널형태의 하부프레임(14) 및 하부코너프레임(16)을 위치시키고 볼트(18)로 이들 하부프레임(14) 및 하부코너프레임(16)을 바닥판(2)의 외측면에 조립하고, 바닥판(2)의 전면에는 하부전면프레임(18)을 볼트(20)로 고정한다.
이렇게 바닥판(2)에 하부프레임(14), 하부코너프레임(16) 및 하부전면프레임(18)이 조립되면, 전면부(8)를 하부전면프레임(18)에 안착시키는데, 이렇게 안착된 전면부(8)는 걸림부(22)가 바닥판(2)보다 더 높게 형성된 하부전면프레임(18)에 걸려 전방으로 인출되지 않으며,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전면부(8)가 안착되면서 바닥판(2)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면부(8)가 안착되면, 하부코너프레임(16)의 각 코너에는 코너기둥(24)을 각각 삽입하고, 이 코너기둥(24) 및 하부프레임(14)에 측면판(6)의 돌기부(26)와 홈(28)을 각각 끼움결합하여 측면판(6)들을 조립한다.
이와 같이 측면판(6)들이 모두 조립되면 측면판(6) 및 코너기둥(24)의 상단부에는 채널 형태의 상부프레임(36)을 삽입 결합한 후, 상부프레임(36)에 형성된 고정돌기(40)에 천장판(4)의 고정홈(38)을 끼워 천장판(4)의 일측을 끼워 조립한다.
그리고, 고정되지 않은 천장판(4)의 타측을 부스 내부에서 상부프레임(36)의 절개부(46)에 고정부재(44)를 삽입하여 상부프레임(36)에 체결하면 부스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후 전면부(8)의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현금자동지급기를 설치한 후, 운용하면 된다.
이렇게 조립된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를 다른 장소로 이동하기 위하여 해체하려면, 천장판(4)의 일측에 체결된 고정부재(44)를 풀고,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다른 부재들은 해체한 다음, 이를 설치 장소로 운반하여 다시 설치하면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가 바닥판이 있을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닥판이 없을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지진 바닥프레임홀더(50)를 통하여 부스를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데, 이 바닥프레임홀더(50)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인서트핀(52)이 형성되어 다른 부재들을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즉, 하부프레임(54)에 인서트핀(52)과 대응되는 인서트홀(55)을 형성하여 하부프레임(54)을 바닥프레임홀더(50)에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하부코너프레임도 이와 동일하게 바닥프레임홀더(50)에 고정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하부전면프레임(18)의 후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58)가 고정부재(60)로 고정되어 전면부(8)의 걸림부(22)가 삽입 고정되어 전면부(8)가 설치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바닥프레임홀더(50)의 인서트핀(52)을 통하여 하부프레임(54)과, 하부코너프레임을 조립하고, 하부전면프레임(18)의 서포트(58)를 통하여 전면부(8)가 고정 배치되면,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들을 조립하여 부스를 조립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는, 천장판, 측면판들을 서로 끼움 결합으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으며, 설치된 부스는 조립의 역순으로 해체하면 되므로 이전설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에서 바닥판의 조립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에서 하부프레임과 측면판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에서 하부전면프레임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에서 측면판들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에서 천장판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에서 바닥프레임홀더와 하부프레임 및 측면판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에서 하부전면프레임과 전면부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Claims (7)

  1. 바닥판과, 이 바닥판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위치하는 천장판과, 상기 바닥판과 천장판 사이에 설치되는 측면판과, 상기 바닥판의 일측에 고정 지지되고 현금자동지급기가 안치되는 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의 외측면에는 하부프레임이 설치되어 이 하부프레임에 측면판들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고, 이 측면판의 상부에는 상부프레임이 설치되어 측면판들의 상부를 고정하면서 이 상부프레임에 천장판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코너에는 하부코너프레임이 설치되고, 이 하부코너프레임에는 측면판의 일측면이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코너기둥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의 양쪽과 코너기둥에는 서로 끼움 결합되는 돌기부와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내측면으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천장판은 상기 고정돌기와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측 하부로는 연장부가 형성되어 조립된 천장판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바닥판의 전면으로는 하부전면프레임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고, 이 하부전면프레임은 바닥판의 높이보다 더 높게 이루어져 현금자동지급기가 안치되는 전면부가 전방으로 인출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7. 일정한 테두리면으로 이루어진 하부프레임홀더와, 이 하부프레임홀더에 끼움결합으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부프레임 및 하부전면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측면판들과, 상기 하부전면프레임에 고정 지지되고 현금자동지급기가 안치되는 전면부와, 상기 측면판들의 상부에 끼움결합되어 측면판들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프레임과, 이 상부프레임에 천장판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KR20-2005-0017065U 2005-06-14 2005-06-14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KR2003947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065U KR200394710Y1 (ko) 2005-06-14 2005-06-14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065U KR200394710Y1 (ko) 2005-06-14 2005-06-14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710Y1 true KR200394710Y1 (ko) 2005-09-05

Family

ID=43695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065U KR200394710Y1 (ko) 2005-06-14 2005-06-14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7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039B1 (ko) 2009-12-16 2010-03-24 박진만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94834B1 (ko) 2011-11-04 2012-10-25 고철인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설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039B1 (ko) 2009-12-16 2010-03-24 박진만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94834B1 (ko) 2011-11-04 2012-10-25 고철인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4744A (en) Wall construction for modular woven wire partition
KR100607562B1 (ko) 금융자동화기기와 그 내부에 구비된 카세트의 인출방법
RU2326221C2 (ru) Банковский автомат для выдачи наличных денег с регулируемой петлей ящика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KR200394710Y1 (ko) 조립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EP0827121B1 (en) Improved security container
EP1087347A2 (en) Locker
US20160353939A1 (en) Connecting device and shower door assembly including the connecting device
US5746040A (en) Modular wall construction
KR200448706Y1 (ko) 금융자동화기기 고정장치
CA2343249C (en) Vending machine with quick-release door
US20100171322A1 (en) Electromagnetic lock
WO2003089747A1 (en) Frame assembly and method for installing a window pane in an opening of a panel
US9091112B2 (en) Security panels for covering window and door openings in building structures
KR200385086Y1 (ko) 금융자동화기기
JP4846387B2 (ja) 扉装置
JP6971032B2 (ja) 開口枠の取付構造及びその取付施工方法
US201401654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dular panels and their installation
JP2021084802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6734495B2 (ja) 扉建込治具及び扉装置
KR101194834B1 (ko)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설치방법
KR102284732B1 (ko) 도어용 모티스락 일체형 케이스
KR102122078B1 (ko) 탈거방지가드를 구비한 방충창 및 그 설치방법
US20230002197A1 (en) Door frame of an elevator system
KR101797518B1 (ko) 조립식 구조물
KR200314573Y1 (ko) 거푸집의 벽체 마감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