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489Y1 - 인공 새집 - Google Patents

인공 새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489Y1
KR200394489Y1 KR20-2005-0016837U KR20050016837U KR200394489Y1 KR 200394489 Y1 KR200394489 Y1 KR 200394489Y1 KR 20050016837 U KR20050016837 U KR 20050016837U KR 200394489 Y1 KR200394489 Y1 KR 2003944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oof
back plate
artificial
bird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수
Original Assignee
이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수 filed Critical 이태수
Priority to KR20-2005-0016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4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4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4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6Cages, e.g. for singing birds
    • A01K31/08Collapsible cag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10Doors; Trap-do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공새집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지붕과 뒷판을 일체로 성형하되 지붕의 앞쪽이 30∼40도 정도 밑으로 기울어지게 하며, 뒷판의 양측에 ㄷ자형으로 감삽부가 형성되게 하고, 벽체의 상부 양 측벽선단에 ㄱ자형으로 돌설한 갑삽편을 감삽부에 감삽한 후, 벽체 하벽의 하단부 중앙에 돌설된 지지돌편이 뒷판의 하부 중앙에 천설된 지지돌편 감삽공에 감삽됨으로써 일체로 조립되게 하며, 벽체의 전면 벽에 원형출입공을 천공함과 아울러 상단 중앙에 호형출입구을 삭설하고, 지붕의 선단부 양측에 발걸이 감삽공을 천공하고 여기에 발걸이가 감삽 현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새집의 구조이다. 이와 같이 하여서 된 본 고안이 인공새집은 지붕과 일체로 성형된 뒷판과 별도로 성형한 벽체를 간편히 조립하여 인공 새집을 만들 수 있고 작은 새들은 원형출입공을 이용하여 출입할 수 있을 뿐아니라, 큰 새는 호형 출입구를 통하여 출입할 수 있으며, 발걸이에 의해서 새들의 출입이 용이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공 새집 {Artificial bird's nest}
본 고안은 인공 새집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인공 새집은 판재를 못으로 결합하여 통 모양 제작하거나 합성수지를 통 모양으로 제작하고 전면에 출입공을 1개 뚫어 준 구조이어서, 새들이 출입하는 출입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었기 때문에 구멍이 작은 출입공일 경우에는 몸체가 출입공보다 큰 새가 전혀 이용할 수 없었으며, 출입공이 큰 인공새집의 경우는 몸체가 작은 새들이 큰 구멍을 싫어하기 때문에 거의 이용치 않음이 밝혀져 애써서 만든 인공새집의 이용률이 극히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지붕과 일체로 성형한 뒷판의 상부 양측에 ㄷ자형으로 감삽부가 형성되게 하고, 벽체의 상부 양측 선단에 ㄱ자형으로 돌출시킨 감삽편을 형성하여 이 갑삽편이 감삽부의 요입 홈에 감삽되게 한 후 벽체의 하벽에 돌설 된 지지돌편이 뒷판의 하단부 중앙에 천설 된 지지돌편 감삽공에 감삽되어 일체로 조립되게 함으로써 간편히 조립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 벽체의 전면 벽에 원형출입공을 천공하고 상단 중앙에 호형출입구를 삭설하며, 지붕의 선단부 양측에 발걸이 감삽공을 천공하고 여기에 발걸이가 감삽 현괘되도록 함으로써 작은 새들은 원형출입공을 이용하여 출입할 수 있으며, 큰 새는 호형출입구를 통하여 출입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지붕이 전방을 향해 30∼40도 정도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호형출입구가 전면에서 잘 들어나 보이지 않으나 몸체가 큰 새는 발걸이에 앉았을 때 호형출입구와 지붕 사이에 형성되는 넓은 공간이 나타나므로 이 호형출입구를 통해서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인공새집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 새집은 판재를 못으로 결합하여 통 모양으로 제작하거나 합성수지를 통 모양으로 제작하고 전면에 출입공을 1개 뚫어 준 구조 이어서, 새들이 출입하는 출입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었기 때문에 구멍이 작은 출입공일 경우에는 몸체가 출입공 보다 큰 새가 전혀 이용할 수 없었으며, 출입공이 큰 인공새집의 경우는 몸체가 작은 새들이 큰 구멍의 출입공을 싫어하기 때문에 거의 이용치 않음이 밝혀져 애써서 만든 인공새집의 이용률이 극히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합성수지 성형제품을 간편히 조립하여 인공새집을 만듬과 아울러 작은 새나 큰 새나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인공새집의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합성수지 재를 이용하여 지붕과 뒷판을 일체로 성형하되 지붕의 전면이 밑쪽으로 30∼40도 정도 기울게 하고, 뒷판의 양측 상부에 ㄷ자형으로 감삽부가 형성되게 하며, 벽체의 양 측벽 선단에는 ㄱ자형으로 돌출시킨 감삽편을 형성하여 이 감삽편을 감삽부에 감삽한 후 벽체의 하벽에 돌설된 지지돌편이 뒷판의 하부에 천설된 지지돌편 감삽공에 감삽됨으로써 일체로 조립되게 하며, 벽체의 전면 벽에 몸체가 작은 새들을 위한 작은 원형출입공을 천공함과 아울러 벽체의 전면 벽 상단 중앙에 몸체가 큰 새들을 위한 호형출입구를 삭설한다. 또 지붕의 선단부 양측에 발걸이 감삽공을 천공하고 여기에 발걸이가 감삽 현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새집의 구조이다. 이와 같이 하여서 된 본 고안의 인공새집은 지붕과 일체로 성형 제작된 뒷판과 이와 별도로 성형 제작한 벽체를 간편히 조립하여 인공 새집을 만들 수 있고, 작은 새들은 작은 원형출입공을 이용하여 출입할 수 있으며, 큰 새는 경사진 지붕에 가려져서 잘 들어나 보이지 않지만 발걸이에 앉으면 들어나 보이는 호형출입구 및 전면벽과 지붕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게 한 인공새집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인공새집을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인공새집의 일부 절개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 재를 이용하여 지붕(1)과 뒷판(2)을 일체로 성형하되 지붕(1)의 전면이 밑쪽으로 30∼40도 정도 기울게 하며, 뒷판(2)의 상부 양측에 ㄷ자형으로 감삽부(7)가 형성되게 하고, 벽체(6)의 양 측벽 선단에는 ㄱ자형으로 돌출시킨 감삽편(8)을 형성하여 이 감삽편(8)을 뒷판(2)의 감삽부(7)에 감삽한 후 벽체(6)의 바닥과 연결된 벽체 하벽(9)의 하단 중앙에 돌설 된 지지돌편(5)이 뒷판(2)의 하부 중앙에 천설 된 지지돌편 감삽공(12)에 감삽 됨으로써 일체로 조립되게 된다. 또 벽체(6)의 전면 벽 중간에 몸체가 작은 새들을 위한 작은 원형출입공(4)을 천공함과 아울러 벽체(6)의 전면 벽 상단 중앙에 몸체가 큰 새들을 위한 호형출입구(9)를 삭설한다. 또 지붕(1)의 선단부 양측에 발걸이 감삽공(11)을 천공하고 여기에 ㄷ자형으로 하여 상단을 약간 바깥쪽으로 휜 발걸이(10)가 감삽 현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새집의 구조이다. 이와 같이 하여서 된 본 고안의 인공새집은 지붕(1)과 일체로 성형 제작된 뒷판(2)과 이와 별도로 성형 제작한 벽체(6)를 간편히 조립하여 인공 새집을 제작할 수 있고, 박새나 멧새, 찌르레기 등 작은 새들은 구멍이 작은 원형출입공(4)을 이용하여 출입할 수 있으며, 어치, 산비들기, 부엉이 등 몸체가 큰 새들은 경사진 지붕(1)에 가려져서 잘 들어나 보이지 않지만 발걸이(10)에 앉으면 들어나 보이는 호형출입구(3)를 통하여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게 한 인공새집을 얻게 된 것이다.
지붕(1)의 전면이 밑쪽으로 30∼40도 정도 기울게 한 것은 기울어진 지붕(1)의 선단부에 의해서 구멍이 큰 호형출입구(3)가 가려져서 밖으로 들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인데, 이는 새집의 구멍이 크게 밖으로 들어날 경우 새매나 뱀 등 천적으로부터의 위험에 노출되며 새들이 이를 기피하기 때문에 이 출입구멍이 밖으로 들어나지 않도록 배려한 것이다.
전면벽의 중간에 삭설된 호형출입구(3)는 지붕과 전면벽 사이의 공간 및 호형의 출입구(9)가 만드는 공간을 합쳐서 넓은 공간이 형성되므로 어치, 산비들기, 부엉이 등 몸체가 큰 새가 충분히 드나들 수 있게 된다.
발걸이(10)는 탄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ㄷ자형으로 만들고 그 양단의 끝 부분을 약간 바깥쪽으로 휜 구조이며, 지붕에 천설된 발걸이 감삽공(11)에 끼울 경우 밑으로 빠지는 일이 없고 또 자체 중력에 의해서 밑으로 현수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인공새집의 효과를 살펴보면,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인공새집은 지붕(1)과 일체로 된 뒷판(2) 및 벽체(6)를 합성수지로 각각 성형한 후 간편히 조립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이며, 벽체(6) 전면에 구멍이 비교적 작은 원형출입공(4)과 구멍이 비교적 큰 호형출입구(3)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박새류나 멧새, 찌르레기 등 작은 새나 어치, 산비들기, 부엉이 등 큰 새가 용이하게 함께 이용할 수 있게 되며, 지붕(1)의 전면을 밑쪽으로 30∼40도 정도 경시지게 설치함으로써 큰 구멍의 호형출입구(3)가 전면에서 들어나 보이지 않게 되어 새들의 큰 출입 구멍 기피본능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발걸이(10)가 설치되어 새들의 출입공 출입이 용이하게 한 효과가 있다.
제 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인공 새집의 일부 절개 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지붕 2 : 뒷판
3 : 호형출입구 4 : 원형출입공
5 : 지지돌편 6 : 벽체
7 : 감삽부 8 : 감삽편
9 : 벽체 하벽 10 : 발걸이
11 : 발걸이 감삽공 12 : 지지돌편 감삽공

Claims (1)

  1. (a)합성수지 재를 이용하여 지붕(1)과 뒷판(2)을 일체로 성형하되 지붕(1)의 전면이 밑쪽으로 30∼40도 정도 기울게 하고, 뒷판(2)의 양측상부에 ㄷ자형으로 감삽부(7)가 형성되게 하며, 벽체(6)의 양측 선단 위쪽에는 ㄱ자형으로 돌출시킨 감삽편(8)을 형성하여 이것을 뒷판(2)의 감삽부(7)에 감삽한 후 벽체 하벽(9)의 하단 중앙에 돌설 된 지지돌편(5)이 뒷판(2)의 하부에 천설 된 지지돌편 감삽공(12)에 감삽 됨으로써 일체로 조립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며,
    (b)벽체(6)의 전면 벽 중간에 몸체가 작은 새들을 위한 작은 원형출입공(4)을 천공함과 아울러 전면 벽 상단 중앙에 몸체가 큰 새들을 위한 호형출입구(3)를 삭설하고
    (c)지붕(1)의 선단부 양측에 발걸이 감삽공(11)을 천공하고 여기에 발걸이(10)가 감삽 현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새집의 구조
KR20-2005-0016837U 2005-06-13 2005-06-13 인공 새집 KR2003944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837U KR200394489Y1 (ko) 2005-06-13 2005-06-13 인공 새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837U KR200394489Y1 (ko) 2005-06-13 2005-06-13 인공 새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489Y1 true KR200394489Y1 (ko) 2005-08-31

Family

ID=4369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837U KR200394489Y1 (ko) 2005-06-13 2005-06-13 인공 새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4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570B1 (ko) 2006-02-09 2008-08-26 비디에 비.브이. 새집
KR101018801B1 (ko) 2008-09-05 2011-03-03 백문기 구조물 벽면에 제공되는 야생동물 인공서식물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570B1 (ko) 2006-02-09 2008-08-26 비디에 비.브이. 새집
KR101018801B1 (ko) 2008-09-05 2011-03-03 백문기 구조물 벽면에 제공되는 야생동물 인공서식물 및 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9837A (en) Purple martin birdhouse and telescoping pole
US5809933A (en) Animal climbing and perch system
US5134970A (en) Bird's nest
US11375841B2 (en) Compression pad window hanging devices and systems
KR200394489Y1 (ko) 인공 새집
KR100854570B1 (ko) 새집
US6397781B1 (en) Prefabricated bird house
JPH10248424A (ja) 愛玩動物用飼育装置及びそれに使用する飼育用部材
US6199510B1 (en) Feed dish for animal cages
KR200491565Y1 (ko) 고양이 유희구
KR200445365Y1 (ko) 조류용 케이지
JP6373199B2 (ja) 猫用踏み台および猫用ケージ
Sawyer Bird Houses, Baths and Feeding Shelters: How to Make and where to Place Them
WO2004071180A3 (en) Integrated system of apiculture beehive (movable bottom board, honey and brood chamber and cover), which is made entirely of metal
JP6865960B2 (ja) 小動物用ケージ
JP2015029428A (ja) キツツキ類の営巣用人工巣箱
KR200472333Y1 (ko) 가두리 양식용 쉘터
KR0136565Y1 (ko) 애완동물 사육용 우리
KR102492153B1 (ko)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KR20220060436A (ko) 독립형 새집 조립체 및 이를 위한 링체
KR200257441Y1 (ko) 여치집
JP2001314132A (ja) 愛玩動物用飼育器具及びそれに使用する部品
KR930000051Y1 (ko) 새 집
KR100903299B1 (ko) 공동주택의 현관문에 설치되는 소형 애완동물 보관함
JP3042939U (ja) 小動物飼育ケージ仕切り用の棚板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