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289Y1 - 파종장치 - Google Patents

파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289Y1
KR200394289Y1 KR20-2005-0014369U KR20050014369U KR200394289Y1 KR 200394289 Y1 KR200394289 Y1 KR 200394289Y1 KR 20050014369 U KR20050014369 U KR 20050014369U KR 200394289 Y1 KR200394289 Y1 KR 2003942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ing
present
seeding device
rotating memb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주
Original Assignee
박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한주 filed Critical 박한주
Priority to KR20-2005-00143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2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2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2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085Broadcast s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9/00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콩과 같이 일정 크기를 가지는 종자의 파종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담배와 같은 작물이 심어진 두둑의 여분을 활용하기 위해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구동되는 주행부와, 이 주행부의 구동력이 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되어 수납부에 담긴 종자가 내부 고정부재 및 외부 회동부재로 이루어진 2중 드럼 구조의 이송부로부터 파식부로 인가되어 일정 간격으로 두둑에 파종됨은 물론, 파종이 완료된 곳을 다시 흙으로 덮고 다지는 마무리까지 일괄할 수 있는 파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파종장치는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구동되며, 동력의 전달 및 두둑에 따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주행부와, 이러한 주행부의 좌·우 중 한 쪽으로만 수납부와 동력전달부 및 이송부 그리고 파식부를 구비하여, 파종이 이루어지는 두둑의 형태나 크기에 관계없이 작업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수납부에 적재된 종자를 온전하게 파식부로 옮기기 위해 원통형의 외측 회동부재와 내측 고정부재가 2중으로 중첩된 형태의 이송부를 구비하고, 외측의 회동부재에 마련된 관통공 주위로 종자의 으깨짐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 형태의 보전수단이 구비하여 실질적인 파종의 실효성 거두고자 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파종장치에 의하면 순수한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서만 구동되므로 열이나 매연에 약한 담배와 같은 작물이 심어진 두둑에 콩 등과 같은 작물의 파종이 용이하므로 혼용재배로 인한 농토의 활용성을 높이는 효과는 물론, 간단한 구성으로 인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뿐만 아니라, 이송부와 같이 파종장치의 실효성과 직결되는 구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인건비의 절감 및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파종장치{THE SEEDING MACHINE}
본 고안은 콩과 같이 일정 크기를 가지는 종자의 파종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담배와 같은 작물이 심어진 두둑의 여분을 활용하기 위해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구동되는 주행부와, 이 주행부의 구동력이 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되어 수납부에 담긴 종자가 내부 고정부재 및 외부 회동부재로 이루어진 2중 드럼 구조의 이송부로부터 파식부로 인가되어 일정 간격으로 두둑에 파종됨은 물론, 파종된 곳을 다시 흙으로 덮고 다지는 마무리까지 일괄할 수 있는 파종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파종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본 출원인이 2004년도에 공동으로 출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46863호( 2004. 03. 24 등록, 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 및 제361208호( 2004. 08. 27 등록, 이하 '종래기술2'라 함)에서 관련기술이 개시된 바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종래기술1에 따른 "파종기"는 바퀴가 달린 수레 형태의 장치로써, 인력이나 모터와 같은 동력원에 따른 축 및 회전원판의 회전운동으로부터 접촉돌기 및 회동프레임을 이용하여 골작업 프레임이 상·하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 골의 형성은 물론, 형성된 골에 씨앗을 뿌리게 하여 파종작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기술2에 따른 "개량 파종기"는 전술한 종래기술1이 가지고 있는 골작업 프레임의 상·하 직선운동으로부터 야기되는 작업효율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모터와 같은 동력원으로부터 구동되는 별도의 축에 회전원판이 부설되며, 이 회전원판의 외주면 사방에 개폐식 콩 투입구를 마련하여, 기술적 구성에 의한 운동의 변환 없이 축의 회전운동을 그대로 파종작업으로 연계시킴으로써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하는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1 및 2에 따른 파종기의 경우, 양자 모두 작업자에 의한 파종작업이 안고 있던 인건비 등에 대한 채산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다소간의 효과가 도모되는 고안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1 및 2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양자는 모두 바퀴가 있는 수레 형태의 장치를 중심으로 좌·우 양방에서 동시에 파종이 이루어지는 형태로서, 본체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나, 이것은 실질적으로 종자가 뿌려지는 밭이나 논의 이랑 상태를 고려할 때, 연접하고 있는 양 두둑의 높이가 대체로 동일하지 않고 그 차이가 심한 경우가 많으므로 실제 파종의 실효성을 거두지 못함은 물론, 오히려 두둑을 감싸고 있는 비닐을 손상시켜 잡초의 생장환경을 조장하게 됨으로 김매기와 같은 부대작업을 초래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종래기술1에 따른 파종기는 적재함의 종자가 분배부의 분배홈 속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부를 경유하여 골작업프레임으로 옮겨지고, 종래기술2의 개량 파종기에서는 회전원판의 외주면에 개구 및 배출공을 형성하여 호퍼에 담긴 종자가 회전원판의 개구 속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의 위치에 이르렀을 때 배출공을 통해 콩 투입구로 옮겨지는 형태의 구성임을 알 수 있다. 즉, 양자는 모두 파종되는 종자가 자중에 의해 분배부 및 회전원판에 마련된 홈 속으로 단순히 삽입되는 구성에 불과한 것으로 이것은 적재함이나 호퍼 속에 담긴 종자의 유동을 원활하게 보조하지 못하므로 파종할 종자 자체가 분배부와 적재함의 가이드부 또는 호퍼의 단부와 회전원판의 외주면 사이에 끼여 으깨져 버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는 것에 불과하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구동되며, 동력의 전달 및 두둑에 따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주행부와, 이러한 주행부의 좌·우 중 한 쪽으로만 수납부와 동력전달부 및 이송부 그리고 파식부를 구비하여 파종되는 두둑의 형태나 크기에 관계없이 작업이 가능한 파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수납부에 적재된 종자를 온전하게 파식부로 옮기기 위한 이송부로서, 원통형의 외측 회동부재와 내측 고정부재가 2중으로 중첩된 형태로 결합되며, 외측의 회동부재에 마련된 관통공 주위로 종자의 으깨짐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 형태의 보전수단이 구비되어 실질적인 파종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파종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파종장치는 작업자가 직접 밀거나 당기는 행위에 따른 인력에 의해 구동되는 주행부와, 이 주행부의 좌·우 중 한 쪽으로만 수납부, 동력전달부, 이송부 및 파식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특히, 주행부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로부터 연동되는 원통형의 외측 회동부재와, 상기 동력전달부와는 연동되지 않게 회동부재의 내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2중으로 중첩된 형태의 이송부가 포함된 것에 핵심적인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파종장치는 이송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회동부재에 마련된 관통공 주변에 소정의 경사면을 이루는 홈 형태의 보전수단이 구비되어, 수납부의 배출구 측에 밀집된 종자의 유동성을 좋게 함으로 배출되는 종자의 으깨짐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면 제 1 내지 2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파종장치는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구동되는 전륜(110) 및 후륜(120), 그리고 동력의 전달상태 및 두둑(2)에 따른 장치의 높이조절 등을 위한 조절수단(130)을 포함하는 주행부(100)와, 이러한 주행부(10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쪽으로만 마련된 것으로, 수납부(30)와 동력전달부(20), 이송부(40) 및 파식부(50)로 대별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파종장치의 주행부(100)에 마련된 상기 조절수단(130)은 동력전달부(20)의 동력 인가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동력조절관(131)과 종자(1)가 뿌려지는 두둑의 높이에 따라 상기 주행부(100)의 한 쪽에 부가되는 구성체의 높이를 설정하기 위한 높이조절관(1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조절관(131)은 작업자가 주행부(100)에 힘을 가하기 위해 잡는 손잡이에 일체되는 회전식 조절스위치(131a)와, 동력전달부(20)의 한 축(23)에 마련되어 주행부(100)의 구동력을 인가시키는 죠클러치(131c), 그리고 상기 조절스위치(131a) 및 죠클러치(131c)를 연계하는 와이어(131b)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또 높이조절관(132)은 주행부(100)의 측면에 일체된 나사식 조절손잡이(132a)와 이 조절손잡이(132a)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유동판재(132c) 그리고 상기 유동판재(132c)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압력실린더(13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높이조절관(132)의 유동판재(132c) 하단부에 유선형의 두둑가이드(132d)를 더 구비하여 파종 시 두둑을 따라 움직여야 하는 주행부(100)의 이동상의 편의를 도모하는 형태로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파종장치의 수납부(30)는 파종할 종자를 적재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및 하부가 개통되어 투입구(31) 및 배출구(32)를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동력전달부(20)는 상기 주행부(100)의 전륜(110) 혹은 후륜(120)으로부터 기인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기어(21)와 축(23)이 체인(22)과 같은 연결재로부터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기어(21)에는 상기 높이조절관(132)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축(23)에 대한 체인(2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암기어(21a)가 포함된 형태가 좋다.
상기한 이송부(4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30)의 배출구(32) 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동력전달부(20)와 연계되어 회동되는 외측의 회동부재(41)와 이 회동부재(41) 속에 삽입된 형태로 결합되는 고정부재(43)가 2중으로 중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41)의 외주면 상에는 내·외부로 천공된 일군의 관통공(41a)을 형성하되,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향되는 두 지점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43)의 내부에는 한 쪽으로 경사진 홈 형태의 안내로(43a)를 형성하여, 고정부재(43)의 안내로(43a)와 회동부재(41)의 관통공(41a)이 일치되었을 때에만 수납부(30)에 적재된 종자(1)가 이송부(40)를 통해 파식부(50)로 옮겨 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이송부(40)의 회동부재(41) 및 고정부재(43) 사이에는 작동 시 양자 간의 간섭을 방지하고 원활한 작동을 위한 보강부재(42) 즉, 베어링 등과 같은 것이 거치된 형태로도 가능하다.
또 상기한 이송부(40)의 회동부재(41)에는 수납부(30)로부터 배출되는 종자의 으깨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전수단(41b)이 더 구비된 형태로도 좋다. 이때, 상기 보전수단(41b)은 관통공(41a)의 주위로 형성되는 경사면 형태의 홈으로 타원체가 바람직하고 상기 관통공(41a)의 경계에서부터 최대한 완만한 기울기로 이루어져 관통공(41a)을 통과하지 못한 종자(1)가 자연스럽게 굴러 수납부(30) 내에 온전하게 남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종장치의 파식부(50)는 상기 이송부(40) 측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환형의 통 형태로 이루어지는 받이부재(51)와 이 받이부재(51)의 외측에 마련되는 식삽부재(52), 그리고 상기 이송부(40)의 고정부재(43)에 일체되는 프레임부재(53)가 포함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받이부재(51)는 이송부(40)의 회동부재(41)에 일체되어 연동되며, 고정부재(43)의 안내로(43a)가 그 내부로 연결되어 파종될 종자(1)가 인가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식삽부재(52)에는 외압에 의해 개폐되는 커버체(52a)가 구비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재(53)의 한 쪽 내벽의 소정 위치에 상기 커버체(52a) 개방을 위한 돌기 형태의 가압수단(53a)이 구비된다.
또 상기한 프레임부재(53)는 전방 및 후방에 롤러(53b)를 더 구비하여, 파종작업 시 두둑의 상태를 일정하게 미연에 보정함은 물론, 종자를 심고 난 후 처리 즉, 두둑(2)의 소정 깊이에 종자를 넣은 뒤 파인 부위를 덮어주는 작업까지 일괄 할 수 있는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의 작동관계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파종장치는 담배와 같은 작물이 심어진 두둑(2)의 여분을 활용하기 위한 콩과 같은 작물의 파종작업에 유용한 것으로, 파종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이동만 하고자 할 때에는 동력조절관(131)의 조절스위치(131a)를 이용하여 죠클러치(131c)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동과 함께 파종작업을 실시하고자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실시할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파종장치를 수납부(30)에 파종할 종자(1)를 적재한 상태에서 해당 두둑(2)에 정위치 시킨다. 여기서 정위치라 함은, 두둑가이드(132d)가 해당 두둑(2)에 접하도록 주행부(100)를 이동한 후 높이조절관(132)의 조절손잡이(132a)를 좌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켜 두둑(2)의 크기 및 높이에 맞게 유동판재(132c)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여 맞춘 위치를 말한다. 이때, 유동판재(132c)의 높이 변화에 따라 압력실린더(132b)가 신장 혹은 압축되어 주행부(100)의 차체로부터 유동판재(132c)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고, 이 유동판재(132c)에 부설된 동력전달부(20)나 수납부(30), 이송부(40) 및 파식부(50)의 상·하 높이가 조절되어 궁극적으로는 파식부(50)의 프레임부재(53) 및 롤러(53b)가 파종될 두둑(2)의 해당 위치에 안착되게 한다.
이와 같은 높이조절관(132)의 작동은 동력전달부(20)의 일부 위치를 이동하게 되므로 동력전달부(20)의 기어(21)와 축(23)을 연결하는 체인(2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암기어(21a)의 위치까지 동시에 조절하게 되며, 이는 동력전달부(20)의 위치에 상관없이 체인(22)의 긴장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어 본 고안의 파종장치를 두둑(2)에 정위치 시키고 나면, 동력조절관(131)의 조절스위치(131a)를 이용하여 이격되어 있는 죠클러치(131c)를 맞물리게 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본 고안의 주행부(100)를 밀어 이동시키면, 주행부(100)의 전륜(110) 또는 후륜(120)에 일체된 동력전달부(20)의 기어(21) 및 체인(22)에 의해 축(23)이 연동되어 구동력이 인가되면서 수납부(30)에 적재된 종자(1)의 파종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첨부된 도면 제 3 내지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종장치는 동력전달부(20)로부터 주행부(100)의 구동력이 이송부(40) 및 파식부(50)의 해당 구성을 구동시킴으로써, 수납부(30)에 적재된 종자(1)가 배출구(32)에서 이송부(40)의 회동부재(41)에 마련된 관통공(41a)과 고정부재(43)의 안내로(43a)를 경유하여 파식부(50)의 받이부재(51)로 이송되며, 이송된 종자(1)는 다시 받이부재(51)가 상기 이송부(40)의 회동부재(41)와 함께 회전함에 따라 그 자중에 의해 궁극적으로 식삽부재(52)의 커버체(52a) 끝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식삽부재(52)는 받이부재(51)의 회전 및 작업자의 가압력에 따라 종자(1)를 파종할 두둑(2)을 소정 깊이로 파고 들어가게 되며, 동시에 프레임부재(53)의 내벽에 마련된 돌기 형태의 가압수단(53a)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식삽부재(52)의 커버체(52a)가 개방되면서 커버체(52a) 내부 끝단에 있던 종자(1)가 두둑 속으로 파종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40)의 결합관계 및 그에 따른 작동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관통공(41a) 및 보전수단(41b)이 구비된 외측의 회동부재(41)는 동력전달부(20)의 축(23)과 연계되며, 동시에 파식부(50)의 받이부재(51) 및 식삽부재(52)와 일체되어 회전하는 반면, 안내로(43a)가 구비된 내측의 고정부재(43)는 높이조절관(132)의 유동판재(132c)에 일체되고, 다른 쪽으로는 파식부(50)의 프레임부재(53)와 연결되어 고정 됨으로 양자 사이에는 베어링과 같은 보강부재(42)로부터 상호간의 작동이 원활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수납부(30)의 종자(1)는 회동부재(41)의 회동에 의해 관통공(41a)이 고정부재(43)의 안내로(43a)와 일치될 때, 그 자중에 의해 관통 및 안내되어 파식부(50)의 받이부재(51) 및 식삽부재(52)로 이송되고, 상기 회동부재(41)의 관통공(41a)이 고정부재(43)의 안내로(43a) 형성 위치를 넘어 회전할 때에는 관통공(41a) 주위에 형성된 타원형태의 경사면 즉, 보전수단(41b)에 의해 종자(1)는 자연스럽게 구르게 되어 수납부(30) 내에 남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재(53)의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된 롤러(53b)의 경우, 전방의 것은 파식부(50)의 식삽부재(52)에 의한 종자(1)의 파종 이전의 두둑(2)의 상태를 일정 높이로 보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후방의 것은 식삽부재(52)에 의한 파종 후 두둑(2)에 뿌려진 종자(1)를 흙으로 덮어 줌으로써 비나 바람 등에 의해 종자(1)가 씻겨 내리거나 날리는 등의 피해에 대한 방지까지 일괄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특정 실시형태에 한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 실시하는 것 또한 본 고안의 기재된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종장치에 의하면 순수한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서만 구동되므로 열이나 매연에 약한 담배와 같은 작물이 심어진 두둑에 콩 등과 같은 작물의 파종이 용이하므로 혼용재배로 인한 농토의 활용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주행부의 좌·우 중 한 쪽으로만 수납부나 동력전달부 및 이송부 그리고 파식부 등을 구비하고, 이들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파종하는 두둑의 형태나 크기에 구애됨 없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파종작업의 능률이 혁신됨은 물론, 간단한 구성으로 인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파종장치는 원통형의 외측 회동부재와 내측 고정부재가 2중으로 중첩된 형태로 이루어진 이송부를 구비하되, 관통공 주위로 종자의 으깨짐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 형태의 보전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파종의 실효성과 직결되는 구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인건비의 절감은 물론, 대량생산을 지향하는 농법의 여건 조성에 일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파종장치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파종장치의 구성 및 결합관계를 블록화 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파종장치의 일부를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파종장치의 작동원리를 단면상태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종자 2 : 두둑
20 : 동력전달부 21 : 기어
21a: 암기어 22 : 체인
23 : 축 30 : 수납부
31 : 투입구 32 : 배출구
40 : 이송부 41 : 회동부재
41a: 관통공 41b: 보전수단
42 : 보강부재 43 : 고정부재
43a: 안내로 50 : 파식부
51 : 받이부재 52 : 식삽부재
52a: 커버체 53 : 프레임부재
53a: 가압수단 53b: 롤러
100: 주행부 110: 전륜
120: 후륜 130: 조절수단
131: 동력조절관 131a: 조절스위치
131b: 와이어 131c: 죠클러치
132: 높이조절관 132a: 조절손잡이
132b: 압력실린더 132c: 유동판재
132d: 두둑가이드

Claims (8)

  1.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구동되며, 동력의 전달 및 두둑에 따른 높이조절을 위한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주행부와;
    상기 주행부의 좌 또는 우측의 한 쪽으로만 형성되는 것으로, 파종할 종자를 적재하기 위한 수납부;
    상기 주행부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 및 축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
    상기 수납부의 배출구 측에 마련되며,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연동되는 것으로 일군의 관통공이 구비된 회동부재 그리고 경사진 안내로가 구비된 고정부재가 내·외로 중첩되게 결합된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납부로부터 이송된 종자를 두둑에 심는 파식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식부는,
    상기 이송부의 회동부재 측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안내로와 연통되는 환형 받이부재와;
    상기 받이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며, 외압에 의해 개폐되는 커버체가 구비된 식삽부재;
    그리고 상기 이송부의 고정부재 측에 설치되며, 상기 식삽부재의 커버체를 개방하기 위한 가압수단이 구비된 프레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는 파종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회동부재에는 수납부로부터 배출되는 종자의 으깨짐 방지를 위해 상기 관통공 주위로 형성된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보전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전방 및 후방에는 두둑의 상태를 보정하기 위한 롤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장치.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회동부재 및 고정부재 사이에는 작동 시 상호간의 간섭 방지를 위한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장치.
KR20-2005-0014369U 2005-05-20 2005-05-20 파종장치 KR2003942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369U KR200394289Y1 (ko) 2005-05-20 2005-05-20 파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369U KR200394289Y1 (ko) 2005-05-20 2005-05-20 파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289Y1 true KR200394289Y1 (ko) 2005-08-31

Family

ID=43695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369U KR200394289Y1 (ko) 2005-05-20 2005-05-20 파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2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387B1 (ko) * 2020-10-27 2021-09-16 이혁진 농작물 이식 및 수확 장치
CN115152367A (zh) * 2022-08-12 2022-10-11 台州市椒江区农业技术推广中心 一种农业生产用自动播种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387B1 (ko) * 2020-10-27 2021-09-16 이혁진 농작물 이식 및 수확 장치
CN115152367A (zh) * 2022-08-12 2022-10-11 台州市椒江区农业技术推广中心 一种农业生产用自动播种装置
CN115152367B (zh) * 2022-08-12 2024-01-30 台州市椒江区农业技术推广中心 一种农业生产用自动播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19530A (zh) 一种自带旋挖功能且可以施肥的玉米种子撒种机
KR200394289Y1 (ko) 파종장치
CN2362260Y (zh) 施水、施肥、覆膜、穴播机
ITTO960038A1 (it) Macchina multi-uso per frutticoltura
JP4453825B2 (ja) 野菜苗移植機
CN208387229U (zh) 翻土播种机
CN213682063U (zh) 一种多功能沙障铺设机
CN210247506U (zh) 农业用施肥装置
CN210247436U (zh) 履带式马铃薯种植机
JPH10295116A (ja) 直播機
JP2017000097A (ja) ドラム式直播機
CN208370178U (zh) 一种开沟施肥装置
JPH0520107Y2 (ko)
KR100514664B1 (ko) 파종기
CN213485659U (zh) 一种简易播种机
CN214155299U (zh) 一种全方位农业种植用果树施肥机
CN220369016U (zh) 一种新型播种机
CN220511634U (zh) 一种可多点种植的播种机
CN214757821U (zh) 一种玉米种植用自动化播种装置
CN211831834U (zh) 一种滚筒式玉米播种装置
JP2003102202A (ja) 高畝形成作業機ならびにこれに用いる高畝形成板
CN114946298A (zh) 一种多功能一体化玉米播种机
JP3375121B2 (ja) 施肥装置付き4条植え苗植機
KR100493469B1 (ko) 파종기의 종자 파종장치
JP2003325013A (ja) 施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