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971Y1 -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 - Google Patents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971Y1
KR200393971Y1 KR20-2005-0015508U KR20050015508U KR200393971Y1 KR 200393971 Y1 KR200393971 Y1 KR 200393971Y1 KR 20050015508 U KR20050015508 U KR 20050015508U KR 200393971 Y1 KR200393971 Y1 KR 200393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oupled
waist
suppor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용
Original Assignee
최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용 filed Critical 최규용
Priority to KR20-2005-0015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9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9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2Traction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4Head
    • A61H2201/1607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9Thorax
    • A61H2201/1621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는
턱고정부, 받침부, 다리고정부, 상부받침대, 작동관, 척추견인부, 하부받침부, 시술자의 가슴부분을 고정하는 가슴고정벨트부와, 허리부위를 둘러싸 고정하는 허리고정벨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는 각 부위별 고정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별로 견인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시술하고자 하는 부분별로 시술이 가능하고,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사용자 혼자서도 작동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THE BACKBONE RETRACTOR FOR PRASTIC OPERATION THAT POSSIBLE RETRACT BY PART}
본 고안은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척추 견인기란 척추 사이의 간격과, 근육을 신장하여 근본적 척추 질환을 치료하는 기기로 척추디스크, 근육 뭉친곳, 요통, 목의 통증등에 이용되는 기기이다.
본 고안은 누운 상태의 인체의 척추 부위를 이완 또는 수축시켜 척추와 관련된 각종 질환을 물리적 요법으로 교정하는 기기에 관한 것이다.
척추 견인기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구동장치에 각각 연결된 좌,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구동장치에 의해서 승강 운동하도록 이루어진 한쌍의 좌,우부 하체 시트로 구성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5193호(척추교정용 물리치료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동력을 이용한 구동장치부로 인해 무게가 무거워 이동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환자 스스로 기기를 작동시키기 힘들고 시술자의 목 또는 허리, 다리등의 각 부위별로 시술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인체의 갈비뼈부에 고정되는 고정대와, 인체의 골반뼈부에 고정되는 가동대로 이루어지고, 가동장치에 의해서 고정대와 가동대를 이동시켜 척추를 견인시키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16141호(척추 견인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갈비뼈부와 골반부를 밸트로 고정하여 척추를 견인하기 때문에 기기작동시 벨트가 풀려 나가는 경우가 많고, 가동장치부가 구비되어 환자가 이동시키기에 어렵고, 시술자의 목 또는 허리, 다리등의 각 부위별로 시술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척추견인기는 상기와 같이 이동이 불가능하고, 각 부분별로 견인이 불가능한 기존 척추 견인기의 문제점을 없애기 위해 가슴고정부 와 허리고정부를 추가하여 목, 가슴, 허리, 다리의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견인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는
각 부위별 고정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별로 견인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시술하고자 하는 부분별로 시술이 가능하고,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도 사용자 혼자서도 작동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는,
벨트 고정대(110)에 연결되어 있고 턱을 고정하는 턱고정벨트(120)로 구성된 턱고정부(100)와;
상기 턱고정부(100)가 결합되고 중심부분에 목을 받칠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된 머리받침대(210)와 허리부분을 받쳐주는 허리 받침대(220)로 구성된 받침부(200)와:
상기 받침부(200)의 허리 받침대(220)의 아랫부분에 결합되고 상하로 움직이는 발위고정기(310)와 발을 받쳐주는 발받침대(320)로 구성된 다리고정부(300)와;
상기 받침부(200)의 머리받침대(210)의 하부에 결합되고 결합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되는 상부받침대(400)와;
상기 다리고정부(300)의 발받침대(320)와 결합되는 작동관(590)과;
상기 작동관(590)이 결합되는 작동관 연결판(560)을 이동스크류(520)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앞 뒤로 움직이게 하는 척추견인부(500)와;
상기 받침부(200)의 허리받침대(220)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부고정틀(610)과 하부받침대(620)가 결합되어 무게를 지탱해 주는 하부받침부(600)와;
상기 받침부(200)의 머리받침대(210)에 부착 고정되고 시술자의 가슴부위를 둘러싸 고정하는 가슴고정벨트부(700)와;
상기 받침부(200)의 허리받침대(220)위에 위치하고 다리고정부(300)와 연결고리(840)에 의해서 분리 결합되고 시술자의 허리부위를 둘러싸 고정하는 허리고정벨트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도면에 의해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척추 견인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는 턱고정부(100), 받침부(200), 다리고정부(300), 상부받침대(400), 작동관(590), 척추견인부(500), 하부받침부(600), 가슴고정벨트부(700), 허리고정벨트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턱고정부(100)는 척추견인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척추부분을 늘릴때 턱을 고정시키는 부분이다.
턱고정부(100)는 턱고정벨트(120)가 좌우의 끝에 결합되는 벨트고정대(110)와; 상기 벨트고정대(110)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결합될 홈이 만들어져 있는 턱고정대(130)와; 상기 턱고정대(130)에 결합된 벨트고정대(110)을 고정하는 제1고정나사(140)로 구성된다.
턱고정부(100)의 턱고정밸트(120)는 가죽의 재질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만들어진다. 벨트고정대(110)의 좌우 양끝에 고정 설치된다.
턱고정부(100)의 벨트고정대(110)는 T자형의 모양을 하고 있다. 벨트 고정대(110)의 하부는 턱고정대(130)에 만들어져 있는 홈에 결합되어, 위 아래로 움직여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다.
턱고정부(100)의 턱고정대(13)는 L자의 모양이고, 상부에는 벨트고정대(100)가 들어 갈 수 있는 홈이 만들어져 있다.
제1고정나사(140)는 상기 벨트고정대(110)를 턱고정대(130)에 결합시킨후 높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볼트로 만들어져 턱고정부(100)에 만들어진 나사에 결합시켜 고정한다.
받침부(200)는 본 고안의 척추견인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눕기 위한 곳이다. 받침부(200)는 중간 부분에 목부분을 받칠 수 있는 돌기가 나와 있는 머리받침대(210)와; 허리를 받칠 수 있는 판으로 된 허리받침대(220)와; 상기 허리받침대(220)의 아래부분에 결합되어 작동관(590)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작동관고정대(240)와; 상기 작동관고정대(240)에 작동관(590)을 고정하는 제2고정나사(250)로 구성된다.
받침부(200)의 머리받침대(210)는 5각형의 모양을 하고 있고, 중심에 목을 받칠 수 있도록 목의 모양과 같은 타원형의 돌기가 만들어져 있다.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받침부(200)의 허리받침대(220)는 직사각형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상기 머리받침대(210)의 아래 설치된다.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또한, 허리 받침대(220)의 아래에는 작동관(590)이 결합되는 작동관고정대(230)가 결합된다.
상기 받침부(200)의 머리받침대(210)의 아래에 결합된다.
받침부(200)의 작동관고정대(240)는 척추견인부(500)에 의해서 움직이게 되는 작동관(590)을 결합하여 앞 뒤로 움직이게 해주는 부분이다. 상기 받침부의 허리 받침대(220)의 아래에 결합된다.
받침부(200)의 제2고정나사(250)는 상기 받침부(200)의 작동관고정대(240)의 옆에 나와 있는 돌기에 결합시켜 작동관(590)이 움직일 때 이탈 되지 않도록 한다.
다리고정부(300)는 사용자의 다리를 고정하는 부분이다.
다리고정부(300)는 T자 모양을 하고 있으며 양 옆에 발을 고정하기 위한 타원형의 고정기가 설치된 발위 고정기(310)와; 상기 발위 고정기(310)가 내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홈이 만들어져 있고 L자 모양을 하고, 상부에 발을 고정하기 위한 수평봉이 만들어져 있는 발 받침대(320)와; 상기 발위 고정기(310)와 발 받침대(320)를 결합 고정시키는 제3고정나사(330)와; 상기 발 받침대(320)을 작동관(590)에 고정하는 제2고정핀(340)으로 구성된다.
다리 고정부(300)의 발위고정기(310)은 T자 모양을 하고 있고, T자의 위부분에는 다리 고정시 편안한 느낌을 주기 위한 발포성 합성수지나 고무로 감싼다.
다리 고정부(300)의 발받침대(320)는 상기 발위고정기(310)가 내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에 홈이 만들어져 있고 L자 모양을 하고 있다. 또한, 상부에는 발이 고정될 수 있는 수평봉이 만들어져 있다. 또한, 수평봉은 다리 고정시 편안한 느낌을 주기 위한 발포성 합성수지나 고무로 감싼다.
다리 고정부(300)의 제3고정나사(330)는 상기 발위고정기(310)와 발받침대(320)를 결합후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이다.
다리고정부(300)의 제2고정핀(340)은 사람의 다리의 길이에 따라 발받침대(320)의 길이를 조절한 후 길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핀이다.
상부받침부(400)는 ㅗ자 모양을 하고 있는 지면 밀착관(410)과;
상기 지면 밀착관을 머리받침대(210)에 결합 고정하는 제4고정볼트(420)와;
상기 제4고정볼트(420)에 결합되는 제4고정너트(430)로 구성된다.
상부 받침부의 지면 밀착관(410)은 본 고안의 척추 견인기를 바닥에 설치하고 지지하는 것으로, ㅗ자 모양을 하고 있다. 또한, 바닥에 지지되는 부분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둘레에 고무가 감싸져 있다.
상부 받침부의 제4고정볼트(420)는 상기 지면 밀착관(410)을 상기 받침부(200)의 머리받침대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볼트로 만들어진다.
상부 받침부의 제4고정너트(430)는 상기 제4고정볼트(42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너트로 만들어진다.
척추견인부(500)는 손잡이에 의해서 회전되도록 만들어져 있는 회전막대(510)와; 상기 회전막대(510)의 일단의 끝과 연결되고 반씩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선이 만들어져 있는 이동스크류(520)와; 상기 이동스크류(520)의 우측 나사에 결합되고 나사의 회전에 의해서 좌우로 이동되는 우측이동바(530)와; 상기 이동 스크류(520)의 좌측 나사에 결합되고 나사의 회전에 의해서 좌측이동바(540)와; 상기 우측이동바(530)와 좌측이동바(540)와 작동관연결막대(570)에 의해서 결합되고 작동관(580)과 결합된 작동관연결판(560)으로 구성된다.
척추견인부(500)는 본 고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사용자가 회전막대(510)을 회전시키면 이동스크류(520)가 회전하여 좌측이동바(540)와 우측이동바(530)가 이동스크류(520)의 중심이나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좌측이동바(540)와 우측이동바(530)에 연결된 작동관연결막대(570)로 움직임이 전달되어 작동관연결판(560)이 앞 뒤로 움직이게 된다.
회전막대(510)는 손잡이를 돌리면 회전운동을 하도록 양끝이 반대방향으로 꺽어져 있다.
회전막대(510)에는 전동장치를 연결하여 자동으로 회전하게 할 수도 있다.
이동스크류(520)는 상기 회전막대(510)의 일단의 끝에 연결되고, 이동스크류(520)를 반으로 나누어 반대방향의 나사가 만들어져 있다. 또한, 각기의 나사에는 우측이동바(530)와 좌측이동바(540)가 설치된다. 마모가 적은 금속으로 만들어 진다.
우측이동바(530)는 상기 이동 스크류(520)의 우측에 결합되어 이동 스크류상을 움직인다.
좌측이동바(540)는 상기 이동 스크류(520)의 좌측에 결합되어 이동 스크류상을 움직인다.
작동관연결막대(570)는 상기 우측이동바(530)와 좌측이동바(540)에 결합되어 움직임을 작동관연결판(560)으로 전달한다.
작동관연결판(560)은 상기 작동관연결막대(570)와 결합하여 작동관에 움직임을 전달한다.
도 3의 (A)는 회전막대(510)의 손잡이를 돌려 작동관연결판(560)이 이동 스크류(520)의 앞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B)는 회전막대(510)의 손잡이를 반대 방향으로 돌려 작동관연결판(560)이 이동스크류(520)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하부받침부(600)는 A자 모양을 하고 있고, 받침부(200)의 허리받침대(220)의 아래에 결합되는 하부 고정틀(610)과; 상기 하부 고정틀(610)이 결합되고 A자를 모양하고 있는 하부 받침대(620)로 구성된다.
하부받침부(600)의 하부고정틀(610)은 상기 받침대(200)의 허리받침대(22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A자 모양을 하고 있고, 하부 받침대(620)과 결합되어 허리 받침대(220)의 아래 설치된다. 하부 받침대(620)는 상기 하부고정틀(610)의 아래 결합되어 하부 고정틀(610)을 지지한다.
가슴고정벨트부(700)는 시술자의 가슴부위를 둘러싸 고정시키는 가슴고정벨트(710)와; 상기 가슴고정벨트(710)의 양끝 부분에 만들어져 가슴고정벨트(710)의 양끝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가슴고정벨트체결수단(720)과; 상기 가슴고정벨트(710)의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는 머리받침대부착용벨로크테잎(730)과; 상기 머리받침대부착용벨로크테잎(730)과 부착되고 받침부(200)의 머리받침대(210)에 설치되는 머리받침대고정용벨로크테잎(740);으로 구성된다.
가슴고정벨트부(700)는 시술자의 가슴부분을 본 고안의 척추견인기에 고정시켜 가슴부터 다리까지 견인되도록 한다. 가슴고정벨트부(700)의 가슴고정벨트(710)는 가죽이나 섬유, 합성수지등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가슴고정벨트체결수단(720)은 가슴고정벨트(710)의 양끝을 붙여 시술자의 가슴부분을 둘러 싸게 하는 수단으로 벨로크테잎이나 연결고리와 홈등 양끝을 체결 할 수 있는 것이면 사용가능 하다.
머리받침대부착용벨로크테잎(730)은 가슴고정벨트(710)의 중심부분에 설치되어 머리받침대에 고정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머리받침대고정용벨로크테잎(740)은 가슴고정벨트(710)가 설치되는 머리받침대(210)에 가슴고정벨트(710)을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찍찍이라고 하는 벨로크테잎을 설치하여 가슴고정벨트(710)를 고정한다.
허리고정벨트부(800)는 다리고정부(300)에 다리고정연결고리(840)로 연결하여 다리고정부(300)가 견인을 하기 위하여 바깥쪽으로 움직이면 같이 움직여 무릎관절부분이 늘어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무릎관절이 안 좋은 시술자는 허리고정벨트(810)를 착용하여 시술시 무릎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허리고정벨트부(800)는 허리부분을 둘러싸 고정시키는 허리고정벨트(810)와; 상기 허리고정벨트(810)의 양끝단을 결합하는 허리고정벨트체결수단(820)과; 상기 허리고정벨트(810)의 양끝 부분에 연결되고 다리고정부연결고리(840)와 연결되는 다리고정부연결끈(830)과; 상기 다리고정부연결끈(830)과 연결되고 다리고정부(300)에 결합되는 다리고정부연결고리(840)로 구성된다.
허리고정벨트(810)는 상기 가슴고정벨트(710)와 같이 가죽이나 섬유, 합성수지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허리고정벨트체결수단(820)은 상기 가슴고정벨트체결수단(720)과 같이 허리고정벨트(810) 양 끝단을 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벨로크테잎이나 연결고리와 홈등 양끝을 체결 할 수 있는 것이면 사용가능 하다.
도 2는 본 고안의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각 부분의 움직임을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턱 고정부(100)는 앞뒤로 움직이고, 다리고정부(300)은 상하로 움직인다.
또한, 상부 고정부(400)와 하부 고정부(600)는 회전 운동을 한다.
척추 견인부(500)의 회전막대(510)는 회전운동을 한다. 가슴을 고정하는 가슴고정벨트(700)와 허리를 고정하는 허리고정벨트(800)는 시술자의 가슴과 허리를 둘러 감싸 본 고안의 척추 견인기의 움직임을 시술자에게 전달한다.
도 4는 시술자가 본 고안의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에 누워있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견인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는 턱고정벨트(120), 가슴고정벨트(710), 허리고정벨트(810)를 모두 착용한 시술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상태에서 시술자가 회전막대(510)을 돌리면 척추견인부(500)가 다리고정부(300)를 바깥쪽으로 밀어낸다.
다리고정부(300)에 연결되어 있는 다리고정부연결고리(840)도 같이 바깥쪽으로 움직여 다리고정부연결끈(830)을 잡아당기게 된다.
다리고정부연결끈(830)과 결합되어 있는 허리고정벨트(810)을 잡아당기게 되어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고 허리 부분만을 잡아당겨준다.
이때, 가슴고정벨트(710)에 의해서 가슴부위가 머리받침대(210)에 고정되어 있어 가슴고정벨트(710)와 허리고정벨트(810)를 착용한 사이만이 잡아당겨지게 된다.
도 6과 같이 턱고정벨트(120)와 허리고정벨트(810)만을 착용한 후 회전막대(510)를 돌리면 척추견인부(500)가 다리고정부(300)를 바깥쪽으로 밀어낸다.
다리고정부(300)에 연결되어 있는 다리고정부연결고리(840)도 같이 바깥쪽으로 움직여 다리고정부연결끈(830)을 잡아당기게 된다.
다리고정부연결끈(830)과 결합되어 있는 허리고정벨트(810)을 잡아당기게 되어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고 허리 부분만을 잡아당겨준다.
이때, 턱고정벨트(120)와 허리고정벨트(810)의해서 턱고정벨트(120)와 허리고정벨트(810)의 사이만이 잡아당겨지게 된다.
도 7과 같이 턱고정벨트(120)와 가슴고정벨트(810)만을 착용한 후 회전막대(510)을 돌리면 척추견인부(500)가 다리고정부(300)를 바깥쪽으로 밀어낸다.
다리고정부(300)에 고정되어 있는 발을 바깥쪽으로 당기게 된다.
이때 다리 관절부분도 같이 당겨지게된다. 가슴고정벨트(810)에 의해서 머리받침대(210)에 시술자의 가슴부분이 고정되어 시술자의 가슴부터 다리까지가 잡아당겨지게 된다.
시술자가 본 고안의 척추견인기에 누워 목 부터 발목까지 늘리기 위해서는 도 8과 같이 턱고정벨트(120)만을 착용하고 발은 다리고정부(300)에 고정시킨 후 회전막대(510)을 돌리면 척추견인부(500)가 다리고정부(300)를 바깥쪽으로 밀어내서 목 부터 다리까지를 잡아 당기게 되어 목, 허리, 무릎등의 각 부분이 늘어나게 된다.
본 고안은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는 각 부위별 고정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별로 견인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시술하고자 하는 부분별로 시술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사용자 혼자서도 작동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척추 견인기의 전체조립도.
도 3은 본 고안의 척추 견인기의 척추견인부의 작용 나타낸 작용도.
(A) 회전막대의 회전에 의해서 작동관연결판이 밖으로 움직이는 것을 도시한 도.
(B) 회전막대의 회전에 의해서 작동관연결판이 안으로 움직이는 것을 도시한 도
도 4는 본 고안의 척추 견인기에 시술자가 누워있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척추 견인기에 시술자가 턱고정벨트, 가슴고정벨트, 허리 고정벨트를 착용하고 있은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척추 견인기에 시술자가 턱고정벨트, 허리 고정벨트를 착용하고 있은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척추 견인기에 시술자가 턱고정벨트, 가슴고정벨트를 착용하고 있은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척추 견인기에 시술자가 턱고정벨트를 착용하고 있은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턱 고정부 110 : 밸트 고정대
120 : 턱 고정밸트 130 : 턱 고정대
140 : 제1고정나사 150 : 제1고정핀
200 : 받침부 210 : 머리받침대
220 : 허리받침대 240 : 작동관고정대
250 : 제2고정 나사 300 : 다리고정부
310 : 발위 고정기 320 : 발 받침대
330 : 제3고정나사 340 : 제2고정핀
400 : 상부 받침대 410 : 지면밀착관
420 : 제4고정볼트 430 : 제4고정너트
500 : 척추 견인부 510 : 회전막대
520 : 이동 스크류 530 : 우측 이동바
540 : 좌측 이동바 560 : 작동관 연결판
570 : 작동관 연결막대 590 : 작동관
600 : 하부 받침부 610 : 하부 고정틀
620 : 하부 받침대 630 : 제5고정볼트
640 : 제6고정볼트 700 : 가슴고정벨트부
710 : 가슴고정벨트 720 : 가슴고정벨트체결수단
730 : 머리받침대부착용벨로크테잎 740 : 머리받침대고정용벨로크테잎
800 : 허리고정벨트부 810 : 허리고정벨트
820 : 허리고정벨트체결수단 830 : 다리고정부연결끈
840 : 다리고정부연결고리

Claims (9)

  1. 척추 견인기에 있어서,
    벨트 고정대(110)에 연결되어 있고 턱을 고정하는 턱고정벨트(120)로 구성된 턱고정부(100)와;
    상기 턱고정부(100)가 결합되고 중심부분에 목을 받칠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된 머리받침대(210)와 허리부분을 받쳐주는 허리 받침대(220)로 구성된 받침부(200)와:
    상기 받침부(200)의 허리 받침대(220)의 아랫부분에 결합되고 상하로 움직이는 발위 고정기(310)와 발을 받쳐주는 발 받침대(320)로 구성된 다리고정부(300)와;
    상기 받침부(200)의 머리받침대(210)의 하부에 결합되고 결합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되는 상부받침대(400)와;
    상기 다리고정부(300)의 발 받침대(320)와 결합되는 작동관(590)과;
    상기 작동관(590)이 결합되는 작동관 연결판(560)을 이동 스크류(520)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앞 뒤로 움직이게 하는 척추견인부(500)와;
    상기 받침부(200)의 허리받침대(220)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부 고정틀(610)과 하부 받침대(620)가 결합되어 무게를 지탱해 주는 하부받침부(600)와;
    상기 받침부(200)의 머리받침대(210)에 부착 고정되고 시술자의 가슴부위를 둘러싸 고정하는 가슴고정벨트부(700)와;
    상기 받침부(200)의 허리받침대(220)위에 위치하고 다리고정부(300)와 연결고리(840)에 의해서 분리 결합되고 시술자의 허리부위를 둘러싸 고정하는 허리고정벨트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턱고정부(100)은;
    턱 고정벨트(120)가 좌우의 끝에 결합되는 벨트 고정대(110)와;
    상기 벨트 고정대(110)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결합될 홈이 만들어져 있는 턱 고정대(130)와;
    상기 턱 고정대(130)에 결합된 벨트 고정대(110)을 고정하는 제1고정 나사(1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00)는,
    중간 부분에 목부분을 받칠 수 있는 돌기가 나와 있는 머리받침대(210)와;
    허리를 받칠 수 있는 판으로 된 허리받침대(220)와;
    상기 허리 받침대(220)의 아랫부분에 결합되어 작동관(590)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작동관 고정대(240)와;
    상기 작동관 고정대(240)에 작동관(590)을 고정하는 제2고정나사(2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고정부(300)는,
    T자 모양을 하고 있으며 양 옆에 발을 고정하기 위한 타원형의 고정기가 설치된 발 위 고정기(310)와;
    상기 발 위 고정기(310)가 내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홈이 만들어져 있고 L자 모양을 하고, 상부에 발을 고정하기 위한 수평봉이 만들어져 있는 발 받침대(320)와;
    상기 발 위 고정기(310)와 발 받침대(320)를 결합 고정시키는 제3고정나사(330)와;
    상기 발 받침대(320)를 작동관(590)에 고정하는 제2고정핀(3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대(400)는,
    ㅗ자 모양을 하고 있는 지면 밀착관(410)과;
    상기 지면 밀착관을 머리받침대(210)에 결합 고정하는 제4고정볼트(420)와;
    상기 제4고정볼트(420)에 결합되는 제4고정너트(4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견인부(500)는,
    손잡이에 의해서 회전되도록 만들어져 있는 회전막대(510)와;
    상기 회전막대(510)의 일단의 끝과 연결되고 반씩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선이 만들어져 있는 이동 스크류(520)와;
    상기 이동 스크류(520)의 우측 나사에 결합되고 나사의 회전에 의해서 좌우로 이동되는 우측이동바(530)와;
    상기 이동 스크류(520)의 좌측 나사에 결합되고 나사의 회전에 의해서 좌우로 이동되는 좌측이동바(540)와;
    상기 우측이동바(530)와 좌측이동바(540)와 작동관 연결막대(570)에 의해서 결합되고 작동관(590)과 결합된 작동관연결판(5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받침부(600)는,
    A자 모양을 하고 있고, 받침부(200)의 허리받침대(220)의 아래에 결합되는 하부 고정틀(610)과;
    상기 하부 고정틀(610)이 결합되고 A자를 모양하고 있는 하부 받침대(6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고정벨트부(700)는
    시술자의 가슴부위를 둘러싸 고정시키는 가슴고정벨트(710)와;
    상기 가슴고정벨트(710)의 양끝 부분에 만들어져 가슴고정벨트(710)의 양끝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가슴고정벨트체결수단(720)과;
    상기 가슴고정벨트(710)의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는 머리받침대부착용벨로크테잎(730)과;
    상기 머리받침대부착용벨로크테잎(730)과 부착되고 받침부(200)의 머리받침대(210)에 설치되는 머리받침대고정용벨로크테잎(7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고정벨트부(800)는
    허리부분을 둘러싸 고정시키는 허리고정벨트(810)와;
    상기 허리고정벨트(810)의 양끝단을 결합하는 허리고정벨트체결수단(820)과;
    상기 허리고정벨트(810)의 양끝 부분에 연결되고 다리고정부연결고리(840)와 연결되는 다리고정부연결끈(830)과;
    상기 다리고정부연결끈(830)과 연결되고 다리고정부(300)에 결합되는 다리고정부연결고리(8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
KR20-2005-0015508U 2005-05-31 2005-05-31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 KR200393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508U KR200393971Y1 (ko) 2005-05-31 2005-05-31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508U KR200393971Y1 (ko) 2005-05-31 2005-05-31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736A Division KR100732640B1 (ko) 2005-06-18 2005-06-18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971Y1 true KR200393971Y1 (ko) 2005-08-25

Family

ID=43695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508U KR200393971Y1 (ko) 2005-05-31 2005-05-31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9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167A (ko) * 2020-06-09 2021-12-17 김경복 목,허리,발목 관절견인의 벨트,고정부구비 고정체(벨트:머리,가슴,허리, 걸이:발목)의 변위 및 상기 고정체구비의 상면체 변위의 신체부분별 관절견인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167A (ko) * 2020-06-09 2021-12-17 김경복 목,허리,발목 관절견인의 벨트,고정부구비 고정체(벨트:머리,가슴,허리, 걸이:발목)의 변위 및 상기 고정체구비의 상면체 변위의 신체부분별 관절견인기
KR102405853B1 (ko) 2020-06-09 2022-06-07 김경복 목,허리,발목 관절견인의 벨트,고정부구비 고정체(벨트:머리,가슴,허리, 걸이:발목)의 변위 및 상기 고정체구비의 상면체 변위의 신체부분별 관절견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1104B1 (ko) 척추교정 운동기구
JP5139124B2 (ja) 拘束・再配置・けん引・運動装置
US4474176A (en) Foot articulator
KR101904468B1 (ko) 와상환자용 보행 재활장치
US6749548B2 (en) Restraint and exercise device
US9205015B2 (en) Linear motion therapy device
PL173405B1 (pl) Urządzenie do leczenia, fizykoterapii, rehabilitacji i treningu kręgosłupa i innych części ciała ludzkiego
KR200386069Y1 (ko) 정형용 척추 견인기
CN101754738B (zh) 用于自主进行物理治疗练习的器械
AU2006316430B2 (en) Spinal therapy apparatus
JP5500623B2 (ja) 腰椎牽引装置
JP3420546B2 (ja) 下肢運動装置
KR102532823B1 (ko) 디스크 도수치료기
KR20100008607U (ko) 척추 복합 견인기
KR100732640B1 (ko)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
KR200393971Y1 (ko) 부분별 견인이 가능한 정형용 척추 견인기
EP1392406B1 (en) Restraint and exercise device
JPWO2005000172A1 (ja) 健康器具
KR19990045897A (ko) 디스크치료대
JP2000210318A (ja) 腰痛治療器具
KR101244838B1 (ko) 허리디스크 운동장치
JP5163976B2 (ja) 体力トレーニングマシン
KR102329863B1 (ko) 침대형 스트레칭 장치
KR101282206B1 (ko) 척추교정기
KR200242974Y1 (ko) 견인 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