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860Y1 - A necktie of fixing - Google Patents

A necktie of fix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860Y1
KR200393860Y1 KR20-2005-0016234U KR20050016234U KR200393860Y1 KR 200393860 Y1 KR200393860 Y1 KR 200393860Y1 KR 20050016234 U KR20050016234 U KR 20050016234U KR 200393860 Y1 KR200393860 Y1 KR 200393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hook
present
clasp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23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용기
Original Assignee
고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용기 filed Critical 고용기
Priority to KR20-2005-0016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86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860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6/00Retainers or tethers for neckties, cravats, neckerchiefs, or the like, e.g. tie-clips, spring clips with attached tie-tethers, woggles, pins with associated sheathing members tetherable to clothing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e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본 고안은 넥타이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셔츠의 단추에 걸어 장신구가 걸쇠형태로 구비되어진 부분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서 넥타이에 어떠한 외력도 전달되지 않으면서 정위치에서의 고정과 다양한 장식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e fastener, and in particular, by hanging on the button of the shirt to be fitted to the part provided with the clasp form, it is possible to fix in place and various decorations without transmitting any external force to the tie.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problem the invention is trying to solve.

현재 이러한 방식에 대하여 본원출원인이 선등록한 것으로는 실용신안등록 제131855호로 심사등록된 것이 있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넥타이가 체인에 의하여 끼워지도록 함으로서 넥타이가 고정토록 하였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이 멋스러움을 추구하는 넥타이에서 다양한 장식을 구비할 수 없다는 것이다.At present, the applicant of this application has pre-registered as a register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31855, but the disadvantage of this is that the tie is fixed by allowing the tie to be fitted by the chain, but the disadvantage of this is the necktie which pursues fashion. In that it can not be equipped with various decorations.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The gist of the solution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와이셔츠의 단추에 걸수 있는 걸이구의 양단으로 ⊂형 연결고리를 사용하여 장식구의 장착이 가능한 걸쇠를 연결토록 함으로서 교환가능한 장식구에 의하여 다양한 장식이 가능토록 함은 물론 ⊂형 연결고리에 의한 걸쇠의 정위치에서의 유동에 의하여 넥타이의 손상이 없으면서도 다양한 장식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is problem, and it is possible to connect various clasps by exchangeable ornaments by connecting clasps that can be fitted with ornaments using both ends of hooks that can be hanged on buttons of shirts. Of course, by the flow of the clasp by the hook-type hook to allow a variety of decorations without damaging the tie.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devise

넥타이 고정.       Fasten tie.

Description

넥타이 고정구{A necktie of fixing}A necktie of fixing

본 고안은 넥타이를 착용할 경우에 넥타이가 와이셔츠에서 일정한 범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넥타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넥타이에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 끼움에 의하여만으로 넥타이의 정위치의 고정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e fixture that allows the tie to be fixed in a certain range in a shirt when wearing a tie,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fix the tie in place only by fitting without a separate fixing means to the tie. It is.

이를 위하여 넥타이의 후방에서는 걸이구를 와이샤츠 단추에 걸고 넥타이의 전방으로는 걸쇠가 연결고리에 의하여 연결되면서 구획되어지는 삽입구에 넥타이를 삽입토록 함으로서 어떠한 움직임에 의하여도 넥타이가 삽입구에서 자유롭게 유동토록 하면서도 넥타이의 자체 무게에 의하여 언제나 넥타이가 정중앙에 위치되어 착용되도록 한 넥타이 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For this purpose, the hook is hooked to the shirt button at the rear of the tie, and the ti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defined by the hook at the front of the tie, allowing the tie to flow freely from the slot by any movemen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tie fixture that allows the tie to be positioned and centered at all times by its own weight.

종래의 이러한 넥타이 고정구로는 본인이 선출원하여 심사등록한 실용신안등록 제131855호에 제안되었던 것이다.Conventional tie fixtures have been propos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31855, which is filed and registered by the applicant.

즉 와이셔츠 단추에 끼워고정토록 하기 위한 걸이구(7)와 상기 걸이구의 양측단에 연결되어진 체인으로 이루어짐으로서 걸이구와 체인의 사이에 생기는 공간으로 넥타이를 끼움토록 함으로서 별도의 고정수단이 넥타이에 가해지지 않으면서도 고정이 가능토록 한 것이 있다.That is, it consists of a hook (7) for fastening and fastening to the shirt button and the chain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hook, so that a separate fastening means is applied to the tie by inserting the tie into the space created between the hook and the chain. There is something that can be fixed without losing.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이 멋스러움을 강조하는 넥타이에 있어서 단지 고정만을 추구함으로 장식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고 이러한 장식성을 위한 메달을 체인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이 링체를 이용토록 함으로서 이러한 링체의 연결단면에 의하여 넥타이에 손상을 가하게 되는 문제점과 이러한 링체로 연결된 메달이 단지 라벨의 형태로 존재하게 됨으로 장식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고 체인의 연결이기 때문에 양측에서 링체만을 이용하게 됨으로 다양한 형태의 변화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However, the disadvantage of this is that in the tie emphasizing fash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decoration is reduced by only seeking fixing, and the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medal for the decoration with the chain uses the ring body, so that the connection of the ring body is used. The damage caused to the tie by the cross section and the medals connected by these ring bodies exist in the form of labels only, so that the decoration is inferior, and because the chain is connected, only the ring bodies are used on both sides to change various forms.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impossible.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체인을 걸쇠의 형태로 구비토록 하고 상기 걸쇠를 걸이구와 연결할 경우에 ⊂ 연결고리를 사용토록 하고 이러한 ⊂ 연결고리의 링의 이음부가 걸이구와 걸쇠의 연결구에 각각 연결될 경우에 무게중심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내측에 감추어지도록 하고 이러한 걸쇠에 장식구의 장착이 용이토록 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토록 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to provide the chain in the form of a clasp, and to use the hook when the hook is connected with the hook, and the joint of the ring of the hook is connected to the hook and the hook When each connected to the inner side by the center of gravity to be naturally concealed, and to facilitate the mounting of the ornament to such a clasp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도 가능하면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다.Firs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if possible for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prior art.

도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2는 장식구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1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mounting state of the ornament.

우선 본고안의 구성은 와이셔츠 단추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걸이구(7)와 상기 걸이구(7)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구멍(7a)에 장식구(2)가 장착되고 연결구멍(1a)을 갖는 걸쇠(1)가 ⊂연결고리(3)에 의하여 연결되면서 넥타이가 삽입되어질 수 있는 삽입구(9)를 확보하게 되는 구성이다.First of all,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ok (7) that can be fastened to a shirt button, and a decorative tool (2) is attached to the hook (7a)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ok (7). Has a clasp (1) having a hook (3) is connected to secure the insertion hole (9)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tie.

이때 ⊂ 연결고리(3)는 이음부(4)를 갖는 연결링(8)이 양단에 형성되는 것이고, 이러한 연결링(8)의 이음부(4)는 걸쇠(1)와 걸이구(7)의 연결구멍(7a,1a)에 연결될 경우에 그 내측에 위치되어지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upling ring (3) is a connecting ring (8) having a joint portion (4) is formed at both ends, and the joint portion (4) of the connection ring (8) has a clasp (1) and a hook (7) When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holes (7a, 1a) of the will be located inside.

이는 ⊂연결고리(3)의 무게중심이 후방에 위치되어지면서 이음부(4)가 항상 걸이구(7)나 걸쇠(1)의 두께에 해당되는 연결구멍(7a,1a)의 내측에 위치되어지는 것이고 이는 연결링(8)이 연결구멍(7a,1a)과 연결될 경우에 항상 직교하게 연결되어지기 때문이다.This means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ook (3) is located at the rear, and the joint (4) is always located inside the connecting holes (7a, 1a)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hook (7) or the latch (1). This is because the connecting ring 8 is always connected orthogonally when connected to the connecting holes 7a and 1a.

또한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연결고리(3)로 연결되는 걸쇠(1)는 장식구(2)가 결합될 경우에 장식구(2)의 정위치 고정을 위하여 서로 대응되게 중심점(5,5a)이 형성되는 것이고, 이러한 장식구(2)는 걸쇠(1)와 긴밀한 밀착결합을 위하여 내입홈(6)을 형성토록 함으로서 용접 등에 의한 고정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Also,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lasps 1 connected to the ear hooks 3 correspond to each other for fixing the ornament 2 in place when the ornament 2 is coupled. The center point (5, 5a) is to be formed, this ornament (2) is to facilitate the fixing operation by welding or the like by forming the inlet groove (6) for close close coupling with the clasp (1).

또한 본 고안에서는 중심점을 간단한 꼭지점의 형태로 구현하였으나 다양한 방식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장식구(2)의 고정을 용접등에 의한 방식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용접이외의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point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imple vertex, bu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and the fixing of the ornament 2 is described by a welding method, but various methods other than welding can be used.

또한 도4 및 도5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구(2)의 전방으로는 다양한 보석등의 장착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이러한 장식구를 학교의 마크나 다양한 회사의 심볼이나 상표등으로 형성토록 할 경우에는 훌륭한 장식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4 and 5 to 7, it is possible to install a variety of jewelry, etc. in front of the ornament (2) as well as to form such a ornament as a mark or a symbol of the school or various companies If you do this, you will have a good decoration.

따라서 넥타이를 걸이구(7)와 걸쇠(1)가 ⊂연결고리(3)에 의하여 연결되어지면서 형성되는 삽입구(9)에 삽입토록 함으로서 간단하게 넥타이가 고정되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걸쇠(1)에 장착되어지는 장식구(2)에 의하여 다양한 디자인이나 장식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연결고리(3)의 이음부(4)가 항상 연결구멍(7a,1a)의 내측에 위치되어짐으로 이러한 이음부(4)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넥타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tie is fixed simply by inserting the tie (7) and the clasp (1) into the insertion hole (9) formed while being connected by the hook ring (3), to the clasp (1)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variety of designs or decorations by the decorative tool (2) to be mounted, because the joint portion 4 of the coupling ring (3) is always located inside the connecting holes (7a, 1a) It is to be able to prevent damage to the tie that can be generated by the joint (4).

따라서 본 고안은 장식구에 의한 다양한 장식의 변화가 가능 한 것이고, 또한 ⊂연결고리에 의한 무게중심에 의하여 자연적인 연결과 동시에 넥타이의 손상이 방지되어지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change a variety of decorations by the ornaments, and also by the center of gravity by the hook connection is to prevent damage to the tie at the same time as the natural connec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장식구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조립사시도.Figure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ornament.

도 3은 도2의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FIG.

도 4는 ⊂연결고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ok ring.

도 5 내지 도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5 to 7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 걸쇠 2: 장식구 1: clasp 2: ornament

3: 연결고리 4: 이음부3: link 4: joint

5: 중심점 6: 내입홈5: center point 6: inboard groove

7: 걸이구 8: 연결링7: hanger 8: connecting ring

Claims (4)

와이셔츠 단추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걸이구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구멍에 전방으로는 장식구가 장착되고 양단으로는 연결구멍을 갖는 걸쇠가 ⊂연결고리에 의하여 연결되면서 넥타이가 삽입되어질 수 있는 삽입구를 확보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고정구.Securing fittings are mounted on the connecting hol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hanger which can be fastened to the shirt button, and the latches having the connecting holes at both ends are connected by the hooks to secure the insertion holes where the tie can be inserted. Tie fasteners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 연결고리는 이음부를 갖는 연결링이 연결구멍과 직교하게 위치되어져 연결링의 이음부가 걸쇠와 걸이구의 연결구멍에 연결될 경우에 그 내측에 위치되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고정구.2. The tie of claim 1, wherein the hook linkage is positioned at an inner side when the coupling ring having a joint i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coupling hole so that the joint of the coupling ring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latch and the hook. Fixtu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로 연결되는 걸쇠에 장착되는 장식구의 정위치 고정을 위하여 서로 대응되게 내입홈을 갖는 중심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고정구.The tie fixtur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center point having an indentation groove is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order to fix the ornament fixed to the clasp connected by the hook lin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구는 학교의 마크나 다양한 회사의 심볼이나 상표등으로 형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고정구.The tie fastener of claim 3, wherein the decoration is formed by a mark of a school or a symbol or a trademark of various companies.
KR20-2005-0016234U 2005-06-07 2005-06-07 A necktie of fixing KR20039386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234U KR200393860Y1 (en) 2005-06-07 2005-06-07 A necktie of fix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234U KR200393860Y1 (en) 2005-06-07 2005-06-07 A necktie of fix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860Y1 true KR200393860Y1 (en) 2005-08-25

Family

ID=4369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234U KR200393860Y1 (en) 2005-06-07 2005-06-07 A necktie of fix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86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157061A (en) Collar fixing device
KR200393860Y1 (en) A necktie of fixing
CN210300566U (en) Device for quickly hanging and connecting wall decorations
JP3113686U (en) Necklace fixture
KR200413046Y1 (en) Decorating element having in the sub-locking device
JP3131016U (en) Trinkets for jewelry
KR200246452Y1 (en) apparatus for fixing belt
KR200391085Y1 (en) Earring
KR200279123Y1 (en) Handle fastener for fasteners
KR200440565Y1 (en) Pendant connection ring for necklace
KR200436514Y1 (en) A linking ring joining structure of the earring.
KR200429707Y1 (en) Fixer for precious metals accessory
JP3111995U (en) Connecting bracket
KR200179485Y1 (en) a hanger for string tied
KR200442587Y1 (en) Necktie holder
JP3037734U (en) Jewelry such as necklaces
KR200203945Y1 (en) A suspender clip
KR100890657B1 (en) Earring
KR200375854Y1 (en) Connection for neck accessary chain
KR200174889Y1 (en) A chain for accessory
KR200437818Y1 (en) Earring
KR200463698Y1 (en) Improvement medal
KR200205516Y1 (en) Ornaments
KR200210209Y1 (en) A coupling of necklace for ornament fixing
KR101420219B1 (en) A structure for accessory clip of clot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