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085Y1 - Earring - Google Patents

Ear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085Y1
KR200391085Y1 KR20-2005-0013834U KR20050013834U KR200391085Y1 KR 200391085 Y1 KR200391085 Y1 KR 200391085Y1 KR 20050013834 U KR20050013834 U KR 20050013834U KR 200391085 Y1 KR200391085 Y1 KR 2003910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ring
hinge
hol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83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선
Original Assignee
김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선 filed Critical 김진선
Priority to KR20-2005-0013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08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0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085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귀고리는 한쪽 끝에 제1 및 제2 걸림홈이 형성된 결합핀(11)을 구비하고, 다른 한쪽 끝에 힌지부(13)가 형성되어 있는 반원 형상의 제1 본체부(1); 및Ear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in 11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at one end, semi-circular first body portion 1 having a hinge portion 13 is formed at the other end; And

한쪽 끝에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는 힌지핀(23)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핀과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제1 및 제2 걸림홈이 결합되는 걸림턱(21)을 갖는 결합구멍(22)이 형성된 제2 본체부(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inge pin 23 is coupled to the hinge at one end thereof, and a coupling hole 22 having a locking jaw 21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are coupled is formed at a portion coupled to the coupling pin.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the second main body (2).

Description

귀고리{Earring}Earrings {Earring}

고안의 분야Field of devise

본 고안은 귀고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귀고리의 결속을 강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귀고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arring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 ring having a structure that can strengthen the binding of the ear ring.

고안의 배경Background of the devise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귀고리 구조에 대하여 도 1에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귀고리(100)는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가 힌지부(122)와 힌지핀(113)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1 본체부에는 그 끝단에 걸림홈(112)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핀(111)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2 본체부에는 걸림턱(120)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핀의 걸림홈(112)이 걸림턱(120)에 고정됨으로써 귀고리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즉, (b)도에서와 같이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결합핀(111)을 귓불에 끼우고, 결합핀의 걸림홈(112)을 제2 본체부의 걸림턱(121)에 결합함으로써 귓불에 착용할 수 있다. 또한, 귀고리(100)에는 고리부(123)가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 여기에 장식구(도시되지 않음)를 매달 수 있게 되어 있다.Generally, a widely used earring structure is shown in FIG. 1. As shown in FIG. 1, in the conventional earring 100, a first main body 110 and a second main body 120 are coupled by a hinge 122 and a hinge pin 113. In addition, the first main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in 111 having a locking groove 112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a locking jaw 120 is formed in the second main body portion, so that the locking groove of the fixing pin ( 112 is fixed to the locking jaw 120 by which the ear ring is coupled. That is, as shown in (b), the coupling pin 111 is inserted into the earlobe while the coupling is released, and the locking groove 112 of the coupling pin is coupled to the locking jaw 121 of the second body part to be worn on the earlobe. can do. In addition, the ring portion 123 is coupled to the ear ring 100 by welding, and the decoration tool (not shown) can be suspended there.

이와 같은 종래의 귀고리는 결합핀의 걸림홈(112)이 걸림턱(121)에 결합되는 경우, 착용 중에 자동으로 또는 약간의 외력에 의하여 종종 결합이 해제되어 귀고리를 분실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장기간 탈착용을 반복할 경우 또는 약한 충격을 받는 경우에 힌지부(122)의 결합이 느슨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나아가, 고리부(123)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장식구의 구조에 따라서는 장식구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지 않아 불편한 점이 있다.Such conventional earrings, when the engaging groove 112 of the coupling pin is coupled to the locking jaw 121, the coupling is often released automatically or a little by the external force during wearing occurs when the earrings are los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upling of the hinge portion 122 is loosened when repeated for long periods of detachment or when subjected to a weak impact. Furthermore, since the ring portion 123 is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fitting and separation of the ornament are not easy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ornament.

이에 본 고안자는 결합핀에 걸림홈을 2개를 형성하여 2단 체결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고, 힌지부와 고리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귀고리를 고안하기에 이른 것이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two hook grooves in the coupling pin to have a two-stage fastening structure to enable a more robust coupling, and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hinge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to improve the ear ring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early to devise.

본 고안의 목적은 결합핀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귀고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ring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oupling pin is more firmly coupled.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힌지부의 결속이 강화된 구조를 갖는 귀고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ring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binding of the hinge portion is strengthened.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리부를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식구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귀고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ring that is easy to combine and detach the ornament by configuring the ring portion to be coupled and detachabl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고리를 갖지 않는 장식구를 체결한 귀고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 ring with a decorative tool having no link.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본 고안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detail below.

고안의 요약Summary of the devise

본 고안의 구체예에 따른 귀고리는 한쪽 끝에 제1 및 제2 걸림홈이 형성된 결합핀(11)을 구비하고, 다른 한쪽 끝에 힌지부(13)가 형성되어 있는 반원 형상의 제1 본체부(1); 및The earr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pling pin 11 having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semicircular first body part 1 having a hinge portion 13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 And

한쪽 끝에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는 힌지핀(23)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핀과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제1 및 제2 걸림홈이 결합되는 걸림턱(21)을 갖는 결합구멍(22)이 형성된 제2 본체부(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inge pin 23 is coupled to the hinge at one end thereof, and a coupling hole 22 having a locking jaw 21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are coupled is formed at a portion coupled to the coupling pin.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the second main body (2).

본 고안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귀고리는, 상기 제1 본체부(1)에 장식구를 결합하기 위한 고리부(3)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의 한쪽 끝은 상기 제1 본체부(1)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한쪽 끝에는 걸림돌기(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부(13)와 제1 본체부(1)에 상기 걸림돌기(31)가 삽입되는 힌지부 구멍(13a) 및 걸림 구멍(13b)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Ear 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hook portion 3 for coupling the ornament to the first body portion 1, one end of the ring portion is the first body portion (1) It is fixed to the hinge end 31 is formed on the other end, the hinge portion 13a and the latching hole 13a into which the locking projection 31 is inserted into the hinge portion 13 and the first main body portion 1 and the locking portion. The holes 13b can be configured to be formed respectively.

상기 귀고리는 제1 구형부재(41) 및 제2 구형부재(42)가 마주보는 상태로 장식부재(43)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구형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연결부재(44')를 구비하는 장식구(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고리부(4)에 결합된다.The earrings are connected by the decorative member 43 in a state where the first spherical member 41 and the second spherical member 42 face each other, and the connecting member 44 form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spherical members. It may further comprise a decoration (4) having a '), the connec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ring portion (4).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귀고리는 상기 제1 본체부의 힌지부 쪽 하단에 형성된 고리부 구멍(15); 및Ear 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ing portion 15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hinge por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상기 고리부 구멍(15)의 일측에 형성되어 고리부의 한쪽 끝에 형성된 회전 구멍(32)와 결합되는 고정핀(14);A fixing pin (14) formed at one side of the ring hole (15) and coupled to a rotating hole (32) formed at one end of the ring portion;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가 제2 본체부의 힌지핀(23)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힌지부는 걸림턱(13a')을 형성하고, 상기 고리부의 다른 한쪽에 형성된 걸림돌기(31)가 상기 걸림턱(13a')에 걸리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further comprises, the hinge portion is coupled to the hinge pin 23 of the second body portion, the hinge portion to form a locking jaw (13a '), the locking projection 31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ing portion is the locking jaw ( 13a ') is fix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고안의 구체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구체예에 따른 귀고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b)는 제1 걸림홈(12a)이 제2 본체부의 걸림턱(21)에 결합된 상태를, (c)는 제2 걸림홈(12b)이 제2 본체부의 걸림턱(21)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ar 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is released, (b) the first locking groove 12a is a locking jaw 21 of the second body portion In the coupled state, (c)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locking groove 12b is coupled to the locking jaw 21 of the second body par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귀고리는 제1 본체부(1)와 제2 본체부(2)가 힌지 결합에 의하여, 힌지핀(23)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earh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irst main body 1 and the second main body 2 by a hinge coupling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the hinge pin 23. .

제1 본체부(1)의 힌지부(13) 반대편 끝부분에는 결합핀(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결합핀은 귓불에 착용되는 부분이다. 이 결합핀(11)에는 제1 걸림홈(12a)과 제2 걸림홈(12b)이 형성되어 있다.A coupling pin 11 is formed at an end opposite to the hinge portion 13 of the first body portion 1, which is a portion worn on the earlobe. The coupling pin 11 is formed with a first locking groove 12a and a second locking groove 12b.

제2 본체부(2)의 힌지핀(23) 반대편 측에는 상기 결합핀(11)의 제1 및 제2 걸림홈(12a, 12b)이 삽입되는 결합구멍(22)을 천공해야 하고, 제2 본체부(2)의 끝부분에는 걸림턱(21)을 형성한다. 결합구멍(22)을 형성하는 이유는 도 2의 (c)에서와 같이 제2 걸림홈(12b)이 상기 걸림턱(21)에 결합되는 경우에 제1 걸림홈(12a) 부분이 결합구멍(22)으로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On the opposite side of the hinge pin 23 of the second body portion 2, a coupling hole 22 in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12a and 12b of the coupling pin 11 are inserted must be drilled, and the second body A locking jaw 2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ortion 2. The reason for forming the coupling hole 22 is that when the second locking groove 12b is coupled to the locking jaw 21 as shown in FIG. 22) it must be inserted.

이와 같이, 두 개의 걸림홈(12a, 12b)이 단계적으로 걸림턱(21)에 결합되기 때문에, 귀고리의 결속력이 강화되어 귓불에 착용시에 본인도 모르게 결합이 해제되어 귀고리가 분실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As such, since the two locking grooves 12a and 12b are coupled to the locking step 21 step by step, the binding force of the earrings is strengthened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earrings are lost when the earrings are unknowingly released when worn on the earlobe. Can be.

도 3은 본 고안의 구체예에 따른 귀고리의 제1 걸림홈을 결합구멍(22)의 상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first locking groove of the earr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hole 22.

도 3에서와 같이, 결합구멍(22)의 위치를 제2 걸림홈(12b)이 걸림턱(21)에 결합되는 경우에 제1 걸림홈(12a)이 상기 결합구멍(22)의 상단부(22a)에 걸리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 걸림홈(12b)까지 완전히 결속된 상태에서, 동시에 제1 걸림홈(12a)이 결합구멍의 상단부(22a)에 결속되기 때문에 결속력이 보다 강화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second locking groove 12b is coupled to the locking jaw 21 at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hole 22, the first locking groove 12a is the upper end portion 22a of the coupling hole 22. ) Can be formed to hang. By doing so, in a state where the second locking groove 12b is completely engaged, the binding force is further strengthened because the first locking groove 12a is simultaneously bound to the upper end portion 22a of the engaging hole.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귀고리의 힌지부와 고리부의 구성에 대한 사시도로서, (a)는 힌지부(13)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를, (b)는 힌지부(13)가 연결된 상태를, (c)는 고리부(3)가 힌지부(13)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hinge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of the ear hoo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tate in which the hinge portion 13 is released, (b) the hinge portion 13 (C)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ring portion 3 is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1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귀고리는 별도의 장식구(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되는 고리부(3)가 힌지부(13)에 결합되어 힌지부와 고리부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4, the ear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13 by the ring portion 3 to which a separate ornament (not shown) is coupled, so that the hinge portion and the ring portion are more. Make sure they are tightly coupled.

고리부(3)의 한쪽 끝은 제1 본체부(1)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 한쪽 끝에는 걸림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돌기(31)는 (b)도에서와 같이 힌지부의 힌지부 구멍(13a)과 제1 본체부(1)의 걸림 구멍(13b)을 모두 관통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이 걸림돌기(31)가 고정되어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c)에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합 구조를 통해 힌지부(13)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고리부(13)는 걸림돌기(31)에 의해 고정되고 또한 다시 분리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장식구(도시되지 않음)를 분리하거나 결합시키기가 용이하다.One end of the ring portion 3 is fixed to the first main body portion 1 by welding or the like,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jection 31. This locking projection 31 is fixed through the hinge hole 13a of the hinge portion and the locking hole 13b of the first body portion 1 as shown in (b). In this way, the engaging projection 31 is fixed and fully coupled to the state shown in (c). Through such a coupling structure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13, the hook portion 13 is fixed by the engaging projection 31 and can be separated again, so no separate ornaments (not shown) Easy to separate or combine.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귀고리의 고리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a)는 고리부(3)가 분해된 상태를, (b)는 고리부(3)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를, (c)는 고리부(3)가 힌지부(13')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ok portion of the ear 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tate in which the ring portion 3 is disassembled, (b) is coupled to the ring portion 3 rotatable The state (c)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ring portion 3 is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13 '.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고리부(3)의 한쪽 끝부분이 제1 본체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즉, 제1 본체부의 하부의 힌지부(13') 일측에 고리부 구멍(15)을 형성하고, 고정핀(14)을 상기 고리부 구멍(15)의 상단 측에 형성하여, 이 고정핀(14)에 고리부의 회전구멍(32)을 결합시킨다. 이 회전구멍(32)이 고정핀(14)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b)에 나타내고 있다.As shown in FIG. 5,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portion of the ring portion 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portion. That is, the ring hole 15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hinge portion 13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main body, and the fixing pin 14 is formed at the upper end side of the ring hole 15, thereby fixing the pin ( 14) to the rotation hole 32 of the ring portion. (B)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rotating hole 32 is coupled to the fixing pin 14 and fixed.

힌지부(13')의 일단은 "ㄴ"자 형상으로 되어 있어, 이 힌지부를 제2 본체부의 힌지핀(23)과 결속시키기 위해 내측으로 구부리면, (b)에서와 같이 걸림턱(13a')이 형성되고, 힌지부(13')의 끝단은 고정턱(13b')에 걸리게 된다. 이 걸림턱에 고리부의 걸림돌기(31)가 걸리어 고정된다. 고리부의 한쪽 끝은 제1 본체부(1)의 고정핀(14)에 힌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고리부가 회전할 수 있게 되고, 걸림돌기(31)는 고리부 구멍(15)에 삽입된 다음, 걸림턱(13a')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고리부(3)의 결합이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으므로 고리부(3)에 연결되는 장식구(도시되지 않음)의 교체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One end of the hinge portion 13 'is shaped like a "b", and when the hinge portion is bent inward to engage the hinge pin 23 of the second main body portion, the locking step 13a' is performed as in (b). Is formed, and the end of the hinge portion 13 'is caught by the fixing jaw 13b'. The locking projection 31 is caught and fixed to the locking jaw. Since one end of the hook portion is hinged to the fixing pin 14 of the first body portion 1, the hook portion can rotate, and the locking projection 31 is inserted into the hook hole 15, It is fixed to the locking jaw 13a '. Through this structure, the coupling of the ring portion 3 can be easily released, so that the replacement of the ornament (not shown) connected to the ring portion 3 can be made more easily.

도 6은 귀고리에 사용하는 장식구의 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종래의 장식구의 구조를, (b)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ecorative tool used for earrings, (a) is a view of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ornament, (b)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eco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장식구 중의 한 예로써 제1 및 제2 구형부재(41, 42)가 마주보도록 하고, 이들을 장식부재(43)에 의해 연결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장식구는 원형의 연결고리(44)가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이 연결고리(44)를 귀고리의 고리부에 연결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장식구는 원형의 연결고리(44)에 의해 귀고리의 고리부에 연결되기 때문에, 수직 하중 등에 의해 연결고리(44)가 떨어져 나갈 수 있으며, 연결부재(44) 자체의 외관이 전체 귀고리의 미관을 저해하기도 한다.As shown in FIG. 6A, the first and second spherical members 41 and 42 face each other a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ornament, and show a structure in which these are connected by the decorative member 43. Giving. In such a conventional ornament, a circular connecting ring 44 is attached by welding or the like, and the connecting ring 44 is connected to the ring portion of the ear ring. Since such a conventional ornament is connected to the ring portion of the ear ring by the circular ring 44, the link ring 44 can be separated by the vertical load, etc., the appearance of the connecting member 44 itself is the entire ear ring It may undermine the aesthetic sense of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b)도에서와 같이 연결고리(44)를 없애고, 대신 제1 및 제2 원형부재(41, 42)의 내측에 연결부재(44')를 도입함으로써, 고리부에 직접 연결부재(44')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장식구가 귀고리의 고리부에 연결되어 결합된 상태를 도 7에 도시하고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s shown in (b), the connecting ring 44 is removed, and instead, the connecting member 44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circular members 41 and 42. By introducing a, the connecting member 44 'is directly coupled to the ring portion. In this way, the ornament is connected to the ring portion of the ear ring is shown in Figure 7 coupled.

도 8은 새로운 연결고리의 구조를 갖는 장식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연결고리가 해제된 상태를, (b)는 연결고리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coration having a structure of a new connecting ring,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ring is released, (b) i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ring combined.

도 8에서와 같이, 장식구의 연결고리의 한쪽 끝은 장식구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쪽 끝부분에는 걸림돌기(45a)를 형성한다. 장식구 본체(46)에 상기 걸림돌기(45a)가 삽입될 구멍(46a)를 형성한다. 이 구멍에 걸림돌기(45a)가 삽입되면, (b)에서와 같이 보다 견고한 결속 구조를 갖게 된다.As shown in Figure 8, one end of the connecting ring of the ornamen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ornament, the other end forms a locking projection (45a). A hole 46a into which the engaging protrusion 45a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decorative body 46. When the engaging projection 45a is inserted into this hole, it has a more solid binding structure as in (b).

이상에서는 결합핀(11)이 제1 본체부(1)에 형성되어 있고, 결합구멍(22)은 제2 본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 귀고리를 제작함에 있어서는 결합핀과 결합구멍의 위치가 바뀔 수도 있다. 즉, 귀고리의 결합핀 결합핀(11)이 제2 본체부(2)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구멍(22)은 제1 본체부(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Although the coupling pin 11 is formed in the first main body portion 1 and the coupling hole 22 is formed in the second main body portion,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location may change. That is, the coupling pin 11 of the ear ring is formed in the second body portion 2, the coupling hole 22 may be formed in the first body portion (1).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such cases.

본 고안은 결합핀의 결합이 보다 견고한 구조를 가지고, 힌지부의 결합이 강화된 구조를 가지며, 힌지부의 결속이 강화된 구조를 가지며, 고리부를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식구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귀고리, 및 연결고리를 갖지 않는 장식구를 체결한 귀고리를 제공하는 고안의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more rigid structure of the coupling pi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inge portion is reinforce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inge portion is strengthened, and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ornament can be made by combining the ring portion It has the effect of devising to provide easy earrings and earrings with fasteners having no connecting ring.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Simple modifications or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dily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ll such modifications or changes may be regarded a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귀고리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a)는 귀고리의 결합 상태를, (b)는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ar ring, (a) is a state in which the ear ring is coupled, (b) is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is released.

도 2는 본 고안의 구체예에 따른 귀고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b)는 제1 걸림홈이 제2 본체부의 걸림턱에 결합된 상태를, (c)는 제2 걸림홈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ar 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is released, (b)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locking groove is coupled to the locking jaw of the second body portion, ( c)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locking groove is coupled.

도 3은 본 고안의 구체예에 따른 귀고리의 제1 걸림홈을 결합구멍의 상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engaging hole of the ear h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귀고리의 힌지부와 고리부의 구성에 대한 사시도로서, (a)는 힌지부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를, (b)는 힌지부가 연결된 상태를, (c)는 고리부가 힌지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hinge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of the ear 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tate in which the hinge portion is disconnected, (b) is a state in which the hinge portion is connected, (c) Shows a state in which the r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귀고리의 고리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a)는 고리부가 분해된 상태를, (b)는 고리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를, (c)는 고리부가 힌지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ing portion of the ear 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tate in which the ring portion is disassembled, (b) is a state in which the ring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c) is a ring It shows the state coupled to the additional hinge portion.

도 6은 귀고리에 사용하는 장식구의 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종래의 장식구의 구조를, (b)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장식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ecorative tool used for earrings, (a) is a view of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decorative tool, (b)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ecorative too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귀고리와 장식구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combining the earrings and the orna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새로운 연결고리의 구조를 갖는 장식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연결고리가 해제된 상태를, (b)는 연결고리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coration having a structure of a new connecting ring,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ring is released, (b) i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ring combined.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major symbols in the drawings *

1: 제1 본체부 2: 제2 본체부1: first body portion 2: second body portion

3: 고리부 4: 장식구3: collar 4: ornament

11: 결합핀 12a: 제1 걸림홈11: coupling pin 12a: first locking groove

12b: 제2 걸림홈 13, 13': 힌지부12b: 2nd locking groove 13, 13 ': hinge part

13a: 힌지부 구멍 13b: 걸림구멍13a: hinge hole 13b: locking hole

14: 고정핀 15: 고리부 구멍14: fixing pin 15: ring hole

21: 걸림턱 22: 결합구멍21: engaging jaw 22: engaging hole

31: 걸림돌기 32: 회전구멍31: engaging projection 32: rotating hole

41: 제1 원형부재 42: 제2 원형부재41: first circular member 42: second circular member

43: 장식부재 44: 연결고리43: decorative member 44: connecting ring

44': 연결부재44 ': connection member

Claims (9)

한쪽 끝에 제1 및 제2 걸림홈이 형성된 결합핀(11)을 구비하고, 다른 한쪽 끝에 힌지부(13)가 형성되어 있는 반원 형상의 제1 본체부(1); 및A semi-circular first body portion 1 having a coupling pin 11 having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having a hinge portion 13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한쪽 끝에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는 힌지핀(23)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핀과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제1 및 제2 걸림홈이 결합되는 걸림턱(21)을 갖는 결합구멍(22)이 형성된 제2 본체부(2);A hinge pin 23 is coupled to the hinge at one end thereof, and a coupling hole 22 having a locking jaw 21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are coupled is formed at a portion coupled to the coupling pin. Second body portion 2;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고리.Earring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1)는 장식구를 결합하기 위한 고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의 한쪽 끝은 상기 제1 본체부(1)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한쪽 끝에는 걸림돌기(31)가 형성되어 있으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main body portion 1 further comprises a hook portion for coupling the ornament, one end of the ring portion is fixed to the first main body portion 1, the other end is a block Group 31 is formed, 상기 힌지부(13)와 제1 본체부(1)에 상기 걸림돌기(31)가 삽입되는 힌지부 구멍(13a) 및 걸림 구멍(13b)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고리.Earring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portion (13a) and the engaging hole (13b) is formed in the hinge portion (13) and the first body portion (1) is inserted, respective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귀고리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arring 제1 구형부재(41) 및 제2 구형부재(42)가 마주보는 상태로 장식부재(43)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구형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연결부재(44')를 구비하는 장식구(4);The first spherical member 41 and the second spherical member 42 are connected by the decorative member 43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member 44 'form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spherical members is formed. Decorative tool (4) provided;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고리부(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고리.It further comprises, the connecting member is earring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ring portion (4).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본체부의 힌지부 쪽 하단에 형성된 고리부 구멍(15); 및A ring hole 15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hinge por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상기 고리부 구멍(15)의 일측에 형성되어 고리부의 한쪽 끝에 형성된 회전 구멍(32)와 결합되는 고정핀(14);A fixing pin (14) formed at one side of the ring hole (15) and coupled to a rotating hole (32) formed at one end of the ring portion;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가 제2 본체부의 힌지핀(23)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힌지부는 걸림턱(13a')을 형성하고, 상기 고리부의 다른 한쪽에 형성된 걸림돌기(31)가 상기 걸림턱(13a')에 걸리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고리.It further comprises, the hinge portion is coupled to the hinge pin 23 of the second body portion, the hinge portion to form a locking jaw (13a '), the locking projection 31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ing portion is the locking jaw ( 13a '), and the earrings are fix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귀고리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arring 제1 구형부재(41) 및 제2 구형부재(42)가 마주보는 상태로 장식부재(43)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구형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연결부재(44')를 구비하는 장식구(4);The first spherical member 41 and the second spherical member 42 are connected by the decorative member 43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member 44 'form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spherical members is formed. Decorative tool (4) provided;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고리부(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고리.It further comprises, the connecting member is earring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ring portion (4).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걸림홈(12b)이 걸림턱(21)에 결합되는 경우에 제1 걸림홈(12a)이 상기 결합구멍(22)의 상단부(22a)에 걸리도록 상기 결합구멍(22)의 위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고리.6. The upper end portion 22a of the engaging hole 22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locking groove 12a is coupled to the locking jaw 21 when the second locking groove 12b is engaged with the locking jaw 21. Ear hook,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the position of the engaging hole (22) to be caught.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11)이 제2 본체부(2)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구멍(22)은 제1 본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고리.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in 11 is formed in the second body portion 2, and the coupling hole 22 is formed in the first body portion. Earrings. 제7항에 있어서, 제2 걸림홈(12b)이 걸림턱(21)에 결합되는 경우에 제1 걸림홈(12a)이 상기 결합구멍(22)의 상단부(22a)에 걸리도록 상기 결합구멍(22)의 위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고리.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n the second locking groove 12b is coupled to the locking jaw 21, the coupling hole 12a is caught by the upper end 22a of the coupling hole 22. Earring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of 22).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귀고리는The earring according to claim 2 or 4, wherein the ear ring 연결고리(45)의 한쪽 끝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고리의 다른 한쪽 끝이 결합되는 구멍(46a)이 형성된 장식구 본체(46);One end of the connecting ring 45 is integrally connected, the ornament body 46 is formed with a hole 46a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ing is coupled;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고리(45)의 다른 한쪽 끝에 걸림돌기(4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45a)는 상기 고리부(4)를 관통한 다음 상기 구멍(46a)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고리.It further comprise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ing 45 is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45a), the locking projection (45a) is penetrated through the ring portion 4 and then coupled to the hole 46a Earrings characterized in that.
KR20-2005-0013834U 2005-05-17 2005-05-17 Earring KR20039108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834U KR200391085Y1 (en) 2005-05-17 2005-05-17 Ear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834U KR200391085Y1 (en) 2005-05-17 2005-05-17 Ear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085Y1 true KR200391085Y1 (en) 2005-07-29

Family

ID=43692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834U KR200391085Y1 (en) 2005-05-17 2005-05-17 Ear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08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526B1 (en) * 2023-02-03 2023-07-28 원려홍 Pure gold earrings with a structure for strengthening fix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526B1 (en) * 2023-02-03 2023-07-28 원려홍 Pure gold earrings with a structure for strengthening fix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58769A1 (en) Temple ornamentation kits for eyeglasses and methods of using thereof
US20090301134A1 (en) Charm clasp for pearl necklaces and bracelets
KR102431080B1 (en) Rotating fastening earrings for easy decoration replacement
KR101535640B1 (en) Coupling device for easy fastening Accessories
KR200391085Y1 (en) Earring
KR200388464Y1 (en) Holding device for personal ornament
US6170127B1 (en) Ornament hanger ring of necklace
JP3177051U (en) Accessory coupling using chain
KR200430563Y1 (en) A necklace having a connector
KR200275820Y1 (en) Connect/disconnect Adapter of String Binder Unit for Accessories
KR200327865Y1 (en) A Earring
US20100058560A1 (en) Jewelry clasp for hearing aid
KR100531179B1 (en) Hanger of accessory for personal ornament
KR200179629Y1 (en) A connection tool for earring
CN211984130U (en) Hand rope
JP3134872U (en) Perforated glasses frame with eyeglass hanger
KR200275805Y1 (en) Pendant type neckwear
KR200320524Y1 (en) Earring
KR200210209Y1 (en) A coupling of necklace for ornament fixing
KR200317120Y1 (en) A linking ring for necklace
KR100890657B1 (en) Earring
KR200380111Y1 (en) Evil fine sand Riga the eye-glasses which is had all
KR200179837Y1 (en) Removable Structure of a Connecting Link for Personal Adornment
KR200440565Y1 (en) Pendant connection ring for necklace
KR101842939B1 (en) Bracelet for combination structure with efficient wearing and comb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