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442Y1 - 산화환원전위값에 따라 유량이송을 제어하는하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산화환원전위값에 따라 유량이송을 제어하는하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442Y1
KR200393442Y1 KR20-2005-0015716U KR20050015716U KR200393442Y1 KR 200393442 Y1 KR200393442 Y1 KR 200393442Y1 KR 20050015716 U KR20050015716 U KR 20050015716U KR 200393442 Y1 KR200393442 Y1 KR 2003934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raw water
sludge
flow rate
o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7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근우
최지용
이찬기
원운재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강원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강원도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05-00157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4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4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4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OR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유입된 원수를 저류하여 유입량 부하를 완화시키고, 유입된 원수의 산화환원전위(Oxidation-reduction potential; 이하 'ORP'이라 함)를 측정하기 위한 ORP 측정장치(13)가 내부에 설치되는 유량조정조(10); 유량조정조(10)로부터 이송되는 원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반응조(20); 및 ORP 측정장치(13)에 의해 측정되는 ORP에 따라 유량조정조(10)에서 반응조(20)로의 원수의 이송여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0)를 구비하는 하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산화환원전위값에 따라 유량이송을 제어하는 하폐수처리장치{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CONTROLLING FLOW ACCORDING TO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본 고안은 하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량조정조에서 반응조로의 원수유입 여부를 제어하는 하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폐수는 사람의 일상생활과 관련하여 수세식 화장실, 목욕탕, 주방 등에서 배출되거나, 공장, 축산시설에서 배출되는 액체성 또는 고체성 오물이 섞여 있는 물을 말한다. 이러한 하폐수는 오수, 분뇨 및 축산 폐수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방류수질 기준 이하로 정화한 후 방류해야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주거용 건물이나 산업시설에서 발생되는 생활오수나 폐수 등을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배출허용기준치 이하로 정화시킨 다음 배출하기 위한 하수처리장치가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가정이나 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하수를 처리하기 위한 하폐수처리장치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종래의 하폐수처리장치는, 유입된 하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바(bar) 또는 미세스크린 형태의 스크린조; 스크린조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하수를 저장하고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정조; 유량조정조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하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반응조; 반응조를 경유한 하수에 함유된 부유물질을 침전시키는 침전조 및 상기 침전조에서 분리된 상등수를 방류시키는 방류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하폐수처리장치의 유량조정조는 반응조로 원수를 이송할 때, 원수의 수질 상태와 상관없이 일정량의 원수를 반응조로 이송한다. 이때, 하폐수고도처리를 위해 유량조정조 후단의 반응조는 대부분 혐기성 반응조이거나 혐기성 조건이 조성되기 때문에, 호기성 상태의 원수가 혐기성 상태의 반응조로 유입될 경우 혐기성 미생물에게 큰 타격을 입히고 이로 인해 반응조에서의 탈질반응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량조정조 내의 수질상태를 ORP로 파악하여 산화환원전위값에 따라 유량조정조 후단에 연결된 생물학적 반응조로 원수를 공급할지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반응조에서 탈질반응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하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유입된 원수를 저류하여 유입량 부하를 완화시키고, 유입된 원수의 산화환원전위(Oxidation-reduction potential; 이하 'ORP'이라 함)를 측정하기 위한 ORP 측정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유량조정조; 유량조정조로부터 이송되는 원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반응조; 및 ORP 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ORP 값에 따라 유량조정조에서 반응조로의 원수의 이송여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하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유량조정조와 반응조 사이에 유량조정조의 원수를 반응조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펌프가 더 구비되며, 제어장치는 유량조정조의 원수의 ORP값이 (+)이면 유량조정조의 원수가 반응조로 이송되지 않도록 이송펌프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유량조정조의 원수의 ORP값이 (-)이면 유량조정조의 원수가 반응조로 이송되도록 이송펌프를 작동시킨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반응조와 유량조정조 사이에는 반응조에서 반출되는 슬러지를 농축하여 저장하는 슬러지 농축저류조; 및 슬러지 농축저류조와 유량조정조 사이에 슬러지 농축저류조의 슬러지를 유량조정조로 반송하는 슬러지 반송펌프를 더 구비하며, 제어장치는 이송펌프가 작동시에는 슬러지 반송펌프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이송펌프가 작동하지 않을 시에는 슬러지 반송펌프를 작동시킨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슬러지가 침전되는 침전조; 및 침전조와 유량조정조 사이에는 침전조에 침전된 슬러지를 유량조정조로 반송하는 슬러지 반송펌프를 더 구비하며, 제어장치는, 이송펌프가 작동시에는 슬러지 반송펌프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이송펌프가 작동하지 않을 시에는 슬러지 반송펌프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제어장치는, 유량조정조 내의 원수의 ORP를 소정 시간마다 모니터링하여, 이송펌프와 슬러지 반송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며, 바람직하게는 이송펌프와 슬러지 반송펌프의 작동을 1분마다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량조정조내의 원수의 ORP가 (-)값을 갖는 혐기성 상태일 때만 반응조로 원수를 이송시킬 수 있어, 반응조 내의 혐기성 미생물이 타격을 받지않고 효과적으로 탈질반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하수처리장치는 크게, 유량조정조(10), 반응조(20), 제어장치(30) 및 슬러지 농축저류조(40)로 이루어진다.
유량조정조(10)는 유입된 원수를 저류하여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유입된 원수의 부하를 완화시킨다. 유량조정조(10)내에는 유입된 원수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11)가 설치된다. 또한, 유량조정조(10)내에는, 저류된 원수의 ORP값을 측정함으로써 원수의 수질상태가 혐기성인지 호기성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ORP 측정장치(13)가 설치된다.
이때, ORP 측정장치(13)는 기준전극과 플래티늄 전극과 같은 것으로, ORP는 기준전극과 플래티늄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위차를 말하며, 이는 ORP 미터(15)에 표시된다.
여기서, 유량조정조(10)내의 원수의 상태와 ORP값과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유입된 원수가 호기성 상태일 때는 ORP는 (+)값을 갖고, 원수가 혐기성 상태일 때는 ORP는 (-)값을 갖는다. 이에 대해 이하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알아본다.
<실시예 1>
강원대학교 폐기물 실험실에서, ORP 측정장치(13)가 설치된 유량조정조(10), 반응조(20), 제어장치(30) 및 슬러지 농축저류조(40)를 설치하고 하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 농도를 나타내는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iochemcal Oxegen Demand; 이하 'BOD' 라 함)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측정하였다.
[표 1] 원수의 월별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
실험일자(년. 일) 2001.10 2001.11 2002.01 2002.02 2002.03 2002.04 2002.05 2002.06
BOD(mg/L) 150.5 132.5 81.0 92.7 136.1 146.6 173.5 211.0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겨울철인 1월과 2월에는 BOD의 평균농도가 81.0~92.7mg/L 로서 원수는 저부하 유기물질이 함유된 상태에 있었다. 이와 같이, 저부하 유기물질의 원수가 유량조정조(10)에 유입될 때, 유량조정조(10)내의 ORP를 측정해보면 (+) 쪽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여주는데, 이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유량조정조에 유입된 원수의 시간에 따른 용존산소량(Dissolved Oxygen; 이하 'DO'라 함) 및 BOD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유량조정조에 유입된 원수의 시간 경과에 따른 ORP와 DO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1~2월 중에는 원수 중의 BOD의 농도가 낮은 반면, DO의 농도는 높았으며, DO의 농도가 2mg/L 를 초과하는 날이 많았다. 한편, DO 와 ORP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 3을 참조해보면, 이와 같이 BOD의 농도가 낮고 DO의 농도가 높은 저부하 유기물 원수의 경우, 저부하 유기물의 원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DO의 농도 및 ORP값이 감소한다.
도 3의 그래프는, BOD 농도가 71mg/L 인 상태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DO의 농도 변화 및 ORP값의 변화를 도시한 것으로서, ORP 측정실험에 사용한 원수의 최초 DO 농도는 4.4mg/L이고, ORP 값은 181mV 였다.
도 3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부하 유기물질의 원수가 유량조정조(10)에 유입되는 1~2월 중의 유량조정조(10)내의 원수의 ORP값은 (+)를 나타낸다. 따라서 유량조정조(10)내의 원수는 호기성 상태임을 알 수 있으며, ORP값을 0mV 이하로 낮추어 원수를 혐기성 상태로 만들 필요가 있다. 이때, 호기성 상태의 유입원수를 혐기성 상태로 변화시키는데 약 3시간 10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혐기성 상태일 때만 반응조(20)로 원수를 이송하는 본 고안에서는 유량조정조(10) 설계시 유입되는 유량뿐만 아니라, 유량조정조(10)에서 ORP값을 0mV 이하로 낮추는 동안 체류하게 되는 원수의 양도 여유 용량으로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또한, 하폐수고도처리를 위해 유량조정조(10) 후단의 반응조(20)는 대부분 혐기성 반응조(20)이거나 혐기성 조건이 도래하므로, 반응조(20)로 호기성 상태의 원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유량조정조(10)의 ORP가 (-)값인 경우에만 후단의 반응조(20)로 원수를 이송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유량조정조(10)에 유입된 원수는 이후 반응조(20)로 이송되어 원수내에 함유된 유기물질, 질소 및 인과 같은 영양염류가 제거된다. 즉, 반응조(20)가 혐기조건일 경우에는 호기조건에서 질산화된 암모니아성 질소나 유기성 질소가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탈질반응에 의해 질소가스로 방출되고, 인은 슬러지에 흡착되어 제거되는 등의 과정을 거친다.
반응조(20)에는 통상의 반응조와 마찬가지로 원수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21) 및 산소를 공급하는 블로어(미도시) 등이 설치된다.
이때, 유량조정조(10)와 반응조(20) 사이에는 원수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한 이송펌프(31)가 구비되고, 이러한 이송펌프(31)의 작동은 시스템 제어카드와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컴퓨터시스템 또는 피엘씨(PLC) 시스템 등의 제어장치(30)에 의해 제어된다.
원수의 수질 상태와 관계없이 유입된 원수를 일정량씩 반응조(20)로 공급하는 종래의 유량조정조와 달리, 본 고안에서는 원수의 수질을 ORP 센서로 감지하여 혐기성 조건일 때만 일정량의 원수가 유량조정조(10)에서 반응조(20)로 이송된다.
물론, 유량조정조(10) 내의 원수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인자로 DO 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DO 센서에 의해서는 (+) 값만이 감지되므로 호기성 상태의 정도만 판단할 수 있고 혐기성 상태의 정도를 판단할 수 없어 원수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인자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즉, 유량조정조(10)내의 원수가 호기성 상태이면, 제어장치(30)는 이송펌프(31)의 작동을 차단하여 유량조정조(10)에서 반응조(20)로 원수가 이송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유량조정조(10)내의 원수가 혐기성 상태일 때만 이송펌프(31)를 작동시켜 유량조정조(10)에서 반응조(20)로 원수가 이송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유량조정조(10)내의 원수가 혐기성 상태일 때만 반응조(20)로 원수를 이송함으로써 반응조(20)내의 혐기성 미생물이 타격을 입는 것을 방지하여 탈질반응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반응조(20) 또는 침전조(미도시) 등에서 유기물질 등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슬러지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슬러지는 슬러지 농축저류조(40)로 이송되어 후처리된다.
슬러지는 과도한 혐기성 상태이므로, 슬러지 농축저류조(40)에 저장된 슬러지 중 일부는 필요에 따라 유량조정조(10)로 반송된다. 즉, 유량조정조(10)내의 원수가 혐기성 상태인 경우에는 슬러지를 반송할 필요가 없지만, 호기성 상태일 때는 슬러지를 반송함으로써 유량조정조(10)내의 원수를 단시간에 혐기성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슬러지 농축저류조(40)와 유량조정조(10) 사이에는 슬러지 반송펌프(33)가 설치되며, 이러한 슬러지 반송펌프(33)는 제어장치(30)에 의해 그 작동여부가 제어되는데, 슬러지 반송펌프(33)의 작동은 이송펌프(31)의 작동과 반대로 제어된다.
즉, 제어장치(30)는 이송펌프(31)를 작동시키는 동안에는 슬러지 반송펌프(33)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이송펌프(31)가 작동되지 않으면 슬러지 반송펌프(33)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이송펌프(31)와 슬러지 반송펌프(33)의 작동을 반대로 가동시킴으로써, 유량조정조(10) 내의 원수를 혐기성 상태일 때만 반응조(20)로 이송시킬 수 있고, 유량조정조(10) 내의 원수가 호기성 상태일 경우에는 혐기성 상태로 변화시킨 후 원수를 반응조(20)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반응조(20)로 반송되는 슬러지는 반드시 슬러지농축저류조(40)에서 반송되는 슬러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반응조 또는 침전조 등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반송할 수도 있다.
즉, 침전조에 침전된 슬러지를 유량조정조(10)로 반송하여 유량조정조(10) 내의 원수를 단시간에 혐기성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슬러지농축저류조(40)에서 유량조정조(10)로 슬러지가 반송될 때와 마찬가지로, 침전조에서 침전된 슬러지의 유량조정조(10)내로의 반송여부를 조절하기 위해 침전조와 유량조정조(10) 사이에 슬러지 반송펌프(미도시)가 구비되어, 이송펌프(31)가 작동시에는 슬러지 반송펌프의 작동이 차단되고, 이송펌프(31)가 작동하지 않을 시에는 슬러지 반송펌프가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ORP값에 따른 이송펌프 및 반송펌프의 동작 흐름도이고, 도 5도는 유량조정조에 유입된 원수의 ORP를 시간에 대해 도시한 그래프이다.
먼저, 유량조정조(10)에 유입된 원수의 ORP값을 측정한다(S40). 측정된 ORP값을 이용해 원수의 수질 상태를 판단한다(S41).
판단 결과, 유량조정조(10)내의 원수의 ORP(도 4에서 'I'로 표기됨)가 (+)값으로 측정되면(I > 0), 즉 원수가 호기성 상태이면 제어장치(30)는 이송펌프(31)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슬러지 반송펌프(33)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S42).
따라서 유량조정조(10)에서 반응조(20)로의 원수 공급은 차단되고, 슬러지 농축저류조(40)에서 유량조정조(10)로 슬러지가 반송된다. 슬러지 농축저류조(40)에서 유량조정조(10)로 슬러지가 반송되면 유량조정조(10)는 소정 시간 경과 후 혐기성 상태가 된다. 이는 슬러지가 과도한 혐기성 상태의 물질이기 때문이다.
한편, 판단 결과, ORP값이 0미만(I < 0)이면, 즉 유량조정조(10)내의 원수가 혐기성 상태이면 제어장치(30)는 이송펌프(31)를 작동시키고 슬러지 반송펌프(33)의 작동은 차단시킨다(S43).
유량조정조(10)의 혐기성 원수가 반응조(20)로 이송되면, 반응조(20)가 혐기성인 조건에서 탈질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슬러지 반송펌프(33)의 작동은 차단된 상태이므로, 슬러지 농축저류조(40)에서 유량조정조(10)로 슬러지가 반송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제어장치(30)에 의한 ORP값에 따른 이송펌프(31) 및 슬러지 반송펌프(33)의 작동 제어를 1분마다 수행한다(S44). 그러나 작동 제어 시간은 반드시 1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혐기성 상태의 원수가 유입된 경우에는, 물론 처음부터 슬러지 반송펌프(33)의 작동은 차단되고, 이송펌프(31)가 작동되어 유입된 원수를 곧바로 반응조(20)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하폐수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호기성의 원수가 반응조(20)로 이송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중요한데, 도 5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도 5는 유량조정조에 유입된 원수의 ORP를 시간에 대해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의 그래프는 매일 1회씩 원수를 공급할 때, 원수의 ORP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원수가 유입되면 ORP가 급격하게 상승했다.
원수가 유입되어 유량조정조(10) 내의 원수의 ORP가 (+)값을 가지는 영역(도 5에서 'A'로 표기됨)에서는 이송펌프(31)의 작동은 차단되고 슬러지 반송펌프(33)만 작동하게 된다. 원수의 ORP가 (-)값이 될 때가지 제어장치(30)는 이송펌프(31)의 작동은 차단시키고 슬러지 반송펌프(33)만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유입된 원수의 상태를 ORP 값에 의해 모니터링해서 이송펌프와 슬러지 반송펌프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반응조에 혐기성 상태의 원수만 공급되도록 하여 혐기성 미생물이 타격을 받지 않고 효과적으로 탈질반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며, 본 고안의 권리 범위는 상기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유량조정조 내의 원수가 혐기성 상태일 때만 유입된 원수를 반응조로 이송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반응조 내의 혐기성 미생물이 타격을 받지 않고 효과적으로 탈질반응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수질상태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저부하 유기물질이 유입되는 겨울철에도 안정되고 효율적으로 하폐수처리장치를 가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유량조정조에 유입된 원수의 시간에 따른 용존산소량(Dissolved Oxygen; 이하 'DO'라 함) 및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유량조정조에 유입된 원수의 시간 경과에 따른 산화환원전위(Oxidation-reduction potential; 이하 'ORP'이라 함)와 DO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ORP값에 따른 이송펌프 및 반송펌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도는 유량조정조에 유입된 원수의 ORP를 시간에 대해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유량조정조 13: ORP 측정장치
20: 반응조 30: 제어장치
31: 이송펌프 33: 슬러지 반송펌프
40: 슬러지 농축저류조

Claims (6)

  1. 유입된 원수를 저류하여 유입량 부하를 완화시키고, 유입된 원수의 산화환원전위(Oxidation-reduction potential; 이하 'ORP'이라 함)를 측정하기 위한 ORP 측정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유량조정조;
    상기 유량조정조로부터 이송되는 원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반응조; 및
    상기 ORP 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ORP 값에 따라 상기 유량조정조에서 상기 반응조로의 원수의 이송여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하폐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정조와 상기 반응조 사이에 상기 유량조정조의 원수를 상기 반응조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펌프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유량조정조의 원수의 ORP값이 (+)이면 상기 유량조정조의 원수가 상기 반응조로 이송되지 않도록 상기 이송펌프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유량조정조의 원수의 ORP값이 (-)이면 상기 유량조정조의 원수가 상기 반응조로 이송되도록 상기 이송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와 상기 유량조정조 사이에는 상기 반응조에서 반출되는 슬러지를 농축하여 저장하는 슬러지 농축저류조; 및
    상기 슬러지 농축저류조와 상기 유량조정조 사이에 상기 슬러지 농축저류조의 슬러지를 상기 유량조정조로 반송하는 슬러지 반송펌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이송펌프가 작동시에는 상기 슬러지 반송펌프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이송펌프가 작동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슬러지 반송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슬러지가 침전되는 침전조; 및
    상기 침전조와 상기 유량조정조 사이에는 상기 침전조에 침전된 슬러지를 상기 유량조정조로 반송하는 슬러지 반송펌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이송펌프가 작동시에는 상기 슬러지 반송펌프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이송펌프가 작동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슬러지 반송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유량조정조 내의 원수의 ORP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모니터링하여, 상기 이송펌프와 상기 슬러지 반송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유량조정조 내의 원수의 ORP를 1분 간격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치.
KR20-2005-0015716U 2005-06-01 2005-06-01 산화환원전위값에 따라 유량이송을 제어하는하폐수처리장치 KR2003934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716U KR200393442Y1 (ko) 2005-06-01 2005-06-01 산화환원전위값에 따라 유량이송을 제어하는하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716U KR200393442Y1 (ko) 2005-06-01 2005-06-01 산화환원전위값에 따라 유량이송을 제어하는하폐수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966A Division KR100563278B1 (ko) 2005-06-01 2005-06-01 산화환원전위값에 따라 유량이송을 제어하는하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442Y1 true KR200393442Y1 (ko) 2005-08-22

Family

ID=4369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716U KR200393442Y1 (ko) 2005-06-01 2005-06-01 산화환원전위값에 따라 유량이송을 제어하는하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4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985B1 (ko)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질소 제거 효율을 향상시킨 하수 고도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2089278B1 (ko)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과 신재생 발전기능을 구비하여 하수 처리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 하수 고도처리장치 및 하수 고도처리방법
US2011025982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Wastewater
WO2012036408A2 (ko) 부하변동에 대응이 용이한 침지식 막 생물 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 방법
AU2021208587A1 (en) Utilization of biogas scrubber in anaerobic membrane bioreactor systems
KR20090030397A (ko) 하/폐수처리장의 질소 및 인 고율 제거장치.
KR20180117340A (ko) 하수 처리 시스템
KR102281691B1 (ko) 고농도 질소폐수를 처리하는 회분식 반응조의 유리암모니아 및 유리아질산 농도를 조절하여 최적 부분아질산 반응을 유도하는 운전장치 및 방법
CN110540293A (zh) 适用于水量大幅波动的污水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CN103739071B (zh) 微污染地表水脱氮处理方法
KR100486782B1 (ko) 수위가변형 반응조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CN218025787U (zh) 适用于进水波动的小型一体化mbr污水处理装备
KR200393442Y1 (ko) 산화환원전위값에 따라 유량이송을 제어하는하폐수처리장치
KR19980080108A (ko) 오수 처리장치
KR100563278B1 (ko) 산화환원전위값에 따라 유량이송을 제어하는하폐수처리장치
KR20150064574A (ko) 에너지 절감형 하폐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384660B1 (ko) 하·폐수의 질소를 처리하기 위한 하·폐수 처리 자동화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579742A (zh) 一种城市污水短程硝化效果预判装置及其使用方法
CN1469846A (zh) 污水处理方法和系统
JPH1157771A (ja) 生物学的水処理方法及び設備
KR20030041585A (ko) 하폐수의 질소산화물의 제거방법 및 장치
Ekholm et al. Case study of aerobic granular sludge and activated sludge—Energy usage, footprint, and nutrient removal
KR20010086936A (ko) 고농도 영양염 함유 폐수 처리를 위한 고도 처리공정 및처리장치
JP3373146B2 (ja) 有機性汚水の生物処理装置および生物処理方法
KR102226795B1 (ko) 폐수 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