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394Y1 -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 Google Patents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394Y1
KR200393394Y1 KR20-2005-0009392U KR20050009392U KR200393394Y1 KR 200393394 Y1 KR200393394 Y1 KR 200393394Y1 KR 20050009392 U KR20050009392 U KR 20050009392U KR 200393394 Y1 KR200393394 Y1 KR 2003933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steel sheet
composite
sheet pile
ver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열
Original Assignee
대원이엔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이엔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이엔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9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3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3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3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2Steel; Iron in sheet form, i.e. bent or deformed plate-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널말뚝과 강관말뚝 또는 H말뚝을 합성하여 제작한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대상지반에 소정의 깊이로 항타, 영구벽체를 형성하여 지상 및 지하 입체교차시설, 교량의 교대 등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합성말뚝은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을 동시에 지지하며, 강널말뚝은 토압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강널말뚝 벽체는 기존의 흙막이벽체를 대체하고, 강널말뚝의 취약한 수직 지지력은 합성 제작된 합성말뚝이 지지하여 벽체의 역할 및 지지말뚝의 역할을 하여 지상 및 지하 입체교차시설을 형성하고 교량의 교대공사에 있어서 호우로 인한 교량구조물의 파손 유실등의 긴급복구, 산사태 지역의 긴급복구공사에 적용시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하고 불필요한 공정을 생략하여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은 대상지반에 수직으로 항타된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으로 이루어지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의 상단에 철근 및 콘크리트로 형성된 상 하부슬래브로 이루어지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합성말뚝과 강널말뚝 외부면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마감부재로 구성되는 입체교차시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The engineering-works structure using composite pile and steel sheet pile}
본 고안은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널말뚝과 강관말뚝 또는 H말뚝을 합성하여 제작한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대상지반에 소정의 깊이로 항타, 영구벽체를 형성하여 지상 및 지하토목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입체교차시설을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구조물을 시공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가설토류벽(1)을 시공하고, 굴착공정을 거쳐, 기초말뚝(2)을 시공하고, 상기 기초말뚝(2)상에 하부슬래브(3)를 철근, 거푸집, 콘크리트로 시공한 후 벽체(4)와 상부슬래브(5)를 철근, 거푸집 및 콘크리트로 시공하고, 되메우기, 포장 공정을 거친 후 차량을 통행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공사에 있어서 대부분의 입체교차시설은 입체교차시설을 형성하기 위한 가설토류벽(1) 공정, 구조물(S)의 지지력 확보를 위한 기초말뚝(2) 공정, 토목구조물(S) 형성을 위한 철근조립 및 거푸집 조립공정,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공정, 거푸집 제거공정, 되메우기 및 포장공정 등을 통하여 시공되어 왔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입체교차시설을 위한 모든 공정의 공정관리가 까다롭고 공사기간이 매우 길어 장시간 교통혼잡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교대의 경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중호우로 인한 교량 유실 및 파손에 대한 긴급복구가 필요시 가설토류벽(1) 설치, 제방헐기, 물푸기, 물흐름 등으로 작업공정에 장애를 주어 공사기간이 매우 길어지고 이로 인한 민원발생이 빈번하게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강널말뚝과 강관말뚝 또는 H말뚝을 합성하여 제작한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대상지반에 소정의 깊이로 항타, 영구벽체를 형성하여 지상 및 지하 입체교차시설, 교대 등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합성말뚝은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을 동시에 지지하며, 강널말뚝은 토압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강널말뚝 벽체는 기존의 흙막이벽체를 대체하고 강널말뚝의 취약한 수직 지지력은 합성 제작된 합성말뚝이 지지하여 벽체의 역할 및 지지말뚝의 역할을 하여 토목구조물을 형성,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하고 불필요한 공정을 생략하여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은 대상지반에 수직으로 항타된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으로 이루어지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의 상단에 철근 및 콘크리트로 형성된 상 하부슬래브로 이루어지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외부면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마감부재로 구성되는 입체교차시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도 3a, 3b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입체교차시설을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은 대상지반(G)에 수직으로 항타된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으로 이루어지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의 상단에 철근 및 콘크리트로 형성된 상, 하부슬래브(20, 22)로 이루어지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 외부면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마감부재로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 및 마감부재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입체교차시설이다.
여기서, 상기 수직부재를 이루는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은 구조물의 규모에 따라 직선형 또는 곡선형, 타원형, 다각형, 폐합형으로 연결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합성말뚝(10)은 강널말뚝(14)의 오목홈(14a)에 강관말뚝(12)을 용접시켜 접합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합성말뚝(10)은 H말뚝(16)의 플랜지(16a)에 강널말뚝(14)을 용접시켜 접합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은 그 상부하중 및 배면 토압에 따라 합성말뚝(10)에 1매 건너, 2매 건너 또는 다수 매 건너서 강널말뚝(14)이 대상지반(G)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마감부재는 문양거푸집(30)을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설치하고, 상기 수직부재와 문양거푸집(30)내에 콘크리트(34)를 타설 및 양생시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는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벽돌(33)을 적층시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부재는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석재(32) 또는 타일(36)이 부착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는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경량콘크리트패널(35)이 철물(31)로 고정 부착된 구조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시공방법은 대상지반(G)에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으로 이루어진 수직부재를 항타하는 단계; 상기 수직부재의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의 상단에 상부슬래브(20)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상부슬래브(20)의 하부를 굴착하여 하부슬래브(22)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수직부재의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의 노출면을 청소하고 소정의 방식공정을 실시하는 단계; 상기 수직부재의 노출면에 마감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입체교차시설을 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은 구조물의 규모에 따라 직선형 또는 곡선형, 타원형, 다각형, 폐합형으로 연결하여 항타 시공한다.
상기 합성말뚝(10)은 강널말뚝(14)의 오목홈(14a)에 강관말뚝(12)을 용접하여 접합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합성말뚝(10)은 H말뚝(16)의 플랜지(16a)에 강널말뚝(14)을 용접하여 접합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은 그 상부하중 및 배면 토압에 따라 합성말뚝(10)에 1매 건너, 2매 건너 또는 다수 매 건너서 강널말뚝(14)을 대상지반(G)에 배치한다.
한편, 상기 마감부재는 문양거푸집(30)을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설치하고, 상기 수직부재와 문양거푸집(30)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마감부재는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벽돌(33)을 적층하여 형성한다.
상기 마감부재는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석재(32) 또는 타일(36)을 부착 형성한다.
상기 마감부재는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경량콘크리트패널(35)을 철물(31)로 고정 부착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시공방법은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입체교차시설의 벽체(4)가 위치할 지반(G)에 항타하고, 상기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의 상부에 일반적인 철근과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상부슬래브(20)를 시공하고, 상기 상부슬래브(20)에 차량 및 사람을 통행시키면서 상기 상부슬래브(20)의 하부를 굴착한 후, 철근과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하부슬래브(22)를 시공한 후, 최종적으로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의 노출면을 청소하고, 각종 페인트를 도포하는 공정 및 기타 소정의 방식공정을 거쳐 토목구조물(S)을 완성하나,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철재면의 보호 또는 미관상 장식을 원할 경우에는 콘크리트(34)에 문양거푸집(30), 석재(32), 벽돌(33), 타일(36), 철재면에 경량콘크리트패널(35)와 같은 마감부재를 설치하여 장식 마무리한다.
이때, 상기 토목구조물에 사용되는 합성말뚝(10)은 강관말뚝(12)과 강널말뚝(14)의 조합, 또는 H말뚝(16)과 강널말뚝(14)의 조합으로 제작하며 조건에 따라 적절한 말뚝을 선택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합성말뚝(10)에 가해지는 하중조건에 따라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이 연결 항타된 상태로 합성말뚝(10)을 1매 건너 또는 3매 건너 등으로 배치하여 최적의 조건으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시공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은 공장 제작된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지반(G)에 소정의 깊이로 연결 항타하여 합성말뚝(10)은 기초말뚝(2) 및 가설토류벽(1), 지상 및 지하 입체교차시설에서의 벽체(4) 역할을 병행하고, 이와 연결 항타된 강널말뚝(14)은 가설토류벽(1)의 역할과 토목구조물(S) 벽체의 역할을 병행하여 시공되므로 가설토류벽(1) 공정, 기초말뚝(2)공정, 벽체(4)의 철근 및 거푸집공정 등을 생략 및 복합시공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시공기간이 매우 단축되고, 공사비 절감이 가능하고, 짧은 공사기간으로 교통혼잡 기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항타 후 지상 및 지하 입체교차시설의 상부슬래브(20)를 선 시공후 상기 상부슬래브(20)로는 차량 및 사람을 통행시키면서 하부에서는 하부슬래브(22)의 시공을 병행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실시예2]
도 4a, 4b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교대를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은 대상지반(G)에 수직으로 항타된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으로 이루어지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의 상단에 철근 및 콘크리트로 형성된 캡핑콘크리트(40)와; 상기 캡핑콘크리트(40)상에 철근 및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상부구조물과; 상기 캡핑콘크리트(40)의 상단부 소정의 위치와 상부구조물간에 설치되는 교좌장치(51)와; 상기 수직부재의 외부면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마감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은 구조물의 규모에 따라 직선형 또는 곡선형, 타원형, 다각형, 폐합형으로 연결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합성말뚝(10)은 강널말뚝(14)의 오목홈(14a)에 강관말뚝(12)을 용접시켜 접합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합성말뚝(10)은 H말뚝(16)의 플랜지(16a)에 강널말뚝(14)을 용접시켜 접합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은 그 상부하중 및 배면 토압에 따라 합성말뚝(10)에 1매 건너, 2매 건너 또는 다수 매 건너서 강널말뚝(14)이 대상지반(G)에 배치된 구조이다.
한편, 상기 마감부재는 문양거푸집(30)을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설치하고, 상기 수직부재와 문양거푸집(30)내에 콘크리트(34)를 타설 및 양생시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는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벽돌(33)을 적층시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부재는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석재(32) 또는 타일(36)이 부착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는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경량콘크리트패널(35)이 철물(31)로 고정 부착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시공방법은 대상지반(G)에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으로 이루어진 수직부재를 연결 항타하는 단계; 상기 수직부재의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 상단에 철근을 보강함과 동시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캡핑콘크리트(40)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캡핑콘크리트(40)상의 소정의 위치에 교좌장치(51)를 설치하는 단계; 완성된 빔을 교좌장치(51)위에 거치하여 철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켜 상부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수직부재의 외부 노출면을 청소하고, 소정의 방식공정을 실시하는 단계; 상기 수직부재의 노출면에 마감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교대를 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은 구조물의 규모에 따라 직선형 또는 곡선형, 타원형, 다각형, 폐합형으로 연결하여 항타 시공한다.
또한, 상기 합성말뚝(10)은 강널말뚝(14)의 오목홈(14a)에 강관말뚝(12)을 용접하여 접합된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합성말뚝(10)은 H말뚝(16)의 플랜지(16a)에 강널말뚝(14)을 용접하여 접합된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은 그 상부하중 및 배면 토압에 따라 합성말뚝(10)에 1매 건너, 2매 건너 또는 다수 매 건너서 강널말뚝(14)을 대상지반(G)에 배치한다.
한편, 상기 마감부재는 문양거푸집(30)을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설치하고, 상기 수직부재와 문양거푸집(30) 내에 콘크리트(34)를 타설 및 양생시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는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벽돌(33)을 적층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마감부재는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석재(32) 또는 타일(36)을 부착 형성한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는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경량콘크리트패널(35)을 철물(31)로 고정 부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시공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이용한 교대 및 그의 시공방법은 공장 제작된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지반(G)에 소정의 깊이로 연결 항타하여 합성말뚝(10)은 기초파일 및 토류벽체 역할을 병행하고, 이와 연결 항타된 강널말뚝(14)은 토류 벽체의 역할과 토목구조물 벽체의 역할을 병행하여 시공되므로 가설토류벽(1) 공정, 가설토류벽(2) 공정, 벽체의 철근 및 거푸집공정 등을 생략 및 복합시공이 가능한 작용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은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항타한 즉시 수직 및 수평하중을 재하할 수가 있으므로 토목구조물의 공기단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둘째, 본 고안은 합성말뚝과 강널말뚝 공히 공장제품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말뚝의 질이 균질할 뿐만 아니라 품질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셋째, 본 고안은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으로 형성된 벽체의 요철에 의하여 입체교차시설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시켜 소음감소의 효과가 있다.
넷째, 본 고안은 수직지지력은 합성말뚝이 지지하므로, 강널말뚝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암반까지 항타할 필요가 없는 시공상 이점이 있다.
다섯째, 본 고안은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대상지반에 따라 그 배치간격을 조절하여 최적의 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여섯째, 본 고안은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하여 시공함으로 인하여 불필요한 공정을 생략할 뿐만 아니라 복합시공이 가능하여 공기단축 및 공사비 절감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일곱째, 본 고안은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의 항타 시공으로 인하여 지반의 굴착면적의 최소화로 토공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덟째, 본 고안은 교대시공에 있어서 물의 흐름에 상관없이 작업가능하고 제방훼손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입체교차시설을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교대를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a, 3b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입체교차시설을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a, 4b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교대를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a, 5b, 5c, 5d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의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a, 6b, 6c, 6d는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이 연결 항타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a, 7b, 7c, 7d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의 강재 노출면에 마감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설토류벽 2 : 기초말뚝
3 : 바닥슬래브 4 : 벽체
5 : 상부슬래브 10 : 합성말뚝
12 : 강관말뚝 14 : 강널말뚝
14a : 오목홈 16 : H말뚝
16a : 플랜지 20 : 상부슬래브
22 : 하부슬래브 30 : 문양거푸집
31 : 철물 32 : 석재
33 : 벽돌 34 : 콘크리트
35 : 경량콘크리트패널 36 : 타일
40 : 캡핑콘크리트 50 : H빔
51 : 교좌장치 60 : 어스앵커
G : 대상지반 S : 토목구조물

Claims (18)

  1. 대상지반(G)에 수직으로 항타된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으로 이루어지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의 상단에 철근 및 콘크리트로 형성된 상,하부슬래(20, 22)브로 이루어지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 외부면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마감부재로 구성되는 입체교차시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은 구조물의 규모에 따라 직선형 또는 곡선형, 타원형, 다각형, 폐합형으로 연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말뚝(10)은 강널말뚝(14)의 오목홈(14a)에 강관말뚝(12)을 용접시켜 접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말뚝(10)은 H말뚝(16)의 플랜지(16a)에 강널말뚝(14)을 용접시켜 접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은 그 상부하중 및 배면 토압에 따라 합성말뚝(10)에 1매 건너, 2매 건너 또는 다수 매 건너서 강널말뚝(14)이 대상지반(G)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문양거푸집(30)을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설치하고, 상기 수직부재와 문양거푸집(30)내에 콘크리트(34)를 타설 및 양생시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벽돌(33)을 적층시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석재(32) 또는 타일(36)이 부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경량콘크리트패널(35)이 철물(31)로 고정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10. 대상지반(G)에 수직으로 항타된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으로 이루어지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의 상단에 철근 및 콘크리트로 형성된 캡핑콘크리트(40)와;
    상기 캡핑콘크리트(40)상에 철근 및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상부구조물과;
    상기 캡핑콘크리트(40)의 상단부 소정의 위치와 상부구조물간에 설치되는 교좌장치(51)와;
    상기 수직부재의 외부면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마감부재로 구성되는 교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은 구조물의 규모에 따라 직선형 또는 곡선형, 타원형, 다각형, 폐합형으로 연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말뚝(10)은 강널말뚝(14)의 오목홈(14a)에 강관말뚝(12)을 용접시켜 접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13.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말뚝(10)은 H말뚝(16)의 플랜지(16a)에 강널말뚝(14)을 용접시켜 접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14.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은 그 상부하중 및 배면 토압에 따라 합성말뚝(10)에 1매 건너, 2매 건너 또는 다수 매 건너서 강널말뚝(14)이 대상지반(G)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문양거푸집(30)을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설치하고, 상기 수직부재와 문양거푸집(30)내에 콘크리트(34)를 타설 및 양생시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벽돌(33)을 적층시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석재(32) 또는 타일(36)이 부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수직부재의 외부면에 경량콘크리트패널(35)이 철물(31)로 고정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말뚝(10)과 강널말뚝(14)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KR20-2005-0009392U 2005-04-06 2005-04-06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KR2003933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392U KR200393394Y1 (ko) 2005-04-06 2005-04-06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392U KR200393394Y1 (ko) 2005-04-06 2005-04-06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613A Division KR100709304B1 (ko) 2005-04-06 2005-04-06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및 그의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394Y1 true KR200393394Y1 (ko) 2005-08-22

Family

ID=43694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392U KR200393394Y1 (ko) 2005-04-06 2005-04-06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3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261B1 (ko) 피씨 지중연속벽을 활용하여 스트럿구조나 어스앙카 구조에서 시공가능한 지하조립식 피씨 저류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005780B1 (ko) 지하 슬래브 콘크리트 및 거더 콘크리트의 균열 방지를 위한 지하구조물 구축방법
KR100938395B1 (ko) 강합성 벽체파일을 이용한 지하차도의 시공방법
KR102431393B1 (ko)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0709304B1 (ko)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및 그의시공방법
KR20090090742A (ko) 영구 스트럿을 이용한 상향식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KR20070052109A (ko) 슬림형 합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슬라브와 외벽의 동시 타설 및 지하 역타설 동시구축방법
KR20110122485A (ko) 씨아이피를 이용한 지하도로 시공방법
KR100694586B1 (ko) 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지하외벽 구조
KR100496735B1 (ko)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교량의 교대, 교각과 그의시공방법
JP4228308B2 (ja) 既存床の補強工法および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
KR200393394Y1 (ko)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JP3390081B2 (ja) 地下駐車場の構築方法
KR200390421Y1 (ko) 데크 현수식 역타설 지하 구조물
KR200389527Y1 (ko) 강널말뚝 및 합성말뚝을 이용한 옹벽
CN107460949B (zh) 一种轻钢结构装配装饰一体化建筑的底盘系统
KR100716598B1 (ko) 강널말뚝 및 합성말뚝을 이용한 옹벽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428941Y1 (ko) 지하 합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흙막이벽의 역타 지지구조
KR101194866B1 (ko) 종방향 강재와 횡방향 강재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KR100722198B1 (ko) 지하 합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흙막이벽의 역타 지지구조 및이를 적용한 건축물 지하 합벽의 연속 시공방법
KR20120054290A (ko) 벽체말뚝
KR101027921B1 (ko) 지하 슬래브 콘크리트 및 거더 콘크리트의 균열 방지를 위한 지하구조물 구축방법
KR200225641Y1 (ko) 도로교량 철도 교각기초 사각콘크리트 판넬조립식 흙막이구조
KR200340952Y1 (ko) 합성말뚝 및 강널말뚝을 이용한 입체교차시설
KR100478994B1 (ko) 합성말뚝 및 강널말뚝을 이용한 입체교차시설 및 그의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