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254Y1 -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 Google Patents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254Y1
KR200393254Y1 KR20-2005-0016264U KR20050016264U KR200393254Y1 KR 200393254 Y1 KR200393254 Y1 KR 200393254Y1 KR 20050016264 U KR20050016264 U KR 20050016264U KR 200393254 Y1 KR200393254 Y1 KR 2003932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tube
flexible external
external antenna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교
안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닉스
Priority to KR20-2005-00162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2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2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2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노트북, TV, PDA, 네비게이션 등 다양한 단말기에 구비된 안테나 포트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외장형 안테나에 있어서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게 안테나봉이 신축가능하도록 고안된 외장형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외장형 안테나는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상에 송수신에 필요한 길이의 안테나봉을 길게 설치한 고정형이기 때문에 보관이나 휴대가 불편하고 이동중 파손의 우려가 있었다. 또한 사용주파수대역이 다른 경우에는 사용하기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2 및 도5에 보는 바와 같이 사용시에는 안테나봉을 뽑아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안테나봉을 밀어 넣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안테나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안테나 특성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external antenna with extension possibility}
본 발명은 휴대폰, 노트북, TV, PDA, 네비게이션 등 다양한 단말기에 구비된 안테나 포트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외장형 안테나에 있어서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게 안테나봉이 신축가능하도록 고안된 외장형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외장형 안테나는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상에 송수신에 필요한 길이의 안테나봉을 길게 설치한 고정형이기 때문에 보관이나 휴대가 불편하고 이동중 파손의 우려가 있었다. 또한 사용주파수대역이 다른 경우에는 사용하기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장형 안테나는 외부에 설치되므로 외부충격에 대해 유연성을 확보해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2 및 도5에 보는 바와 같이 사용시에는 안테나봉을 뽑아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안테나봉을 밀어 넣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안테나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안테나 특성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를 제공함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는 중간이 볼록한 장구스프링(19)이 설치되어 있는 걸림쇠(3)가 일단에 장착된 안테나봉(2); 상기 안테나봉(2)이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안테나튜브(5,7,26); 상기 안테나튜브와 동축케이블(16)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급전부(28); 상기 구성품들이 설치되고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1)를 포함하며 중간코일(10)을 설치하는 경우는 상기 안테나봉(2)이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안테나튜브(5,7); 상기 상부와 하부 안테나튜브 사이에 설치된 중간코일(10); 상기 안테나튜브와 중간코일(10)을 연결해주며 상기 안테나봉(2)의 인입과 인출이 용이하도록 가이드홈(6,6')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및 하부 코일부싱(8,9)이 더 포함된다.
중간코일(10)을 갖지 않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는 중간코일(10)을 갖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의 일부 구성요소를 일체화하거나 제거하여 구성한 것이므로 먼저 중간코일(10)을 갖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2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의 일실시예에 대한 인입된 상태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2에서와 같이 중간코일(10)을 갖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는 중간이 볼록한 장구스프링(19)이 설치되어 있는 걸림쇠(3)가 일단에 장착된 안테나봉(2)과; 상기 안테나봉(2)이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안테나튜브(5,7)와; 상기 상부와 하부 안테나튜브 사이에 설치된 중간코일(10)과; 상기 안테나튜브와 중간코일(10)을 연결해주며 상기 안테나봉(2)의 인입과 인출이 용이하도록 가이드홈(6,6')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및 하부 코일부싱(8,9); 상기 하부안테나튜브(7)와 동축케이블(16)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급전부(28); 상기 구성품들이 설치되고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1)로 구성된다.
상기의 안테나봉(2)은 도7에서와 같이 상부 및 하부의 안테나튜브(5,7) 내면에 접하여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때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탄성을 갖는 스프링형태의 중간이 볼록한 장구스프링(19)이 설치된 걸림쇠(3)가 압착되어 일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부와 하부 안테나 튜브(5,7)에 원활하게 삽입되기 위해 걸림쇠(3)의 일단이 뾰족하게 경사져있는 형태의 안내면(27)를 갖고 있다. 상기 안테나봉(2)은 일반적인 스프링 강선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쉽게 굽혀질 수 있고 쉽게 탄성복원할 수 있는 티타늄이 함유된 메모리와이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테나봉(2)의 다른 일실시예로 도 8에서보는 바와 같이 여러 단계로 신축가능한 통상의 다단형 안테나봉(2 )을 사용한 것이다. 여기서 다단형 안테나봉(2 )은 길이방향으로 신축량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사용주파수대역에 대응하기 용이하며 이는 다양한 형태로 상용화되어 공지된 기술이다.
상기의 상부 및 하부 안테나튜브(5,7)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안테나봉(2)이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안테나봉(2)의 걸림쇠(3)에 설치된 장구스프링(19)에 의해 탄성접촉으로 안테나 튜브의 내면과 전기적으로 접촉을 유지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안테나봉(2)을 인출할 때 더 이상 뽑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일실시예로 도 6a은 고정링(4)을 설치한 것이고 다른 일실시예로 도 6b은 상부안테나튜브(5)의 상단을 안쪽으로 오무림하여 안테나봉(2)에 설치된 걸림쇠(3)가 걸리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부 및 하부 안테나튜브(5,7)의 다른 일실시예로 외력에 의한 변형에 대한 유연성 확보를 위해 도 9에 보는 바와 같이 사각스프링이나 원형스프링의 형태의 스프링튜브(25,25')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안테나튜브의 또다른 실시예로 안테나 튜브의 내경을 상부안테나 튜브의 내경보다 크게하여 안테나봉(2)과의 전기적접촉은 상부 안테나 튜브에서만 발생하고 하부안테나튜브(7)는 전기적 접촉과 무관한 안테나봉(2) 수납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중간코일(10)은 상부와 하부 안테나튜브(5,7) 사이에 설치되어 안테나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로 상기 안테나봉(2)이 관통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 코일부싱(8,9)이 개재되어 설치된다. 상기 코일부싱(8,9)의 일단은 안테나튜브(5,7)가 설치되고 다른 일단에는 중간코일(10)이 장착되며 안테나봉(2)을 자연스럽게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홈(6,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코일(10)은 도4a에서와 같이 코일부싱(8,9)에 외접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 도4b에서와 같이 내접하게 설치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은 코일부싱(8,9)은 중간코일(10)을 사이에 두고 상부와 하부 대향지게 조립되며 상부 및 하부 안테나튜브(5,7)로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부 와 하부 안테나튜브 사이에서의 안테나봉(2)을 안내하기 위해 상부와 하부 코일부싱(8,9)사이에 가이드튜브(1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안테나봉(2)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확실히하고 일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코일부싱의 다른 일실시예로 안테나튜브(5,7)와 코일부싱(8,9)을 일체로 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는 일반적인 기계가공으로 일체로 가공하거나 납땜, 용접 등의 접합수단을 이용하여 일체로 할 수 있으며 이는 본 고안의 코일부싱 및 안테나 튜브수단과 동일한 기술범위에 속하는 기술적 사상을 갖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 중간코일(10)과 하부코일부싱(9)과 하부 안테나튜브(7)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 도 11와 같이 상부는 중간코일(10)과 같은 형태의 피치로 형성하고 하부는 서로 밀착시켜 스프링튜브(25,25')를 형성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한 것이며 스프링의 단면은 사각형 또는 원형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급전부(28)는 도3a에서와 같이 안테나 튜브(7)와 동축케이블(16)과의 전기적 신호연결을 위해 기판(13)상에 피봇마운트(12)를 고정하고 상기 피봇마운트(12)의 일측에 동축케이블(16)의 내부피복(21)과 내심(22)을 연결하고 상기 피봇마운트(12)의 피봇홈(23)에 안테나튜브(7)가 삽입되어 중간코일(10)의 탄성력으로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내부피복(21)을 피봇마운트(12)에 고정시키는 것은 외력이 내심(22)에 가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동축케이블(16) 외부 피복의 쉴드선은 기판(13)상의 그라운드단자부(32)에 고정된다. 상기의 피봇마운트(12)는 안테나튜브(7)와 피봇조인트(34)를 형성하여 외력이 가해질 때 케이스(1)의 변형에 따라 자연적으로 회동하여 외력전달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3b에서와 같이 안테나튜브하단에 피봇마운트(12)를 형성하고 기판(13)상에 피봇축마운트(29)를 고정하여 피봇조인트(34)를 구성할 수 있어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급전부(28)의 다른 일실시예로 도 10에서와 같이 하부 안테나튜브(7)의 하단과 동축케이블(16)의 내심(22)을 기판(13)상에 남땜 등으로 고정한 것으로 안테나튜브가 스프링튜브(25,25')인 경우 유연성이 좋아 외력에 의한 손상의 염려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1)는 상기에서 기술한 안테나 튜브(5,7), 중간코일(10), 코일부싱(8,9), 기판(13), 동축케이블(16) 등이 설치되어 안테나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외력에 대해 변형이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며 하단에는 마그네트(14)가 장착되어 차량 등에 자력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마그네트(14)는 별도의 마그네트홀더(15)를 이용하여 케이스(1)에 압입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트홀더(15)의 다른 일실시예로 통상의 나사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동축케이블(16)을 외부로 인출하는 부분에 케이블마개(17)를 설치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안테나봉(2)이 설치된 케이스(1) 상부에는 안테나봉(2)의 외경에 밀착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돌출부(18)를 두어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로 중간코일(10)을 갖지 않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는 도 12에서와 같이 안테나 특성조절을 위해 중간코일(10)대신에 기판(13)상에 매칭회로(31)를 구성하게 되며 기본구성은 상기에서 기술한 중간코일(10)을 갖는 신축가능한 외장형안테나의 일실시예에 나타난 상부 안테나튜브(5)와 하부안테나튜브(7)를 일체형으로 하고 중간코일(10) 및 코일부싱(8,9)을 제거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중간코일(10)을 갖지 않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는 안테나봉(2)이 안테나튜브(26)의 내면에 접하여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면서 인입 및 인출되고 안테나튜브(26)의 하단은 급전부(28)에 연결되어 있다. 급전부(28)는 상기 중간코일(10)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안테나튜브(26)는 유연성이 있는 사각형 또는 원형의 스프링튜브(25,25')로 구성하여 유연성을 높힐 수 있으며 급전부(28)의 외력에 의한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안테나튜브(26)는 케이스(1)가 외력을 받아 변형될 때 급전부(28)의 피봇마운트(12)와의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안테나튜브의 상단 또는 하단에 압축스프링(30)을 설치하여 압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압축스프링(30)을 이용하여 안테나튜브(26)와 피봇마운트(12)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는 방법은 도 12b 및 도 12c 에서와 같이 안테나튜브(26)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링(4) 위에 압축스프링(30)을 더 설치하거나 도 13에서와 같이 안테나튜브(26)의 하단에 압축스프링(30)으로 작동하는 하부플런저(33)를 더 설치하는 방법으로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는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포함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효과를 살펴보면 케이스(1) 내부에 설치된 중공형상의 안테나 튜브(26)를 관통하여 안테나봉(2)이 안테나튜브의 내면과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면서 움직이게 되며 중간코일(10)이 있는 경우는 중간에 설치된 코일(10)로 인해 단절된 부분에서는 안테나봉(2)이 상부 및 하부 안테나튜브(5,7)에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가이드홈(6,6')이 형성된 코일부싱(8,9)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안내되며 이를 확실히 하기 위해 설치된 가이드튜브(11)는 안테나봉(2)의 일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은 안테나봉(2)이 중간코일(10)이 설치된 안테나튜브(5,7)내로 자유롭게 인출과 인입을 할 수 있으며 외력이 가해지더라고 중간코일(10)부분에서 약간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안테나튜브(5,7)를 스프링튜브(25,25')로 구성하게되면 더 큰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단의 피봇조인트를 이용한 전기적 접속방법은 조립이 용이하고 외력이 급전부(28)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봉(2)이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고 중간에 코일(10)을 설치하여 안테나 특성조절역할과 동시에 외력에 따른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급전부(28)에서 피봇조인트를 형성하여 외력에 의한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스프링튜브(25,25')를 도입하여 케이스(1) 변형에 따른 안테나의 유연성을 한층더 향상시킨 효과를 가진다.
도1은 종래의 외장형 안테나 외관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형 안테나의 일실시예로써 인입된 상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형 안테나의 인입된 상태 A부 상세도로써
도3a는 기판에 피봇마운트를 고정한 경우
도3b는 기판에 피봇축마운트를 고정한 경우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형 안테나의 인입된 상태 B부 상세도로써
도4a는 코일이 코일부싱에 외접하는 경우
도4b는 코일이 코일부싱에 내접하는 경우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형 안테나의 일실시예로써 인출된 상태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형 안테나의 인출된 상태 C부 상세도로서
도6a는 고정링이 설치된 경우
도6b는 안테나튜브의 상단이 오무림가공된 경우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형 안테나의 안테나봉에 대한 일실시예로써 일단형 외관도
도8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형 안테나의 안테나봉에 대한 다른 일실시예로써 다단형 외관도
도9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형 안테나의 안테나튜브에 대한 다른 일실시예로써 스프링튜브의 예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형 안테나의 다른 일실시예로써 스프링튜브형 안테나 단면도
도11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형 안테나의 또다른 일실시예로써 중간코일 일체형 안테나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형 안테나의 또다른 일실시예로써 중간코일이 없는 경우의 단면도로써
도12a는 스프링튜브를 이용한 기판 직접고정형 방식
도12b는 상부 압축스프링력에 의한 피봇조인트 방식의 상부상세도
도12c는 상부 압축스프링력에 의한 피봇조인트 방식의 하부상세도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형 안테나의 피봇조인트에 대한 다른 일실시예로써 하부플런저에 의한 피봇조인트 방식의 하부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스 2,2 : 안테나봉
3: 걸림쇠 4: 고정링
5: 상부안테나튜브 6, 6 : 가이드홈
7: 하부안테나튜브 8: 상부코일부싱
9: 하부코일부싱 10: 중간코일
11: 가이드튜브 12: 피봇마운트
13: 기판 14: 마그네트
15: 마그네트홀더 16: 동축케이블
17: 케이블마개 18: 돌출부
19: 장구스프링 20: 압착부
21: 내부피복 22: 내심
23: 피봇홈 24: 접합부
25, 25 : 스프링튜브 26: 안테나튜브
27: 안내면 28: 급전부
29: 피봇축마운트 30: 압축스프링
31: 매칭회로 32: 그라운드단자부
33: 하부플런저 34: 피봇조인트

Claims (28)

  1. 안테나봉(2)의 인입과 인출이 가능한 단말기용 외장안테나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스프링이 설치된 걸림쇠(3)로 고정되어 있는 안테나봉(2)과; 상기 안테나봉(2)이 삽입되어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상부 안테나튜브(5)와; 안테나봉(2)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하부안테나튜브(7)와; 상기 두 안테나튜브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면서 설치된 중간코일(10)과; 상기 하부안테나튜브(7)와 동축케이블(16)의 내심(2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전부(28)와; 하단에 마그네트(14)가 설치된 케이스(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안테나봉(2)이 티타늄이 함유되어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메모리와이어로 이루어졌거나 2단 이상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상부 안테나튜브와 하부 안테나튜브중 적어도 하나는 사각형 또는 원형단면을 갖는 스프링튜브(25,2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하부안테나튜브(7)와 급전부(28)가 피봇조인트(34) 형태로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중간코일(10)과 하부 안테나튜브를 사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 스프링튜브(25,25')로 구성하여 상부는 중간코일(10)형태의 피치를 갖고 하부는 튜브형태로 밀착된 피치로 형성하여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상부 및 하부 안테나튜브사이에 서로 대향지게 설치되어 중간코일(10)과 서로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고 상기 안테나봉(2)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6,6')이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코일부싱(8,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상부 안테나튜브와 하부 안테나튜브중 적어도 하나는 사각형 또는 원형단면을 갖는 스프링튜브(25,2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하부안테나튜브(7)와 급전부(28)가 피봇조인트(34) 형태로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중간코일(10)과 하부 안테나튜브를 사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 스프링튜브(25,25')로 구성하여 상부는 중간코일(10)형태의 피치를 갖고 하부는 튜브형태로 밀착된 피치로 형성하여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상부 및 하부 안테나튜브사이에 서로 대향지게 설치되어 중간코일(10)과 서로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고 상기 안테나봉(2)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6,6')이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코일부싱(8,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의 하부안테나튜브(7)와 급전부(28)가 피봇조인트(34) 형태로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의 중간코일(10)과 하부 안테나튜브를 사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 스프링튜브(25,25')로 구성하여 상부는 중간코일(10)형태의 피치를 갖고 하부는 튜브형태로 밀착된 피치로 형성하여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의 상부 및 하부 안테나튜브사이에 서로 대향지게 설치되어 코일(10)과 서로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고 상기 안테나봉(2)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6,6')이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코일부싱(8,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의 중간코일(10)과 하부 안테나튜브를 사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 스프링튜브(25,25')로 구성하여 상부는 중간코일(10)형태의 피치를 갖고 하부는 튜브형태로 밀착된 피치로 형성하여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의 상부 및 하부 안테나튜브사이에 서로 대향지게 설치되어 중간코일(10)과 서로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고 상기 안테나봉(2)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6,6')이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코일부싱(8,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의 상부 및 하부 안테나튜브사이에 서로 대향지게 설치되어 중간코일(10)과 서로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고 상기 안테나봉(2)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6,6')이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코일부싱(8,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코일부싱(8,9)사이에 가이드튜브(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코일부싱(8,9)사이에 가이드튜브(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코일부싱(8,9)사이에 가이드튜브(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코일부싱(8,9)사이에 가이드튜브(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21. 제16 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코일부싱(8,9)사이에 가이드튜브(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22. 안테나봉의 인입과 인출이 가능한 단말기용 외장안테나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스프링이 설치된 걸림쇠(3)로 고정되어 있는 안테나봉(2)과; 상기 안테나봉(2)이 삽입되어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안테나튜브(26)와; 매칭회로(31)가 구성되어 있고 안테나튜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13)과; 마그네트(14)가 하단에 설치된 케이스(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의 안테나봉(2)이 티타늄이 함유되어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메모리와이어로 이루어졌거나 2단 이상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의 안테나튜브가 사각형 또는 원형단면을 갖는 스프링튜브(25,2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의 안테나튜브(26)와 기판(13)이 피봇조인트(34) 형태로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의 안테나튜브가 사각형 또는 원형단면을 갖는 스프링튜브(25,2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의 안테나튜브(26)와 기판(13)이 피봇조인트(34) 형태로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의 안테나튜브(26)와 기판(13)이 피봇조인트(34) 형태로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KR20-2005-0016264U 2005-06-08 2005-06-08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KR2003932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264U KR200393254Y1 (ko) 2005-06-08 2005-06-08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264U KR200393254Y1 (ko) 2005-06-08 2005-06-08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254Y1 true KR200393254Y1 (ko) 2005-08-22

Family

ID=43694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264U KR200393254Y1 (ko) 2005-06-08 2005-06-08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2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9513B2 (en) 2012-11-22 2015-12-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9513B2 (en) 2012-11-22 2015-12-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3254Y1 (ko) 신축가능한 외장형 안테나
US8576131B2 (en) Helical antenna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helical antenna
KR100802597B1 (ko) 외장형 안테나 어셈블리
JP2010200050A (ja) 通信機器
KR101456229B1 (ko) 차량용 안테나
KR102390160B1 (ko) 지그
KR101237213B1 (ko) 안테나 결합구조
KR101142042B1 (ko) 신축가능한 헬리컬코일부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용다단안테나
KR200397908Y1 (ko) 중간 탄성와이어단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다단안테나
KR101142043B1 (ko) 단말기용 안테나의 급전 및 가이드 구조
KR101247905B1 (ko) 안테나 결합구조
CN210350073U (zh) 一种适用于手表表带的天线
KR200410661Y1 (ko) 신축가능한 헬리컬코일부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용다단안테나
US20200200980A1 (en) Optical connector
CN209844013U (zh) N型连接器组件的母连接器和n型连接器组件
KR200338909Y1 (ko) 동축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KR100473973B1 (ko) 휴대용 무선기기의 슬림형 안테나
KR200417556Y1 (ko) 단말기용 안테나의 급전 및 가이드 구조
KR200285688Y1 (ko) 신축가능형 안테나의 스프링 장치
JP6045353B2 (ja) アンテナ及び携帯端末
KR1010971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멀티와이어 안테나
KR101521698B1 (ko) 안테나 잭
JP3304288B2 (ja) 無線機用アンテナおよび無線機
KR101172258B1 (ko) 안테나 장치
KR200393142Y1 (ko) 신축가능형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