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097Y1 - 지역생활정보 전화기 - Google Patents

지역생활정보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097Y1
KR200393097Y1 KR20-2005-0015378U KR20050015378U KR200393097Y1 KR 200393097 Y1 KR200393097 Y1 KR 200393097Y1 KR 20050015378 U KR20050015378 U KR 20050015378U KR 200393097 Y1 KR200393097 Y1 KR 200393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l
telephone
information
life
profes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하림
정원탁
Original Assignee
정하림
정원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하림, 정원탁 filed Critical 정하림
Priority to KR20-2005-0015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0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0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6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called number at the calling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역생활정보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능망의 근거리 라우팅을 이용한 업종별 전국대표번호(1577 등) 연결용 단축버튼과 생활정보전문상담원에게 연결하기 위한 단축버튼 등으로 이루어진 지역생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지역생활정보 전화기는, 업종별 전국대표번호나 무료전화 연결용 단축버튼 기능이 있는 지능망 전국대표번호 접속 수용부와 아울러 이용자들에게 좀더 쉽고, 편리하게 지역생활정보를 상담할 수 있는 생활정보전문상담원 연결용 단축버튼 기능이 있는 생활정보전문상담원 접속 수용부 등의 기능이 있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화요리, 피자, 치킨, 족발/보쌈, 야식, 택배, 용달, 콜택시 등은 일상생활과 아주 밀접한 생활편의형 전화번호이지만, 현재 대부분의 일반 이용자들은 음식을 주문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전화번호를 몰라서 114를 이용하거나 혹은 전화번호부(인터넷)를 뒤지거나 각종 광고용전단지나 광고책자 등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더불어서 특정한 지역상권의 업소 전화번호를 단축버튼 형태로 메모리하여 무료로 배포해주는 기존 광고용 전화기 등이 사용되고 있었다.(도 1)
본 고안의 효과는 일반 이용자가 전국 어디에서나 사용이 가능하고, 지역상권의 서비스 제공업체의 폐업이나 번호변경 등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고객들의 이사나 전출 등의 이동성이 있는 경우에도 서비스가 보장이 되는 지역생활정보 전화기로서 이용자에게 아주 편리하고, 간편하며,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전화기 설계상의 단축버튼 수량의 한계로 인해 서비스 하지 못하는 다양한 업종의 한계성을 생활정보전문상담원을 통하여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거의 모든 영역에 걸쳐 안내, 중개, 상담, 호연결 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지역생활정보 전화기{Telephone of local life.}
본 고안은 지역생활정보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능망의 근거리 라우팅을 이용한 업종별 전국대표번호(1577 등) 연결용 단축버튼과 생활정보전문상담원에게 연결하기 위한 단축버튼 등으로 이루어진 지역생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이용자가 음식을 주문하거나 어떤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전화번호를 몰라서 114 를 이용하거나 전화번호부(인터넷), 광고용 전단지나 무료 책자 등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었으며, 아울러 특정한 지역 상권의 업소 전화번호를 단축버튼 형태로 메모리하여 무료로 고객에게 나누어주는 광고용전화기 등이 사용되고 있었다.
여기서 상기 광고용전화기는 단축버튼으로 메모리 되어있던 지역상권의 업소가 폐업이 되거나 전화번호가 바뀌면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이용 고객이 이사나 전출 등을 하여 타 지역에서 사용을 하려고 하면 기존지역/기존업소(타 지역)로 연결이 되어 사실상 정상적인 서비스를 받는다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예를 들어서 설명하자면 "서울시 구로구 독산동"에 사는 고객이 기존 광고용 전화기를 가지고서 "대전시 서구 둔산동"으로 이사를 했다고 가정할 때, 고객이 중화요리의 단축버튼을 누르면 042-604-5123 인 인근지역에 위치한 "만리장성"으로 연결이 되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02-808-3729 인 "서울 독산동"에 위치하고 있는 "중국성"으로 연결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 받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추가하여 문제점을 언급하자면 지역 상권 별로 광고주를 모집한 이후에 광고용전화기를 주문 제작해야 하므로, 제작 수량도 대량이 아닌 소량으로 밖에 생산할 수 밖에 없는 문제, 또 전화기의 설계상 단축버튼을 30 개 이상 수용하기가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업종을 수용하는 부분에서도 역시 한계가 있었다.
이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생활정보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나, 광고를 통해 매출을 올리고자 하는 지역상권의 업소들 모두 불편함을 인내하거나 본래의 기능이 상실된 전화기를 그대로 사용해야 하는 등의 여러가지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지역생활정보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능망의 근거리 라우팅을 이용한 업종별 전국대표번호(1577 등) 연결용 단축버튼과 생활정보전문상담원에게 연결하기 위한 단축버튼 등으로 이루어진 지역생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지역생활정보 전화기는, 업종별 전국대표번호나 무료전화 연결용 단축버튼 기능이 있는 지능망 전국대표번호 접속 수용부와 아울러 이용자들에게 좀더 쉽고, 편리하게 지역생활정보를 상담할 수 있는 생활정보전문상담원 연결용 단축버튼 기능이 있는 생활정보전문상담원 접속 수용부의 기능이 있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의 지능망의 근거리 라우팅을 이용한 전국대표번호는 지역구분이 동단위 까지 세분화가 가능한 전화번호(1577 등)로 하며,
고객이 일상생활에서 주로 많이 사용하는 빈도수를 고려하여 단축버튼을 제작하면 아주 유용하고, 편리한 생활도구가 될 것이다.
예를 들어서 중화요리, 피자, 치킨, 족발/보쌈, 야식, 택배, 용달, 콜택시 등은 일상생활과 아주 밀접한 생활편의형 전화번호이지만, 현재 대부분의 일반 이용자들은 음식을 주문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전화번호를 몰라서 114 를 이용하거나 혹은 전화번호부(인터넷)를 뒤지거나 각종 광고용전단지나 광고책자 등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더불어서 특정한 지역상권의 업소 전화번호를 단축버튼 형태로 메모리 하여 무료로 나누어 주는 기존 광고용 전화기 등이 사용되고 있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일반 이용자가 전국 어디에서나 사용이 가능하고, 지역상권의 서비스 제공업체의 폐업이나 번호변경 등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고객들의 이사, 전출 등으로 인한 이동성에도 서비스가 보장되는 지역생활정보 전화기로서 이용자에게 아주 편리하고, 간편하며,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전화기 설계상의 단축버튼 수량의 한계로 인해 서비스 하지 못하는 다양한 업종의 한계성을 생활정보전문상담원을 통하여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거의 모든 영역에 걸쳐 안내, 중개, 상담, 호연결 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지능망의 위치기반 근거리 라우팅이 전국대표번호를 사용함과 동시에, 생활정보전문상담원 연결이 가능한 생활편의형 지역생활정보 전화기로서, 고객에게 편리성, 간편성, 신뢰성 및 효율성을 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인 지역생활정보 전화기는 업종별 전국대표번호나 무료전화 연결용 단축버튼 기능이 있는 지능망 전국대표번호 접속 수용부와 아울러 이용자들에게 좀더 쉽고, 편리하게 지역생활정보를 상담할 수 있는 생활정보전문상담원 연결용 단축버튼 기능이 있는 생활정보전문상담원 접속 수용부의 기능이 있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지역생활정보 전화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특정한 지역업소의 광고용 전화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는 수화기를 들고 지역상권 업소 연결부(20)의 단축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 업체로 연결이 되는 것이다.
이때 고객은 전화기의 지역상권 업소 연결부에 적힌 업체의 상호를 알고 전화를 하게 되며, 업체의 전화번호가 메모리 된 것이다.
예를 들어서 "서울 구로구 독산동"에 배포된 광고용전화기라고 한다면 "만리장성"이라는 상호명과 그 옆의 단축버튼을 누르게 되면 02-808-1234 로 연결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광고용 전화기의 방식은 지역 업소 전화번호를 전화기에 메모리하는 관계로 이 광고용 전화기를 타지역(서울 신대방동 등)에서 사용을 할 경우에는 무용지물이 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 종래의 광고용 전화기는 지역상권의 여러 업소들이 금액을 분담하여 몇 백대 가량씩 제작주문을 하여 소비자에게 무료로 배포를 하거나 주로 숙박업소에 무료로 설치를 해주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광고용 전화기는 이용자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애로사항이 많고, 확장성이 없어서 본 고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역생활정보 전화기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수용부별 호 및 서비스의 흐름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역생활정보 전화기는 업종별 전국대표번호 연결용 단축버튼 기능이 있는 지능망 전국대표번호 접속 수용부(300)와 아울러 이용자들에게 좀더 쉽고, 편리하게 지역생활정보를 상담할 수 있는 생활정보전문상담원 연결용 단축버튼 기능이 있는 생활정보전문상담원 접속 수용부(400) 등의 기능이 있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중화요리, 피자, 치킨, 족발, 택배 등의 일상적으로 자주 이용하게 업종의 지능망 전국대표번호 접속 수용부(300)의 경우 중화요리 단축버튼을 누르면 근거리 라우팅을 기본적으로 하고 있는 지능망을 이용함으로서 근거리에 있는 중국집으로 연결이 되는 것이다.
이 전화기는 업소의 전화번호를 메모리하는 것이 아니라 업종별 전국대표번호를 메모리 하는 것이므로 지역에 상관없이 전국 어디에서나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두번째로 생활정보전문상담원 접속 수용부(400)를 설명하자면 고객이 수화기를 들고 단축버튼을 누르게 되면 생활정보서비스 콜센터 상담원과 직접통화를 하여서 번호안내나 상담, 예약 등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전문상담원은 고객의 위치를 확인한 후, 근거리의 우수 업체로 직접 호 연결을 해주는 일도 가능하다.
도 4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수용부별 주요업종 및 범위를 예시한 도표이다.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게 되는 업종은 지능망 전국대표번호 접속 수용부(300)에서 그 역할을 하고,
생활정보전문상담원 접속 수용부(400)에서는 번호안내, 중개, 상담, 예약, 호연결 등의 생활에 필요한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통해 일반 고객들이 지역생활정보를 이용할 경우 고객의 입장에서 가장 편하고, 간결하게 연결되어 신뢰성 및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어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은 지역생활정보 전화기로서, 일반 유선 전화를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보다 쉽고, 편하게 지역상권의 서비스 제공업체와 연결, 또는 상담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고객에게 편리한 서비스와 양질의 안내서비스를 제공하여 신뢰성 및 효율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특정한 지역업소의 광고용 전화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역생활정보 전화기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수용부별 호 및 서비스의 흐름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수용부별 주요업종 및 범위를 예시한 도표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CID 표시부
300 : 지능망 전국대표번호 접속 수용부
400 : 생활정보전문상담원 접속 수용부

Claims (4)

  1. 지역생활정보 전화기에 있어서,
    업종별 전국대표번호 연결용 단축버튼 기능이 있는 지능망 전국대표번호 접속 수용부(300)와 아울러 이용자들에게 좀더 쉽고, 편리하게 지역생활정보를 상담할 수 있는 생활정보전문상담원 연결용 단축버튼 기능이 있는 생활정보전문상담원 접속 수용부(400)의 기능이 있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생활정보 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망 전국대표번호 접속 수용부(300)에는 무료전화(080 등)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생활정보 전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망 전국대표번호 접속 수용부(300)의 전국대표번호는 지역 설정이 동단위까지 세분화가 가능한 전국대표번호를 사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생활정보 전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정보전문상담원 접속 수용부(400)는 상담원이라는 것을 나타낼 수 있는 형태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단축버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생활정보 전화기.
KR20-2005-0015378U 2005-05-31 2005-05-31 지역생활정보 전화기 KR2003930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378U KR200393097Y1 (ko) 2005-05-31 2005-05-31 지역생활정보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378U KR200393097Y1 (ko) 2005-05-31 2005-05-31 지역생활정보 전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5909A Division KR20060124134A (ko) 2005-05-31 2005-05-31 지역생활정보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097Y1 true KR200393097Y1 (ko) 2005-08-17

Family

ID=4369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378U KR200393097Y1 (ko) 2005-05-31 2005-05-31 지역생활정보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0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4985B2 (en) Interaction history applied to structured voice interaction system
US20080247531A1 (en) Techniques for Populating a Contact List
Milne Stages of universal service policy
CN105912228A (zh) 一种基于手机屏幕的应用程序推荐方法和系统
CN102217286A (zh) 智能电话应用的日记同步
CN101076064B (zh) 手机电话簿联系状况查询方法
KR2002001489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보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US7155002B2 (en) Call-to-make reminder system
CN102413230B (zh) 终端和数据显示方法
CN101569227B (zh) 通信设备
Palen et al. Welcome to the wireless world: Problems using and understanding mobile telephony
KR200393097Y1 (ko) 지역생활정보 전화기
Gaur Rethinking the Indian digital divide: The present state of digitization in Indian management libraries
KR200393096Y1 (ko) 지역생활정보 전화기
KR100578147B1 (ko) 위치추적을 이용한 지역정보 서비스 방법
KR200393098Y1 (ko) 생활정보 전화기
KR20060124134A (ko) 지역생활정보 전화기
KR200392034Y1 (ko) 지역생활정보서비스 전화기
US20070005448A1 (en) Network support for MLS listing access via mobile terminal
KR20060124144A (ko) 생활정보 전화기
KR20060119608A (ko) 지역생활정보서비스 전화기
US20030198338A1 (en) Public telephone name server network
KR20060124131A (ko) 지역생활정보 전화기
Cisco Blended Agent Configuration Components Overview
JP2001134682A (ja) 施設席の予約方法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