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642Y1 -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 - Google Patents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642Y1
KR200392642Y1 KR20-2005-0007635U KR20050007635U KR200392642Y1 KR 200392642 Y1 KR200392642 Y1 KR 200392642Y1 KR 20050007635 U KR20050007635 U KR 20050007635U KR 200392642 Y1 KR200392642 Y1 KR 200392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tube
main body
discharge hole
j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수
Original Assignee
양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수 filed Critical 양재수
Priority to KR20-2005-0007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6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6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2Coffin closures; Pack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 A61G17/041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 A61G17/047Devices for absorbing decomposition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 A61G17/048Adaptation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decomposing g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신 안치용 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신 또는 유골이 안치되는 관 내에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옥돌을 깔아 시신의 부패를 방지하여 시신의 보존 상태를 좋게 하고, 시신에서 나오는 침출수에 의해 미생물이 번식하여 관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구멍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침출수 배출구멍에 마개를 끼워 관 주위에 서식하는 벌레나 곰팡이 및 각종 해충이나 나무 뿌리가 관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시신의 정화된 안치와 유골의 훼손을 방지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the coffin which the far infrared ray is emitted}
본 고안은 시신 안치용 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신 또는 유골이 안치되는 관 내에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옥돌을 깔아 시신의 부패를 방지하고, 시신에서 나오는 침출수에 의해 미생물이 번식하여 관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침출수 배출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침출수 배출구멍에 마개를 끼워 관 주위에 서식하는 벌레나 곰팡이 및 각종 해충이나 나무 뿌리가 관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시신의 정화된 안치와 유골의 훼손을 방지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사망하면 치르는 장법으로는 토장, 순장, 풍장, 및 화장 등이 있고, 특히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유교사상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시신을 땅에 매장하는 토장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상기 토장에 쓰이는 관은 목과, 석관, 금속관 등을 주로 사용되는데, 상기 목관을 사용할 경우 땅을 적당한 깊이로 파고 시신이 안치된 목관을 땅에 묻어 오랜 시간이 지나면 시신은 목관과 함께 부패하여 흙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사람들은 명당의 유골은 흔히 누렇게 황골이 되어있다고들 말하는데, 명당의 입지조건을 구하기란 쉬운일이 아니고 그만큼 비용과 시간 또한 만만치 않게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은 목관 주로 목재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형의 요입부를 갖는 관 몸체와 관의 개구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관 뚜껑을 상부에서 폐쇄하는 구조였다.
그러나 이러한 매장의 방법은 묘지의 확보가 어려울 뿐 아니라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하고, 시신을 장기간 안치시키다 보면 시신의 부패가 진행되어 시신의 훼손이 심해지고, 그에 따라 시신에서 나오는 침출수에 의해 관 내부에 미생물이 번식하여 오염이 심해지며, 땅속에 서식하는 미생물과 곤충 및 나무 뿌리의 관 내부로의 침입에 의해 유골이 손상되는 등에 문제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시신 또는 유골이 안치되는 관을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옥돌을 관 내부에 깔아 시신의 부패를 방지하고, 시신에서 나오는 침출수에 의해 미생물이 번식하여 관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침출수 배출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침출수 배출구멍에 끼워 관 주위에 서식하는 벌레나 곰팡이 및 각종 해충이나 나무 뿌리가 관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시신의 정화된 안치와 유골의 훼손을 방지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된 다면채의 각 면을 갖는 본체(1)와, 상기 개구된 면을 폐쇄하는 뚜껑(10)으로 구성되는 시신 안치용 관에 있어서,
상기 본체(1)는,
내측 길이방향 양측으로 소정 깊이와 넓이를 갖는 요홈(2)과; 상기 요홈(2)의 내측에 부착하는 옥돌(7)과; 시신에서 나온 침출수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내부 바닥면 일측에 상하 관통된 배출구멍(3)과; 상기 배출구멍(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워져 미생물이나 곤충 및 나무뿌리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4)와; 상기 배출구멍(3)의 하단부에 부착하며, 토양으로 빠져나가는 침출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활성탄 패드(20)를 구비하고;
길이방향 측부 양측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로 다수개의 손잡이(7)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의 개구부를 대응되는 형상으로 폐쇄하는 뚜껑(1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의 분리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홈과 대응되는 옥돌이 가로방향으로 다수개의 열로 배열된 상태를 보여준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홈과 대응되는 옥돌이 원형판 형상인 것을 보여준 분리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은 상부에 개구부를 갖는 다면체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덮어 폐쇄하는 뚜껑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각면체로서, 판재를 전·후·좌·우·저면이 막혀있고, 상부에 개방된 개구부를 두되,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갈수록 측방향으로 넓어지는 마름모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시신의 상체 부위가 넓은쪽 일측에 위치하게 하고, 하체 부위가 좁은 일측에 위치하게 하여 안치할 수 있도록 사람의 형체와 비슷한 구조로 제작하였다.
또한, 관의 길이방향 양끝 부는 측방 향으로 라운드로 형성되어 있어 불필요한 관의 모서리부를 제거한 형상을 갖는다.
본체(1)의 재질은 목재, 합성수지,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상부 테두리에 상기 뚜껑(1)이 측방향으로 밀려 빠지지 않도록 턱을 갖는 제 2 단턱(11)과 본체의 양 측부에는 고리형태의 손잡이(8)를 양측이 대칭되도록 다수 개 배열하여 관을 운반하기에 편리하도록 하였다.
상기 손잡이(8)는 본체의 양 측부에 대칭으로 소정 깊이와 넓이를 갖는 홈을 만들고, 상기 손잡이 홈에 손잡이(8) 고리를 걸고 있는 돌기부(8a)를 이 손잡이홈(8b)에 끼워 넣어 고정한다.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에는 요홈(2)이 소정 깊이와 길이로 있는데, 상기 요홈(2)은 다수 개로 절단된 옥돌(7)을 깔기 위한 것이고, 관의 내부 일측에는 침출수 배출구멍(3)이 있으며, 상기 침출수 배출구멍(3)에는 마개(4)를 끼울 수 있다.
상기 배출구멍(3)은 숙성된 시신으로 부터 나온 침출수를 배출시킬 때 마개를 빼내어 토지로 흡수시키는 것으로서, 침출수에 의해 토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구멍의 하부에는 활성탄패드(20)를 부착시키고 땅속에 매장하면 침출수가 정화되어 토지 속에 흡수된다.
상기 활성탄은 목재를 태워남은 숯 성분을 패드에 발라 숯의 정화능력을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활성탄패드(20)는 팩에 숯을 담은 방법으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요홈(2)의 길이는 시신과 관 전체에 골고루 원적외선을 전달하기 위해서 관의 바닥 일측 끝부에서 타측 끝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멍(3)은 본체(1) 내의 침출수 배출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일측 뿐만 아니라 타측에도 동일하게 구비하도록 제작할 수 있고, 또한 가로방향으로 상기 요홈(2)을 다수개 배열하는 등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옥돌(7)은 요홈(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안치되어야 유동이 없어 안정적으로 안착 될 것이고, 그냥 안착시키거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며, 일체로 가공하여 요홈(2)에 넣는 것보다는 일정 길이를 같은 다수개의 판 형상으로 가공하여 요홈(2)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는 것이 제작과 설치하는데 있어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옥돌(7)은 가공한 사각 판재 형상뿐 아니라 원형이나 다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고, 아울러 옥돌(7) 갈아서 입자가 작은 분말 형태로 만든 음이온 분말을 본체(1)의 내주면과 뚜껑(1)의 저면에 코팅하여 옥돌(7)의 원적외선 방출 효과를 더욱더 배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옥돌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한국건자재 시험 연구원(원적외선 응용평가센터)에서 시험한 시험 성적서를 도시하여 참고 설명한다.
<표 1>
<그래프-1>
<그래프-2>
*(비고) 본 시험결과는 FT-IR Spectrometer를 이용한 Black Body대비 측정 결과임.
*시험성적서이용목적: 품질관리용임.
여기서 사용하는 옥돌(7)은 높은 방사율 0.922과 방사 에너지 3.72×10²와트로 상당한 에너지가 형성되며, 시험결과 KICM-FIR-1005도에서 원적외선과 원적외선이 방사되며 이것이 수맥파와 지전류를 무력화시켜 항균기능과 탈취기능이 있을 것이며 미생물이나 곤충 및 나무뿌리와 풀뿌리 등이 침범하지 못할 것이니 시신의 훼손이 적을 것이다.
상기 옥돌(7)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은 산 사람에게 이로우니 죽은 사람에게도 이로울 것이며, 따라서 시신의 보존 상태가 양호하므로 자손들은 자연히 발복할 것이다.
상기 뚜껑(10)은 본체(1)의 상부 개구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그 테두리 하단에는 상기 본체의 제 2 단턱(11)과 대응되는 턱을 가진 제 1 단턱(5)이 구비된다.
상기 뚜껑(10)의 재질로는 본체(1)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 및 다른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의 제작 방법은 먼저 관의 내부측 바닥에 있는 요홈(2)과 상기 요홈(2)에 맞도록 대응되는 두께와 넓이를 갖는 다수개의 옥돌(7)을 요홈(2)에 안착시키고, 본체 바닥 일측에 있는 배출구멍(3)에 마개(4)를 끼우며, 본체(1) 양측에 손잡이(8)를 끼워 고정한다.
이 후, 본체(1) 내에 시신을 안치시키고, 본체(1) 상부 개구부에 뚜껑(10)을 덮어 폐쇄하되, 본체(1)와 뚜껑(10)이 맞붙는 제 1, 2 단턱(5, 11) 사이에 접착제(6) 등을 발라 관의 틈새를 막고, 묘자리에 땅을 파서 관을 매장하면 시신의 안치가 완료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시신 또는 유골이 안치되는 관에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시신의 부식을 방지하므로 시신의 보존 상태를 좋게 하고, 침출수 배출구멍과 이에 대응하는 마개를 구비하여 관 내부에 미생물이 번식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며, 따라서 관 주위에 서식하는 벌레나 곰팡이 및 각종 해충이나 나무 뿌리가 관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유골의 훼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시신 안치용 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의 분리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홈과 대응되는 옥돌이 가로방향으로 다수개의 열로 배열된 상태를 보여준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홈과 대응되는 옥돌이 원형판 형상인 것을 보여준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요홈
3 - 배출구멍 4 - 마개
5 - 제 1 단턱 6 - 접착부
7 - 옥돌 8 - 손잡이
8a - 돌기부 8b - 손잡이홈
10 - 뚜껑 11 - 제 2 단턱
20 - 활성탄

Claims (7)

  1. 상부가 개구된 다면채의 각 면을 갖는 본체(1)와, 상기 개구된 면을 폐쇄하는 뚜껑(10)으로 구성되는 시신 안치용 관에 있어서,
    상기 본체(1)는,
    내측 길이방향 양측으로 소정 깊이와 넓이를 갖는 요홈(2)과; 상기 요홈(2)의 내측에 부착하는 옥돌(7)과; 시신에서 나온 침출수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내부 바닥면 일측에 상하 관통된 배출구멍(3)과; 상기 배출구멍(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워져 미생물이나 곤충 및 나무뿌리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4)와; 상기 배출구멍(3)의 하단부에 부착하며, 토양으로 빠져나가는 침출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활성탄 패드(20)를 구비하고;
    길이방향 측부 양측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로 다수개의 손잡이(7)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의 개구부를 대응되는 형상으로 폐쇄하는 뚜껑(1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는,
    사람의 상체와 하체의 측방향 넓이를 고려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측방향의 넓이가 넓어지는 마름모 구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0)의 저면부와 본체(1)내의 벽면에는 옥돌(7)을 갈아만든 음이온 분말을 코팅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2)은,
    본체(1)의 가로방향으로 다수개 배열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옥돌(7)은,
    본체 내측 바닥부위 요홈(3)에 가공된 판재 형상으로 분할하여 다수 개 배열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옥돌(7)은,
    원형 또는 다각 판 형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멍(3)은,
    본체(1) 내부 바닥면 일측 뿐 아니라 타측에도 동일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
KR20-2005-0007635U 2005-03-21 2005-03-21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 KR2003926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635U KR200392642Y1 (ko) 2005-03-21 2005-03-21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635U KR200392642Y1 (ko) 2005-03-21 2005-03-21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642Y1 true KR200392642Y1 (ko) 2005-08-17

Family

ID=43693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635U KR200392642Y1 (ko) 2005-03-21 2005-03-21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6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0663B2 (en) Structure and method for connecting cremation ashes with living plants
US4977652A (en) Tree forest cemetery
US5953859A (en) Rechargeable live planter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CA2853776C (en) Burial capsule
WO2003023382A8 (en) Examining a diamond
KR200392642Y1 (ko)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시신 안치용 관
Auerswald et al. Influence of soil properties on the population and activity of geophagous earthworms after five years of bare fallow
Vernavá et al. Influences of preceding cover crops on slug damage and biological control using Phasmarhabditis hermaphrodita
KR100502003B1 (ko) 식물 보호
JP3208837U (ja) 樹木葬用墓素体及びこれを用いた樹木葬用墓構造
CN102370563A (zh) 一种绿葬式墓林结构
KR200390400Y1 (ko)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적층식 매장형 관 구조물
CA2562325C (en) Structure and method for connecting cremation ashes with living plants
CN219515023U (zh) 害虫诱捕装置
KR101875157B1 (ko) 미니어처 봉분
KR20090123031A (ko) 자연친화적인 유골묘
KR200185323Y1 (ko) 배수·환기구가 설치된 납골묘
US11946272B1 (en) Outdoor burial system for urns
KR100800265B1 (ko) 납골함
CN207885305U (zh) 一种用于种植的保护挡板
Nandal Pathogenicity of Aphelenchoides composticola on white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Valenzuela et al. Accumulation of radioactivity in fungi and their relation with rodents in the forest of the nuclear center of Mexico
KR200223621Y1 (ko) 시신 보관용 유리관의 구조
KR200329554Y1 (ko) 봉분식 납골묘의 납골함 보관 장치
Weiland et al. Pythium and Fusarium species associated with production of Douglas-fir seedl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