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371Y1 -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 - Google Patents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371Y1
KR200392371Y1 KR20-2005-0013166U KR20050013166U KR200392371Y1 KR 200392371 Y1 KR200392371 Y1 KR 200392371Y1 KR 20050013166 U KR20050013166 U KR 20050013166U KR 200392371 Y1 KR200392371 Y1 KR 2003923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mera
light
underwater camera
farm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국
Original Assignee
전성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국 filed Critical 전성국
Priority to KR20-2005-0013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3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3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3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가두리 양식장의 수면 밑으로 설치되는 그물의 파손유무를 사용자가 쉽고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수중카메라의 양측으로 할로겐램프를 착탈가능하게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모니터를 통하여 깨끗한 이미지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형성한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underwater camera for using in traping farm}
본 고안은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가두리 양식장의 수면 밑으로 설치되는 그물의 파손유무를 사용자가 쉽고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수중카메라의 양측으로 할로겐램프를 착탈가능하게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모니터를 통하여 깨끗한 이미지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형성한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수에 의한 양식은 육상 수조식 및 해상 가두리식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는데 육상 수조식은 육상의 수조에 대상 생물을 옮겨 서식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양식하는 방법이고, 해양 가두리식은 바다의 넓은 공간에 그물등으로 대상생물을 가두어 기르는 방식으로 해수교환 및 수처리가 용이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가두리 양식을 위한 시설은 일반적으로 시설은 각목을 사용하여 사다리 형태로 통로가 다수의 부구에 의해 부력을 받은 상태로 연결되고, 그 하방으로는 그물망이 설치되어 내부에 각종 어류를 기르게 되며, 통로상에는 발판이 설치되여 사용자는 이 발판을 이용하여 어류 및 시설물을 관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시설물중 그물은 항상 바닷물에 침지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바닷물에 의한 부식 및 큰 파도에 의하여 부분 부분이 파손되므로 사용자는 항상 그물의 상태를 관리하여 내부의 어류등이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현재 상기와 같은 그물을 관리하는 방법으로는 갈고리등을 이용하여 그물을 일정간격을 두고 끌어올려 육안으로 그물의 파손상태를 확인하거나 또는 수중 카메라를 물 밑으로 삽입시켜 그물의 상태를 수중 카메라에서 전해지는 영상을 모니터를 통하여 확인하여 그물의 파손유무를 확인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그물을 갈고리등을 이용하여 끌어올려 확인하는 방법은 끌어올린 그물이 말리거나 접혀지게 되어 육안으로 그물파손의 정도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되여 현재에는 길게 형성된 막대의 끝부분에 수중카메라를 부착하고 이 수중카메라를 그물의 근처로 위치시켜 사용자는 모니터를 이용하여 그물의 파손유무를 확인하는 것으로 많이 개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수중카메라는 야간은 물론 주간에도 물밑으로는 햇빛이 침투되지 못하여 어두어서 수중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사용자가 모니터로 관찰하기가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물을 장시간 사용함으로써 그물의 외부면에 물이끼나 미생물들이 달라붙어 있다가 카메라가 그물을 건들이거나 큰 파도에 의하여 떨어져 나와 그물 주위에 부유하게 되면 그물의 카메라에서 전해지는 영상이 불분명하여 모니터로 관찰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 또한 있다.
본원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종래의 관리용 수중카메라의 외부로 별도의 라이트를 착탈가능하게 형성시켜 정확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는 카메라의 하우징 상, 하로 형성되며, 내부로 접속핀이 형성되고, 외부양측으로 나사부가 형성된 라이트 결착부; 상기 라이트 결착부의 일측 나사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나사결합되고 그 결합면으로 방수부재가 도포되여 형성되며; 타측의 나사부로는 고무링이 결착된 수용부재가 삽입되며 외부로 이 수용부재와 결합되는 지지대의 외부면으로 형성된 너트가 상기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연결단자가 형성된 라이트 하우징; 상기 라이트하우징의 내측으로 할로겐 램프와 반사갓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다음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의 일부단면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는 일측으로 캡(10a)과 나사결합되는 카메라 하우징(10)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 하부로 라이트결착부(11)가 형성되며 끝단으로는 케이블 연결부(12)가 형성되며 내부로 램프(13)와 빛 감지센서(15) 및 랜즈(14)가 내부의 회로판(미도시)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의 라이트 결착부(11)는 내부로 접속핀(11a)이 형성되며 외부양측으로 나사부(11b, 11c)가 형성되며 일측의 나사부(11c)가 카메라 하우징(10)과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의 라이트 결착부(11)와 카메라 하우징(10)의 결합부분으로 방수부재(16)를 도포하여 방수능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일측으로 캡(20a)이 나사결합되며 일측으로 내부로 수용부재(21a)가 형성된 지지대(21b)의 외부면으로 너트(21c)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연결단자(21)를 형성하며 내부측으로 통상의 할로겐 램프(23)와 반사갓(22)이 함께 결합되여 라이트 하우징(20)을 구성한다.
또한, 카메라 하우징(10)의 끝단으로 형성된 케이블 연결부(12)로는 일측으로 케이블(31)이 내부로 형성된 고정대(32)의 끝단으로 내부의 케이블(31)과 연결되는 수용부재(33)가 형성된 지지대(35)가 외부로 너트(34)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의 작용 및 효과를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메라 하우징(10)의 끝단으로 케이블 연결부(12)를 나사결합한 후 외부로 방수부재(12a)를 도포하여 물 속에서도 카메라 하우징(10)의 내부로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형성한 후, 상기 케이블 연결부(12)의 내측으로 전원커이블(17)과 연결된 접속핀(17a)을 연결단자(36)에 형성된 수용부재(33) 내부로 삽입하여 결합하고, 외부측의 나사부(12b)와 연결단자(36)의 너트(34)를 나사결합 시키며 이때, 수용부재(33)의 끝단에 결합되는 고무링(37)이 케이블 연결부(12)의 끝단에 밀착되며 결합되여 외부의 물이 상기 접속핀(17a)과 수용부재(3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 연결부(12)와 연결단자(36)를 결합하고 이어서 이 연결단자(36)의 끝단으로 고정대(32)와 나사결합하고, 연결단자(36)와 고정대(32)의 결합되는 부분에 방수부재(35a)를 도포하여 형성함으로써 고정대(32)내부의 케이블(31)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카메라 하우징(10)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라이트 연결결착부(11)는 케이블 연결부(12)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접속핀(11a)이 형성되며 외부 양측으로 나사부(11b, 11c)가 형성된 라이트결착부(11)의 일측 나사부(11c)가 카메라 하우징(10)에 나사결합되여 방수부재(16)가 도포되여 물이 침투하지 못하게 결합되며, 이 접속핀(11a)으로 연결단자(21)의 수용부재(21a)가 삽입되여 결합되며 외부측으로 라이트결착부(11)의 나사부(11b)가 연결단자(21)의 너트(21c)와 나사결합되여 결합되며 동시에 내부의 고무링(24)이 상기 수용부재(21a)에 결착되여 나사부(11b)의 끝단에 밀착되여 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라이트 하우징(20)의 일측으로는 반사갓(22)이 형성된 통상의 할로겐램프(23)를 형성하여 25lm/w에 이르는 높은 광속 효율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카메라와 라이트는 수중에서 사용시에도 물이 내부로 전혀 침투할 수 없도록 이중으로 방수하여 형성함으로써 고장없이 안전하게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하우징(10)과 라이트 하우징(20)사이로 다양한 각도로 변형시킬 수 있는 연결부재(50)를 결합하여 형성함으로써 사용시에 필요한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불빛을 비추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좀더 세밀하고 선명하게 그물의 파손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는 카메라 본체와 양측으로 형성되는 라이트를 쉽게 착탈 가능하게 형성하여 다양한 형태로 라이트를 형성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포인트에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정확히 불빛을 비출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결착되는 부분에 고무링을 삽입하여 방수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의 일부단면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카메라 하우징 11 ... 라이트 결착부
11a ... 접속핀 11b, 11c ... 나사부
12 ... 케이블 연결부 13 ... 램프
14 ... 랜즈 15 ... 빛 감지센서
16 ... 방수부재 20 ... 라이트 하우징
21 ... 연결단자 21a ... 수용부재
21b ... 지지대 21c ... 너트
22 ... 반사갓 23 ... 램프
50 ... 연결부재

Claims (2)

  1. 일측으로 랜즈(14)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케이블(31)이 형성된 고정대(32)가 결합되여 형성되는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하우징(10) 상, 하로 형성되며, 내부로 접속핀(11a)이 형성되고, 외부양측으로 나사부(11b, 11c)가 형성된 라이트 결착부(11);
    상기 카메라 하우징(10)의 내부로 형성되는 회로기판(미도시)에 형성되는 램프(13)와 빛 감지센서(14)와 통상의 랜즈(14)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라이트 결착부(11)의 일측 나사부(11c)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으로 나사결합되고 그 결합면으로 방수부재(16)가 도포되여 형성되며;
    타측의 나사부(11b)로는 고무링(24)이 결착된 수용부재(21a)가 삽입되며 외부로 이 수용부재(21a)와 결합되는 지지대(21b)의 외부면으로 형성된 너트(21c)가 상기 나사부(11b)와 나사결합되는 연결단자(21)가 형성된 라이트 하우징(20);
    상기 라이트하우징(20)의 내측으로 할로겐 램프(23)와 반사갓(22)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10)과 라이트 하우징(20) 사이로 다양한 각도로 변형시킬 수 있는 연결부재(50)가 결착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
KR20-2005-0013166U 2005-05-11 2005-05-11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 KR2003923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166U KR200392371Y1 (ko) 2005-05-11 2005-05-11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166U KR200392371Y1 (ko) 2005-05-11 2005-05-11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371Y1 true KR200392371Y1 (ko) 2005-08-17

Family

ID=4369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166U KR200392371Y1 (ko) 2005-05-11 2005-05-11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37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907A (ko) 2018-11-09 2020-05-19 주식회사 포항해양시스템연구소 조명을 내장한 돔형 수중카메라 장치
US11297247B1 (en) 2021-05-03 2022-04-05 X Development Llc Automated camera positioning for feeding behavior monitoring
KR102574342B1 (ko) 2023-03-26 2023-09-06 주식회사 인더스비젼 수중 흡착생물의 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cctv 카메라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907A (ko) 2018-11-09 2020-05-19 주식회사 포항해양시스템연구소 조명을 내장한 돔형 수중카메라 장치
US11297247B1 (en) 2021-05-03 2022-04-05 X Development Llc Automated camera positioning for feeding behavior monitoring
US11711617B2 (en) 2021-05-03 2023-07-25 X Development Llc Automated camera positioning for feeding behavior monitoring
KR102574342B1 (ko) 2023-03-26 2023-09-06 주식회사 인더스비젼 수중 흡착생물의 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cctv 카메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68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growth and survivability of aquatic organisms
US9675054B2 (en) Aquaculture lighting devices and methods
US20080250691A1 (en) Fishing pole with strike indicator and broad illumination lighting features
KR200392371Y1 (ko) 가두리 양식장 관리용 수중카메라
KR101597030B1 (ko) 낚시용 집어등
KR20120014337A (ko) 바다 낚시용 집어등
KR101704579B1 (ko) 수중 집어등 장치
CN213044774U (zh) 一种人工智能自动投料装置
KR101363179B1 (ko) 주 야간 겸용 찌 돋보기
JP2011083253A (ja) 水槽内給餌装置
CN2444417Y (zh) 诱鱼装置
CN208891467U (zh) 一种深海垂钓网箱
KR200415536Y1 (ko) 전자 발광 찌
KR200381815Y1 (ko) 집어기구
CN203040464U (zh) 一种可视钓鱼竿
CN203897088U (zh) 一种具有光诱捕功能的led灯渔具
CN216627174U (zh) 一种夜间发光引诱假饵
CN103999832B (zh) 一种具有光诱捕功能的led灯渔具
US20170055509A1 (en) Submersible shrimp light
CN220305601U (zh) 养殖池水下摄影装置
KR102470661B1 (ko) 두족류 낚시채비
CN207854852U (zh) 一种三角力学稳流浮漂
CN216392719U (zh) 一种带有夜光功能的新型海洋捕鱼用渔网
CN211510298U (zh) 可电子闪光、夜光、防止线打结、快速转换密度的助投器
JPH08214732A (ja) 光利用の固定型集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