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152Y1 - 연등 - Google Patents
연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2152Y1 KR200392152Y1 KR20-2005-0012789U KR20050012789U KR200392152Y1 KR 200392152 Y1 KR200392152 Y1 KR 200392152Y1 KR 20050012789 U KR20050012789 U KR 20050012789U KR 200392152 Y1 KR200392152 Y1 KR 20039215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tus
- box
- lantern
- light
- light box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21V1/06—Frames foldable or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등에 관한 것으로, 조립이 간편하면서 사용하기 용이하여 짧은 시간에 행렬행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측부(10)를 이루는 제1,2,3,4연꽃면(11a,11b,11c,11d)이 각각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꽃면(11)의 하단에 각각 바닥면(20a,20b,20c,20d)이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제2,4바닥면(20b,20d)의 일측에 접착부(21)가 접힘 가능하게 연결 형성되어 제1,3바닥면(20a,20c)에 접착되며, 일측의 연꽃면과 마주하는 연꽃면의 상측에 걸이공(13)이 각각 관통되는 연등상자(100);와, 상기 연등상자(100)의 내측 바닥에 안착되는 점등구받침접시(40);와, 상기 점등구받침접시(40) 위에 설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점등구(50);와, 상기 연등상자(100)의 걸이공(13)에 각각 설치되어 연등상자(100)를 걸어 들 수 있게 하는 걸이구(60);와, 상기 걸이구(60)에 걸어 연등상자(100)를 손으로 들 수 있게 하는 손잡이막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사찰에 걸어 놓거나 연등행렬시 들고 행렬할 수 있는 연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등상자의 측부와 바닥이 미리 접착되어 포개지고 포개진 바닥을 펴서 연등상자를 조립하며, 연등상자 내측에 점등구를 설치하는 한편 연등상자의 상부 양측에 걸이구를 통해 손잡이막대를 연결함으로써,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등에 관한 것이다.
해마다 음력 4월 8일(사월초파일) 부처님오신날이 되면 그 날 전을 즈음하여 연등행렬축제가 열린다. 연등행렬축제는 전국 각 지역에서 일정한 구역를 정하여 거리를 통제한 상태에서 불교신자든 불교신자가 아니든 사람들이 갖가지 연등을 들고 행렬을 하는 행사이다. 이 행사날에는 미리 연등을 준비하여 행사에 참여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렇지 못 하고 행사에 참여하는 사람도 있다. 이렇게 연등을 미리 준비하지 못 한 사람들을 위해 여분의 연등을 준비하여 나누어준다.
이러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는 종래의 연등은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체적인 팔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철사 등으로 이루어진 팔각프레임(101)의 외부에 종이(102)를 붙이고, 그 종이에 문양이 넣어지거나 종이연잎이 붙여져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등은 주로 사찰 내부에 장기 기원용으로 걸어 두는 연등으로써, 행렬시 한번 사용하고 폐기하거나 해체하기에는 만들기가 어렵고 재료비가 많이 들며, 행렬장소에서 사용하기 전후에 운반 관리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다른 연등은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철사 등으로 이루어진 각기 다른 지름의 원형프레임(201)을 수평상태로 하여 공모양을 형성하고, 그 원형프레임의 외부에 플라스틱비닐(202)을 붙인 후 그 플라스틱비닐에 문양이 넣어져 제작된다. 이 연등은 원형프레임과 원형프레임 사이가 접혀 전체적으로 납작하게 접히는 소위 자바라형식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등은 주로 사찰 내부에 일일 기원용으로 걸어 두거나 가로변에 장식용으로 걸어 두는 연등으로써, 자바라형식이어서 보관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행렬시 사용하기 위해서 보관되어 있던 연등을 운반하여야 하고 행렬행사가 끝난 뒤에는 다시 수거해서 관리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두 연등은 행렬행사에 사용하기에는 조립하기가 어렵고 재료비가 많이 들며 전후관리가 필요하여 짧은 시간에 행렬준비를 마치고 행렬을 해야 하는 행렬행사시에는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립이 간편하면서 사용하기 용이하여 짧은 시간에 행렬행사에 참여할 수 있는 연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연등은, 사찰에 걸어 놓거나 연등행렬시 들고 행렬할 수 있는 연등에 있어서, 측부(10)를 이루는 제1,2,3,4연꽃면(11a,11b,11c,11d)이 각각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꽃면(11)의 하단에 각각 바닥면(20a,20b,20c,20d)이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제2,4바닥면(20b,20d)의 일측에 접착부(21)가 접힘 가능하게 연결 형성되어 제1,3바닥면(20a,20c)에 접착되며, 일측의 연꽃면과 마주하는 연꽃면의 상측에 걸이공(13)이 각각 관통되는 연등상자(100);와, 상기 연등상자(100)의 내측 바닥에 안착되는 점등구받침접시(40);와, 상기 점등구받침접시(40) 위에 설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점등구(50);와, 상기 연등상자(100)의 걸이공(13)에 각각 설치되어 연등상자(100)를 걸어 들 수 있게 하는 걸이구(60);와, 상기 걸이구(60)에 걸어 연등상자(100)를 손으로 들 수 있게 하는 손잡이막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연꽃측면의 중간에 위치하는 연꽃잎이 절단되어 외측으로 접힘으로써 연등상자(100)의 측부(10)로 점등구(50)의 빛이 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을 제공한다.
상기 제2,4바닥면(20b,20d)과 접착부(21)의 연결부위 일측에 체결부(22)가 형성되어 연등상자(100)의 조립시 제2,4바닥면(20b,20d)이 서로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을 제공한다.
상기 손잡이막대(70)의 일측에 걸이홈(71)이 형성되어 걸이구(60)가 걸이홈(71)에 걸려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등의 사시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등의 전개상태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등은 사찰에 걸어 놓거나 연등행렬시 들고 행렬할 수 있는 연등으로, 연등상자(100)의 측부(10)와 바닥이 미리 접착되어 포개지고 포개진 바닥을 펴서 연등상자(100)를 조립하며, 연등상자(100) 내측에 점등구(50)를 설치하는 한편 연등상자(100)의 상부 양측에 걸이구(60)를 통해 손잡이막대(70)를 연결함으로써,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연등상자(100)는 측부(10)와 바닥면(20)으로 이루어지되, 측부(10)는 제1,2,3,4연꽃면(11a,11b,11c,11d)이 순환적으로 연결되어 각각 접혔다가 펼 수 있게 이루어지고, 제1,2,3,4바닥면(20a,20b,20c,20d)은 상기 제1,2,3,4연꽃면(11)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연꽃면(11)과 바닥면(20)의 연결부위가 접혔다 펼 수 있게 이루어진다. 연꽃면(11)과 연꽃면(11)의 각 연결부위는 접힐 때 외측으로 접히고, 연꽃면(11)과 바닥면(20)의 각 연결부위도 접힐 때 외측으로 접힌다.
이때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든 바닥면(20)의 일측(도 3상 좌측 경사진 부분)이 바람직하게는 α=45°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연등상자(100)를 펴서 조립할 때 연등상자(100)의 바닥에 정X 모양을 이루어 연등상자(100)의 조립이 완성된다.
제2,4바닥면(20b,20d)의 일측(도 3상의 좌측 경사진 부분)에 접착부(21)가 내측으로 각각 접히도록 연결 형성되어 접착부(21)의 내측면이 제1,3바닥면(20a,20c)의 외측면에 접착된다.(도 4b 참조)
제2,4바닥면(20b,20d)과 그 접착부(21)의 연결부위 일측에 체결부(22)가 형성되어 연등상자(100)의 조립시 제2,4바닥면(20b,20d)이 서로 체결 고정된다. 이때 체결부(22)는 제2,4바닥면(20b,20d)의 좌측이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 중 일정부분 돌출된 제2,4바닥면(20b,20d)의 경사진 부분(A)과, 제2,4바닥면(20b,20d) 및 접착부(21)의 연결부위 사이에 일정부분이 수직으로 형성된 부분으로, 연등상자(100)의 조립시 밀착되었다가 서로 걸림으로써 쉽게 풀리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연등상자(100)가 조립되기 전의 포개진 상태를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포장된 구성요소 중 연등상자(100)를 조립하기 전에는 제1,2연꽃면(11a,11b)과 제3,4연꽃면(11c,11d)의 연결부위가 외측으로 접혀 제1,2연꽃면(11a,11b)과 제3,4연꽃면(11c,11d)이 겹쳐서 포개지고, 제2,4바닥면(20b,20d)과 접착부(21)의 연결부위가 내측으로 접혀 각 바닥면(20a,20b,20c,20d)과 각 접착부(21)가 제1,2,3,4연꽃면(11a,11b,11c,11d)의 내측에 위치하여 포개진 상태가 된다.
한편 연등상자(100)가 조립된 후 바닥이 4각형으로 이루어진 상태를 설명하면,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2,3,4연꽃면(11a,11b,11c,11d)이 포개지지 않은 상태에서 각 연결부위가 직각으로 접히고, 제1,2,3,4연꽃면과 각 바닥면이 또한 포개지지 않은 상태에서 각 연결부위가 직각으로 접힌다. 제2,4연꽃면(11b,11d)과 그 접착부(21)의 연결부위는 접히지 않고 펴지며, 제2바닥면(20b)의 돌출부위가 제3바닥면(20c)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4바닥면(20d)의 돌출부위가 제1바닥면(20a)의 내측에 위치되어 연등상자(100)의 바닥이 전체적으로 정X 모양을 이루면서 펴진 상태가 된다.
일측의 연꽃면(11)과 마주하는 연꽃면(11)의 상측에 걸이공(13)이 각각 관통되고, 연꽃면의 중간에 위치하는 연꽃잎모양이 절단되어 외측으로 접힘으로써 연등상자(100)의 측부(10)로 점등구(50)의 빛이 발한다. 이때 외측으로 접히는 부위에는 접힘선(31)이 형성된다.
연등상자(100)의 재료는 접거나 펴기가 용이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인쇄가 용이하며, 사용이 빛이 발할 때 종이 자체에서 반투명의 연한 빛을 낼 수 있어 종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연등상자(100)의 재료를 종이에 국한하지 않고 PVC 등의 다른 재료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보다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해 연등상자(100)의 전개상태를 설명하면, 제1,2,3,4연꽃면(11a,11b,11c,11d)이 일렬로 연결되고 제4연꽃면(11d)의 단부에는 접착부(12)가 연결되어 제4연꽃면(11d)과 제1연꽃면(11a)이 접착되어 연결되도록 한다. 제1,2,3,4연꽃면의 하단에는 각각 일측이 경사(α=45°)지게 형성된 바닥면(20a,20b,20c,20d)이 연결되고, 제2,4연꽃면(11b,20d)의 경사진 부분에는 접착부(21)가 연결된다.
또한 각 연꽃면(11)의 연결부위와, 각 연꽃면(11)과 그 바닥면(20)의 연결부위에는 외측으로 접힐 수 있는 접힘선(31)이 형성되고, 제2,4바닥면(20b,20d)과 그 접착부(21)의 연결부위는 내측으로 접힐 수 있는 접힘선(31)이 각각 형성된다. 각 연꽃면(11)의 중간 꽃잎문양의 외곽선은 꽃잎문양이 외측으로 젖혀지도록 절단선(32)이 형성되어 절단된다. 제2,4연꽃면(11)의 경사진 부분 중 돌출된 부분(A)과, 제2,4연꽃면(11)과 접착부(21)의 연결부위의 사이에 일정 길이만큼 수직으로 체결부(22)가 형성된다.
조립된 연등상자(100)의 내측 바닥에는 점등구받침접시(40)가 안착되고, 상기 점등구받침접시(40) 위에 점등구(50)가 부착되어 빛을 발생시킨다. 점등구받침접시(40)는 일반적인 은박접시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나 은박접시에 국한되지 않으며, 점등구받침접시(40)의 가장자리는 주름져 상측으로 접힌 상태로 이루어져서 점등구(50)를 양초로 사용하는 경우 양초가 연소되면서 흘러내리는 촛농이 연등상자(100)의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하고 연등상자(100)가 양초에 의해 불에 타는 것을 방지한다. 점등구받침접시(40)의 크기는 점등구받침접시(40)가 연등상자(100) 내측에 안착되었을 때 유동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된다.
아울러 점등구받침접시(40) 위에 점등구(50)를 부착할 때는 양면테잎(51)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점등구(50)는 일반적으로 양초를 사용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것이 사용하기에 용이하고 자연스러운 빛을 낼 수 있지만 양초 외의 전기를 이용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전구 등을 이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연등상자(100)의 마주하여 형성된 걸이공(13)에 각각 걸이구(60)가 설치되고 걸이구(60) 중간에 손잡이막대(70)를 걸어 연등상자(100)를 들 수 있다. 걸이구(60)는 일반적인 재료로 철사를 사용하고, 철사는 촉감을 향상시키고 다른 부재에 닿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게 종이가 감긴 철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이구(60)의 재료에 있어 철사외의 걸이구(60) 역할을 할 수 있는 다른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그리고 손잡이막대(70)는 봉타입의 나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무젓가락이나 기타 걸이구(60)를 걸 수 있는 재료라면 무방하다. 손잡이막대(70)의 일측에는 걸이홈(71)이 형성되어 걸이구(60)가 걸이홈(71)에 걸려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연등의 작용을 조립과정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연등의 연등상자(100)를 조립하기 전후의 바닥상태를 나타낸다.
사찰에 걸어 놓거나 연등행렬시 들고 행렬할 수 있는 본 고안의 연등은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하도록 연등상자(100)가 포개진 상태로 점등구받침접시(40), 점등구(50), 걸이구(60) 그리고 손잡이막대(70)를 포함하여 포장된다.
도 4a를 참조하여 보면, 포장된 구성요소 중 연등상자(100)를 조립하기 전에는 제1,2연꽃면(11a,11b)과 제3,4연꽃면(11c,11d)의 연결부위가 외측으로 접혀 제1,2연꽃면(11a,11b)과 제3,4연꽃면(11c,11d)이 겹쳐서 포개지고, 제2,4바닥면(20b,20d)과 접착부(21)의 연결부위가 내측으로 접혀 각 바닥면(20a,20b,20c,20d)과 각 접착부(21)가 제1,2,3,4연꽃면(11a,11b,11c,11d)의 내측에 위치하여 포개진다.
이렇게 포개진 연등상자(100)의 바닥을 펴서 4각형을 이루도록 하면 연등상자(100)의 모양이 갖추어지는데, 이때 사용자가 연등상자(100)를 펴는 과정을 보면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2연꽃면(11a,11b)의 연결부위와 제3,4연꽃면(11c,11d)의 연결부위는 양내측(내측으로 향하는 화살표방향)으로 밀고, 제2,3연꽃면(11b,11c)의 연결부위와 제1,4연꽃면(11a,11d)의 연결부위는 양외측(외측으로 향하는 화살표방향)으로 당긴다. 이때 제2,4바닥면(20b,20d)의 체결부(22)와 체결부(22)가 밀착되면서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연등상자(100)의 바닥을 펴서 연등상자(100)가 조립된 후 바닥이 4각형으로 이루어진 상태를 설명하면,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2,3,4연꽃면(11a,11b,11c,11d)이 포개지지 않은 상태에서 각 연결부위가 직각으로 접히고, 제1,2,3,4연꽃면과 각 바닥면이 또한 포개지지 않은 상태에서 각 연결부위가 직각으로 접힌다. 제2,4연꽃면(11b,11d)과 그 접착부(21)의 연결부위는 접히지 않고 펴지며, 제2바닥면(20b)의 돌출부위가 제3바닥면(20c)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4바닥면(20d)의 돌출부위가 제1바닥면(20a)의 내측에 위치되어 연등상자(100)의 바닥이 전체적으로 정X 모양을 이루면서 펴진다.
상기와 같이 연등상자(100)가 완성되면 연등상자(100)의 내측 바닥에 점등구받침접시(40)를 안착시키고 점등구받침접시(40) 위에 양면테잎(51)을 이용하여 점등구(50)를 부착한다. 마주하는 연꽃면(11) 상단의 걸이공(13)에 걸이구(60)의 양단을 연결하고 걸이구(60)의 중간에 손잡이막대(70)의 걸이홈(71)을 통해 손잡이막대(70)를 걸어 연등상자(100)를 들 수 있다.
이렇게 완성된 본 고안에 따른 연등의 점등구(50)를 점화하여 빛이 연등상자(100)의 상측 개방부와 각 연꽃면(11) 중간의 절단선(32)을 통해 외부로 발하도록 하고 이러한 연등을 사찰에 걸거나 들고 행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연등은 연등상자의 측부와 바닥이 미리 접착되어 포개지고 포개진 바닥을 펴서 연등상자를 조립하며, 연등상자 내측에 점등구를 설치하는 한편 연등상자의 상부 양측에 걸이구를 통해 손잡이막대를 연결함으로써, 조립이 간편하면서 사용하기 용이하여 짧은 시간에 행렬행사에 참여하면서 행사 후의 처리도 간편해질 수 있는 한편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연등의 사시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등의 사시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등의 전개상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연등의 연등상자를 조립하기 전후의 바닥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측부 11 : 연꽃면
12, 21 : 접착부 13 : 걸이공
20 : 바닥면 22 : 체결부
31 : 접힘선 32 : 절단선
40 : 점등구받침접시 50 : 점등구
60 : 걸이구 70 : 손잡이막대
71 : 걸이홈 100 : 연등상자
Claims (4)
- 사찰에 걸어 놓거나 연등행렬시 들고 행렬할 수 있는 연등에 있어서,측부(10)를 이루는 제1,2,3,4연꽃면(11a,11b,11c,11d)이 각각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꽃면(11)의 하단에 각각 바닥면(20a,20b,20c,20d)이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제2,4바닥면(20b,20d)의 일측에 접착부(21)가 접힘 가능하게 연결 형성되어 제1,3바닥면(20a,20c)에 접착되며, 일측의 연꽃면과 마주하는 연꽃면의 상측에 걸이공(13)이 각각 관통되는 연등상자(100);와,상기 연등상자(100)의 내측 바닥에 안착되는 점등구받침접시(40);와,상기 점등구받침접시(40) 위에 설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점등구(50);와,상기 연등상자(100)의 걸이공(13)에 각각 설치되어 연등상자(100)를 걸어 들 수 있게 하는 걸이구(60);와,상기 걸이구(60)에 걸어 연등상자(100)를 손으로 들 수 있게 하는 손잡이막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연꽃측면의 중간에 위치하는 연꽃잎이 절단되어 외측으로 접힘으로써 연등상자(100)의 측부(10)로 점등구(50)의 빛이 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2,4바닥면(20b,20d)과 접착부(21)의 연결부위 일측에 체결부(22)가 형성되어 연등상자(100)의 조립시 제2,4바닥면(20b,20d)이 서로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손잡이막대(70)의 일측에 걸이홈(71)이 형성되어 걸이구(60)가 걸이홈(71)에 걸려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2789U KR200392152Y1 (ko) | 2005-05-06 | 2005-05-06 | 연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2789U KR200392152Y1 (ko) | 2005-05-06 | 2005-05-06 | 연등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2152Y1 true KR200392152Y1 (ko) | 2005-08-10 |
Family
ID=43693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2789U KR200392152Y1 (ko) | 2005-05-06 | 2005-05-06 | 연등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2152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588076A (zh) * | 2016-02-25 | 2016-05-18 |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 一种机器人扎制荷花灯的系统和方法 |
-
2005
- 2005-05-06 KR KR20-2005-0012789U patent/KR20039215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588076A (zh) * | 2016-02-25 | 2016-05-18 |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 一种机器人扎制荷花灯的系统和方法 |
CN105588076B (zh) * | 2016-02-25 | 2018-09-14 |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 一种机器人扎制荷花灯的系统和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618376S1 (en) | Lighting fixture | |
US20030081418A1 (en) | Do-it-yourself lampshade kit | |
US20050279403A1 (en) | Architectural and landscape devices having solar lights | |
US20120320606A1 (en) | Envelope-configured lamp shade | |
KR200462000Y1 (ko) | 모빌형 입체카드 | |
KR200392152Y1 (ko) | 연등 | |
US8905582B2 (en) | Collapsible decorative system | |
US20210222853A1 (en) | Lamp shade device | |
US20080298064A1 (en) | Collapsible decorative light system | |
US7758216B2 (en) | Decorative lamp illuminations structure | |
US7927673B2 (en) | Star-shaped decorative object | |
KR200391556Y1 (ko) | 전등갓 | |
US10302273B2 (en) | Lampshade and frame assembly | |
CN205447630U (zh) | 一种可折叠灯笼 | |
US6752263B2 (en) | Container for an object which can be refolded to serve other purposes | |
CN201636752U (zh) | 一种可折叠灯罩 | |
KR200337412Y1 (ko) | 전등갓 | |
US6764195B1 (en) | Ornament netting | |
CN201014279Y (zh) | 可折叠式的灯饰 | |
KR102438746B1 (ko) | 접기식 장식등 | |
JP3156337U (ja) | 照明器具用シェードの製造方法および照明器具用シェード | |
CN210105455U (zh) | 一种饰物固定装置 | |
CN214332550U (zh) | 发光流苏 | |
KR200490672Y1 (ko) | 입체 이미지 표시 연등 | |
CN211780859U (zh) | 一种可变形灯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1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9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