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007Y1 - 건설용 안전통로 - Google Patents

건설용 안전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007Y1
KR200392007Y1 KR20-2005-0013744U KR20050013744U KR200392007Y1 KR 200392007 Y1 KR200392007 Y1 KR 200392007Y1 KR 20050013744 U KR20050013744 U KR 20050013744U KR 200392007 Y1 KR200392007 Y1 KR 200392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safety
height
flat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7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정
Original Assignee
김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정 filed Critical 김희정
Priority to KR20-2005-00137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0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0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2Other free-standing supports, e.g. using trest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7/00Temporary arrangements for giving access from one level to another for men or vehicles, e.g. steps, r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용 안전통로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돌출구조물(2)이 위치하도록 홈형태의 관통홈(111a)을 형성하여 일측의 경사각(θ)을 13~18°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경사통로(111)를 형성하고, 경사통로(111)의 일측으로 하부에 지게차의 포크로 운반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운송홈(112a)이 형성되어 평지 형태로 평탄통로(112)를 형성하며, 평탄통로(112)의 일측으로 베란다, 대형창틀 및 문틀 등의 자재인입부(1)에 안치되는 형상으로 안치통로(113)를 형성하되, 경사통로(111), 평탄통로(112) 및 안치통로(113)의 결합 측으로 결합홈(114)과 결합돌기(115)를 복수로 형성하여 상부에서 상호 결합하고, 하부에 돌출된 판형태로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브라켓(116)을 형성하며, 상부에 돌출형상으로 미끄럼을 방지하는 돌출구(117)를 복수로 형성한 통로부(110)와, 상기 통로부(110)의 양측으로 복수의 통공 형태의 삽입공(121)을 형성하고, 삽입공(121)의 외측으로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도록 통공형태의 높이조절공(122)을 복수로 형성하여 원하는 높이의 위치한 높이조절공(122)에 체결핀(123)으로 고정시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120)와,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삽입공(121)에 삽입되어 높이를 조절하면서 하부에 형성된 체결공(132)에 체결핀(123)을 고정하여 복수로 형성되는 봉형태의 안전봉(131)을 형성하고, 안전봉(131)의 측부에 체인결합구(134)를 형성하여 복수로 형성된 안전봉(131)을 안전체인(133)으로 연결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설용 안전통로 {Safety Path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설용 안전통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서 가설엘리베이터나 설치된 엘리베이터에서 자재운반 시에 아파트의 베란다와 문틀과 같은 형태로 자재 인입이 가능한 지역에 형성된 문턱, 창틀 등의 돌출 구조물과 바닥재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자재를 운반하여 공급하도록 인입 가능한 지역의 지형에 맞도록 안치통로를 평면통로와 일정한 경사로 형성된 경사통로를 하부의 하부관통부에 구조물과 바닥재를 형성한 상태에서 운송수단의 속도의 일정한 제어가 용이하도록 평탄한 통로를 제공하고, 일정한 각도의 경사통로를 통하여 주행하여 운송수단의 전복과 흔들림 현상을 최소화함으로 바닥과 돌출구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통로부의 양측으로 봉 형태로 상하 길이가 조절되는 안전봉을 형성하되, 안전봉에 안전롤러, 충격흡수팬스 및 표지병을 형성하여 자재 운송수단의 통로 이탈을 방지하고 흔들림에 의한 속도 상승과 전복을 최소화 시켜 안전하게 자재를 운송수단으로 운반하는 건설용 안전통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등의 건물을 시공하기 위해서 기초공사를 한 후 골조 및 내 외벽 공사를 마치고 내장 공사를 위해서 자재를 운반하는 가설엘리베이터나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통해서 자재를 운반 시에 바퀴가 형성된 운송수단에 자재를 안치하여 운반하고 있다.
이렇게, 자재를 운반하기 위한 운송수단은 가설엘리베이터나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통해서 운반위치의 층에 도달한 후에 가설엘리베이터는 베란다나 대형 창틀을 통하고, 설치된 엘리베이터는 문틀을 통과하여 자재를 운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베란다, 대형창틀 및 문틀은 문과, 창 및 베란다 연결창을 고정하기 위해서 돌출구조물을 형성하고, 건물의 내부로 자재를 공급하기 위해서 운송수단을 돌출구조물을 통과하면서 주행하면 운송수단의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여 좌우로 요동이 발생하여 중심을 잃고 전복되어 자재의 손상과 인력이 다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송자재가 벽돌 등과 같이 강한 재질의 자재인 경우에는 돌출구조물을 통과하면서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여 운송수단 내부에 수납된 자재가 하부로 낙하하여 돌출구조물과 건물 바닥면에 손상을 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자재가 수납된 운송수단을 직각으로 일정 높이를 형성한 돌출구조물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같은 높이의 경사로 통과 시보다 많은 힘이 드는 순간 추진력으로 넘는 도달 높이까지 바로 도달하여야 하고 도달되지 못하면 원위치로 추락하며, 추락 시나 넘은 후에도 운송수단에 돌출구조 높이의 따른 위치에너지가 바로 전달되어 흔들림 현상이 발생되고 제어할 수 없을 때에는 전복되어 작업자가 다치거나 자재, 돌출수단 및 건물 바닥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돌출구조물과 건물바닥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 자재를 운송수단에 수납하여 운반하도록 베란다, 대형창틀 및 문틀에 경사판과 평판을 조합하여 자재를 수납한 운송수단을 가설엘리베이터나 설치된 엘리베이터로 이송한 상태에서 경사판을 주행하여 이송 시에 흔들림 현상을 최소화 하여 자재의 추락이나 운송수단의 전복과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경사판과 평판을 돌출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서 설치된 판넬은 다수개의 판넬을 돌출물의 크기와 형태에 맞도록 제작하여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물의 돌출물이 형성되어 보호 판넬이 설치되는 베란다, 대형창틀 및 문틀이 형성된 주위 지형의 형태에 따라 판넬을 적용할 수 없으므로, 돌출구조물의 상부에 평판을 형성하고 전후로 경사판을 형성하여 가설엘리베이터에서 위치된 운송수단을 돌출구조물의 바로 앞에서 연속적으로 상방향으로 이송방향을 전환하여야 함으로 방향전환 시에 작업자에게 많은 힘이 소요되고 지속적인 작업의 피로도 증가로 전복과 같은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되는 자재의 무게와 종류에 따라 돌출구조물을 보호하는 판넬을 건설자재 중에 손쉽게 사용되는 목재를 이용하면 중량물이 큰 자재의 경우에는 파손되기 쉽고, 철재와 같은 재질을 사용하면 강도가 높은데 비해 설치와 해체 및 이송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생산비와 운영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판넬은 단순하게 돌출구조물을 넘어서 이송하는 목적으로 형성되어 운송수단의 제어의 미숙에 의해 판넬의 지지범위를 이탈하면 돌출구조물에 접촉하면서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야간에 작업 시에 돌출구조물의 위치와 판넬의 지지범위를 확인하기 위해서 과도한 조명등을 사용하여야 하며 조명이 어두운 곳에서는 판넬의 지지범위의 미확인에 의해 판넬에서 벗어나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주목적은 가설엘리베이터와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통하여 자재를 인입하는 베란다, 대형창틀 및 문틀 등의 자재인입부를 통하여 자재가 수납된 운송수단이 운행되도록 자재인입부의 돌출구조물을 수납하도록 홈형태로 관통홈이 형성되어 운송수단이 주행 중 흔들림이 없는 각도로 통로형태의 경사통로를 돌출구조물 측에 형성하고 자재인입부의 형태와 공급되는 가설엘리베이터의 위치에 따라 이송이 간편하도록 하부에 두개의 홈이 형성된 평탄통로와 안치통로를 각 연결측에 복수로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홈과 결합돌기로 결합 연결하고, 경사통로, 평탄통로 및 안치통로의 하부에 돌출된 미끄럼방지브라켓을 형성하며, 통로의 양측으로 좌우 이탈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안전봉을 안전체인으로 연결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돌출구조물을 경사통로로 보호하면서 측면에 높낮이가 조정되는 복수의 안전봉을 안전체인으로 연결하여 운송수단의 이탈을 방지하고 경사판의 각도를 주행 시에 흔들림이 없는 범위에서 형성하여 제어효율을 증대하고 이탈을 방지시켜 운송수단의 전복이나 흔들림을 방지하여 자재운반의 안전성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베란다, 대형창틀 및 문틀 등의 자재인입부를 통하여 자재가 수납된 운송수단을 통과하도록 연결 형성한 경사통로와 평탄통로의 일측으로 자재인입부의 형상에 따라 만곡부를 형성하여 가설엘리베이터와 안전통로를 바로 연결하여 운송수단을 주행시켜 자재 이송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경사통로, 평탄통로 및 안치통로의 결합으로 형성된 통로부를 다각형 홀이 지그재그로 반복형성된 판형태로 형성하여 통로에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하부로 배출하면서 중량을 줄여서 생산단가를 최소화하면서 제작을 간편하게 하여 제작비와 생산비를 감소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경사통로, 평탄통로 및 안치통로의 결합으로 형성된 통로부에 운송수단이 안치되는 일정 깊이의 홈 형태의 주행홈을 형성하여 운송수단이 주행홈에서 가이드 되면서 주행함으로써, 주행되는 운송수단의 이탈을 방지하고 흔들림 현상을 최소화 하여 운송수단의 주행성을 안정화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통로부의 양측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안전봉에 완충부재가 형성된 안전롤러를 지지브라켓에 복수의 롤러중심축으로 고정 설치하여 운송수단이 궤도를 이탈하면 안전롤러의 완충부재에서 충격을 흡수하면서 회전하여 이탈되는 원심력을 안전롤러의 회전으로 최소화하여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잘못된 제어에 의해 이탈된 운송수단의 파손을 최소화 하면서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통로부의 하측으로 높낮이를 조절하는 지지다리를 형성하여 돌출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설치된 지지다리의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됨으로써, 설치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통로부의 양측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안전봉에 야간에 식별가능하도록 야광안전띠를 형성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팬스를 설치하여 운송수단의 이탈을 방지하고 제어 불능에 의한 이탈 시에도 충격을 흡수하여 파손을 최소화 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통로부의 좌우 폭의 제한범위 부분에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하면서 내부에 스프링과 부쉬로 결합되어 운송수단이 지나가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여 안전통로의 위치와 형태를 주간과 야간에 언제든지 식별하도록 형성하여 안전통로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운송수단을 안전하게 통로를 통하여 주행하여 운송효율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통로를 형성하는 재질을 폐비닐을 이용하여 인장강도가 강하면서 가벼운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며, 환경오염 물질인 폐비닐을 재활용하여 사용하므로서 자원의 재활용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건설용 안전통로는 하부에 돌출구조물이 위치하도록 홈형태의 관통홈을 형성하여 일측의 경사각을 13~18ㅀ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경사통로를 형성하고, 경사통로의 일측으로 하부에 지게차의 포크로 운반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운송홈이 형성되어 평지 형태로 평탄통로를 형성하며, 평탄통로의 일측으로 베란다, 대형창틀 및 문틀 등의 자재인입부에 안치되는 형상으로 안치통로를 형성하되, 경사통로, 평탄통로 및 안치통로의 결합 측으로 결합홈과 결합돌기를 복수로 형성하여 상부에서 상호 결합하고, 하부에 돌출된 판형태로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브라켓을 형성하며, 상부에 돌출형상으로 미끄럼을 방지하는 돌출구를 복수로 형성한 통로부와, 상기 통로부의 양측으로 복수의 통공 형태의 삽입공을 형성하고, 삽입공의 외측으로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도록 통공형태의 높이조절공을 복수로 형성하여 원하는 높이의 위치한 높이조절공에 체결핀으로 고정시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높이를 조절하면서 하부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핀을 고정하여 복수로 형성되는 봉형태의 안전봉을 형성하고, 안전봉의 측부에 체인결합구를 형성하여 복수로 형성된 안전봉을 안전체인으로 연결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로부의 안치통로는 베란다, 대형창틀 및 문틀 등의 자재인입부의 형상과 일치되도록 만곡부를 형성하여 자재인입부와 통로부의 간극을 최소화 하여 자재를 수납한 운송수단을 용이하게 주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통로부의 경사통로, 평탄통로 및 안치통로에 다각형 형상으로 지그재그로 관통공 형태의 다각형홀을 복수로 형성하여 중량을 감소시키면서도 강도를 유지하고 오염물질을 하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로부는 경사통로, 평탄통로 및 안치통로에 운송수단이 접촉 주행하는 주행 통로 측으로 복수개의 주행홈을 형성하여 운송수단을 가이드 하면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통로부는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송 가능하도록 경사통로 전방으로 연결된 평탄통로의 양측으로 경사통로를 복수로 형성하여 평탄통로의 전방과 양측으로 경사통로가 설치되어 좌우측과 전방 측으로 운송수단을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회절하면서 운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에 복수로 형성된 안전봉을 지지브라켓으로 연결 형성하고, 지지브라켓에 복수로 형성된 롤러중심축에 원통형상으로 외측에 완충부재를 형성한 안전롤러를 형성하여 운송수단의 접촉 시에 회전하면서 완충부재가 형성된 안전롤러로 충격을 완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복수로 형성된 안전봉 사이에 야간에도 식별되도록 야광안전띠를 복수로 형성한 충격흡수팬스를 형성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로부의 경사통로, 평탄통로 및 안치통로의 경계를 표시하도록 경계부분에 복수로 고정 형성되는 하우징의 내측으로 운송수단으로 압력을 가해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스프링이 하부에 형성된 스프링지지구로 지지하면서 야광으로 야간에도 표시되는 야광표시구를 형성하고, 하우징과 접촉되는 측으로 부쉬를 형성하여 마모를 최소화하면서 경계를 표시하는 표시병을 복수로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통로부의 경사통로, 평탄통로 및 안치통로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버틸렌텔레프탈리이드 알로이(PC/PBT) 10~40중량%, 폴리프로필렌(PP) 20~30중량%, 폴리에틸렌(PE) 20~25중량%, 왕겨분 0.1~7중량%, 생석회 0.1~7중량%, 우레탄 10~15중량%, 발포제 0.1~2중량%, 난연제 0.1~2중량%로 혼합하여 페이스트 상태를 이루도록 가열하고, 상기 페이스트 상태의 혼합물을 압축하여 고형화된 혼합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건설용 안전통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안전통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안전통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안전통로의 통로부에 주행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안전통로의 통로부에 경사통로를 병렬로 복수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안전통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안전통로의 이탈방지부에 안전롤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안전통로의 이탈방지부에 충격흡수팬스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안전통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안전통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안전통로의 주요부분인 표시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설용 안전통로(100)는 자재인입부(1)의 형상에 따라 돌출구조물(2)의 상부로 자재를 수납한 운송수단(3)이 통과하도록 경사와 평판상에 통로를 형성한 통로부(110)와, 상기 통로부(110)의 좌우에 복수의 높이를 조절하는 삽입홈(121)을 형성한 높이조절부(120)와, 상기 높이조절부(120)에서 높이가 조절되면서 통로부(110)의 양측에 복수로 형성하여 운송수단(3)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통로부(110)는 하부에 돌출구조물(2)이 위치하도록 홈형태의 관통홈(111a)을 형성하여 일측의 경사각(θ)을 13~18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경사통로(111)를 형성하고, 경사통로(111)의 일측으로 하부에 지게차(Fork Lift Truck)의 포크(Fork)로 간편하게 운반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운송홈(112a)이 형성되어 평지 형태로 평탄통로(112)를 형성하며, 평탄통로(112)의 일측으로 베란다, 대형창틀 및 문틀 등의 자재인입부(1)에 안치되는 형상으로 안치통로(113)를 형성하되, 경사통로(111), 평탄통로(112) 및 안치통로(113)의 결합 측으로 결합홈(114)과 결합돌기(115)를 복수로 형성하여 상부에서 상호 결합하고, 하부에 돌출된 판형태로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브라켓(116)을 형성하며, 상부에 돌출형상으로 미끄럼을 방지하는 돌출구(117)를 복수로 형성하여 운송수단이 용이하게 주행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통로부(110)의 안치통로(113)는 베란다, 대형창틀 및 문틀 등의 자재인입부(1)의 형상과 일치되도록 만곡부(113a)를 형성하여 자재인입부(1)와 통로부(110)의 간극을 최소화 하여 자재를 수납한 운송수단(3)을 용이하게 주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로부(110)의 경사통로(111), 평탄통로(112) 및 안치통로(113)에 다각형 형상으로 지그재그로 관통공 형태의 다각형홀(118)을 복수로 형성하여 중량을 감소시키면서도 강도를 유지하고 오염물질을 하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다각형홀(118)은 6각 또는 8각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통로부(110)는 경사통로(111), 평탄통로(112) 및 안치통로(113)에 운송수단(3)이 접촉 주행하는 주행 통로 측으로 복수개의 주행홈(119)을 형성하여 운송수단(3)을 가이드 하면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통로부(110)는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송 가능하도록 경사통로(111) 전방으로 연결된 평탄통로(112)의 양측으로 경사통로(111)를 복수로 형성하여 평탄통로(112)의 전방과 양측으로 경사통로(111)가 설치되어 좌우측과 전방 측으로 운송수단(3)을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회절하면서 운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조절부(120)는 통로부(110)의 양측으로 복수의 통공 형태의 삽입공(121)을 형성하고, 삽입공(121)의 외측으로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도록 통공형태의 높이조절공(122)을 복수로 형성하여 원하는 높이에 위치한 높이조절공(122)에 체결핀(123)으로 고정시켜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삽입공(121)에 하부로 돌출구조물(2)의 높이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도록 지지다리(124)를 체결핀(123)으로 결합하여 돌출구조물(2)의 높이에 따라 통로부(110)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130)는 높이조절부(120)의 삽입공(121)에 삽입되어 높이를 조절하면서 하부에 형성된 체결공(132)에 체결핀(123)을 고정하여 복수로 형성되는 봉형태의 안전봉(131)을 형성하고, 안전봉(131)의 측부에 체인결합구(134)를 형성하여 복수로 형성된 안전봉(131)을 안전체인(133)으로 연결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안전봉(131)과 안전체인(133)은 야간작업 시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야광물질이 도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부(130)의 복수로 형성된 안전봉(131)을 지지브라켓(137)으로 연결 형성하고, 지지브라켓(137)에 복수로 형성된 롤러중심축(138)에 원통형상으로 외측에 완충부재(136)를 형성한 안전롤러(135)를 형성하여 운송수단(3)의 접촉 시에 회전하면서 완충부재(136)가 형성된 안전롤러(135)로 충격을 완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130)의 복수로 형성된 안전봉(131) 사이에 야간에도 식별되도록 야광안전띠(139a)를 복수로 형성한 충격흡수팬스(139)를 형성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통로부(110)의 경사통로(111), 평탄통로(112) 및 안치통로(113)의 경계를 표시하도록 경계부분에 복수로 고정 형성되는 하우징(141)의 내측으로 운송수단(3)으로 압력을 가해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스프링(145)이 하부에 형성된 스프링지지구(144)로 지지하면서 야광으로 야간에도 표시되는 야광표시구(143)를 형성하고, 하우징(141)과 접촉되는 측으로 부쉬(142)를 형성하여 마모를 최소화하면서 경계를 표시하는 표시병(140)을 복수로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통로부(110)의 경사통로(111), 평탄통로(112) 및 안치통로(113)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버틸렌텔레프탈리이드 알로이(PC/PBT) 10~40중량%, 폴리프로필렌(PP) 20~30중량%, 폴리에틸렌(PE) 20~25중량%, 왕겨분 0.1~7중량%, 생석회 0.1~7중량%, 우레탄 10~15중량%, 발포제 0.1~2중량%, 난연제 0.1~2중량%로 혼합하여 페이스트 상태를 이루도록 가열하고, 상기 페이스트 상태의 혼합물을 압축하여 고형화된 혼합물로 제조하여 폐비닐을 이용하여 통로부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건설용 안전통로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층건물이나 아파트 등의 자재를 운반하기 위해서 가설엘리베이터나 설치된 엘리베이터에 의해 각 층으로 이송되어 자재가 인입되는 베란다, 대형창틀 및 문틀 등의 자재인입부(1)에 형성된 돌출구조물(2)을 관통홈(111a)에 안치한 상태로 일정한 경사각(θ)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 경사통로(111)를 형성하고, 경사통로(111)의 결합 측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결합홈(114)과 결합돌기(115)로 결합되는 평탄형상으로 하부에 지게차의 포크로 간편하게 운송 가능하도록 복수의 운송홈(112a)을 형성한 평탄통로(112)를 결합시키고 평탄통로(113)의 타측 결합측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결합홈(114)과 결합돌기(115)를 형성하여 자재인입부(1)의 형상에 맞도록 형성된 안치통로(113)를 결합한다.
이때, 안치통로(113)는 베란다, 대형창틀 및 문틀 등의 자재인입부(1)의 형상에 따라 만곡부(113a)를 형성하여 자재인입부(1)와 통로부(110)의 간극을 최소화 하여 자재를 수납한 운송수단(3)을 용이하게 주행하도록 한다.
또한, 경사통로(111)의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각(θ)은 운송수단(3)의 하강 시에 흔들림 현상을 최소로 하는 각도인 13~18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통로부(110)는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송 가능하도록 경사통로(111) 전방으로 연결된 평탄통로(112)의 양측으로 경사통로(111)를 복수로 형성하여 평탄통로(112)의 전방과 양측으로 경사통로(111)가 설치되어 좌우측과 전방 측으로 운송수단(3)을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회절하면서 운행한다.
이렇게, 통로부(110)를 자재인입부(1)의 형태에 따라 돌출구조물(2)의 상부에 형성한 상태에서 양측으로 복수의 삽입공(121)이 형성되어 높이가 조절되도록 높이조절공(122)과 체결핀(123)이 형성된 높이조절부(120) 측으로 이탈방지부(130)의 안전봉(131)을 삽입공(121)에 삽입한 상태에서 높이에 맞도록 체결핀(123)으로 안전봉(131) 하부에 형성된 체결공(132)에 고정하여 양측부에 복수로 설치하고, 안전봉(131)의 측부에 형성된 체인결합구(134)에 안전체인(133)을 연결하여 운송수단(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때, 이탈방지부(130)에 복수로 형성된 안전봉(131)을 지지브라켓(137)으로 연결 형성하고, 지지브라켓(137)에 복수로 형성된 롤러중심축(138)에 원통형상으로 외측에 완충부재(136)를 형성한 안전롤러(135)를 형성하여 운송수단(3)의 접촉 시에 회전하면서 완충부재(136)가 형성된 안전롤러(135)로 충격을 완충하도록 설치하여 운송수단(3)이 주행위치를 이탈하여 안전롤러(135)에 접촉하면 접촉되는 완충부재(136)에서 일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복수의 안전롤러(135)가 회전하면서 원심력을 감소시켜 운송수단(3)을 통로부(1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탈방지부(130)에 복수로 형성된 안전봉(131) 사이에 야간에도 식별되도록 야광안전띠(139a)를 복수로 형성한 충격흡수팬스(139)를 형성하여 자재를 수납한 운송수단(3)이 경로를 이탈하면 야간에 식별이 가능한 야광안전띠를 구비한 충격흡수팬스(139)에서 이탈 충격을 최소화 하여 자재와 운송수단 및 작업자를 최대한 보호하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통로부(110)의 경사통로(111), 평탄통로(112) 및 안치통로(113)의 경계를 표시하도록 경계부분에 복수로 고정 형성되는 하우징(141)의 내측으로 운송수단(3)으로 압력을 가해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스프링(145)을 하부에 형성된 스프링지지구(144)로 지지하면서 야광으로 야간에도 표시되는 야광표시구(143)를 형성하고, 하우징(141)과 접촉되는 측으로 부쉬(142)를 형성하여 마모를 최소화하면서 경계를 표시하는 표시병(140)을 복수로 형성하여 주간 또는 야간에 안전통로(100)의 경계를 확실히 구분하여 이탈을 방지하고 운송수단(3)이 표시병(140)에 접촉하여도 스프링(145)의 힘으로 복귀함으로써 파손을 최소화 하여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형성된 안전통로의 다른 실시예로써, 경사통로(111), 평탄통로(112) 및 안치통로(113)에 다각형 형상으로 지그재그로 관통공 형태의 다각형홀(118)을 복수로 형성하고, 높이조절부(120)의 삽입공(121)에 하부로 돌출구조물(2)의 높이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도록 지지다리(124)를 체결핀(123)으로 결합하여 돌출구조물(2)의 높이에 따라 통로부(110)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결합하도록 형성하여 중량을 감소시키면서도 강도를 유지하고 오염물질을 하부로 배출하는 판형태로 지지다리(124)의 높이를 조절하여 돌출구조물(2)의 높이에 따라 통로부(11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통로부(110)의 경사통로(111), 평탄통로(112) 및 안치통로(113)는 폐비닐을 녹여서 발생하는 성분인 폴리카보네이트-폴리버틸렌텔레프탈리이드 알로이(PC/PBT) 10~40중량%, 폴리프로필렌(PP) 20~30중량% 및 폴리에틸렌(PE) 20~25중량%에 왕겨분 0.1~7중량%, 생석회 0.1~7중량%, 우레탄 10~15중량%, 발포제 0.1~2중량%, 난연제 0.1~2중량%로 혼합하여 페이스트 상태를 이루도록 가열하고, 상기 페이스트 상태의 혼합물을 압축하여 고형화된 혼합물로 제조한다.
상기와 같은 혼합물의 다수의 시료를 채취하여 실험실에서 강도를 조사한 바에 따르면 혼합물의 물리적 성질은 다음과 같다.
인장강도 : 168~175 kgf/㎠
신장률 : 6.2~6.7 %
굴곡강도 : 295~300 kgf/㎠
상기 성질에 의하면 본 고안에 사용되는 혼합물은 인장강도와 굴곡강도가 특히 우수하고, 충격과 휨 변형에 강하며, 얇은 두께에서도 휨변형이 거의 없으며, 가공성이 뛰어나 원하는 형태로 제작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벼우면서 강도가 우수하며 폐비닐을 이용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화 하고 자원의 재활용을 촉진시키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 외에도 고안이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과 구성 및 청구의 범위 내에서 변형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건설용 안전통로는 가설엘리베이터와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통하여 자재를 인입하는 베란다, 대형창틀 및 문틀 등의 자재인입부를 통하여 자재가 수납된 운송수단이 운행되도록 자재인입부의 돌출구조물을 수납하도록 홈형태로 관통홈이 형성되어 운송수단이 주행 중 흔들림이 없는 각도로 통로형태의 경사통로를 돌출구조물 측에 형성하고 자재인입부의 형태와 공급되는 가설엘리베이터의 위치에 따라 이송이 간편하도록 하부에 두개의 홈이 형성된 평탄통로와 안치통로를 각 연결측에 복수로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홈과 결합돌기로 결합 연결하고, 경사통로, 평탄통로 및 안치통로의 하부에 돌출된 미끄럼방지브라켓을 형성하며, 통로의 양측으로 좌우 이탈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안전봉을 안전체인으로 연결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돌출구조물을 경사통로로 보호하면서 측면에 높낮이가 조정되는 복수의 안전봉을 안전체인으로 연결하여 운송수단의 이탈을 방지하고 경사판의 각도를 주행 시에 흔들림이 없는 범위에서 형성하여 제어효율을 증대하고 이탈을 방지시켜 운송수단의 전복이나 흔들림을 방지하여 자재운반의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건설용 안전통로는 베란다, 대형창틀 및 문틀 등의 자재인입부를 통하여 자재가 수납된 운송수단을 통과하도록 연결 형성한 경사통로와 평탄통로의 일측으로 자재인입부의 형상에 따라 만곡부를 형성하여 가설엘리베이터와 안전통로를 바로 연결하여 운송수단을 주행시켜 자재 이송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건설용 안전통로는 경사통로, 평탄통로 및 안치통로의 결합으로 형성된 통로부를 다각형 홀이 지그재그로 반복형성된 판형태로 형성하여 통로에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하부로 배출하면서 중량을 줄여서 생산단가를 최소화하면서 제작을 간편하게 하여 제작비와 생산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건설용 안전통로는 경사통로, 평탄통로 및 안치통로의 결합으로 형성된 통로부에 운송수단이 안치되는 일정 깊이의 홈 형태의 주행홈을 형성하여 운송수단이 주행홈에서 가이드 되면서 주행함으로써, 주행되는 운송수단의 이탈을 방지하고 흔들림 현상을 최소화 하여 운송수단의 주행성을 안정화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건설용 안전통로는 통로부의 양측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안전봉에 완충부재가 형성된 안전롤러를 지지브라켓에 복수의 롤러중심축으로 고정 설치하여 운송수단이 궤도를 이탈하면 안전롤러의 완충부재에서 충격을 흡수하면서 회전하여 이탈되는 원심력을 안전롤러의 회전으로 최소화하여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잘못된 제어에 의해 이탈된 운송수단의 파손을 최소화 하면서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건설용 안전통로는 통로부의 하측으로 높낮이를 조절하는 지지다리를 형성하여 돌출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설치된 지지다리의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됨으로써, 설치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건설용 안전통로는 통로부의 양측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안전봉에 야간에 식별가능하도록 야광안전띠를 형성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팬스를 설치하여 운송수단의 이탈을 방지하고 제어 불능에 의한 이탈 시에도 충격을 흡수하여 파손을 최소화 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건설용 안전통로는 통로부의 좌우 폭의 제한범위 부분에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하면서 내부에 스프링과 부쉬로 결합되어 운송수단이 지나가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여 안전통로의 위치와 형태를 주간과 야간에 언제든지 식별하도록 형성하여 안전통로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운송수단을 안전하게 통로를 통하여 주행하여 운송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건설용 안전통로는 안전통로를 형성하는 재질을 폐비닐을 이용하여 인장강도가 강하면서 가벼운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며, 환경오염 물질인 폐비닐을 재활용하여 사용하므로서, 자원의 재활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안전통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안전통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안전통로의 통로부에 주행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안전통로의 통로부에 경사통로를 병렬로 복수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안전통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안전통로의 이탈방지부에 안전롤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안전통로의 이탈방지부에 충격흡수팬스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안전통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안전통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안전통로의 주요부분인 표시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재인입부 2 : 돌출구조물
3 : 운송수단 100 : 안전통로
110 : 통로부 111 : 경사통로
111a : 관통홈 112 : 평탄통로
112a : 운송홈 113 : 안치통로
113a : 만곡부 114 : 결합홈
115 : 결합돌기 116 : 미끄럼방지브라켓
117 : 돌출구 118 : 다각형홀
119 : 주행홈 120 : 높이조절부
121 : 삽입공 122 : 높이조절공
123 : 체결핀 124 : 지지다리
130 : 이탈방지부 131 : 안전봉
132 : 체결공 133 : 안전체인
134 : 체인결합구 135 : 안전롤러
136 : 완충부재 137 : 지지브라켓
138 : 롤러중심축 139 : 충격흡수팬스
139a : 야광안전띠 140 : 표시병
141 : 하우징 142 : 부쉬
143 : 야광표지구 144 : 스프링지지구
145 : 스프링
θ : 경사각

Claims (10)

  1. 하부에 돌출구조물(2)이 위치하도록 홈형태의 관통홈(111a)을 형성하여 일측의 경사각(θ)을 13~18°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경사통로(111)를 형성하고, 경사통로(111)의 일측으로 하부에 지게차의 포크로 운반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운송홈(112a)이 형성되어 평지 형태로 평탄통로(112)를 형성하며, 평탄통로(112)의 일측으로 베란다, 대형창틀 및 문틀 등의 자재인입부(1)에 안치되는 형상으로 안치통로(113)를 형성하되, 경사통로(111), 평탄통로(112) 및 안치통로(113)의 결합 측으로 결합홈(114)과 결합돌기(115)를 복수로 형성하여 상부에서 상호 결합하고, 하부에 돌출된 판형태로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브라켓(116)을 형성하며, 상부에 돌출형상으로 미끄럼을 방지하는 돌출구(117)를 복수로 형성한 통로부(110)와,
    상기 통로부(110)의 양측으로 복수의 통공 형태의 삽입공(121)을 형성하고, 삽입공(121)의 외측으로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도록 통공형태의 높이조절공(122)을 복수로 형성하여 원하는 높이의 위치한 높이조절공(122)에 체결핀(123)으로 고정시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120)와,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삽입공(121)에 삽입되어 높이를 조절하면서 하부에 형성된 체결공(132)에 체결핀(123)을 고정하여 복수로 형성되는 봉형태의 안전봉(131)을 형성하고, 안전봉(131)의 측부에 체인결합구(134)를 형성하여 복수로 형성된 안전봉(131)을 안전체인(133)으로 연결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안전통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110)의 안치통로(113)는 베란다, 대형창틀 및 문틀 등의 자재인입부(1)의 형상과 일치되도록 만곡부(113a)를 형성하여 자재인입부(1)와 통로부(110)의 간극을 최소화 하여 자재를 수납한 운송수단(3)을 용이하게 주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안전통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110)의 경사통로(111), 평탄통로(112) 및 안치통로(113)에 다각형 형상으로 지그재그로 관통공 형태의 다각형홀(118)을 복수로 형성하여 중량을 감소시키면서도 강도를 유지하고 오염물질을 하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안전통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110)는 경사통로(111), 평탄통로(112) 및 안치통로(113)에 운송수단(3)이 접촉 주행하는 주행 통로 측으로 복수개의 주행홈(119)을 형성하여 운송수단(3)을 가이드 하면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안전통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110)는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송 가능하도록 경사통로(111) 전방으로 연결된 평탄통로(112)의 양측으로 경사통로(111)를 복수로 형성하여 평탄통로(112)의 전방과 양측으로 경사통로(111)가 설치되어 좌우측과 전방 측으로 운송수단(3)을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회절하면서 운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안전통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삽입공(121)에 하부로 돌출구조물(2)의 높이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도록 지지다리(124)를 체결핀(123)으로 결합하여 돌출구조물(2)의 높이에 따라 통로부(110)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안전통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130)에 복수로 형성된 안전봉(131)을 지지브라켓(137)으로 연결 형성하고, 지지브라켓(137)에 복수로 형성된 롤러중심축(138)에 원통형상으로 외측에 완충부재(136)를 형성한 안전롤러(135)를 형성하여 운송수단(3)의 접촉 시에 회전하면서 완충부재(136)가 형성된 안전롤러(135)로 충격을 완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안전통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130)의 복수로 형성된 안전봉(131) 사이에 야간에도 식별되도록 야광안전띠(139a)를 복수로 형성한 충격흡수팬스(139)를 형성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안전통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110)의 경사통로(111), 평탄통로(112) 및 안치통로(113)의 경계를 표시하도록 경계부분에 복수로 고정 형성되는 하우징(141)의 내측으로 운송수단(3)으로 압력을 가해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스프링(145)이 하부에 형성된 스프링지지구(144)로 지지하면서 야광으로 야간에도 표시되는 야광표시구(143)를 형성하고, 하우징(141)과 접촉되는 측으로 부쉬(142)를 형성하여 마모를 최소화하면서 경계를 표시하는 표시병(140)을 복수로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안전통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110)의 경사통로(111), 평탄통로(112) 및 안치통로(113)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버틸렌텔레프탈리이드 알로이(PC/PBT) 10~40중량%, 폴리프로필렌(PP) 20~30중량%, 폴리에틸렌(PE) 20~25중량%, 왕겨분 0.1~7중량%, 생석회 0.1~7중량%, 우레탄 10~15중량%, 발포제 0.1~2중량%, 난연제 0.1~2중량%로 혼합하여 페이스트 상태를 이루도록 가열하고, 상기 페이스트 상태의 혼합물을 압축하여 고형화된 혼합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안전통로.
KR20-2005-0013744U 2005-05-16 2005-05-16 건설용 안전통로 KR200392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744U KR200392007Y1 (ko) 2005-05-16 2005-05-16 건설용 안전통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744U KR200392007Y1 (ko) 2005-05-16 2005-05-16 건설용 안전통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680A Division KR100658795B1 (ko) 2005-05-16 2005-05-16 건설용 안전통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007Y1 true KR200392007Y1 (ko) 2005-08-09

Family

ID=4369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744U KR200392007Y1 (ko) 2005-05-16 2005-05-16 건설용 안전통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0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9911A (ko) 2022-08-05 2024-02-14 한국도로공사 자동 개폐 기능이 포함된 가이드 고정용 링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고리 이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9911A (ko) 2022-08-05 2024-02-14 한국도로공사 자동 개폐 기능이 포함된 가이드 고정용 링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고리 이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9372B2 (en) Climbing elevator system having a protective roof
CN101468770B (zh) 电梯的顶棚照明装置
KR100658795B1 (ko) 건설용 안전통로
US11198589B2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a protective hoistway liner assembly
JP2009051574A (ja) エレベータの工事作業用足場、及びそれを用いた足場の設置方法
KR200392007Y1 (ko) 건설용 안전통로
CN100484860C (zh) 便携式吊运机单梁附架吊运装置
US20140231229A1 (en) Conveying device with an extensively extended conveying element
AU2004209538A1 (en) Triangulate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system
AU2006340292A1 (en) Lining arrangement
CN110510331B (zh) 一种高层幕墙板块自动化提升垂直供料设备
KR100756616B1 (ko) 벨트 컨베이어
CN1874940A (zh) 散料加载装置
JP7062279B2 (ja) 墜落防止器具
CN1315712C (zh) 一种升降机系统
TWI805717B (zh) 輸送分類裝置
CN101610966A (zh) 乘客传送设备
KR200331979Y1 (ko) 스테커의 편적 및 낙광 방지장치
KR100507668B1 (ko) 유동력이 구비된 롤러 스탠드
KR200425825Y1 (ko) 굴절축을 갖는 건설용 리프트 상부 협착 방지 장치
KR102376163B1 (ko) 안전 구획 표시기 장착형 플레이트 이송카트
KR100766319B1 (ko) 자유 회전 롤러장치의 삼각배열에 의한 건설폐기물순환골재의 뭉침방지장치와 그 방법
KR100458096B1 (ko) 이동형 간이 리프트 장치
KR101388429B1 (ko) 완충수단을 구비한 활송장치
KR102442027B1 (ko) 휴대용 접이식 계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