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434Y1 - Storage container - Google Patents

Storage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434Y1
KR200391434Y1 KR20-2005-0011905U KR20050011905U KR200391434Y1 KR 200391434 Y1 KR200391434 Y1 KR 200391434Y1 KR 20050011905 U KR20050011905 U KR 20050011905U KR 200391434 Y1 KR200391434 Y1 KR 2003914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torage container
membrane
hol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90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첸 흐신-유
Original Assignee
첸 흐신-유
유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첸 흐신-유, 유경수 filed Critical 첸 흐신-유
Priority to KR20-2005-00119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43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4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434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저장 용기는 뚜껑체(20)에 마련된 차폐 맴브레인(30)을 포함하며, 이 차폐 맴브레인(30)은 각기 뚜껑체(20)의 천공 홀(232)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배치된 다수 개의 보어(301)를 구비하고, 또한 선회 축(31)이 마련되어 차폐 맴브레인이 선회 이동되어 뚜껑체(20) 상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통체(10)에 뚜껑체(20)를 덮은 후 상기 천공 홀(232)의 위치가 차폐 맴브레인(30)에 형성된 보어(301)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뚜껑체(20)를 가압할 수 있어, 통체(10) 내부의 공기가 차폐 맴브레인(30)을 밀어 올려 결국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반면에, 보어(301)가 천공 홀(232)과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통체(20) 내부와 외부 환경 사이의 공기 압력이 평형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뚜껑체(20)가 통체(10)로부터 보다 쉽게 들어 올려질 수 있게 되어 저장 용기의 전자 렌지 사용이 가능해진다. The sto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ielding membrane 30 provided in the lid 20, and the shielding membrane 3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erforation hole 232 of the lid 20, respectively. A plurality of bores 301 are provided, and a pivot axis 31 is provided so that the shield membrane is pivoted so as to be disposed on the lid 20. According to this structure, if the position of the drilling hole 232 is not matched with the position of the bore 301 formed in the shielding membrane 30 after covering the lid 20 to the cylinder 10, the user The sieve 20 can be pressurized so that the air inside the tubular body 10 can push up the shielding membrane 30 and eventuall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n the other hand, when the bore 301 is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rilling hole 232, the air pressure between the cylinder 20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is in equilibrium. Thereby, the lid body 20 can be lifted more easily from the cylinder body 10, and the microwave oven of the storage container can be used.

Description

저장 용기{STORAGE CONTAINER}Storage container {STORAGE CONTAINER}

본 고안은 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단순히 뚜껑체를 가압함으로써 용기 내부로부터 공기를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는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contain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storage container capable of easily releasing air from inside the container by simply pressurizing the lid body.

오랜 기간에 걸쳐 상품의 안전한 저장 문제를 해결하고자 방습, 항균 및 부식 방지에 효과적인 방법을 찾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 일 예로, 곰팡이나 진균류의 경우 그 성장 및 발달 조건을 고려하여, 곰팡이의 침입이 용이한 상품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상대 습도가 60% 이하이거나 온도가 10℃ 이하인 환경 조건 하에 상품을 저장함으로써, 곰팡이의 성장 및 그에 따른 제품 파괴를 방지하는 방안이 있긴 하지만, 이 경우에는 그와 같은 온도를 오랜 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당량의 에너지를 소비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작동이 또한 매우 비경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품 보호 방안은 보존 공간 내부의 습기 문제를 제어하는 쪽으로 역점을 둘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Over the years, efforts have been made to find effective ways to resist moisture, antibacterial and corrosion to solve the problem of safe storage of goods. For example, in the case of mold or fungus, consider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conditions, to effectively protect products that are easily invaded by mold, the product is stored under environmental conditions with a relative humidity of 60% or less or a temperature of 10 ° C or less. Although there are measures to prevent the growth of mold and consequently the destruction of the product, in this case it is not only necessary to consume a considerable amount of energy to reliably control such temperature for a long time, but also to operate very uneconomically. There is. Therefore, product protection measures have to focus on controlling the moisture problem in the storage space.

또한, 산화성 부식(부패) 문제를 살펴 보자면, 대기 중으로부터 산소를 제거하는 일이 비교적 어렵고 비실용적임에 따라, 마찬가지로 상품의 보호 방안은 결국 습기 제어에 중점을 둘 수밖에 없다. 그동안의 과학적 연구 결과로부터 증명된 바와 같이, 금속의 경우 부식 임계치 이하의 환경에 저장할 경우에는 그 부식 속도가 둔화된다. 즉, 주위 습도가 떨어지면 떨어질수록, 부식 속도도 둔화된다. 만약 보존 환경의 상대 습도가 30%까지 떨어지게 되면, 이러한 낮은 수준의 습도는 결국 전기 화학 부식 공정을 억제하여, 금속의 부식을 저지하는 수준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주위 환경의 습기 제어는 상품의 전반적인 보존을 위한 가장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서, 주위 환경의 상대 습도를 40% 정도로 제어할 경우, 대다수의 상품의 안전한 보존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of oxidative corrosion (corrosion) is that the removal of oxygen from the atmosphere is relatively difficult and impractical, so similarly, the protection of the product has to focus on moisture control. As evidenced by scientific research, the corrosion rate of metals is slowed when stored in an environment below the corrosion threshold.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ambient humidity is, the slower the corrosion rate is. If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preservation environment drops to 30%, this low level of humidity eventually leads to the inhibition of the electrochemical corrosion process, reaching a level that prevents corrosion of the metal. As mentioned earlier, moisture control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overall preservation of the product. Therefore, when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controlled to about 40%,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afe preservation of the majority of goods.

광대한 양의 조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카메라의 경우를 예로 들자면, 카메라 렌즈에 곰팡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의 카메라가 저장용 기밀 용기와 함께 제습 수단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이러한 제습 수단은 내부 용량이 적은 저장 용기에만 유효한 방안으로서 상품의 대량 보존에는 적당하지 않다. 이로 인해 제습 수단의 적용 범위는 제한되어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amera capable of storing a large amount of survey information, it is true that most cameras use a dehumidifying means together with a storage container to prevent mold from entering the camera lens. The means are effective only for storage containers with low internal capacity and are not suitable for mass storage of goods. For this reason,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dehumidification means is limited.

또한, 일반적인 음식재료 보존 방안을 살펴보면, 요즈음에는 일명 신선도 유지 용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신선도 유지 용기의 경우 완전 밀봉 가능하여 음식물을 공기와 완전히 격리시켜 세균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긴 하지만, 실제로 그 내부가 진공 상태에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음식물의 부패를 방지할 수는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그러한 신선도 유지 용기에 범용 진공 장치를 장착하는 방안이 있지만, 그와 같은 진공 장치는 설치에 소정 공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가격도 대체로 높다는 문제가 있다. 이는 결국 그와 같은 신선도 유지 용기를 대량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사용자, 특히 용기를 완전히 진공 상태로 만들 필요는 없는 사용자에게는 큰 부담을 주게 된다. 또한, 진공 장치를 장착한 용기의 경우 그 진공 장치의 복잡한 구성 요소들로 인해 세척이 불편하여 종종 찌꺼기를 남기게 되므로, 결국 눈에는 보이지 않는 세균의 용기 내부로의 침입을 허용하게 된다. 특히, 저장 상품이 피클과 같은 발효 물질인 경우에는, 찌꺼기를 찾는 일을 태만히 하고 세척을 부적절하게 행하는 한 저장 상품에 세균이 발생하기가 쉽다.In addition, if you look at the general food preservation plan, these days, a so-called freshness maintaining container is used, which can be completely sealed, so that the food is completely isolated from the air to prevent the invasion of bacteria, but actually inside Is not in a vacuum, so food spoilage cannot be prevent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method of mounting a general-purpose vacuum device in such a freshness maintaining container, but such a vacuum device requires a certain space for installation and has a problem that the price is generally high. This, in turn, places a heavy burden on users who must use such freshness-keeping containers in large quantities, especially those who do not need to completely vacuum the containers.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tainer equipped with a vacuum device, the intricate components of the vacuum device are inconvenient to clean, which often leaves a residue, which in turn allows the invisible bacteria to enter the container. In particular, when the storage product is a fermentation substance such as pickles, bacteria are likely to occur in the storage product as long as the lagging work is neglected and the washing is improperly performed.

본 고안의 제1 목적은 그 구성 요소가 간단하며 세척을 위해 분해하기가 용이한 진공 저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storage container whose components are simple and easy to disassemble for cleaning.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작이 용이하고 그 구성 요소의 비용이 저렴한 진공 저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storage container which is easy to operate and low in cost of its components.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를 바닥에 떨어트린 경우에도 그 뚜껑체가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또한 뚜껑체를 분리하지 않고 전자 렌지에 사용할 수 있는 저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orage container which can be used in a microwave oven without the lid being easily separated even when the container is dropped on the floor.

본 고안의 저장 용기는 크게 통체와 뚜껑체로 나누어진다. 통체는 그 하우징 내부에 공간을 획정하고 있으며, 통체의 상면 둘레에는 돌출 테두리부가 마련되어 뚜껑체가 덮어지는 위치를 한정하도록 되어 있다. 뚜껑체의 저면 둘레부에는 가스켓을 수용하여 위치 설정할 수 있는 환형테(annulus)가 마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저장 용기는 뚜껑체의 상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홈의 중앙부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구멍에 인접하여 여러 개의 천공 홀이 마련되어 있다. 각기 상기 천공 홀과 대응하는 위치로 배치된 다수 개의 보어를 구비한 차폐 맴브레인이 마련되어 있다. 이 차폐 맴브레인에는 또한 선회 축이 마련되어 차폐 맴브레인이 선회 이동되어 상기 구멍 안쪽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The sto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a cylinder and a lid body. The cylinder defines a space inside the housing, and a protruding edge is provided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er to define a position at which the lid is covered. The bottom periphery of the lid is provided with an annulus that can receive and position a gasket. Sto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A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groove, and several drilling holes are provided adjacent to the hole. A shielding membran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ores, each arrang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rilling hole. The shield membrane also has a pivot axis, which serves to pivot the shield membrane so that it can be placed inside the hol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통체에 뚜껑체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천공 홀의 위치가 차폐 맴브레인에 형성된 보어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뚜껑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되어, 통체 내부의 공기가 차폐 맴브레인을 밀어 올리고 결국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반면에, 보어가 천공 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통체 내부와 외부 주위 환경과의 공기 압력이 평형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뚜껑체가 통체(10)로부터 보다 쉽게 들어 올려질 수 있게 되어 저장 용기의 전자 렌지 사용이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position of the said drilling hole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position of the bore formed in the shielding membrane in the state which covered the lid body to a cylinder, a user can pressurize a lid body, and the air inside a cylinder may be shielded membrane. It can be pushed up and eventually released to the outside. On the other hand, when the bore is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rilling hole, the air pressure between the inside of the cylinder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in equilibrium. As a result, the lid can be more easily lifted from the cylinder 10, so that the microwave oven can be used for the storage container.

본 고안의 전술한 바 및 그외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mad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크게 통체(10)와 뚜껑체(20)로 구성되어 있다. 통체(10)는 그 하우징 내부에 공간(11)을 획정하고 있으며, 통체(10)의 상면 둘레에는 돌출 테두리부(101)가 마련되어 뚜껑체(20)가 덮어지는 위치를 한정하도록 되어 있다. 뚜껑체(20)의 저면 둘레에는 가스켓(gasket)(22)을 수용하여 위치 설정할 수 있는 환형테(21)가 마련되어 있다. 뚜껑체(20)로 통체(10)를 덮게 되면, 통체(10)의 상면이 가스켓(22)을 가압하여 저장 용기 내부가 밀봉 상태로 된다.1 to 3, the subject innova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cylinder 10 and the lid 20. The cylinder 10 defines a space 11 inside the housing, and a protruding edge 101 is provided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er 10 so as to define a position at which the lid 20 is covered. An annular frame 21 is provided around the bottom of the lid 20 to accommodate and position a gasket 22. When the cylinder body 10 is covered with the lid body 20,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er body 10 presses the gasket 22, and the in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is sealed.

뚜껑체(20)의 상면에는 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23)의 중앙부에는 구멍(231)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구멍(231)에 인접하여 여러 개의 천공 홀들(23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천공 홀들(232)과 대응하는 위치로 마련된 보어들(bores)(301)을 구비한 차폐 맴브레인(30)이 연질 재료로 제조되어 있으며, 이러한 차폐 맴브레인(30)에는 또한 선회 축(31)이 마련되어 차폐 맴브레인(30)이 선회 이동되어 상기 구멍(231) 안쪽에 배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차폐 맴브레인(30)은 회전 손잡이(32)를 구비하여, 차폐 맴브레인(30)이 구멍(231) 내로 선회 이동하여 삽입된 경우, 회전 손잡이(32)를 이용하여 차폐 맴브레인(3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 결과, 차폐 맴브레인(30) 상의 보어(301)의 위치가 홈(23)의 천공 홀(232)의 상대 위치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The groove 23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0. A hole 23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groove 23, and a plurality of drilling holes 232 are provided adjacent to the hole 231. A shielding membrane 30 having bores 301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rilling holes 232 is made of a soft material, and the shielding membrane 30 also includes a pivot axis 31. The shield membrane 30 is pivoted so as to be disposed inside the hole 231. The shield membrane 30 is provided with a rotary knob 32, and when the shield membrane 30 is inserted into the hole 231 by pivoting, the position of the shield membrane 30 is facilitated by using the rotary knob 32. FIG. Can be adjusted.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bore 301 on the shield membrane 3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drilled hole 232 of the groove 23.

뚜껑체(20) 상면의 양 단부에는 폐쇄용 걸쇠(24)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통체(10) 상면의 대응하는 양 단부에는 상기 폐쇄용 걸쇠(24)와 짝을 이루어 결합 가능한 후크 부재(12)가 돌출 형성되어, 통체(10)와 뚜껑체(20)의 결합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불완전 밀봉으로 인해 통체(10)가 뚜껑체(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확실한 결합 상태는 결국 용기의 휴대 이동시의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Closing latches 24 are pivotally mounted at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0, and hook members capable of mating with the closing clasps 24 at both corresponding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er 10. (12) is formed to protrude, the engagement of the cylinder 10 and the lid 20 can be made more securely, and thus can prevent the cylinder 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id 20 due to incomplete sealing. . This secure engagement state, in tur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container when carrying.

이하에는 전술한 결합 구조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상품 저장을 위해 본 고안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우선 상품을 간단히 통체(10)의 하우징 공간(11) 내로 집어넣은 다음, 통체(10)를 뚜껑체(20)로 덮고, 뚜껑체(20) 양단의 폐쇄용 걸쇠(24)를 통체(10)의 양 후크 부재(12)에 채워 저장 용기를 밀봉 상태로 만든다. 이 상태에서 뚜껑체(20)의 상면을 손으로 가압하게 되면(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체(10)의 하우징 공간(11) 내부에 원래 있던 공기가 천공 홀(232)을 통해 방출될 수 있게 된다. 공기가 상방으로 밀리는 힘으로 인해 차폐 맴브레인(30)의 둘레 가장자리가 상방으로 밀려, 하우징 공간(11) 내부의 공기가 외측으로 방출될 수 있게 됨으로써 하우징 공간(11) 내부가 거의 진공 상태로 된다. 이렇게 해서, 본 고안의 저장 용기는 진공 상태에 도달할 수 있으며 그 조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저렴한 구성 요소로 구성된다. 대체로 저장 기간이 짧은 상품의 경우, 종래 기술의 저장 용기에 비해 본 고안이 상당히 보다 우수하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차폐 맴브레인(30)의 분해가 용이함으로 인해, 매번 사용 후 세척이 가능하여 맴브레인에 찌꺼기가 남기가 어려워, 결국 저장 용기에 찌꺼기가 남는 일이 없게 된다.Hereinafter, the above-described coupl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When using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duct storage, the user first simply inserts the product into the housing space 11 of the cylinder 10, then covers the cylinder 10 with the lid 20, and ends of the lid 20. The closing clasp 24 of the cylinder 10 is filled in both the hook members 12 of the cylinder 10, and a storage container is sealed. In this state,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0 is pressurized by hand (as shown in FIG. 4), air originally released inside the housing space 11 of the cylinder 10 is discharged through the drilling hole 232. It becomes possible. Due to the force of the air being pushed upward,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shielding membrane 30 is pushed upward, so that the air in the housing space 11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by mak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space 11 almost vacuum. In this way, the sto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ch a vacuum state and is easy to operate, and is composed of inexpensive components. In general, a product with a short shelf life can be sai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iderably superior to the prior art storage container, and also due to the easy disassembly of the shielded membrane 30, it is possible to wash after each use, leaving residue on the membrane. This is difficult to leave, and eventually no residue is left in the storage container.

저장 용기로부터 상품을 꺼내고자 할 경우에는, 단지 손가락으로 회전 손잡이(32)를 잡고 차폐 맴브레인(30)을 회전시켜 그 차폐 맴브레인(30)의 보어(301)의 위치를 홈(23)의 천공 홀(232)과 일치시킴으로써, 외기가 하우징 공간(11) 내로 유입될 수 있는 침입 상태를 조성하여(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공간(11)과 외기 사이의 공기 압력이 평형 상태를 이루도록 하면 된다. 이에 따라 뚜껑체(20)가 통체(10)로부터 보다 쉽게 들어 올려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어(301)와 천공 홀(232) 사이에 조성된 외기 침입 상태로 인해, 저장 용기가 일반적인 전자 렌지에 사용되는 경우 뚜껑체(20)를 분리하지 않고 용기 내부의 상품이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조리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용기의 전체적인 조작은 매우 쉬우면서도 편리하고 실용적이다.To remove the product from the storage container, simply hold the rotary knob 32 with a finger and rotate the shield membrane 3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ore 301 of the shield membrane 30 is changed to the perforation hole of the groove 23. By coinciding with 232, it creates an intrusion state through which outside air can flow into the housing space 11 (as shown in FIG. 6) so that the air pressure between the housing space 11 and the outside air is in equilibrium. Just do it. Thereby, the lid 20 can be lifted more easily from the cylinder 10. In addition, due to the external air intrusion state formed between the bore 301 and the drilling hole 232, when the storage container is used in a general microwave oven, the product inside the container uses microwaves without removing the lid 20. It can be cooked. The overall operation of such a container is very easy, yet convenient and practical.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뚜껑체(20)에 마련된 홈(23)의 중앙부에는 구멍(2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231)에 인접하여 다수 개의 천공 홀(232)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231)의 둘레에는 또한 유지 시트(233)와, 이 유지 시트(233)를 에워싸는 역류 방지 덮개(2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역류 방지 덮개(25)의 둘레에는 다수 개의 안내 슬롯(251)이 형성되어 있다. 7 and 8, a hole 231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groove 23 provided in the lid 20, and a plurality of drilling holes 232 are formed adjacent to the hole 231. It is. The holding sheet 233 and the non-return lid 25 surrounding the holding sheet 233 are protruded around the hole 231. A plurality of guide slots 251 is formed around the backflow prevention cover 25.

전술한 기술 내용과 등가의 구성으로서, 각기 상기 천공 홀(232)과 대응하는 위치로 마련된 보어(301)를 구비한 차폐 맴브레인(30)이 연질 재료로 제조되어 있으며, 이러한 차폐 맴브레인(30)에는 또한 선회 축(31)이 마련되어 차폐 맴브레인(30)이 선회 이동되어 상기 구멍(231) 안쪽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차폐 맴브레인(30)은 회전 손잡이(32)를 구비하여, 차폐 맴브레인(30)이 구멍(231) 내로 선회 이동하여 삽입된 경우, 회전 손잡이(32)를 이용하여 차폐 맴브레인(3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 결과, 차폐 맴브레인(30) 상의 보어(301)의 위치가 홈(23)의 천공 홀(232)의 상대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As a configuration equivalent to the above description, a shielding membrane 30 having a bore 301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rilling hole 232, respectively, is made of a soft material, and the shielding membrane 30 includes In addition, the pivot shaft 31 is provided so that the shield membrane 30 is pivoted and disposed inside the hole 231. The shield membrane 30 is provided with a rotary knob 32, and when the shield membrane 30 is inserted into the hole 231 by pivoting, the position of the shield membrane 30 is facilitated by using the rotary knob 32. FIG. Can be adjusted.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bore 301 on the shield membrane 3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drilled hole 232 of the groove 23.

이하에는 전술한 결합 구조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 상품 저장을 위해 본 고안을 사용할 경우, 우선 뚜껑체(20)로 통체(10)를 덮은 다음, 뚜껑체(20) 양단의 폐쇄용 걸쇠(24)를 통체(10)의 양 후크 부재(12)에 채워 저장 용기를 밀봉 상태로 만든다. 이 상태에서 뚜껑체(20)의 상면을 손으로 가압하게 되면(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체(10)의 하우징 공간(11) 내부에 원래 있던 공기가 역류 방지 덮개(25)의 안내 슬롯(251)과 천공 홀(232)을 통해 외측으로 방출될 수 있게 된다. 공기가 상방으로 밀리는 힘으로 인해 차폐 맴브레인(30)의 둘레 가장자리가 상방으로 밀려, 하우징 공간(1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저장 상품이 액상인 경우, 역류 방지 덮개(25)를 사용하여 액체(저장 상품)가 천공 홀(232)을 통해 흘러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coupling structure is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In the case of using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duct storage, first, the cylinder body 10 is covered with the lid body 20, and then the closing latches 24 at both ends of the lid body 20 are hooked members 12 of the cylinder body 10. To fill the container and seal it. In this state,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0 is pressed by hand (as shown in FIG. 9), air originally inside the housing space 11 of the cylinder 10 is guided by the backflow prevention cover 25.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lot 251 and the hole 232. Due to the force of air being pushed upward, the peripheral edge of the shielding membrane 30 is pushed upward, so that the air inside the housing space 11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when the stored product is a liqui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quid (stored product)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drilling hole 232 by using the backflow prevention cover 25.

저장 용기로부터 상품을 꺼내고자 할 경우에는, 단지 손가락으로 회전 손잡이(32)를 잡고 차폐 맴브레인(30)을 회전시켜 그 차폐 맴브레인(30)의 보어(301)의 위치를 홈(23)의 천공 홀(232)과 일치시킴으로써, 외기가 안내 슬롯(251)을 통해 하우징 공간(11) 내로 유입될 수 있는 침입 상태를 조성하여(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공간(11)과 외기 사이의 공기 압력이 평형 상태를 이루도록 하면 된다. 이에 따라 뚜껑체(20)가 통체(10)로부터 보다 쉽게 들어 올려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어(301)와 천공 홀(232)의 사이에 조성된 외기 침입 상태로 인해, 저장 용기가 일반적인 전자 렌지에 사용되는 경우 뚜껑체(20)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용기 내부의 상품이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조리될 수 있게 된다. To remove the product from the storage container, simply hold the rotary knob 32 with a finger and rotate the shield membrane 3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ore 301 of the shield membrane 30 is changed to the perforation hole of the groove 23. By coinciding with 232, it creates an intrusion state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can flow into the housing space 11 through the guide slot 251 (as shown in FIG. 10),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housing space 11 and the outside air is reduced. The air pressure may be balanced. Thereby, the lid 20 can be lifted more easily from the cylinder 10. In addition, due to the external air intrusion state formed between the bore 301 and the drilling hole 232, when the storage container is used in a general microwave oven, the product inside the container does not receive the microwaves without removing the lid 20 It can be cooked using.

본 고안이 그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되어 있지만, 전술한 기술 내용이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그 기타 여러 수정예 및 변형예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relation to its preferred embodiments,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any oth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전술한 바와 같은 설계 구조의 결과, 본 고안은 차폐 맴브레인(30)이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저장 용기 내부의 공기가 전력 사용 없이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또한, 조작이 편리하고 휴대가 가능하며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그 내부 상품, 즉 식품의 조리가 용이하다는 장점 외에도, 그 취급 및 운반이 용이하여, 상당히 실용적이면서도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As a result of the design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shield membrane 30 is formed in a simple structure so that the air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can be easily discharged without using pow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and portable, and easy to handle and transport, in addition to the advantages of the internal product, that is, the cooking of food using microwaves, is quite practical and saf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도.2 is an exploded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뚜껑체의 가압 상태를 보여주는 본 고안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pressurized state of the lid.

도 5는 뚜껑체의 가압 상태를 보여주는 본 고안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pressurized state of the lid.

도 6은 차폐 맴브레인의 보어를 보여주는 단면도.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bore of the shielding membrane;

도 7은 역류 방지 덮개를 추가로 구비한 본 고안의 분해도.Figure 7 is an exploded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d with a backflow prevention cover.

도 8은 역류 방지 덮개를 추가로 구비한 본 고안의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d with a backflow preventing cover.

도 9는 뚜껑체의 가압 상태를 보여주는 본 고안의 단면도.9 is a 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pressurized state of the lid.

도 10은 차폐 맴브레인의 보어 위치 조절 상태를 보여주는 본 고안의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bore position adjustment state of the shield membran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통체 20 : 뚜껑체10: cylinder 20: lid

23 : 홈 231 : 구멍23: groove 231: hole

30 : 차폐 맴브레인 31 : 선회 축30: shield membrane 31: pivot axis

232 : 천공 홀 301 : 보어232: drilled hole 301: bore

Claims (5)

통체(10)와 뚜껑체(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체(10)는 그 하우징 내부에 공간(11)을 획정하고 있고, 상기 통체(10)의 상면 둘레에는 돌출 테두리부(101)가 마련되어 상기 뚜껑체(20)가 덮어지는 위치를 한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체(20)의 저면 둘레에는 가스켓(gasket)(22)을 수용하여 위치 설정할 수 있는 환형테(21)가 마련되어 있는 저장 용기에 있어서,Comprising a cylindrical body 10 and the lid body 20, the cylinder 10 has a space 11 is defined inside the housing, and a protruding edge 101 is formed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er 10. It is provided so as to define a position where the lid 20 is covered,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20 is provided with an annular frame 21 for receiving and positioning a gasket (gasket) 22 is positioned In the container, 상기 뚜껑체(20)의 상면에 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23)의 중앙부에는 구멍(2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231)에 인접하여 다수 개의 천공 홀들(232)이 형성되어 있으며,A groove 23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id 20, and a hole 231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groove 23, and a plurality of drilling holes 232 are adjacent to the hole 231. Is formed, 상기 천공 홀들(232)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배치된 다수 개의 보어들(301)을 구비한 차폐 맴브레인(30)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차폐 맴브레인(30)에는 또한 선회 축(31)이 마련되어 차폐 맴브레인이 선회 이동되어 상기 구멍(231) 안쪽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A shielding membrane 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ores 301 arrang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drilling holes 232, and the shielding membrane 30 is also provided with a pivoting shaft 31 to shield. A sto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embrane is pivoted so that it can be disposed inside the hole (2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20)의 상면 양단에는 각기 폐쇄용 걸쇠(24)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통체(10)의 상면 양단에는 상기 폐쇄용 걸쇠(24)와 짝을 이루어 결합 가능한 후크 부재(12)가 각기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id body 20 are rotatably mounted, respectively,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tubular body 10 are mated with the closing clasp 24. The sto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member 12 is formed to protrude ea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맴브레인(30)은 회전 손잡이(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2.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hield membrane (30) has a rotary handle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231)의 둘레에는 또한, 유지 시트(233)와, 상기 유지 시트(233)를 에워싸는 역류 방지 덮개(25)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olding sheet (233) and a backflow preventing cover (25) surrounding the holding sheet (233) are formed protrudingly around the hole (23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덮개(25)의 둘레에는 다수 개의 안내 슬롯(25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5. The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plurality of guide slots (251) are formed around the backflow prevention cover (25).
KR20-2005-0011905U 2005-04-28 2005-04-28 Storage container KR20039143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905U KR200391434Y1 (en) 2005-04-28 2005-04-28 Storag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905U KR200391434Y1 (en) 2005-04-28 2005-04-28 Storage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434Y1 true KR200391434Y1 (en) 2005-08-04

Family

ID=43692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905U KR200391434Y1 (en) 2005-04-28 2005-04-28 Storage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434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0249A1 (en) * 2010-01-21 2011-07-28 (주) 코덱스 Vacuum container lid for easy sealing
CN109132101A (en) * 2018-09-04 2019-01-04 杭州佳达塑料模具有限公司 Liquid container exports air interchanger and liquid contai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0249A1 (en) * 2010-01-21 2011-07-28 (주) 코덱스 Vacuum container lid for easy sealing
US8590722B2 (en) 2010-01-21 2013-11-26 Kodaecs Co., Ltd. Vacuum receptacle lid for easy sealing
CN109132101A (en) * 2018-09-04 2019-01-04 杭州佳达塑料模具有限公司 Liquid container exports air interchanger and liquid container
CN109132101B (en) * 2018-09-04 2024-03-26 杭州佳达塑料模具有限公司 Liquid container outlet ventilation device and liquid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4255A (en) Vacuum sealed apparatus for storing foodstuffs
KR200301897Y1 (en) Airtight container
US7931052B2 (en) Vacuum storage container
WO2007056703A3 (en) Diaper pail
US5398811A (en) Vacuum sealed canister
KR200391434Y1 (en) Storage container
US20070056971A1 (en) Vacuum type food container
US20050145292A1 (en) Vacuum operable container for storing food
KR200404820Y1 (en) an airtight caster with only one lock
KR20060116628A (en) The an airtight container for food
KR101409575B1 (en) Airtight cover for food keeping container
WO2020039336A1 (en) Sealable lid an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KR101401957B1 (en) A airtight container for keeping food
KR19980049963U (en) Dehumidification sealed container
GB2372732A (en) Container of adjustable volume
KR200416615Y1 (en) A cover of vacuum preservation container
CN212830171U (en) Multifunctional storage box
KR20030030860A (en) airtight container for keeping food
KR200207088Y1 (en) Closed vessel for foods
KR200220063Y1 (en) a double cover used for food receptacle
KR20220029220A (en) A Vacuum rice container which can keep fresh a rice for a long time
KR200328350Y1 (en) Vacuum Valve for vessel
KR200294828Y1 (en) Seal container to keep a food
KR19990010277A (en) Exhaust System of Food Container
KR960009670Y1 (en) Cover of food-vess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