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160Y1 - Sanitary arrangement for urinal receptacle - Google Patents

Sanitary arrangement for urinal recepta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160Y1
KR200391160Y1 KR20-2005-0012880U KR20050012880U KR200391160Y1 KR 200391160 Y1 KR200391160 Y1 KR 200391160Y1 KR 20050012880 U KR20050012880 U KR 20050012880U KR 200391160 Y1 KR200391160 Y1 KR 2003911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container
bin
sanitary
ur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88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현서
Original Assignee
류현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현서 filed Critical 류현서
Priority to KR20-2005-0012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16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1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160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2Holders; Receptacles for rolled-up web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남성들이 화장실의 소변기에서 소변을 본 후 잔뇨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되어 화장실 내 장착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한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nitary tool for men's urinals that can easily handle the residual urine after men urinate in the urinal of the toilet, the simple structure is easy to use and easy to use in the toilet.

이에 본 고안은, 화장실 소변기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내부에는 휴지가 구비되는 휴지함과, 상기 휴지함에 연결되어 사용된 폐휴지를 담기 위한 수거통을 포함하는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nitary utensil for toilet urinals, which includes a toilet bin located close to the toilet urinal and provided with a toilet paper and a waste paper waste container connected to the toilet box.

Description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SANITARY ARRANGEMENT FOR URINAL RECEPTACLE}Sanitary ware for toilet urinals {SANITARY ARRANGEMENT FOR URINAL RECEPTACLE}

본 고안은 화장실용 위생 설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고안은 남성용 화장실의 소변기용 위생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nitary installation for the toile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nitary appliance for urinals of men's toilets.

일반적으로 남성용 화장실 내에는 대변을 처리하기 위한 대변기와 소변을 처리하기 위한 소변기가 분리되어 설치된다.In general, a toilet for men and women in the toilet for urine and urine for urine treatment is installed separately.

여기서 상기 대변기는 주위에 별도의 칸막이가 가려진 공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공간 내에는 대변 후 뒷처리를 위한 휴지 등이 구비되어 적절한 용도로 사용된다.Here, the toilet is located in a space covered with a separate partition around the space in the space is provided with a toilet for post-treatment and after treatment is used for proper use.

그러나, 통상 화장실내의 개방된 공간 내에 위치하는 상기 소변기의 경우에는 소변을 보고 나서 마땅히 뒤처리 할 수 있는 시설이 구비되어 있지 못해 후처리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urinal which is usually located in the open space in the toilet, there is a problem that post-treatment is difficult because there is no facility for post-treatment after peeing.

이에 따라 대부분의 경우 남성들은 소변을 본 후에 뒷처리 작업으로써 요도를 흔들면서 요도에 남아 있는 소변을 배출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소변 방울이 화장실 바닥에 떨어져 주위를 오염시키거나, 바지나 속옷에 묻는 문제점이 발생된다.In most cases, men urinate and then shake the urethra as a post-treatment, releasing the urine that remains in the urethra. Problems aris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남성들이 화장실의 소변기에서 소변을 본 후 잔뇨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된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nitary utensil for toilet urinals so that men can easily handle the residual urine after urinating in the urinal of the toilet.

또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되어 화장실 내 장착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한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sanitary tool for toilet urinals easy to use and easy to install in the toilet.

또한, 본 고안은 사용된 위생구의 후처리가 용이한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sanitary utensil for toilet urinals easy to post-treatment of the sanitary tool us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화장실 소변기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내부에는 휴지가 구비되는 휴지함과, 이 휴지함에 연결되어 사용된 휴지를 담기 위한 수거통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ilet paper located close to the toilet urinal and provided with a toilet paper, and a waste paper container connected to the toilet paper.

여기서 상기 휴지함 또는 상기 수거통은 화장실의 벽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bin or the bin is preferably detachably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athroom.

이를 위해 화장실의 벽면에는 볼트를 매개로 고정되고 측단이 안쪽으로 절곡되어 T자 단면형태를 이루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체결구가 설치되고, 상기 휴지함 또는 상기 수거통의 일측면에는 상기 체결구의 T형 가이드레일에 끼워지도록 T자 단면형태의 걸림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 fastener formed with a guide rail having a T-shaped cross section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bathroom by means of bolts and is bent inward, and the T-shaped guide of the fastene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in or the container. A locking member having a T-shaped cross section may be formed to be fitted to the rail.

이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끼워줌으로서 벽면에 휴지함 또는 수거통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by fitting the locking member along the guide rail, it is possible to fix the waste bin or the container on the wall.

또한, 상기 휴지함에 구비되는 휴지는 원형 코어에 휴지가 연속적으로 감긴 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ilet paper provided in the toilet pap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toilet paper is continuously wound on a circular core.

상기 원형의 휴지가 장착되도록 상기 휴지함은 내부 중심에 상기 휴지의 코어가 끼워지도록 축이 돌출형성되고 일측면에는 휴지가 인출되도록 슬릿이 형성된 본체와, 이 본체를 덮는 덮개, 상기 덮개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축에 형성된 암나사홀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toilet pap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oilet paper is axially protruded so that the core of the paper is inserted into an inner center thereof, and a slit is formed on one side thereof so that the paper is drawn out, a cover covering the body, and a center of the cover. It may include a fastening bolt penetrated to the female screw hole formed in the shaft.

이 경우 상기 휴지함의 부피가 커지므로, 상기 수거통은 휴지함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거통은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로 휴지가 모아지는 함체 구조물로, 상기 휴지함의 외측에서 휴지함의 안쪽으로 함몰된 축 내부로 끼워지도록 측면에 돌기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volume of the bin is increa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bin is installed in the bin, and the bin is an enclosure structure in which the top is opened and the toilet is collected inside, and the shaft recessed inward of the bin at the outside of the bin.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sides to be fitted into the protrusions.

또한, 상기 수거통은 외측면에 T자 단면형태의 걸림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휴지함의 측면에 양 측단이 절곡되어 T자 단면형태를 이루는 가이드레일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iner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shaped cross-section engaging member is bent on both sides of the side of the bin can be fitted into the guide rail to form a T-shaped cross-section.

또한, 상기 수거통은 측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수거통으로 슬라이딩되어 삽입 또는 인출되는 내통을 더욱 포함하여 서랍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iner can be configured in a drawer type further including an inner cylinder which is inserted into or withdrawn by sliding into the container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side.

한편, 상기 휴지함에 구비되는 휴지는 낱개의 휴지가 다수 적층되어 한 장씩 뽑아쓰는 구조일 수 있다. Meanwhile, the toilet paper provided in the toilet pap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oilet papers are stacked and drawn out one by one.

그리고 이를 위해 상기 휴지함은 적층된 휴지가 장입되도록 일측 선단이 개방되고 개방된 선단에 덮개가 설치된 구조일 수 있다. And for this purpose, the toilet pap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front end is opened and a cover is installed at the open end so that the stacked toilet paper is charged.

이 경우 상기 휴지함보다 수거통의 부피가 커지므로 수거통에 휴지함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휴지함은 상기 수거통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거통의 상측 전방부에는 중공부가 마련됨과 동시에 그 끝단에 상측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수거통의 하측 전방부에는 그 끝단에 하측 걸림턱이 형성된 판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휴지함이 상기 상측 걸림턱과 하측 걸림턱 사이에 고정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volume of the bin becomes larger than the bin,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bin in the bin, and for this purpose, at least one bin is installed in the bin. In addition, the upper front portion of th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hollow portion and at the end of the upper locking jaw is provided, the lower front portion of th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leaf spring having a lower locking jaw at the end thereof, It may be mounted to be fixed between the upper locking jaw and the lower locking jaw.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nitary utensil for toilet urinal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anitary utensil for toilet urinal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assembly state of the sanitaryware for toilet urinals which concerns on an embodiment.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위생구(10)는 소변기(110)에 근접하여 화장실 벽면(100)에 설치되는 체결구(40)와, 이 체결구(4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원형으로 감긴 휴지롤(50)이 구비되는 휴지함(20)과, 이 휴지함(20) 측면에 장착되어 사용된 폐휴지가 담아지는 수거통(30)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sanitary too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fastener 40 which is installed on the toilet wall surface 100 in close proximity to the urinal 110, and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astener 40 And the inside includes a bin (20) is provided with a roll (50) woun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waste container (30) containing waste paper used to be mounted on the side of the bin (20).

상기 체결구(40)는 전면에 나사홀(41)이 형성되어 이 나사홀(41)을 통해 벽면(100)에 체결되는 볼트(42)를 매개로 상기 벽면(100)에 고정설치되며, 양측단이 안쪽으로 절곡되어 T자 단면형태의 가이드레일(43)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fastener 40 is a screw hole 41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100 via the bolt 42 which is fastened to the wall surface 100 through the screw hole 41, both sides The end is bent inward to form a guide rail 43 having a T-shaped cross section.

또한, 상기 휴지함(2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원형의 휴지롤(50)이 삽입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상기 휴지롤로부터 풀려나오는 휴지(51)가 인출되도록 슬릿(22)이 형성된 본체(21)와, 이 본체(21)의 내측 중앙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휴지롤(50)의 중앙 코어(52)가 끼워지는 축(23), 상기 본체(21)의 개방된 전면을 덮기 위한 덮개(24), 상기 덮개(24)의 중앙에 형성된 홀(25)을 관통하여 상기 축(23)의 중심에 형성된 나사홀(26)에 체결되어 덮개(24)를 고정하는 체결볼트(27)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in 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the space is formed so that the circular pause roll 50 is inserted therein, and the slit 22 so that the toilet 51 released from the pause roll is drawn out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The main body 21 formed therein, a shaft 23 protruding from the inner center of the main body 21 to which the central core 52 of the rest roll 50 is fitted, and an open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1. A fastening bolt for fastening the cover 24 by fastening the cover 24 and the screw hole 26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haft 23 through the hole 25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ver 24. 27).

이에 따라 코어(52)에 휴지(51)가 연속적으로 감겨 이루어지는 휴지롤(50)은 상기 축(23)에 끼워져 본체(21) 내에 내장될 수 있고, 상기 휴지롤(50)로부터 풀려나오는 휴지(51)는 본체(21)의 전면에 형성된 슬릿(22)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Accordingly, the pause roll 50 formed by continuously winding the tissue 51 on the core 52 may be embedded in the main body 21 by being fitted to the shaft 23, and the toilet roll released from the pause roll 50 ( 51 is drawn out through the slit 22 formed in the front of the main body 21.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40)는 양 측단이 안쪽으로 절곡되어 T자 단면형태의 가이드레일(43)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휴지함(20)은 본체(21) 후면에 상기 체결구(40)의 가이드레일(53)에 끼워지도록 가이드레일과 대응되는 크기의 T자 단면형태의 걸림부재(28)가 형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fastener 40 has both side ends bent inward to form a guide rail 43 having a T-shaped cross section, and the stopper 2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21. A locking member 28 having a T-shaped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guide rail is formed to be fitted to the guide rail 53 of the fastener 40.

따라서 상기 본체(21)의 걸림부재(28)를 상기 체결구(40)의 가이드레일(43)에 끼워줌으로써 화장실 벽면(100)에 휴지함(20)을 고정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by fitting the locking member 28 of the main body 21 to the guide rail 43 of the fastener 40, the toilet 20 can be fixed to the toilet wall 100.

여기서 상기 체결구(40)는 하단이 막힌 구조로 되어 가이드레일(43)을 따라 끼워진 휴지함(20)의 걸림부재(28)가 체결구(40)로부터 아래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Here, the fastener 4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end is blocked to prevent the catching member 28 of the stopper 20 fitted along the guide rail 43 from falling down from the fastener 40.

그리고 상기 수거통(30)을 살펴보면, 상부가 개방된 사각의 함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휴지함(20)과 접하는 측면에는 휴지함(20)의 본체(21) 외측에서 상기 축(23) 형성에 따라 만들어지는 홈(도 3의 29 참조)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홈(29)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돌기(31)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And looking at the container 30, the upper portion is made of an open rectangular box,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toilet 20 in accordance with the shaft 23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21 of the toilet 20 The protrusion 31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groove 29 is formed so as to fit into the groove to be made (see 29 in FIG. 3).

여기서 상기 홈(29)이라 함은 본체(21)의 중앙부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축(23)을 이룸에 따라 본체(21) 외측에서 상기 축(23)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구조를 의미한다.Here, the groove 29 is formed by being recessed inw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haft 23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1 as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21 protrudes inward and forms the shaft 23. It means structure.

이에 상기 수거통(30)은 상기 홈(29)에 대해 돌기(31)가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됨으로써 휴지함(20)에 고정설치된다.Thus, the container 30 is fixed to the stopper 20 by the protrusion 31 is coupled to the groove 29 by the interference fit method.

따라서 필요시 상기 수거통(30)의 돌기(31)를 홈(29)으로부터 탈거함으로써 휴지함(20)에서 수거통(3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f necessary, by removing the protrusion 31 of the container 30 from the groove 29,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container 30 from the bin 20.

상기한 구조로 되어, 화장실 사용자는 소변기(110)에 소변을 본 후 소변기(110)에 인접설치된 휴지함(20)으로부터 휴지(51)를 적당량 인출하여 요도 등에 남은 잔료를 처리하게 된다. With the above structure, the toilet user urinates in the urinal 110 and draws an appropriate amount of the toilet paper 51 from the toilet box 20 installed adjacent to the urinal 110 to process the residue left in the urethra.

상기 휴지(51)는 휴지롤(50)에 연속적으로 감겨지고 일정 간격으로 절취선(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필요한 양의 휴지(51)를 인출한 후 간단히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 tissue 51 is continuously wound on the tissue roll 50, and a perforation line (not show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user can simply cut and use the tissue 51 after pulling out the required amount of tissue.

그리고 잔뇨 처리에 사용된 폐휴지는 휴지함(20)에 설치된 수거통(30)에 버림으로써 위생적으로 소변 뒤처리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nd waste paper used in the residual urine treatment is to be able to sanitize urine hygienically by discarding in the container (30) installed in the toilet (20).

수거통(30)에 폐휴지가 가득 차게 되면 휴지함(20)의 홈(29)에 돌기(31)를 빼줌으로써 수거통(30)을 휴지함(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수거통(30)에 담긴 폐휴지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waste bin is filled with the waste bin 30, the protrusions 30 may be separated from the waste bin 20 by removing the protrusions 31 into the grooves 29 of the waste bin 20, and the waste bin 30 may be separated. The waste paper containing the waste can be easily handled.

한편, 도 4는 상기 휴지함(20)과 수거통(30)의 체결구(40)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휴지함(20)의 본체(21)측면에는 양 측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T자 단면형태의 가이드레일(35)이 설치되고, 상기 수거통(30)의 일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35)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끼워지는 T자 단면형태의 걸림부재(36)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nother embodiment for the fastener 40 set of the bin 20 and the container 30, both sides of the body 21 side of the bin 20 is bent inward T Guide rail 35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uler is installed, one side of the container 30 is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35 and the T-shaped cross section of the engaging member fitted to the guide rail 36 ) Is formed.

이에 따라 상기 수거통(30)은 휴지함(20)의 본체(21)에 형성된 가이드레일(35)에 걸림부재(36)를 매개로 장착되며 필요시 상기 휴지함(20)에 대해 수거통(30)을 위쪽으로 들어올려줌으로써 가이드레일(35)을 따라 걸림부재(36)를 이탈시켜 휴지함(20)과 수거통(3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ontainer 30 is mounted to the guide rail 35 formed in the body 21 of the bin 20 via the locking member 36 and, if necessary, the bin 30 for the bin 20. By lifting upwards,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stopper 20 and the container 30 by leaving the locking member 36 along the guide rail 35.

미설명된 도면 부호 (37)은 상기 가이드레일(35)을 따라 하향 이동되는 돌출부재(36)가 걸리도록 휴지함(20)에 설치되는 스토퍼부재(37)이다.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37 is a stopper member 37 installed in the stop 20 so that the protruding member 36 moving downward along the guide rail 35 is caught.

또한, 도 5는 수거통(30)의 또다른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5 also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ainer 30.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상기 수거통(30)은 서랍식 구조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above drawings, the container 30 has a drawer type structure.

즉, 상기 수거통(30)은 측면에 구멍(32)이 형성되어 내외가 연통되고, 이 구멍(32)을 통해 상기 수거통(30) 내부와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내통(33)이 삽입/인출되며, 상기 내통(33)은 상부가 개방되어 폐휴지가 유입되고 상기 구멍(32)을 통해 노출되는 외측면에는 손잡이(34)가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That is, the container 30 has a hole 32 formed on the side thereof so that the inside and the outsid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inner container 33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30 is inserted / drawn through the hole 32. The inner cylinder 33 has a structure in which a handle 34 is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cylinder 33 is opened and a waste paper is introduced and exposed through the hole 32.

따라서 내통(33)에 폐휴지가 가득차게 되면 사용자는 내통(33)의 손잡이(34)를 잡고 수거통(30)의 구멍(32)을 통해 내통(33)을 인출하여 처리한 후 구멍(32)을 통해 다시 내통(33)을 수거통(30)에 간단히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waste paper is filled in the inner cylinder 33, the user grabs the handle 34 of the inner cylinder 33 and draws out the inner cylinder 33 through the hole 32 of the container 30, and then processes the hole 32. Through the inner cylinder 33 is simply inserted into the collecting container 30 can be used.

여기서 휴지함(20)의 본체(21)에 수거통(30)을 설치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위에서 언급된 구조 이외에 휴지함의 본체(21)에 수거통(30)을 일체로 형성하거나 부착 고정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Here, for the structure of installing the container 30 in the main body 21 of the waste bin 20,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the container 30 may be integrally formed or attached and fixed to the main body 21 of the waste bin, and is particularly limited. It doesn't work.

한편, 본 위생구(10)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에서 언급된 두루마리형태의 휴지와 달리 낱개의 휴지(55)가 적층되어 한 장씩 뽑아 쓰는 구조의 위생구(10)가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anitary tool 10, the sanitary tool 10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oilet papers 55 are stacked and drawn out one by one, unlike the above-mentioned roll type toilet paper.

이를 위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위생구(10)는 적층된 다수개의 낱장 휴지(55)가 채워지고 상부에는 슬릿(62)이 형성되어 슬릿(62)을 통해 휴지(55)가 인출되는 휴지함(60)과, 화장실 벽면(도 1의 100 참조)에 설치되고 측면에는 상기 휴지함(60)이 장착되며 사용된 폐휴지가 담겨지는 수거통(70)을 포함한다.6 and 7, the sanitary tool 10 is filled with a plurality of stacked sheets of toilet paper 55 and a slit 62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anitary tool 10 through the slits 62. ) Is a drawer 60 is drawn out, and the toilet wall (see 100 of FIG. 1) is installed on the side and the waste bin 60 is mounted and includes a bin 70 containing the used waste paper.

여기서 상기 휴지함(60)은 사용의 편의를 위해 수거통(70)의 전면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며, 수거통(70)의 크기에 따라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bin 60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front of the container 70 for convenience of use, and one or two or more may be install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ontainer 70.

상기 휴지함(60)의 장착을 위해 상기 수거통(70)의 상측 전면부에는 중공부(63)가 마련됨과 동시에 그 끝단에 상측 걸림턱(6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거통(70)의 하측 전면부에는 그 끝단에 하측 걸림턱(74)이 형성된 판 스프링(75)이 구비된다. 따라서, 휴지함(60)을 상기 수거통(70)에 장착할 경우, 상기 판 스프링(75)을 하측 방향으로 휘게 한 후 삽입하고, 상기 상측 걸림턱(64)과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 상기 판 스프링(75)의 끝단에 구비된 하측 걸림턱(74)에 의해 상기 휴지함(60)을 상기 수거통(7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The upper front portion of the container 70 is provided with a hollow portion 63 and an upper locking jaw 64 is provided at an end thereof for mounting the waste bin 60. In addition, the lower front portion of the container 70 is provided with a leaf spring 75 formed with a lower locking jaw 74 at the end thereof. Therefore, when the bin 60 is mounted on the container 70, the leaf spring 75 is bent downward and inserted therein, and the upper locking jaw 64 an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The stopper 60 can be easily mounted to the container 70 by the lower locking jaw 74 provided at the end of the leaf spring 75.

또한, 상기 수거통(70)은 사용된 폐휴지의 처리를 위해 측면에 구멍(71)이 형성되어 내외가 연통되고, 이 구멍(71)을 통해 상기 수거통(30) 내부와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내통(72)이 삽입/인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tainer 70 is formed with a hole 71 on the side for the treatment of the waste paper used, the inside and outside communicate with, through the hole 71 has an inner cylinder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30 The structure 72 is inserted / drawn.

상기 내통(72)은 상부가 개방되어 폐휴지가 유입되며 상기 구멍(71)을 통해 노출되는 외측면에는 손잡이(73)가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The inner cylinder (72) has a structure in which a handle (73) is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which the upper part is opened to introduce a waste stop and exposed through the hole (71).

따라서 내통(72)에 폐휴지가 가득차게 되면 사용자는 내통(72)의 손잡이(73)를 잡고 수거통(70)의 구멍(71)을 통해 내통(72)을 인출하여 처리한 후 구멍(71)을 통해 다시 내통(72)을 수거통(70)에 간단히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waste paper is filled in the inner cylinder 72, the user grabs the handle 73 of the inner cylinder 72 and draws out the inner cylinder 72 through the hole 71 of the container 70, and then processes the hole 71. Through the inner cylinder 72 again can be used simply by inserting into the container (70).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상당히 획기적인 소변기용 위생구를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고안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to provide a fairly innovative urinal sanitaryware as described above. Whil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are all considered and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ru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소변을 본 후 잔뇨를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되어 잔뇨에 따른 소변기 주위 오염을 줄이고 바지나 속옷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lean the residual urine after urine, thereby reducing the contamination around the urinal due to the residual urine and maintaining the cleanliness of the pants or underwear.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된 폐휴지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is simp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waste paper can be easily handled.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nitary utensil for toilet ur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anitaryware for toilet urinal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sanitaryware for toilet urinal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4 and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anitary utensil for toilet urina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6 and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anitary appliance for toilet urina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위생구 20,60 : 휴지함10: sanitary tool 20, 60: rest

21 : 본체 22,62 : 슬릿21: main body 22,62: slit

23 : 축 24,61 : 덮개23: shaft 24,61: cover

27 : 체결볼트 28,36: 걸림부재27: fastening bolt 28,36: locking member

29 : 홈 30,70 : 수거통29: home 30,70: container

31 : 돌기 32,71 : 구멍31: projection 32,71: hole

33,72 : 내통 34,73 : 손잡이33,72: inner barrel 34,73: handle

35,43 : 가이드레일 40 : 체결구35,43 guide rail 40 fastener

50 : 휴지롤 51,55 : 휴지50: tissue roll 51,55: tissue

52 : 코어 63 : 중공부52: core 63: hollow part

64 : 상측 걸림턱 74 : 하측 걸림턱64: upper locking jaw 74: lower locking jaw

75 : 판 스프링75: leaf spring

Claims (10)

화장실 소변기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내부에는 휴지가 구비되는 휴지함과;A toilet paper disposed close to the toilet urinal and provided with a toilet paper therein; 상기 휴지함의 일측에 장착되어 사용된 폐휴지를 담기 위한 수거통Bin for containing waste paper used to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waste bin 을 포함하는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Sanitary ware for toilet urinals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의 벽면에는 볼트를 매개로 고정되고 측단이 안쪽으로 절곡되어 T자 단면형태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체결구가 설치되고, 상기 휴지함 또는 상기 수거통은 일측면에 상기 체결구의 가이드레일에 끼워지도록 T자 단면형태의 걸림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According to claim 1, The wall surface of the toilet is fastened via a bolt and the side end is bent inwardly is provided with a fastener formed with a guide rail having a T-shaped cross-sectional shape, the bin or the container is fastened to one side A sanitary utensil for toilet urinals, characterized in that a locking member having a T-shaped cross section is formed to be fitted to a guide rail of a sphere and is fixed to the faste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함은 내부 중심에 두루마리형태로 감겨진 휴지롤의 중심 코어가 끼워지도록 축이 돌출형성되고 일측면에는 휴지가 인출되도록 슬릿이 형성된 본체와, 이 본체를 덮는 덮개, 상기 덮개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축에 형성된 암나사홀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The main body of claim 1, wherein the rest bin has a main body formed with a slit such that a shaft protrudes to fit the center core of the rest roll rolled around the inner center, and one side of the rest roll is drawn out, and a lid covering the main body; Sanitary utensils for toilet urinals comprising a fastening bolt which penetrates through the center of the cover and is fastened to a female screw hole formed in the shaf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은 측면에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휴지함의 외측에서 축 내부로 형성되는 홈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The sanitary appliance of claim 3, wherein the container has a protrusion formed on a side thereof and is fit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shaft from the outside of the toile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은 외측면에 T자 단면형태의 걸림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휴지함은 측면에 양 측단이 절곡되어 T자 단면형태를 이루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가이드레일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container is formed with a T-shaped cross-section locking member on the outer surface, the rest is bent on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is formed to form a T-shaped cross-sectional shape is fitted to the guide rail Sanitary ware for toilet urinals,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은 측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수거통으로 슬라이딩되어 삽입 또는 인출되는 내통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The sanitary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iner further comprises an inner cylinder which is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container by sliding into the container through a hole formed in a side surface thereof.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에 손잡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7. The sanitary appliance of claim 6, wherein the inner cylinder is ope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handle is installed at a side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함은 내부에 적층된 다수개의 낱장 휴지가 채워지고, 일측단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휴지가 인출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The sanitary appliance for toilet ur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ilet paper is filled with a plurality of sheets of tissues stacked therein and the tissue is drawn out through a slit formed at one en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의 상측 전방부에는 중공부가 마련됨과 동시에 그 끝단에 상측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수거통의 하측 전방부에는 그 끝단에 하측 걸림턱이 형성된 판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 10.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upper front portion of th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hollow and at the end is provided with an upper locking jaw, the lower front portion of th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leaf spring with a lower locking jaw formed at its end Sanitaryware for toilet urinal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함은 상기 수거통에 대해 하나 또는 두 개 이상 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소변기용 위생구.9. The sanitary appliance of claim 8, wherein one or more bins are mounted on the container.
KR20-2005-0012880U 2005-05-09 2005-05-09 Sanitary arrangement for urinal receptacle KR20039116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880U KR200391160Y1 (en) 2005-05-09 2005-05-09 Sanitary arrangement for urinal recepta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880U KR200391160Y1 (en) 2005-05-09 2005-05-09 Sanitary arrangement for urinal recepta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160Y1 true KR200391160Y1 (en) 2005-07-29

Family

ID=43692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880U KR200391160Y1 (en) 2005-05-09 2005-05-09 Sanitary arrangement for urinal recepta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160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02260A (en) * 2020-11-25 2021-03-16 洪水丛 Water-saving anti-splashing ur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02260A (en) * 2020-11-25 2021-03-16 洪水丛 Water-saving anti-splashing ur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6304Y1 (en) An excrement prop for a pet
KR200391160Y1 (en) Sanitary arrangement for urinal receptacle
US6651260B1 (en) Toilet tank top with easy access to drop in deodorizing discs
US5555568A (en) Underpants for men having extendable sanitary portion
KR200432067Y1 (en) Sanitary arrangement for urinal receptacle
US20200237583A1 (en) Sanitary Napkin Disposal Device
EP0103753A2 (en) Hygienical receptacle
US20170303752A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oilet cover and toilet seat
CN210077487U (en) Medical wash-basin of integration with garbage collection function
JPH0111113Y2 (en)
JP3212194U (en) Anti-scattering male urinal
KR200178058Y1 (en) Toilet tissue compartment
KR20100007095U (en) sanitation safety a kitchen knife case
US11109723B2 (en) Toilet brush assembly
DE202018002362U1 (en) Toilet set and toilet with locking device
KR200189775Y1 (en) A spoon and chopsticks case for improve
KR200477461Y1 (en) Trash can with a cylindrical rod with toilet case
KR20140006337U (en) Encased toilet tissue holder
KR20190026119A (en) Collection Box of sanitary Pad to be able to supply Single-use Envelope
WO2000051482A1 (en) Dispenser box for cleaning tissues
KR200443910Y1 (en) Case attached to a bed mattress
KR20000018036U (en) a handy toilet
KR20170093495A (en) Toilet bowl cover
KR200377987Y1 (en) A Multi purpose toothbrush sterilizer
EP2818086A1 (en) Bathroom sanitizing ro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